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브리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브리외는 프랑스 브르타뉴 코트다르모르 주의 코뮌으로, 5세기에 이 지역을 기독교화한 웨일스 출신 수도사 브리오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르타뉴의 9개 전통 주교 관구 중 하나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팡퇴르 지방의 중심지였다. 생브리외는 1790년 코트-뒤-노르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1944년에는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되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생브리외역이 있으며,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자매 도시로는 애버리스트위스, 아기아 파라스케비, 알스도르프, 고라주데, 가베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트다르모르주의 코뮌 - 라니옹
    라니옹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서안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통신 연구 센터와 기술 연구소가 있고 브르타뉴어 장려 정책을 시행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코트다르모르주의 코뮌 - 갱강
    갱강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의 도시로, 리슐리외 추기경의 명령으로 성이 철거되었고, 1675년 인지세 반란으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생 루 축제를 개최하고 프로 축구팀 EA 갱강의 연고지이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생브리외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생브리외
현지 이름산트-베리오에크 (갈로어)
별칭브리오친, 브리오친느
생브리외 깃발
깃발
생브리외 문장
문장
생브리외 대성당
생브리외 대성당
행정
국가프랑스
레지옹브르타뉴
데파르트망코트-다르모르
아롱디스망생브리외
캉통생브리외-1, 생브리외-2
코뮌 지위현 (프랑스)
시장발렌틴 지로드
임기2020–2026년
지자체생브리외 아모르
INSEE 코드22278
우편 번호22000
지리
면적21.88 km²
최소 고도0 m
최대 고도134 m
인구
총 인구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고
인구 조사 년도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고
인구 각주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고

2. 역사

브르타뉴의 역사적 주교 관구


생브리외는 5세기에 이 지역을 기독교화하고 그곳에 예배소를 세운 웨일스 출신 수도사 브리오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로 상 브리엑/생브리외 지방은 프랑스 혁명 이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던 브르타뉴의 9개 전통 주교 관구 중 하나로, 생브리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중세 시대에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2세에 의해 8개의 '전투' 또는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생 브리외 지방, 즉 팡퇴르가 설립되면서 유래되었다.

스송의 탑


구에디크 거리의 철도 교량, 1905년


생브리외(Saint-Brieuc)는 코뮌을 세운 기독교 성인 브리외(Brieuc, fr)에서 유래되었다. 480년경 웨일스의 케레디지온에서 브르타뉴로 온 브리외는 언덕 위로 이주하여 샘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원을 세웠다. 샘의 돌출 현관은 1420년 팡티에브르 백작 부인 마르그리트 드 크리송에 의해 건설되었다.

성 브리외는 브르타뉴 건설 7성인 중 한 명이다. 생브리외는 트로 브레이스 순례지 중 하나이다. 생브리외 성당은 13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성당은 군사 요새로도 사용되었으며, 코뮌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적이 한 번도 없었다.

848년, 노르만족이 떠난 후 브르타뉴의 각 주교좌를 브르타뉴 왕 노미노에가 재편했다. 이 해에 생브리외 주교좌가 생겼다. 성 브리외의 성유물은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빼앗겼고, 1210년에 코뮌으로 돌아왔다. 순례 행렬이 조직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1220년, 성당의 위대한 건축가 중 한 명인 기욤 팡숑이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1234년에 사망했고, 1247년에 로마 교황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는 교황청에 의해 성별된 최초의 브르타뉴 성인이 되었다.

1355년, 화재로 파괴된 성당 성가대석이 2년 후 기 주교와 위그 드 몽틀레에 의해 재건되었다. 종종 요새 성당은 침략자에게 쫓긴 코뮌 주민들이 마지막으로 도망치는 피난처가 되어 왔다.

1592년, 코뮌은 프랑스 왕군에게 약탈당했다. 위그노 전쟁 중, 요새가 되어 온 스송 탑의 파괴가 결정되어 실행되었다. 그 유적은 지금도 생브리외 만에서 볼 수 있다.

