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펠리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펠리에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985년 처음 언급되었다. 중세 시대에 의학 교육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1289년 교황 니콜라스 4세의 승인을 받아 몽펠리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349년 프랑스 왕국에 합병되었으며, 종교 개혁 이후 위그노의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부르주아 문화가 번성하며 도시의 모습이 갖춰졌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겪었지만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현재는 프랑스에서 인구 증가율이 높은 도시 중 하나이며, 몽펠리에 대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과 7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몽펠리에는 철도와 트램을 포함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부터 대중교통이 무료화되었다. 또한 콩코드 광장, 파브르 미술관 등 문화 시설과 라디오 프랑스 몽펠리에 페스티벌, 시네메드 등 축제가 열리며, 다양한 스포츠 팀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몽펠리에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로주 - 이브 나트
    프랑스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이브 나트는 뛰어난 연주 실력과 교육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수학 후 국제적인 활동과 교수 재직을 통해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고, 베토벤 소나타 전곡 녹음, 자작 피아노 협주곡 초연 등 연주 활동을 재개하며 독일 낭만파 작곡가 중심의 음악 자체에 집중하는 연주 스타일을 확립했다.
  • 에로주의 코뮌 - 베지에
    베지에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로마 시대에 포도주 수출 중심지였고, 중세 시대에는 알비 십자군 학살이 있었으며, 현재는 랑그독 지역의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 중심지이다.
  • 에로주의 코뮌 - 아그드
    아그드는 프랑스 남부 리옹 만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식민지에서 유래했으며, 지중해와 석호 사이에 자리 잡고, 다양한 건축물과 편리한 교통, 발달한 관광업으로 유명하다.
  • 옥시타니의 도시 - 카르카손
    카르카손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기원전 3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여러 민족과 왕국의 지배를 거쳐 알비 십자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세 도시 시타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관광업이 발달했다.
  • 옥시타니의 도시 - 나르본
    나르본은 기원전 118년 로마 공화국에 의해 건설되어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수도였으며, 중세 시대 유대교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쇠퇴를 겪었고, 현재는 럭비 유니온 팀의 연고지이자 교통의 요지이다.
몽펠리에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몽펠리에 문장
문장
몽펠리에 사진 모음
시계 방향으로 위쪽부터: 코메디 광장, 포트 마리안 호수, 레즈 강의 둑과 몽펠리에 시청, 몽펠리에 대성당.
공식 명칭몽펠리에
로마자 표기Montpelhièr
행정 구역코뮌, 현 소재지
국가프랑스
지역옥시타니
에로 현
몽펠리에 군
캉통몽펠리에-1 캉통, 몽펠리에-2 캉통, 몽펠리에-3 캉통, 몽펠리에-4 캉통, 몽펠리에-5 캉통, 몽펠리에 - 카스텔노-르-레 캉통
INSEE 코드34172
우편 번호34000, 34070, 34080, 34090
별칭몽펠리에랭 (남성), 몽펠리에렌 (여성)
임기2020–2026
도시 공동체몽펠리에 지중해 광역 도시권
해발고도27m
최저 해발고도7m
최고 해발고도121m
면적56.88km²
인구268,456명
인구 조사 시점2012년
프랑스 내 순위7위
도시권 인구465,950명
도시권 면적310.0km²
도시권 인구 조사 시점2020년 1월
광역권 인구813,272명
광역권 면적2414km²
광역권 인구 조사 시점2020년 1월
인구 밀도4720명/km²
관광 정보
관광 정보몽펠리에 관광 정보
문화
문화 도시 후보Leading Culture Destinations Awards 2017 후보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몽펠리에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985년 멜그이유(Melgueil, Mauguio) 백작의 기록에 처음으로 몽펠리에(Montpellier)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인근의 니므, 나르본, 베지에 등이 로마 시대부터 도시로서 성립한 것과 달리, 몽펠리에는 영지로서 등장이 늦었다. 중세 초기에는 영주 기욤(Guilhem)과 마그로뉴(Maguelone) 주교 아래 인구가 증가했다. 또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서도 번영했다.

1220년에 설립된 의학교는 1289년 법학부와 함께 몽펠리에 대학교로서 교황 니콜라스 4세의 승인을 받았다. 의학부는 현재도 대성당(몽펠리에 생피에르 대성당)에 인접한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혼인 등을 통해 아라곤 왕, 마요르카 왕 등의 지배하에 들어간 후, 1349년 프랑스 왕국에 매각되어 합병되었다. 이 무렵 상당히 번영했지만, 전염병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쇠퇴기를 맞았다. 15세기에 들어 천재 상인 자크 뢰가 인근 라트(Lattes, Hérault)의 항구를 활용함으로써 무역 기지로서 극도로 번영했다.

16세기에는 위그노 전쟁의 혼란 속에서 프로테스탄트가 다수를 차지했고, 가톨릭 교회는 대성당을 제외한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그 후 앙리 4세의 낭트 칙령에 의해 잠시 평화를 누렸지만, 루이 13세 치세 이후로는 프로테스탄트가 쇠퇴하고 가톨릭 세력이 지배적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까지의 평화로운 시기에 수도교, 개선문, 코메디 광장 등이 건설되었다.

