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일어는 고대 북부 갈로-로망스어와 그 후손 언어들을 지칭하며, 프랑스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 변종을 포괄한다. 이 언어들은 "oïl"이라는 단어를 "예"로 사용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며, 프랑스어 외의 언어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오일어는 9세기부터 북부 프랑스, 벨기에 남부, 채널 제도, 잉글랜드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12세기부터는 이 언어 집단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피에르 베크는 오일어를 프랑크 방언, 프랑시앙 방언, 부르고뉴 방언, 아르모리카 방언, 푸아투-생통주 방언 등 5개 권역으로 분류했다. 오일어는 영어, 림뷔르흐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문학 외에도 다양한 지역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현재 왈롱어, 로랭어, 샹파뉴어 등은 지역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프랑스 정부는 오일어를 프랑스의 언어로 인정하지만,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비준은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일어 - 갈로어
- 오일어 - 피카르디어
피카르디어는 프랑스 북부에서 사용되는 오일어 방언으로,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병사들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고, 1000년 이전부터 사용되어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며, 벨기에에서는 지역 언어로 인정받았지만 프랑스에서는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프랑스어 낱말 - 부르주아지
부르주아지는 중세 도시의 상공업자에서 유래하여 자본을 축적한 자본가 계급을 의미하며, 봉건 사회 붕괴와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노동자 계급과 대립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와 과시적 소비로 비판받고, 역사와 예술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 프랑스어 낱말 -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는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캄보디아를 지배하며 대량 학살과 기아를 일으킨 극좌파 공산주의 정권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했으나 마오이즘 영향을 받아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자급자족 경제를 추구하며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오일어 | |
---|---|
지도 | |
![]() | |
언어 정보 | |
이름 | 오일어 |
다른 이름 | 프랑스어, 랑그 도일 |
사용 지역 | 프랑스 북부 및 중부, 벨기에 남부, 스위스, 건지 섬, 저지 섬, 사크 섬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이탈리아어파 |
어군 | 라틴팔리스칸어군 |
조어 | 라틴어 |
하위 어군 | 로망스어군 |
분기 | 이탈리아-서부 로망스어군 |
계통 | 서부 로망스어군 |
계통 (추정) | 갈리아-이베리아어군?, 갈리아-로망스어군 |
추가 계통 (추정) | 갈리아-라이티아어군? |
파생 | 아르피탄-오일어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
조상 언어 2 | 통속 라틴어 |
조상 언어 3 | 원시 로망스어 |
조상 언어 4 | 고대 갈리아로망스어 |
조상 언어 5 | 고대 프랑스어 |
하위 언어 | 아래 참조 |
글롯로그 | oila1234 |
글롯로그 참조 이름 | Oil |
글롯로그 2 | cent2283 |
글롯로그 2 이름 | Central Oil |
프랑스어 명칭 | langue d'oïl |
로마자 표기 | lang d'oïl |
하위 언어 (일부) | |
주요 언어 | 프랑스어 |
기타 언어 | 피카르디어 가로망스어 노르만어 상파뉴어 로렌어 프랑슈콩테어 푸아투-생통주어 앙주어 마이엔어 갈로어 오를레앙어 베리 방언 부르봉네어 니베르네어 모르방토어 브르고뉴어 일드프랑스어 |
2. 용어
"oïl"이라는 용어는 다음 세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 오일어
- 오일 방언
- 오일어군
단수형인 '랑그 드 오일'(langue d'oïl)은 9세기부터 북부 프랑스와 벨기에 남부(왈로니아), 10세기부터는 채널 제도, 그리고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는 잉글랜드(앵글로-노르만어)에서 사용되었던,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한 '로마 언어'(lingua romana)의 변종들을 가리킨다.[9] '랑그 드 오일'이라는 용어 자체는 12세기부터 이러한 고대 언어 집단 전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9] 이러한 한정어와 함께 '랑그 드 오일'은 때때로 고대 프랑스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복수형인 ''Oïl 방언''은 고대 ''랑그 드 오일''의 여러 변종을 가리킨다.
