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막역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9년 6월 1일 국제업무지구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지하 2층 규모로, 개찰구와 역무 시설은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하며, 2면 3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나, 현재는 계양 방면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아 1면 2선으로 운영된다. 주변에는 남동인더스파크, 인천광역시 평생학습관, 인천대건고등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연수구의 전철역 - 센트럴파크역
센트럴파크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으로, 2009년 송도국제도시 연장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역명은 인근의 송도 센트럴파크에서 유래했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 인천 연수구의 전철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종착역으로, 2020년 12월 12일 개통되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는 송도달빛축제공원과 힐스테이트 송도 더 테라스 등의 시설이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999년 1호선 개통 후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가 7호선 구간을 운영하고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평구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역
부평역은 인천 부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해 전철역 기능 추가 및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부평역사쇼핑몰,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다양한 상업 및 편의시설이 인접한 지역 중심지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1999년 개업한 철도역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 1999년 개업한 철도역 -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서면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1985년 1호선 개통 후 1999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현재 부산 도시철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하나이고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등과 연결되어 부산의 주요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동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역명 | 동막 (저어새 생태학습관) |
| 한자 표기 | 東幕驛 |
| 로마자 표기 | Dongmangnyeok |
| 주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지하 80 (동춘동 927-1) |
| 운영 정보 | |
| 운영 기관 | 인천교통공사 |
|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역 번호 | I132 |
| 역 구조 | 지하역 |
| 승강장 형태 | 2면 3선 (쌍섬식 승강장) |
| 개업일 | 1999년 10월 6일 |
| 코드 | I132 |
| 이용 정보 | |
| 2017년 승객 수 | 12,112명 |
| 2015년 승차 인원 | 6,604명 |
| 2015년 승하차 인원 | 11,733명 |
| 노선 정보 | |
| 이전 역 | 동춘역 |
| 다음 역 | 캠퍼스타운역 |
| 역간 거리 (동춘역) | 1.1km |
| 역간 거리 (캠퍼스타운역) | 1.6km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계양역 기점 22.9km |
2. 역사
1994년 3월 19일 역명이 '''동막역'''으로 결정되었고,[2]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동막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 2009년 6월 1일 국제업무지구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고, 시·종착 기능은 폐지되었다. 2010년에는 동쪽 승강장을 제외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 1. 연혁
- 1994년 3월 19일: '''동막역'''으로 역명 결정[2]
-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동막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3]
- 2009년 6월 1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국제업무지구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 시·종착 기능 폐지
- 2010년: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동쪽 승강장 제외)
3. 역 구조
동막역은 지하 2층 규모의 지하역이다. 지하 1층에는 개찰구 및 역무 시설이 있고, 지하 2층에는 승강장이 있다. 각 층은 계단 및 엘리베이터로 연결된다. 출구는 모두 4곳이다.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지하역이지만, 2009년 이후 계양 방면 승강장 바깥쪽 승강장과 선로는 사용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으로 기능한다.
3. 1. 승강장
2면 3선 구조로, 흔히 "쌍섬식"으로 불리는 형태이다. 개통 당시에는 서측 승강장의 양쪽 면을 당역 종착 열차가, 동측 승강장의 양쪽 면을 당역 시발 열차가 각각 사용하였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국제업무지구역 방면으로 연장된 이후에는 동측 승강장은 폐쇄되었으며, 서측 승강장의 두 면을 각 방면별로 나누어 사용한다. 스크린도어는 현재 사용 중인 서측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다. 별도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동측 승강장에는 역명판조차 바꾸지 않고 그대로 있다.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지하역이다. 다만, 계양 방면 승강장 바깥쪽에 있는 승강장과 선로는 2009년 이후 사용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4. 역 주변
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남동인더스파크 2단지
- 인천대건고등학교
- 인천박문초등학교
-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 승기하수처리장
- 인천서면초등학교
- 인천시립롤러스케이트장
- 인천신송고등학교
- 인천신송중학교
- 인천광역시 평생학습관
- 인천환경공단 승기사업소
- 인천환경공단 승기축구장 (프로축구 K리그 2군 R리그 인천 유나이티드 홈구장)
-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4. 1. 출구 정보
송도 신도시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서면초등학교
동춘초등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