19세기에는 포도 재배와 직물업 등 부르주아 문화가 번영하여 법원, 역 등 구시가지의 대부분 건물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944년 5차례에 걸쳐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그러나 구시가지는 지금도 19세기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2. 1. 중세 시대

몽펠리에는 985년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지역 봉건 왕조인 기욤 가문 아래 설립되었다. 이들은 두 개의 작은 마을을 합쳐 성과 성벽을 건설했다. '몽펠리에'라는 이름은 중세 라틴어 ''mons pisleri''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염색에 사용된 우드를 가리킨다. 이 지역에는 실제 "산"이 없으며, ''mons''는 돌무더기를 의미한다.[11] 986년 몽펠리에 영주는 몽펠리에의 윌리엄 1세로 시작된다. 10세기에는 몽펠리에와 몽펠리에레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10]

초기 중세 시대, 인근 마게론의 주교 도시가 주요 정착지였으나 해적들의 습격으로 내륙으로 이동했다. 737년 샤를 마르텔은 마게론을 파괴했다.[10] 12세기에 몽펠리에는 지중해 전역과의 무역 연결을 가진 무역 중심지이자, 무슬림, 유대인, 카타리파,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에 대한 관용의 전통으로 중요성을 얻었다. 몽펠리에의 윌리엄 8세는 1180년 몽펠리에에서 모든 사람에게 의학을 가르칠 자유를 주었다.

1160년 법학부가 설립되었다.[10] 1220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특사인 우라흐의 콘라드 추기경에 의해 몽펠리에의 법학부와 의학부가 설립되었다. 의학부는 수세기 동안 유럽 의학 교육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 1289년 법학부와 함께 몽펠리에 대학교로서 교황 니콜라스 4세의 승인을 받았다. 의학부는 현재도 대성당(몽펠리에 생피에르 대성당)에 인접한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1204년 아라곤의 페드로 2세와 몽펠리에의 마리의 결혼으로 몽펠리에는 아라곤 왕국의 소유가 되었다. 같은 해 페드로와 마리는 도시의 전통적인 자유를 확인하고 도시가 매년 12명의 통치 집정관을 선택할 권리를 부여하는 헌장을 획득했다. 아라곤 왕들 아래에서 몽펠리에는 매우 중요한 도시이자 주요 경제 중심지이자 프랑스 왕국의 향신료 무역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프랑스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로 중요한 도시였으며, 흑사병 이전에는 약 4만 명의 주민이 있었다.

몽펠리에는 마요르카의 하이메 3세가 1349년 프랑스의 필리프 6세에게 도시를 팔 때까지 아라곤 왕관의 소유로 남아 있었다. 14세기 중반부터 프랑스 혁명(1789)까지 몽펠리에는 랑그독 지방의 일부였다.

라 바보트 탑


200x200px

2. 2. 르네상스 시대

14세기에 우르바노 8세 교황은 몽펠리에에 새로운 수도원을 세웠다. 이 수도원은 성 베드로에게 봉헌되었으며, 두 개의 높고 로켓처럼 생긴 탑이 지탱하는 특이한 현관이 있는 예배당으로 유명하다. 몽펠리에는 꾸준히 중요성이 커져 1536년 주교가 마귈론에서 옮겨오면서 거대한 수도원 예배당은 대성당이 되었다. 1432년 자크 꾀르가 이 도시에 정착하면서 몽펠리에는 중요한 경제 중심지가 되었으나, 1481년 마르세유가 그 역할을 넘어서면서 중요성이 감소했다.

1220년에 설립된 의학교는 1289년 법학부와 함께 몽펠리에 대학교로서 교황 니콜라스 4세의 승인을 받았다. 의학부는 현재도 대성당(몽펠리에 생피에르 대성당)에 인접한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15세기에 들어 천재 상인 자크 뢰가 인근 라트(Lattes, Hérault)의 항구를 활용함으로써 무역 기지로서 크게 번영했다.

16세기에는 위그노 전쟁의 혼란 속에서 프로테스탄트가 다수를 차지했고, 가톨릭 교회는 대성당을 제외한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2. 3. 종교 개혁 이후

16세기 종교 개혁 당시 몽펠리에 주민 다수는 위그노로 알려진 프로테스탄트가 되었고, 가톨릭 프랑스 왕권에 대한 프로테스탄트 저항의 중심지가 되었다. 몽펠리에는 낭트 칙령으로 위그노에게 허용된 66개의 villes de sûreté프랑스어('보호 도시' 또는 '안전 도시') 중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도시의 정치 제도와 대학교는 모두 위그노에게 넘겨졌다.

루이 13세는 1622년 몽펠리에를 포위 공격하여 두 달간의 포위 공격 끝에 도시를 함락시켰다. 평화 조약에 따라 도시의 요새가 해체되고 왕실 몽펠리에 시타델이 건설되었으며, 대학교와 영사관은 가톨릭당에 의해 장악되었다. 1629년 알레 칙령 이전에도 이미 프로테스탄트의 지배는 끝났고 ville de sûreté프랑스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루이 14세는 몽펠리에를 하부 랑그독의 수도로 삼았고, 도시는 페이루 산책로, 에스플라나드, 그리고 역사 중심지의 많은 주택을 건설하면서 아름다워지기 시작했다.

2. 4.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혁명 이후, 몽펠리에는 훨씬 더 작아진 에로주(Department of Hérault)의 주도가 되었다. 19세기에는 포도 재배와 직물업 등 부르주아 문화가 번영하여 법원, 역 등 구시가지의 대부분 건물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944년 5차례에 걸쳐 미군의 폭격을 받았으나, 구시가지는 여전히 19세기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2. 5. 현대

19세기 동안 몽펠리에는 일 년 내내 풍부한 햇볕 덕분에 와인 문화를 통해 번영했다. 프랑스에서의 와인 소비는 1890년대 필록세라로 인한 곰팡이병이 포도밭으로 퍼져 사람들이 더 이상 와인에 필요한 포도를 재배할 수 없게 될 때까지 몽펠리에 시민들이 매우 부유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12] 그 후, 이 도시는 알제리의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이후 알제리와 북아프리카 다른 지역에서 돌아온 프랑스 귀환자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성장했다. 21세기 몽펠리에는 프랑스에서 7번째 또는 8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최근 학생 인구(몽펠리에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함)로 인해 인구가 다시 유입되었다. 의과대학이 도시의 번성하는 대학 문화를 시작했지만,[13] 다른 많은 대학들도 잘 자리 잡고 있다. 이 해안 도시는 지난 40년 동안 안티곤, 포트 마리안느, 오디세움 지구와 같은 주요 건설 프로그램으로부터도 혜택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1944년 5차례에 걸쳐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그러나 구시가지는 지금도 19세기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3. 지리

## 위치

몽펠리에는 지중해에서 10km, 에서 54km, 마르세유에서 168km, 툴루즈에서 248km, 파리에서 750km 떨어져 있다. 구시가지 서쪽 끝 페일루 공원의 해발 고도는 57m이다.