프랑스 혁명기인 1790년, 생브리외는 새로 설치된 코트-뒤-노르 주의 주도가 되었다. 공포 정치 시대인 1793년, 왕당파와 혁명파의 내전으로 코뮌은 황폐해졌다.

1819년, 항구와 부두의 발전으로 창고와 새로운 다리가 마련되었다. 생브리외 상무 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44년 8월 6일, 생브리외를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한 것은 조지 패튼이 이끄는 미국 육군이었다.

2. 1. 기원

생브리외는 5세기에 이 지역을 기독교화하고 예배소를 세운 웨일스 출신 수도사 브리오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전 브르타뉴의 9개 전통 주교 관구 중 하나인 브로 상 브리엑/생브리외 지방이 생브리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중세 시대에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2세에 의해 8개의 '전투' 또는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생 브리외 지방, 즉 팡퇴르가 설립되었다.

생브리외(Saint-Brieuc)는 코뮌을 세운 기독교 성인 브리외(Brieuc, fr)에서 유래되었다. 480년경 웨일스의 케레디지온에서 브르타뉴로 온 브리외는 언덕 위로 이주하여 샘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원을 세웠다. 성 브리외는 브르타뉴 건설 7성인 중 한 명이며, 트로 브레이스 순례지 중 하나이다.

848년, 노르만족이 떠난 후 브르타뉴의 각 주교좌를 브르타뉴 왕 노미노에가 재편하면서 생브리외 주교좌가 생겼다. 성 브리외의 성유물은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빼앗겼다가 1210년에 코뮌으로 돌아왔고, 순례 행렬이 조직되어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2. 2. 중세

생브리외는 5세기에 이 지역을 기독교화하고 그곳에 예배소를 세운 웨일스 출신 수도사 브리오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브로 상 브리엑/생브리외 지방은 프랑스 혁명 이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던 브르타뉴의 9개 전통 주교 관구 중 하나이다. 또한 중세 시대에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2세에 의해 8개의 '전투' 또는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생 브리외 지방, 즉 팡퇴르가 설립되었다.

생브리외(Saint-Brieuc)는 코뮌을 세운 기독교 성인 브리외(Brieuc, fr)에서 유래되었다. 480년경 웨일스의 케레디지온에서 브르타뉴로 온 브리외는 언덕 위로 이주하여 샘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원을 세웠다.

성 브리외는 브르타뉴 건설 7성인 중 한 명이자, 트로 브레이스 순례지 중 하나이다. 생브리외 성당은 13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군사 요새로도 사용되었다.

848년, 노르만족이 떠난 후 브르타뉴의 각 주교좌를 브르타뉴 왕 노미노에가 재편하면서 생브리외 주교좌가 생겼다. 성 브리외의 성유물은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빼앗겼다가 1210년에 코뮌으로 돌아왔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순례 행렬이 조직되었다.

1220년, 성당의 위대한 건축가 중 한 명인 기욤 팡숑이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1234년에 사망했고, 1247년에 로마 교황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시성되어 교황청에 의해 성별된 최초의 브르타뉴 성인이 되었다.

1355년, 화재로 파괴된 성당 성가대석이 2년 후 기 주교와 위그 드 몽틀레에 의해 재건되었다.

1592년, 코뮌은 프랑스 왕군에게 약탈당했다. 위그노 전쟁 중, 요새가 되어 온 스송 탑의 파괴가 결정되어 실행되었고, 그 유적은 지금도 생브리외 만에서 볼 수 있다.

2. 3. 근세

480년경 웨일스의 케레디지온에서 브르타뉴로 온 브리외는 언덕 위로 이주하여 샘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원을 세웠다. 샘의 돌출 현관은 1420년 팡티에브르 백작 부인 마르그리트 드 크리송에 의해 건설되었다.

브로 상 브리엑/생브리외 지방은 프랑스 혁명 이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던 브르타뉴의 9개 전통 주교 관구 중 하나로, 생브리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중세 시대에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2세에 의해 8개의 '전투' 또는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생 브리외 지방, 즉 팡퇴르가 설립되면서 유래되었다.

