삼환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환교통은 1997년 삼환운수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인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8년 고급형 시내버스 도입과 천연가스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2003년 삼환운수와 계열 분리되었다. 2000년대 들어 노선을 확장하고, 2010년대에는 노선 조정과 변화를 겪었다. 2020년대에는 친환경 버스 도입과 노선 개편을 진행하여, 2025년 1월부터는 모든 노선에서 현금 없는 버스 시스템을 시행할 예정이다. 현재 간선버스 4번, 14번, 23번, 58번, 62번, 79번과 지선버스 4401번, 급행간선버스 급행99번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중국우정
중국우정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설립된 우편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우편, 택배·물류, 금융,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특히 중국우정저축은행을 통해 농촌 지역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택배 서비스 확대와 스마트 무인 배달차 도입 등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삼하운수
삼하운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서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운수업체로, 홍은동과 포방터 지역과 지하철 3호선 및 통일로 간선 버스 노선을 연계하며 서대문11번, 서대문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고 황해버스와 현대자동차의 다양한 차종을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1923년 개인 택시에서 시작하여 1949년 최초 노선이 개통되었고, 교통카드 시스템 도입, 수도권 통합요금제 편입, 준공영제 시행 등 변화를 거쳐 현재 간선, 지선, 광역, 좌석, 급행 버스로 운행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기업 - 신강교통
신강교통은 2012년 7월 설립된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로,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 M6457번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에는 79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삼환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삼환교통 주식회사 |
| 원어 | Samwhan Gootong |
![]() |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29 (항동7가) |
| 사업 지역 | 동부지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세월천로 235 (청천동) 인천광역시 중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동구 경기도 부천시 |
| 창립 | 1997년 11월 5일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6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31,192,690,178원 (2020) |
| 영업이익 | 597,670,139원 (2020) |
| 순이익 | -127,043,988원 (2020) |
| 자산총액 | 6,967,396,429원 (2020.12) |
| 주주 | 주식회사 스마트인천모빌리티제1호: 100% |
| 종업원 | 330명 (2020.12) |
| 대표이사 | 한강수 |
2. 연혁
- 1997년 11월 5일: 삼환운수가 적자로 폐선한 14번[1], 23번[2], 62번[3] 노선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설립하였다.
- 1998년 2월 2일: 14, 23, 62번 시내버스를 인천광역시 최초 고정배차제로 개통하고 고급형 시내버스(시내저상버스)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순차적으로 증차하였다.
- 1998년 7월 27일: 인천광역시 최초로 천연가스버스[4]를 운행하였다.
- 2002년 8월: 14번 시내버스 노선이 제물포버스의 39번 폐선에 따른 후속 대책과 서창지구 아파트 입주 활성화로 부분 변경 및 연장되었고, 차량 3대가 증차 운행되었다.
- 2003년: 삼환운수와 계열 분리하였다.
- 2004년 3월 5일: 14번 시내버스가 장거리 운행으로 인해 14번과 14-1번으로 분리 운행되었다.
- 2004년 7월: 14-1번 종점이 작전역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8월 16일: 79번 시내버스가 신설 개통되었다.
- 2006년 1월 12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동부지점을 설치하였다.
- 2008년 2월 25일: 25번 시내버스가 신설 개통되었다.[5]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으로 25번 시내버스 노선이 단축되었다. 16-2번이 신설되었으나, 62번과 노선이 겹쳐 62-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10년 2월 12일: 62-1번 노선이 시영운수에 매각되었고, 버스 2대와 번호도 2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 1월 20일: 25번 시내버스 종점이 변경되었다.
- 2012년 5월 17일: 14-1번 시내버스 종점이 변경되었다.
- 2013년 3월 12일: 79번 시내버스 노선이 연장되었다.
- 2013년 8월 1일: 14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5년 2월 15일: 79번 시내버스 기점이 변경되었다.
- 2015년 7월 31일: 동부지점이 이전되었다.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 인천여객 4번 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 2016년 2월 1일: 4번[6], 63번[7], 320번[8] 버스 운행을 입찰받았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있었다.
- 2017년 11월 10일: 본점이 이전되었다.
- 2017년 11월 18일: 14번 시내버스 기점이 변경되었다.
- 2018년 9월 15일: 320번 공항좌석버스가 원진운수와 대인교통에 양수되고, 14-1A번 시내버스가 신설 개통되었다.