시내 중심부에서 9km 떨어진 곳에 몽펠리에 메디테라네 공항이 있다. TGV를 이용하면 파리에서 최단 3시간 30분 만에 도착할 수 있으며, 샤를 드골 국제공항 제2 TGV역에서 직통 노선도 있다.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에서는 차로 약 2시간 거리이다. 툴루즈, 바르셀로나, 리옹에서는 차로 약 3시간 거리이다.

## 기후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이다. 강수량이 적고 여름에는 건조하다. 하지만 비가 내릴 때는 집중적으로 강하게 내린다.

하루 평균 일조 시간은 7시간 22분으로 프랑스 평균 4시간 46분을 크게 웃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2.013.116.418.722.626.929.529.325.220.715.712.5
평균 기온 (°C)7.68.311.413.917.821.824.424.120.216.411.68.3
평균 최저 기온 (°C)3.33.56.49.212.916.719.319.015.212.27.44.1
강수량 (mm)56.239.241.555.844.032.917.135.986.794.778.157.1
평균 강수일수 (≥ 1.0 mm)5.84.14.65.85.23.62.53.44.56.26.75.5
평균 강설일수0.70.40.10.00.00.00.00.00.00.00.10.2
평균 상대 습도 (%)757368687066636672777576
평균 일조 시간145.6170.1218.8228.6271.4315.7344.8305.1246.6175.5145.7137.4


3. 1. 위치

몽펠리에는 지중해에서 10km, 에서 54km, 마르세유에서 168km, 툴루즈에서 248km, 파리에서 750km 떨어져 있다. 구시가지 서쪽 끝 페일루 공원의 해발 고도는 57m이다.

시내 중심부에서 9km 떨어진 곳에 몽펠리에 메디테라네 공항이 있다. TGV를 이용하면 파리에서 최단 3시간 30분 만에 도착할 수 있으며, 샤를 드골 국제공항 제2 TGV역에서 직통 노선도 있다.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에서는 차로 약 2시간 거리이다. 툴루즈, 바르셀로나, 리옹에서는 차로 약 3시간 거리이다.

3. 2. 기후

몽펠리에는 쾨펜의 기후 구분 ''Csa''에 해당하는 지중해성 기후로, 겨울은 시원하고 습하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63] 월 평균 기온은 1월 7.2°C에서 7월 24.1°C 사이이다. 연간 강수량은 약 630mm이며, 가을과 겨울에 집중되지만 여름에도 비가 내린다.[63] 1963년 2월 5일에는 최저 기온 -17.8°C, 2019년 6월 28일에는 최고 기온 43.5°C가 기록되었다.[63] 하루 평균 일조 시간은 7시간 22분으로 프랑스 평균 4시간 46분을 크게 웃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2.013.116.418.722.626.929.529.325.220.715.712.5
평균 기온 (°C)7.68.311.413.917.821.824.424.120.216.411.68.3
평균 최저 기온 (°C)3.33.56.49.212.916.719.319.015.212.27.44.1
강수량 (mm)56.239.241.555.844.032.917.135.986.794.778.157.1
평균 강수일수 (≥ 1.0 mm)5.84.14.65.85.23.62.53.44.56.26.75.5
평균 강설일수0.70.40.10.00.00.00.00.00.00.00.10.2
평균 상대 습도 (%)757368687066636672777576
평균 일조 시간145.6170.1218.8228.6271.4315.7344.8305.1246.6175.5145.7137.4


4. 인구

몽펠리에는 프랑스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인구 증가율이 높은 도시이다. INSEE(프랑스 통계청)의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몽펠리에는 파리와 리옹을 제치고 가장 높은 인구 증가율(+1.1%)을 기록했다.[3]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몽펠리에 광역권의 인구는 813,272명이었다.[3]

몽펠리에는 역사적으로 상당한 스페인계 인구와 유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모로코, 알제리, 이탈리아계 주민들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다.

1999년까지의 인구는 Ldh/EHESS/Cassini[59]에서, 2004년 이후의 인구는 INSEE[60][61]에서 제공된 자료를 참고했다.

1962년1968년1975년1982년1990년1999년2006년2012년
118,864161,910191,354197,231207,996225,392251,634268,456



Spot 위성에서 본 몽펠리에

5. 도시 구획

몽펠리에는 2001년 이후 7개의 공식적인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구역은 다시 여러 개의 하위 구역으로 나뉜다. 각 구역에는 구의회가 있다.