848년, 노르만족이 떠난 후 브르타뉴의 각 주교좌를 브르타뉴 왕 노미노에가 재편했다. 이 해에 생브리외 주교좌가 생겼다. 성 브리외의 성유물은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빼앗겼고, 1210년에 코뮌으로 돌아왔다. 순례 행렬이 조직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1220년, 성당의 위대한 건축가 중 한 명인 기욤 팡숑이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1234년에 사망했고, 1247년에 로마 교황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는 교황청에 의해 성별된 최초의 브르타뉴 성인이 되었다.

1355년, 화재로 파괴된 성당 성가대석이 2년 후 기 주교와 위그 드 몽틀레에 의해 재건되었다. 종종 요새 성당은 침략자에게 쫓긴 코뮌 주민들이 마지막으로 도망치는 피난처가 되어 왔다.

1592년, 코뮌은 프랑스 왕군에게 약탈당했다. 위그노 전쟁 중, 요새가 되어 온 스송 탑의 파괴가 결정되어 실행되었다. 그 유적은 지금도 생브리외 만에서 볼 수 있다.

프랑스 혁명기인 1790년, 생브리외는 새로 설치된 코트-뒤-노르 주의 주도가 되었다. 공포 정치 시대인 1793년, 왕당파와 혁명파의 내전으로 코뮌은 황폐해졌다.

2. 4. 현대

480년경 웨일스의 케레디지온에서 브르타뉴로 온 브리외는 언덕 위로 이주하여 샘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원을 세웠다. 샘의 돌출 현관은 1420년 팡티에브르 백작 부인 마르그리트 드 크리송에 의해 건설되었다.

성 브리외는 트로 브레이스 순례지 중 하나이다. 생브리외 주교좌는 848년 노르만족이 떠난 후 브르타뉴 왕 노미노에가 브르타뉴의 각 주교좌를 재편하면서 생겨났다. 성 브리외의 성유물은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빼앗겼다가 1210년에 코뮌으로 돌아왔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순례 행렬이 조직되었다.

1220년, 성당의 위대한 건축가 중 한 명인 기욤 팡숑이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1234년에 사망했고, 1247년에 로마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는 교황청에 의해 성별된 최초의 브르타뉴 성인이 되었다.

1355년, 화재로 파괴된 성당 성가대석이 2년 후 기 주교와 위그 드 몽틀레에 의해 재건되었다. 종종 요새 성당은 침략자에게 쫓긴 코뮌 주민들이 마지막으로 도망치는 피난처가 되어 왔다.

1592년, 코뮌은 프랑스 왕군에게 약탈당했다. 위그노 전쟁 중, 요새가 되어 온 스송 탑의 파괴가 결정되어 실행되었다. 그 유적은 지금도 생브리외 만에서 볼 수 있다.

프랑스 혁명기인 1790년, 생브리외는 새로 설치된 코트-뒤-노르 주의 주도가 되었다. 공포 정치 시대인 1793년, 왕당파와 혁명파의 내전으로 코뮌은 황폐해졌다.

1819년, 항구와 부두의 발전으로 창고와 새로운 다리가 마련되었다. 생브리외 상무 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44년 8월 6일, 생브리외를 나치 독일로부터 해방한 것은 조지 패튼이 이끄는 미국 육군이었다.

3. 지리

생브리외는 영국 해협과 생브리외 만에 접해 있다. 두 개의 강, 구에/구에 강과 구에디/구에딕 강이 생브리외를 가로질러 흐른다.

코트다르모르 ''주''(département)의 다른 주요 도시로는 갱강/갱강, 디낭, 그리고 라니옹/라니옹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부현''(sous-préfectures)이다.

2009년, 대량의 바다 상추, 일종의 해조류가 브르타뉴의 여러 해변으로 밀려왔고, 부패하면서 위험 수준의 황화 수소를 방출했다.[2] 말 한 마리와 몇몇 개가 죽었고, 이를 트럭에 싣고 가던 한 시의회 직원이 운전석에서 의식을 잃고 사망했다.[2]

대서양에 면한 생브리외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있다. 코뮌은 N12 도로에 의해 양분된다. 구에 강 및 구에딕 강이 흐르는 계곡에 있다.