- 2020년 10월 27일: 58번, 99번 노선이 신설되고, 14-1A번 노선이 폐선, 63번 노선은 인천교통공사에 양도될 예정이었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58번[9], 99번[10] 노선이 신설되고, 63번은 인천교통공사에, 14-1번은 공영급행으로 양도되었다. 79번 노선은 연장되었다.
- 2021년 2월 27일: 58번[11]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21년 5월 8일: 23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22년 1월 10일 ~ 2022년 6월 30일: 62번 시내버스[12]가 현금 없는 버스로 시범 운행되었다.
- 2022년 12월 10일: 23번 시내버스 기점이 변경되었다.
- 2023년 7월 1일: 4번, 79번, 급행 99번 시내버스가 현금 없는 버스 노선으로 선정되었다.
- 2023년 9월 2일: 급행 99번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24년 6월 11일: 지선버스 4401번[14] 노선 사업자로 선정되어 10월쯤 운행될 예정이다.
- 2024년 10월 19일: 4401번 노선이 신설 개통될 예정이다.
- 2025년 1월 1일: 인천시내버스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으로 삼환교통 보유 노선 전체에서 현금 없는 버스가 시행될 예정이다.
2. 1. 1990년대: 설립 및 초기 성장
1997년 11월 5일 삼환운수가 적자로 폐선한 14번[1], 23번[2], 62번[3] 노선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설립되었다.1998년 2월 2일에는 14, 23, 62번 시내버스를 인천광역시 최초 고정배차제로 개통하고, 동시에 고급형 시내버스(시내저상버스) 운행을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증차하였다. 같은 해 7월 27일에는 인천광역시 최초로 천연가스버스[4]를 운행하였다.
당시 삼환교통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노선은 14번, 23번, 62번이었다.[20]
2. 2. 2000년대: 노선 확장 및 계열 분리
- 1997년 11월 5일: 삼환운수가 적자로 폐선한 14번[1], 23번[2], 62번[3] 등 적자 노선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 1998년 2월 2일: 14, 23, 62번 시내버스를 인천광역시 최초 고정배차제로 개통하고 고급형 시내버스(시내저상버스)로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순차적으로 증차하였다.
- 1998년 7월 27일: 인천광역시 최초로 천연가스버스[4]를 운행하였다.
- 2002년 8월: 14번 시내버스 노선(연안부두-용현동-구 터미널-송림동-재능대학교-인천교-석남동-가정5거리-효성동-산곡동-부평역-부개단지-송내역)이 제물포버스의 39번 폐선에 따른 후속 대책(가정고교-롯데우람아파트-미주탕-가좌주공아파트 구간)과 서창지구 아파트 입주 활성화에 따른 대중교통 필요성으로 인해 부분 변경 및 연장되었다. (연안부두-용현동-구 터미널-제물포역-도화5거리-인천교-가좌고등학교-가좌주공아파트-가정고등학교-가정5거리-효성동-산곡동-부평역-부개단지-송내역-인천대공원-서창지구)로 변경되었고, 차량 3대가 증차 운행되었다.
- 2003년: 삼환운수와 계열 분리하였다.
- 2004년 3월 5일: 14번 시내버스의 장거리 운행으로 인해 14번(연안부두-용현동-제물포역-가좌동-가정동-효성동-작전역)과 14-1번(서창지구-인천대공원-송내역-부평역-부평시장-산곡동-청천동-효성동-효성유승아파트)으로 분리하여 운행하였다.
- 2004년 7월: 14-1번의 종점을 유승아파트에서 작전역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 2005년 8월 16일: 백석중학교, 백석고등학교-검암, 경서지구-계산역-계산신도시-삼산지구-상동호수공원-부개역 구간의 79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
- 2006년 1월 12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 1-436에 동부지점을 설치하였다.
- 2008년 2월 25일: 아암물류단지-신선초등학교-용현동-구 터미널-제물포역-가좌동-가정동-효성동-작전역 구간의 25번 시내버스를 신설 개통.[5]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함께 25번 시내버스 노선을 작전역에서 숭의로터리로 단축하였다.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동인천역-인천대공원 간 기존의 16번 노선을 대체하여 16-2번을 신설하였으나, 자사 노선 62번과 상당수 겹쳐 62-1번으로 번호만 변경하여 운행하였다.