  • 몽펠리에 중심가(Montpellier-centre) : 역사 중심지(에퀴송(Écusson)), 코메디(Comédie), 가르(Gares), 포부르 부토네(Faubourg Boutonnet), 생 샤를(Saint-Charles), 포부르 생 자움(Faubourg Saint-Jaume), 페이루(Peyrou), 레 자르코(Les Arceaux), 피게롤(Figuerolles), 포부르 뒤 쿠로(Faubourg du Courreau), 갬베타(Gambetta), 클레망소(Clémenceau), 지중해(Méditerranée), 스트라스부르 대로(boulevard de Strasbourg), 르 트리앙글(Le Triangle), 폴리고네(Polygone), 안티곤(Antigone), 누보 몽드(Nouveau-Monde), 파르크 아 발롱(Parc à Ballons), 레 즈브(Les Aubes), 레 보자르(Les Beaux-Arts), 생 라자르(Saint-Lazare).
  • 크루아 다르장(Croix-d'Argent) : 툴루즈 가(avenue de Toulouse), 크루아 다르장(Croix d'Argent), 마 드레봉(Mas Drevon), 타스타뱅(Tastavin), 르마송(Lemasson), 가로수드(Garosud), 마 드 바뉴에르(Mas de Bagnères), 마 누기에(Mas Nouguier), 레 사빈(les Sabines), 르픽(Lepic), 파 뒤 루(Pas du Loup), 에스타노브(Estanove), 레 부이스(les Bouisses), 발 드 크로즈(Val-de-Crozes), 바가텔(Bagatelle).
  • 세브네(Les Cévennes) : 세브네(Les Cévennes), 알코(Alco), 르 쁘띠 바르(Le Petit Bard), 퍼골라(Pergola), 생 클레망(Saint-Clément), 클레망빌(Clémentville), 라스 레베(Las Rebès), 라 샹베르트(La Chamberte), 라 마르텔(La Martelle), 몽펠리에 빌라주(Montpellier-Village), 레 그리셋(Les Grisettes), 레 그레즈(Les Grèzes).
  • 모송(Mosson) : 라 모송(La Mosson), 셀뇌브(Celleneuve), 라 파야드(La Paillade), 레 오 드 마산(les Hauts-de-Massane), 르 그랑 메일(Le Grand-Mail), 레 트리통(Les Tritons).
  • 오피탈-파쿨테(Hôpitaux-Facultés) : 말보스크(Malbosc), 생 프리스트(Saint-Priest), 유로메디신(Euromédecine), 졸라드(Zolad), 플랑 데 4 세뉴르(Plan des 4 Seigneurs), 오피탈(Hôpitaux), IUT, 페르 술라(Père Soulas), 위니베르시테(Universités), 베르 부아(Vert-Bois), 오 드 부토네(Hauts de Boutonnet), 에귀롱그(Aiguelongue), 쥐스티스(Justice), 루나레 동물원(Parc zoologique de Lunaret), 아그로폴리스(Agropolis).
  • 포르 마리아네(Port-Marianne) : 라 폼피냐네(La Pompignane), 릭터(Richter), 밀레네르(Millénaire), 자크 쾨르(Jacques Cœur), 콩술 드 메르(Consuls de Mer), 그라몽(Grammont), 오디세움(Odysseum), 몽토베루(Montaubérou), 라 메자넬(La Méjanelle), 깡바세레(Cambacérès).
  • 프레 다렌(Prés d'Arènes) : 프레 다렌(Les Prés d'Arènes), 팔라바스 가(Avenue de Palavas), 라 로즈(La Rauze), 투르네지(Tournezy), 생 마르탱(Saint-Martin), 레 에귀에렐(Les Aiguerelles), 퐁 트랭카(Pont-Trinquat), 시테 미옹(Cité Mion).

6. 교육

몽펠리에 대학교는 1대학, 2대학, 3대학으로 나뉜다.


  • 몽펠리에 1대학: 의학부·약학부·법학부

북서 교외의 Euromedecin 지역의 병원, 의학 연구소, 제약회사와 하나가 되어 첨단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법학부는 시내 동쪽의 신시가지에 현대적인 교사를 짓고 이전했다.

  • 몽펠리에 2대학: 이학부

물리와 화학 연구가 활발하며 넓은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CNRS 연구자도 많이 재직하고 있다. 문학부와 같은 시내 북서쪽에 위치한다.

  • 몽펠리에 3대학: 문학부

통칭 "폴 발레리". 단기간 외국인 대상 프랑스어 코스를 개설하고 있어, 세계 각지에서 어학 연수생이 모인다.

6. 1. 몽펠리에 대학교

몽펠리에 대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로, 1160년에 설립되었으며, 1220년에 콘라트 우라흐 추기경이 특허장을 수여하고 1289년 교황 니콜라스 4세가 교황령으로 확인했다.[20]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폐지되었지만 1896년에 재건되었다.

갈로-로마 시대 학교의 직접적인 연속일 가능성이 있는 문학 학교는 정확한 설립 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다. 법학부는 볼로냐 대학교의 박사였던 플라센티누스가 1160년 몽펠리에에 와서 두 번의 기간 동안 가르치고 1192년에 사망하면서 설립했다. 1220년 마겔론 주교의 지휘 아래 의학부가 설립되었고, 1289년 니콜라스 4세는 교황령을 발표하여 모든 학교를 대학교로 통합했다.

신학은 처음에는 수도원에서 가르쳤는데, 파두아의 안토니우스, 라이문두스 율루스, 도미니크회의 베르나르 드 라 트레유가 강의했다. 1421년 마르티누스 5세는 교황령으로 신학부를 법학부와 긴밀하게 연합하여 정식으로 설립했다. 16세기에 칼뱅주의 영향으로 잠시 사라졌지만, 1622년 루이 13세가 몽펠리에에서 왕권을 재건한 후 기능을 재개했다. 도미니크 수도회와 예수회의 경쟁으로 혁명 때 사라졌다.

몽펠리에 의학부의 성공은 도시의 영주인 기욤 가문의 통치 덕분이었다. 허가받은 의사는 누구든지 강의할 수 있었고, 교사 수에 제한이 없었으며, 강의가 많았고, 교육이 풍부했다. 라블레는 몽펠리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 바르테즈(1734-1806)가 고안한 생기론이 이 학교에서 시작되었다.