== 인접 코뮌 ==

생브리외는 랑괴, 라 메고옹, 플레랑, 플루프라강, 트레괴 및 트레뮤종과 접한다.

== 기후 ==

생브리외는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15] 1981~2010년 평균 최고 기온은 14.6°C, 평균 최저 기온은 7.8°C이며, 1991~2020년 평균 최고 기온은 14.9°C, 평균 최저 기온은 8.0°C이다. 연간 강수량은 1981~2010년 기준 750.7mm, 1991~2020년 기준 757.3mm이다.

생브리외 기후 (1981–2010년 평균, 1985년~현재 극값)[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8.59.011.412.916.219.121.121.419.115.711.59.014.6
평균 최저 기온 (°C)3.53.44.75.68.510.912.913.111.39.36.03.97.8
월 강수량 (mm)75.565.654.163.758.447.842.541.259.678.281.382.8750.7



생브리외 기후 (1991–2020년 평균, 1985년~현재 극값)[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8.99.411.413.616.419.321.421.619.515.812.09.514.9
평균 최저 기온 (°C)3.83.64.76.08.611.213.013.211.59.46.54.38.0
월 강수량 (mm)74.264.553.359.756.250.741.944.552.481.687.790.6757.3


3. 1. 인접 코뮌

생브리외는 랑괴, 라 메고옹, 플레랑, 플루프라강, 트레괴 및 트레뮤종과 접한다.

3. 2. 기후

생브리외는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15] 1981~2010년 평균 최고 기온은 14.6°C, 평균 최저 기온은 7.8°C이며, 1991~2020년 평균 최고 기온은 14.9°C, 평균 최저 기온은 8.0°C이다. 연간 강수량은 1981~2010년 기준 750.7mm, 1991~2020년 기준 757.3mm이다.

생브리외 기후 (1981–2010년 평균, 1985년~현재 극값)[1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8.59.011.412.916.219.121.121.419.115.711.59.014.6
평균 최저 기온 (°C)3.53.44.75.68.510.912.913.111.39.36.03.97.8
월 강수량 (mm)75.565.654.163.758.447.842.541.259.678.281.382.8750.7



생브리외 기후 (1991–2020년 평균, 1985년~현재 극값)[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8.99.411.413.616.419.321.421.619.515.812.09.514.9
평균 최저 기온 (°C)3.83.64.76.08.611.213.013.211.59.46.54.38.0
월 강수량 (mm)74.264.553.359.756.250.741.944.552.481.687.790.6757.3


4. 인구

1962년1968년1975년1982년1990년1999년2006년2010년
43,14250,28152,55948,56344,75246,08746,43746,209



1999년까지는 EHESS[10], 2000년 이후 INSEE[11][12] 기준이다. 생브리외 주민들은 프랑스어로 '브리오생'(Briochins)이라고 부른다.[5]

5. 언어

2008년, 초등학생의 3.98%가 이중 언어 학교에 다녔다.[8] 현재 생브리외에서는 프랑스어가 거의 전적으로 사용되지만, 과거에는 브르타뉴어가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 프랑스어, 갈로어가 사용되었다.

적어도 1200년대까지 생브리외 지역 주민들은 브르타뉴어를 사용했다.[13] 이후 코뮌 외곽의 농촌 지역에서 오일어의 하나인 갈로어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프랑스어 도입으로 경제적 유용성이 더해지면서 생브리외는 3개 언어를 사용하는 코뮌이 되었다. 시와 성당이 있는 코뮌으로서 생브리외는 7세기에 걸쳐 농촌 지역의 갈로어 사용자들과 브르타뉴어 사용자들의 만남의 장이 되었다. 역대 주교들과 아마도 팡티에브르 백작가의 귀족들도 13세기 말에는 두 언어를 구사했다.