2. 3. 2010년대: 노선 조정 및 변화
- 2010년 2월 12일: 62-1번 노선을 시영운수에 매각하였고, 이후 버스도 시영운수 소속 버스 2대에 번호도 29번으로 변경되었다.[5]
- 2012년 1월 20일: 25번 시내버스 종점을 숭의로터리에서 도원역-신흥로터리로 변경하였다.
- 2012년 5월 17일: 14-1번 시내버스 종점을 작전역에서 아이즈빌 아울렛-인향아파트-인천나비공원으로 변경하였다.
- 2013년 3월 12일: 79번 시내버스 노선을 당하지구-안동포-공단유통상가로 연장하였다.
- 2013년 8월 1일: 14번 시내버스 노선을 연안부두에서 아암물류단지로 변경하였다.
- 2015년 2월 15일: 79번 시내버스의 기점을 공단유통상가에서 왕길동 공영차고지로 변경하였다.
- 2015년 7월 31일: 동부지점을 인천광역시 부평구 세월천로 235 (청천동)으로 이전하였다.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번 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
- 2016년 2월 1일: 4번[6], 63번[7], 320번 버스[8]의 운행을 입찰받았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개편으로 4번 증차, 14번 노선 연장 및 증차, 25번 폐선, 63번 노선 연장, 79번, 320번 노선을 변경하여 운행하였다.
- 2017년 11월 10일: 본점을 중구 신흥동3가에서 중구 축항대로86번길로 이전하였다.
- 2017년 11월 18일: 14번 시내버스의 기점을 신흥동 삼환교통에서 연안부두 항동7가 버스차고지로 변경하였다.
- 2018년 9월 15일: 320번 공항좌석버스를 원진운수와 대인교통에 양수하고, 14-1A번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2. 4. 2020년대: 친환경 버스 도입 및 노선 개편
삼환교통은 2020년대에 들어 친환경 버스를 도입하고 노선을 개편했다.- 2020년 10월 27일: 780-1번 대체 노선인 58번[9]과 909번 대체 노선인 99번[10]을 신설했다. 기존 14-1A 노선은 폐선되었고, 나머지 노선들도 개편되었다. 63번 노선은 인천교통공사에 양도될 예정이었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대개편으로 23번 시내버스 노선은 월미도에서 연안부두로, 4번 노선은 연수구 동춘동에서 송도 제2차고지로 변경되었다. 58번 노선이 신설되었고[9], 63번은 인천교통공사로, 14-1번은 공영급행으로 양도되었다. 79번은 검단차고지와 인천성모병원으로 연장되었으며, 99번[10]이 신설되었다.
- 2021년 2월 27일: 58번 시내버스[11] 노선이 예송중학교에서 송도5공구 통학 편의를 위해 송일초등학교 - 더샵퍼스트파크 - 인천대학교 - 송도1차고지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5월 8일: 23번 시내버스 노선이 신흥사거리 좌회전에서 신흥시장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2년 1월 10일 ~ 6월 30일: 62번 시내버스[12]가 현금 없는 버스로 시범 운행되었다.
- 2022년 12월 10일: 23번 시내버스의 기점이 연안부두(항동7가 버스차고지)로 변경되었고, 연안여객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라이프아파트-인천수산물센터(연안어시장)" 방면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이는 어시장 이용객과 라이프아파트 주민들의 제물포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13]
- 2023년 7월 1일: 4번, 79번, 급행 99번 시내버스 노선이 현금 없는 버스 노선으로 선정되어 통합요금징수기가 사라지고 카드 전용 단말기가 장착되었다.
- 2023년 9월 2일: 급행 99번 노선이 기존의 인천대학교 정문 노선에서 글로벌캠퍼스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 2024년 6월 11일: 삼환교통은 인천시내버스 한정면허 노선인 지선버스 4401번[14] 노선 사업자로 선정되어 10월쯤 운행될 예정이다.
- 2024년 10월 19일: 4401번 노선이 신설 개통될 예정이다.
- 2025년 1월 1일: 인천시내버스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으로 14번, 23번을 포함한 보유 노선 전체에서 현금 없는 버스가 시행될 예정이다.
3. 운행 노선
삼환교통은 간선버스, 지선버스, 급행간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하위 섹션에 상세한 노선 정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한다.
3. 1. 간선버스
(분)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