이학부와 인문학부는 1810년에 재건되었고, 법학부는 1880년에 재건되었다. 1889년에 거행된 대학교 600주년 기념식에서 프랑스 정부는 프랑스 지방 대학교를 재편성하겠다는 의지를 발표했고, 이후 실현되었다.

몽펠리에 제1대학교와 몽펠리에 제2대학교는 2015년 1월에 통합하여 몽펠리에 대학교를 설립하였다. 폴 발레리 대학교는 별개의 기관으로 남아 있다.[20]

몽펠리에 대학교는 1대학, 2대학, 3대학으로 나뉜다. 몽펠리에 1대학은 의학부·약학부·법학부, 몽펠리에 2대학은 이학부, 몽펠리에 3대학은 문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QS 세계 대학 도시 순위 2023에 따르면 몽펠리에 시는 2013년 기준 세계 최고 대학 도시 순위에서 119위를 차지했다.[21]

6. 2. 기타 교육 기관

국립민간항공학교(École nationale de l'aviation civile)


'''공공 서비스 학교'''

  • 국립 경쟁, 소비 및 사기 단속 학교 (ENCCRF)


'''과학'''

  • E-Artsup
  • 몽펠리에 공과대학교 (Polytech)
  • 몽펠리에 국립 건축학교 (ENSAM)
  • 국립민간항공학교(École nationale de l'aviation civile)
  • 몽펠리에 국립 화학 고등 교육 기관 (ENSCM)
  • École pour l'informatique et les nouvelles technologies
  • Institut supérieur européen de formation par l'action
  • 몽펠리에 수프아그로 (Montpellier SupAgro)
  • SUPINFO 국제대학교


'''경영'''

  • 몽펠리에 경영대학(Montpellier Business School)
  • 수펙숩 고등 교육 기관(SupExup Higher Education Institute)

7. 교통

몽펠리에는 TGV 고속열차를 포함한 철도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 몽펠리에의 주요 기차역은 생 로크역이다. 2018년부터 고속철도에 과 몽펠리에를 LGV 메디테라네와 연결하는 몽펠리에-수드 드 프랑스역이라는 역이 신설되었다.[22]

1호선 트램, 코룸 정류장


몽펠리에 트램 노선도


몽펠리에-메디테라네 공항은 몽펠리에 남동쪽에 위치한 모귀오 마을의 프레주르그 지역에 있다.

몽펠리에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몽펠리에 도시권 교통공사''(TaM)은 총 56km에 달하는 트램 네트워크 4개 노선과 여러 주차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23] 1호선은 서쪽의 모손에서 동쪽의 오디세움까지 운행한다. 2호선은 북동쪽의 자쿠에서 남서쪽의 생장드베다까지 운행한다. 3호선과 4호선은 2012년 4월에 개통되었다. 길이 22.4km의 3호선은 쥐비냐크와 페롤을 연결하며, 라트까지 지선이 있어 32개의 정류장을 운영한다. 4호선은 도심을 순환하며 트램 시스템의 여러 노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생 로크역, 리브 뒤 레즈, 코룸에서 교차한다.

2019년부터 남쪽의 라베륀에서 북쪽의 클라피에까지 5호선 트램 건설에 4억 4천만 유로가 투입되었다.[24]

2023년 12월 21일부터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이 무료화되었다. 이전에는 2021년 9월 1일부터 18세 미만 및 65세 이상 주민에 대해 무료 대중교통을 제공했다.[25]

TaM은 또한 2007년 6월에 시작된 대규모 자전거 공유 시스템인 벨로마그도 운영하고 있으며, 1200대의 자전거와 50개의 정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26][27]

몽펠리에는 프랑스 국철의 몽펠리에 생록역이 관문이다.

시내에는 트램 4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버스 노선이 있다.

7. 1. 철도

몽펠리에는 프랑스 국철의 몽펠리에 생록역이 관문이다.

시내에는 트램 4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버스 노선이 있다.

7. 2. 항공

7. 3. 대중교통

몽펠리에는 프랑스 국철의 TGV를 포함한 철도망이 잘 구축되어 있다. 주요 기차역은 생 로크역이며, 2018년부터 고속철도에 과 몽펠리에를 LGV 메디테라네와 연결하는 몽펠리에-수드 드 프랑스역이 신설되었다.[22] 몽펠리에-메디테라네 공항은 몽펠리에 남동쪽에 위치한 모귀오 마을의 프레주르그 지역에 있다.

몽펠리에 도시권 교통공사(TaM)는 몽펠리에의 대중교통을 담당하며, 총 56km에 달하는 트램 네트워크 4개 노선과 여러 주차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23] 1호선은 서쪽의 모손에서 동쪽의 오디세움까지, 2호선은 북동쪽의 자쿠에서 남서쪽의 생장드베다까지 운행한다. 3호선과 4호선은 2012년 4월에 개통되었는데, 길이 22.4km의 3호선은 쥐비냐크와 페롤을 연결하며, 라트까지 지선이 있어 32개의 정류장을 운영한다. 4호선은 도심을 순환하며 트램 시스템의 여러 노선을 연결한다. 이들은 생 로크역, 리브 뒤 레즈, 코룸에서 교차한다.