1636년, 도뷔송-오브네는 그의 저서에서, 생브리외 주민의 절반이 브르타뉴어 외에 프랑스어를 이해하고 있으며, "코뮌 내에서는 2명 중 1명이 브르타뉴어를 사용하지만, 모든 사람이 프랑스어를 이해한다"고 기록했다.[14]

6. 교통

파리-브레스트 철도에 위치한 생브리외역은 SNCF TGV 아틀랑티크를 통해 몽파르나스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요 시간은 약 3시간이다.

생브리외 SNCF 역


생브리외 공항


생브리외-아머 공항에서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지 않는다.

7. 문화

생브리외는 IU 명예 프로그램을 개최하는 유럽의 도시 중 하나이다.

''생미셸 묘지''에는 여러 명의 저명한 브르타뉴인들의 묘가 있으며, 폴 르 고프와 장 부셰의 조각 작품이 있다. 묘지 벽 바깥에는 아르멜 보필스의 아나톨 르 브라 동상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두 형제와 함께 사망한 르 고프는 거리 이름으로도 기념되고 있으며, 중앙 정원에는 그의 주요 조각 작품인 ''La forme se dégageant de la matière''가 있으며, 여기에는 쥘-샤를 르 보제크의 그에 대한 기념비와 프랑시스 르노의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에 있는 생 브리외 마을은 브르타뉴의 생브리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마을은 브르타뉴 지역에서 온 이민자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00년대 초에 정착되었다.

8. 자매 도시

생브리외는 코트다르모르의 주도이며,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9]


  • 애버리스트위스, 웨일스
  • 아기아 파라스케비, 그리스
  • 알스도르프, 독일
  • 고라주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가베스, 튀니지 (우호 도시)

9. 출신 인물

얀 푸에레는 브르타뉴 민족주의자이자 언론인, 작가였다. 파트리스 카테론은 축구 선수이다. 옥타브 루이 오베르는 편집자였다. 마리본 뒤퓨르는 육상 선수로, 올림픽 800m 은메달리스트이다. 에밀 뒤랑은 음악 이론가 및 교사였다. 레오나르 샤르네는 상원의원이자 프랑스 해군 원수였다. 오귀스트 빌리에 드 릴아당은 상징주의 작가였다. 셀레스탱 부글레는 철학자였다. 루이 기유는 작가였다. 파트리크 드와르는 배우였다. 케빈 테오필-카트린은 축구 선수이다. 루이 로셀은 육군 장교이자 파리 코뮌의 일원이었다. 플로랑 뒤 부아 드 빌라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해방 후 사임한 대주교였다. 마마두 와게는 축구 선수이다. 레이몽 앵은 예술가였다. 아나클레 왐바는 권투 선수였다. (줄리 부데)은 음악가이다. 롤랑 피셰는 작가이자 철학자이다. 장-크리스토프 부용은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알렉상드르 마르수앵은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뉴스 Seaweed suspected in French death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07
[3] 웹사이트 Normales climatiques 1981-2010 : Saint-Brieuc https://www.lameteo.[...] 2022-06-18
[4]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St Brieuc (22) http://www.meteociel[...] Meteociel 2020-09-14
[5] 웹사이트 Côtes-d'Armor https://www.habitant[...] habitants.fr
[6] 간행물 Saint-Brieuc Cassini-Ehess
[7]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8] 웹사이트 Enseignement bilingue http://www.ofis-bzh.[...] Ofis ar Brezhoneg
[9] 웹사이트 British towns twinned with French towns http://www.completef[...] Archant Community Media Ltd 2013-07-11
[10] url http://cassini.ehess[...]
[11] url http://www.statistiq[...]
[12] url http://www.insee.fr
[13] 문서
[14] 서적 François-Nicolas Baudot Dubuisson-Aubenay, Itinéraire de Bretagne en 1636, d'après le manuscrit original, avec notes et éclaircissements par [[Léon Maître]] et [[Paul de Berthou]] Nantes, Société des Bibliophiles Bretons 1898
[15] 웹인용 Normales et records pour St Brieuc (22) http://www.meteociel[...] Meteociel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