2019년부터 남쪽의 라베륀에서 북쪽의 클라피에까지 5호선 트램 건설에 4억 4천만 유로가 투입되었다.[24] 2023년 12월 21일부터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이 무료화되었으며, 이전에는 2021년 9월 1일부터 18세 미만 및 65세 이상 주민에 대해 무료 대중교통을 제공했다.[25] TaM은 2007년 6월에 시작된 대규모 자전거 공유 시스템인 벨로마그도 운영하고 있으며, 1200대의 자전거와 50개의 정류장으로 구성되어 있다.[26][27]

8. 문화

콩코드 광장


페유 문


생 클레망 수도교


생 피에르 대성당


몽펠리에 파브르 미술관

  • 콩코드 광장: 1888년에 건립된 오페라 코메디가 있다. 19세기에 지어진 건물들이 푸슈 거리와 콩코드 광장을 따라 있다.
  • 파브르 미술관: 19세기 프랑스 회화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으며, 귀스타브 쿠르베의 『안녕하세요, 쿠르베 씨』(1854년)와 『파라바스 해변』(1854년) 등이 주요 작품이다.
  • 몽펠리에 역사 지구(에퀴송): 호텔 파르티퀼리에가 있으며, 대부분의 건물은 중세 시대에 지어져 16세기와 18세기 사이에 개조되었다. 페르 드 브라 거리는 중세 몽펠리에의 모습을 보여준다.
  • 미크베: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대교 의식 목욕탕으로, 유럽에서 보존된 몇 안 되는 오래된 미크베 중 하나이다.
  • 몽펠리에 식물원: 1593년에 설립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이다.
  • 라 세르 아마조니엔: 열대 우림 온실이다.
  • 생 피에르 대성당: 14세기에 지어진 남프랑스 고딕 건축 양식의 웅장한 건물이다. 정문 양쪽에 원형 탑이 있고, 시간대에 따라 장미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내부를 아름답게 비춘다.
  • 페유 문: 17세기 말에 지어진 개선문이다. 페유 왕궁 광장은 에퀴송의 가장 높은 지점이다.
  • 팡 탑: 1200년경에 지어진 도시 중세 성벽 25개의 탑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탑이다.
  • 바보트 탑: 18세기에 개조되어 천문대를 수용하게 된 중세 탑이다.
  • 생 클레망 수도교: 18세기에 건설되었다.
  • 앙티곤 구역: 스페인 카탈루냐 출신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 리카르도 보필이 설계했다.
  • 샤토: 플로제르그 샤토, 라 모제르 샤토, 오 샤토 등 18세기에 부유한 상인들에 의해 지어진 별장들이 도시를 둘러싸고 있다.
  • 몽펠리에 시청: 2011년에 완공되었다.[19]
  •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시 중심부에 약 80채의 사유 저택이 지어졌으며, 그 중 일부의 안뜰은 개방되어 있다.


구시가는 코메디 광장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약간 부풀어 오른 모양을 하고 있다. 몽펠리에 생-록역에서 코메디 광장을 지나 현청까지 완만한 경사를 따라 오르면 개선문까지 이어진다. 현청 앞 장 조레스 광장 지하에는 몽펠리에 중세 자료관이 있다. 개선문을 지나면 페일루 공원이 나오고, 루이 14세의 동상을 지나 분수까지 가면 급수탑과 수도교가 나타난다.

페일루 공원 북쪽에는 의과대학 약초원을 겸한 식물원이 있다. 식물원과 차도를 사이에 두고 구시가 쪽에 몽펠리에 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 이곳은 파리 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프랑스의 엘리트 의과대학으로 유명하다. 대성당 왼쪽 건물에는 외과 자료관이 있다. 의과대학 옆 작은 공원에는 네모난 탑이 있는데, 이 탑 옥상에 노스트라다무스가 "이 나무가 말라 죽을 때 몽펠리에의 도시는 멸망할 것이다."라는 예언을 남긴 나무가 자라고 있다.

|thumb|가을 하늘과 대성당]]

|thumb|코메디 광장과 세 여신상]]

몽펠리에는 많은 학생들이 있어 문화 행사의 중심지이다. 몽펠리에는 르 제니스 쉬드(7,000석)와 르 아레나(14,000석)라는 두 개의 대규모 콘서트장이 있다. 코룸 문화 컨벤션 센터에는 세 개의 오디토리엄이 있다.

라디오 프랑스 몽펠리에 페스티벌은 몽펠리에에서 열리는 여름 오페라 및 기타 음악 축제이다. 이 축제는 오페라, 콘서트, 영화, 강연 등 약 150개의 행사를 포함하여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행사 대부분은 무료이며 도시의 역사적인 중정이나 역사적인 시내 중심부 근처 코룸의 현대식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가을에 열리는 국제 지중해 영화제 몽펠리에인 시네메드는 칸 영화제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영화제이다. 1979년부터 개최되어 200편 이상의 장편 및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 예고편 및 학생 영화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9] 기타 행사로는 패널 토론, 전시회 및 모임 등이 있다. 개최 장소로는 코룸과 영화관이 있다.

8. 1. 주요 시설


  • 콩코드 광장: 1888년에 건립된 오페라 코메디가 있다. 19세기에 지어진 건물들이 푸슈 거리와 콩코드 광장을 따라 있다.
  • 파브르 미술관: 19세기 프랑스 회화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으며, 귀스타브 쿠르베의 『안녕하세요, 쿠르베 씨』(1854년)와 『파라바스 해변』(1854년) 등이 주요 작품이다.
  • 몽펠리에 역사 지구(에퀴송): 호텔 파르티퀼리에가 있으며, 대부분의 건물은 중세 시대에 지어져 16세기와 18세기 사이에 개조되었다. 페르 드 브라 거리는 중세 몽펠리에의 모습을 보여준다.
  • 미크베: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대교 의식 목욕탕으로, 유럽에서 보존된 몇 안 되는 오래된 미크베 중 하나이다.
  • 몽펠리에 식물원: 1593년에 설립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이다.
  • 라 세르 아마조니엔: 열대 우림 온실이다.
  • 생 피에르 대성당: 14세기에 지어진 남프랑스 고딕 건축 양식의 웅장한 건물이다. 정문 양쪽에 원형 탑이 있고, 시간대에 따라 장미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내부를 아름답게 비춘다.
  • 페유 문: 17세기 말에 지어진 개선문이다. 페유 왕궁 광장은 에퀴송의 가장 높은 지점이다.
  • 팡 탑: 1200년경에 지어진 도시 중세 성벽 25개의 탑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탑이다.
  • 바보트 탑: 18세기에 개조되어 천문대를 수용하게 된 중세 탑이다.
  • 생 클레망 수도교: 18세기에 건설되었다.
  • 앙티곤 구역: 스페인 카탈루냐 출신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 리카르도 보필이 설계했다.
  • 샤토: 플로제르그 샤토, 라 모제르 샤토, 오 샤토 등 18세기에 부유한 상인들에 의해 지어진 별장들이 도시를 둘러싸고 있다.
  • 몽펠리에 시청: 2011년에 완공되었다.[19]
  •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시 중심부에 약 80채의 사유 저택이 지어졌으며, 그 중 일부의 안뜰은 개방되어 있다.


구시가는 코메디 광장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약간 부풀어 오른 모양을 하고 있다. 몽펠리에 생-록역에서 코메디 광장을 지나 현청까지 완만한 경사를 따라 오르면 개선문까지 이어진다. 현청 앞 장 조레스 광장 지하에는 몽펠리에 중세 자료관이 있다. 개선문을 지나면 페일루 공원이 나오고, 루이 14세의 동상을 지나 분수까지 가면 급수탑과 수도교가 나타난다.

페일루 공원 북쪽에는 의과대학 약초원을 겸한 식물원이 있다. 식물원과 차도를 사이에 두고 구시가 쪽에 몽펠리에 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 이곳은 파리 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프랑스의 엘리트 의과대학으로 유명하다. 대성당 왼쪽 건물에는 외과 자료관이 있다. 의과대학 옆 작은 공원에는 네모난 탑이 있는데, 이 탑 옥상에 노스트라다무스가 "이 나무가 말라 죽을 때 몽펠리에의 도시는 멸망할 것이다."라는 예언을 남긴 나무가 자라고 있다.

|thumb|가을 하늘과 대성당]]

|thumb|코메디 광장과 세 여신상]]

8. 2. 축제

몽펠리에는 많은 학생들이 있어 문화 행사의 중심지이다. 몽펠리에는 르 제니스 쉬드(7,000석)와 르 아레나(14,000석)라는 두 개의 대규모 콘서트장이 있다. 코룸 문화 컨벤션 센터에는 세 개의 오디토리엄이 있다.

라디오 프랑스 몽펠리에 페스티벌은 몽펠리에에서 열리는 여름 오페라 및 기타 음악 축제이다. 이 축제는 오페라, 콘서트, 영화, 강연 등 약 150개의 행사를 포함하여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행사 대부분은 무료이며 도시의 역사적인 중정이나 역사적인 시내 중심부 근처 코룸의 현대식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가을에 열리는 국제 지중해 영화제 몽펠리에인 시네메드는 칸 영화제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영화제이다. 1979년부터 개최되어 200편 이상의 장편 및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 예고편 및 학생 영화 특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9] 기타 행사로는 패널 토론, 전시회 및 모임 등이 있다. 개최 장소로는 코룸과 영화관이 있다.

9. 스포츠

몽펠리에는 다양한 프로 스포츠 팀의 연고지이다.[28] 2007 투르 드 프랑스와 2016년 투르 드 프랑스에서 11구간의 결승점이자 12구간의 출발점이 되기도 했다.

몽펠리에 에로 럭비는 톱 14 소속으로, 알트라드 스타디움에서 럭비 유니온 경기를 한다. 2010-2011 시즌에는 결승전에 진출했다. 몽펠리에 HSC리그 1 소속으로, 스타드 드 라 모송에서 축구 경기를 하며, 2012년 5월 20일에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다. 몽펠리에 아글로메라시옹 핸드볼은 프랑스 챔피언십에서 14회 우승했고 유러피언컵에서 2회 우승했다.

몽펠리에 레드 데블스는 스타드 사바테에서 엘리트 1 디비전의 럭비 리그 경기를 한다.[28] 몽펠리에 에로 스포르 클럽 발리볼은 LNV 리그 A에서 활동하며 8회의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몽펠리에 바이퍼스는 프랑스 디비전 1 아이스하키 연맹 소속으로 오디세움의 ''파티누아르 드 랑글로메라시옹 드 몽펠리에''에서 경기를 한다. 몽펠리에 워터 폴로는 내셔널 리그와 유러피언컵 대회에 참가하며, 바라쿠다스 드 몽펠리에는 프랑스 엘리트 디비전에서 활동하는 야구 클럽이다.

몽펠리에는 FIBA 유로바스켓 2015의 개최 도시 중 하나였으며, 2010년부터 오픈 수드 드 프랑스 테니스 토너먼트를 개최하고 있다. 제31회 세계 리듬체조 선수권 대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주요 육상 경기장은 몽펠리에 대학교 소유의 필리피데스 스타디움이다.

10. 자매 도시

몽펠리에는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30]

몽펠리에의 자매 도시들을 보여주는 샤를 드골 광장의 표지판

  • 미국 루이빌 (1955)
  • 독일 하이델베르크 (1961)
  • 스페인 바르셀로나 (1963)
  • 중국 청두시 (1981)
  • 이스라엘 티베리아스 (1983)
  • 모로코 페스 (2003)
  • 알제리 틀렘센 (2009)
  • 인도 자이푸르 (2009)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11)
  • 팔레스타인 베들레헴 (2012)
  • 그리스 코스 섬 (1962)
  • 러시아 오브닌스크 (2017)
  • 이탈리아 팔레르모 (2016)
  • 캐나다 셰르브룩 (2006)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ontpellier : Unité urbaine 2020 - Population municipale 2020 https://statistiques[...] 2023-03-02
[3]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ontpellier : Aire d'attraction des villes 2020 - Population municipale 2020 https://statistiques[...] 2023-03-02
[4] 웹사이트 CSA.fr - Êtes-vous [montpeulier], [montpélier] ou encore [montpéyé] ? / Langue française - Prononciation de certains noms de villes / Les dossiers d'actualité / Etudes et publications / Accueil http://www.csa.fr/Et[...] 2016-06-02
[5] 법률 LPD
[6] 웹사이트 Statistiques locales - Montpellier : Commune 2022 - Population municipale 2020 https://statistiques[...] 2023-03-02
[7] 웹사이트 Montpellier Tourist Information and Montpellier Tourism http://www.montpelli[...] 2010-06-05
[8] 웹사이트 Itinerary of a walk in Montpellier https://www.voyageur[...] 2020-10-31
[9] 웹사이트 Nomination de Montpellier aux "Leading Culture Destinations Awards 2017" https://www.montpell[...] 2020-10-31
[10] 백과사전 Montpellier
[11]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3
[12] 웹사이트 Montpellier History Facts and Timeline: Montpellier, Languedoc-Roussillon, France http://www.world-gui[...] 2018-10-05
[13] 뉴스 Montpellier in the spotlight: development mania in France's fastest-growing city https://www.theguard[...] 2017-03-13
[14] 웹사이트 MONTPELLIER–AEROPORT (34) https://donneespubli[...] Météo France 2022-07-14
[15] 웹사이트 Normes et records 1961–1990: Montpellier-Frejorgues (34) – altitude 3m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9-08-07
[16]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Montpellier-Frejourge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1-15
[17] 데이터베이스 Montpellier
[18]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9] 웹사이트 Hotel de Ville de Montpellier https://ducks.fr/en/[...] Ducks 2024-10-17
[20] 뉴스 L'université de Montpellier à l'épreuve de la fusion – Journal La Marseillaise http://www.lamarseil[...] 2018-09-07
[21] 웹사이트 QS Best Student Cities 2023 https://www.topunive[...] 2022-08-19
[22] 뉴스 Railway Gazette: Southern LGV projects make progress http://www.railwayga[...] 2011-02-14
[23] 웹사이트 Vivre > Transport > Tramway http://www.montpelli[...] 2014-12-26
[24] 웹사이트 Ligne 5 du Tramway Montpellier https://tram5-montpe[...] 2023-05-28
[25] 뉴스 Montpellier now has free public transport. Here's how to get a pass https://www.euronews[...] 2023-12-21
[26] 뉴스 La location de vélos, ça ne roule qu’à 39 à Montpellier http://www.midilibre[...] Midi Libre 2009-04-06
[27] 웹사이트 Paris, Orléans and Montpellier receive the 'Bicycle Trophy 2007' for their achievement in Bike Sharing programs http://www.tousavelo[...] Tous à Vélo 2007-10-19
[28] 웹사이트 Rugby League Montpellier XIII - LES DIABLES ROUGES http://www.rugby13mo[...]
[29] 웹사이트 Cinemed: Montpellier International Festival of Mediterranean Film – Montpellier Tourist Office http://www.montpelli[...] 2018-09-07
[30] 웹사이트 Jumelages http://www.montpelli[...] Montpellier 2019-11-15
[31] 웹사이트 Solomon ben Abraham https://www.jewishvi[...] 2024-06-24
[32] 백과사전 James I. of Aragon
[33] 백과사전 Roch, St
[34] 백과사전 Raoux, Jean
[35] 백과사전 Castel, Louis Bertrand
[36] 서적 Bibliographie universelle, ancienne et moderne https://books.google[...] 1811
[37] 백과사전 Vien, Joseph Marie
[38] 백과사전 Cambacérès, Jean Jacques Régis de
[39] 백과사전 Dumas, Guillaume Mathieu, Count
[40] 백과사전 Broussonet, Pierre Marie Auguste
[41] 백과사전 Daru, Pierre Antoine Noël Bruno, Count
[42] 백과사전 Junot, Laure
[43] 백과사전 Bérard, Joseph Frédéric
[44] 백과사전 Balard, Antoine Jerôme
[45] 백과사전 Saisset, Émile Edmond
[46] 백과사전 Renouvier, Charles Bernard
[47] 백과사전 Cabanel, Alexandre
[48] 백과사전 Ferrier, Paul
[49] 백과사전 Chantavoine, Henri
[50] 서적 The Innovation Biosphere: Planet and Brains in the Digital Er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6-15
[51] 백과사전 Rabelais, François
[52] 백과사전 Nostradamus
[53] 백과사전 Coraës, Adamantios
[54] 웹사이트 Le dessinateur montpelliérain Guy Delisle va passer du cocon familial à la Tchétchénie http://france3-regio[...] France3 2015-01-31
[55] 웹사이트 All the Montpelliers http://www.allthemon[...]
[56] 웹사이트 Montpelier & Clifton Hill Conservation Area Character Statement http://www.brighton-[...] Brighton & Hove City Council (Design & Conservation Department) 2005-10-20
[57] 서적 Vermont Place Names: Footprints of History Houghton Mifflin
[58] 웹사이트 アクセスと交通機関 https://www.montpell[...] モンペリエ観光局
[59]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60] 웹사이트 http://www.statistiq[...]
[61] 웹사이트 http://www.insee.fr
[62] 웹사이트 http://www.montpelli[...]
[63] 웹인용 MONTPELLIER–AEROPORT (34) https://donneespubli[...] 프랑스 기상청
[64] 웹인용 Normes et records 1961–1990: Montpellier-Frejorgues (34) – altitude 3m http://www.infoclima[...] Infoclimat
[65] 웹인용 Climatologie de l'année à Montpellier-Frejourge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