오일어(langues d'oïl)는 고대 오일어(langue d'oïl)의 여러 방언들로부터 별개로 진화한 현대 언어들이다. 따라서 오늘날 "오일어"는 다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는 프랑스어를 *제외한* 이 어족에 속하는 모든 현대 언어를 가리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프랑스어를 *포함한* 이 어족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오일 방언" 또는 "프랑스 방언"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를 제외한 오일어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일부 현존하는 오일어는 현대 프랑스어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방언"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경멸적인 의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오늘날 프랑스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언어들을 "방언"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오일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3. 분류
피에르 베크(Pierre Bec)는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준으로 오일어의 방언을 5개 권역으로 분류했다.[10][25]
- 프랑크 방언
- 프랑시앵 방언
- 부르고뉴 방언
- 아르모리카 방언
- 푸아투-생통주 방언
오일어는 고대 오일어의 여러 방언에서 별개로 진화한 현대 언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오일어"는 프랑스어를 *제외한* 이 어족의 모든 현대 언어를 가리키거나, 프랑스어를 *포함한* 어족 전체를 가리키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오일 방언" 또는 "프랑스 방언"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를 제외한 오일어를 지칭하기도 한다. 일부 오일어는 현대 프랑스어와 매우 유사하여 "방언"이라는 용어가 경멸적인 의미로 여겨지기도 하므로, 오늘날 프랑스 언어학자들은 "오일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남부 오일어군에는 베리어와 부르봉어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프랑스어의 방언이 아닌 형제어이자 지역 언어이다. 프랑스는 유럽 지역 언어·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하지 않아 이들 언어는 오크어나 프랑코프로방스어처럼 화자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3. 1. 프랑크 방언 (Frankish zone)
피에르 베크(Pierre Bec)는 프랑크 방언 권역을 다음과 같이 5개 방언으로 제시한다.[25]방언 | 세부 방언 |
---|---|
피카르디어 | |
왈롱어 | |
로렌어 | |
북부 노르만어 | 앵글로-노르망어, 게르네시어(건지에서 사용), 저지어(저지에서 사용), 오르네어(올더니에서 사용), 세르크어(서크에서 사용) |
동부 샹파뉴어 |
3. 2. 프랑시앵 방언 (Francien zone)
피에르 베크(Pierre Bec)는 5개 방언 권역 중 하나로 프랑시앵 방언을 제시했다.[25] 프랑시앵 방언에는 표준 프랑스어를 비롯하여 오를레앙 방언, 투렌 방언, 베리숑 방언, 부르보네 방언, 샹파뉴 방언이 포함된다.비표준 방언으로는 다음이 있다.
- 오를레아네어
- Tourangeau (idiome)|투랑주 방언프랑스어 (Français régional de Touraine|투렌 지방의 프랑스어프랑스어와 혼동하지 말 것)
- 베리 방언
- 부르봉네 방언
- 서부 샹파뉴 방언 (또는 동부 프랑시앵)
중부 오일어군에는 다음이 속한다.
- 고대 프랑스어 (Franceis, françois, 프랑스어: ancien français)
- 중세 프랑스어 (Franceis, françois, 프랑스어: moyen français) ※ 때때로 고대 프랑스어의 한 시대 구분으로 생각한다.
- (현대) 프랑스어 (Français, 프랑스어: français moderne)
- 프랑시앵어 (Francien), 또는 일드프랑스어 (Francilien), 파리어 (Parisien)
- 유대 프랑스어 (Tsarfatit, 프랑스어: sarphatique)
3. 3. 부르고뉴 방언 (Burgundian zone)
- 부르고뉴어[25]
- 프랑슈콩테어
3. 4. 아르모리카 방언 (Armorican zone)
피에르 베크(Pierre Bec)는 아르모리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동부와 서부로 나누었다.[25]- 동부 아르모리카: 앙주 방언, Mayennais|마예네어프랑스어, 망소 방언 (Parler sarthois|사르트어프랑스어 및 Percheron (idiome)|페르슈롱어프랑스어), 남부 노르망디 방언 (조레 선 남쪽에서 사용됨)
- 서부 아르모리카: 갈로어
갈로어는 브르타뉴어에서 유래한 강한 켈트어 기층을 가지고 있다. 갈로어는 앙주 공국, 메인 (마옌 및 사르트), 노르망디 등 동부와 북부 지역 출신 사람들의 오일어에서 유래했는데, 이들은 상 브르타뉴의 브르타뉴어 화자들과 접촉했다. 누스트리아 변경지역 참조.
3. 5. 푸아투-생통주 방언 (Poitevin-Saintongeais zone)
피에르 베크(Pierre Bec)는 푸아투-생통주 방언 권역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25]- 푸아튀
- 생통주 방언
푸아투와 생통주(Saintonge)의 옛 지방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언어들은 모두 프랑스어의 방언이 아니라 형제어이며, 지역 언어이다. 학문적으로는 보호되어야 하지만, 프랑스는 유럽 지역 언어·소수 언어 헌장에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크어나 프랑코프로방스어와 마찬가지로 화자의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4. 역사
오일어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9세기: 스트라스부르크 서약에서 사용된 "romana lingua"는 라틴어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며, 로망스어 중 최초로 독립된 언어로 인식되었다.[1]
- 12세기: '랑그 드 오일'(langue d'oïl)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프랑스 북부, 벨기에 남부, 채널 제도, 잉글랜드 등에서 사용되던 상호 이해 가능한 로마 언어 변종들을 지칭했다.[9] 단테 알리기에리는 로망스어를 "oc 언어", "si 언어", "oïl 언어"로 구분했다.
- 13세기 후반: 공통 오일어가 '프랑스어'로 명명되고 표준어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 19세기: '프랑시앵'이라는 용어가 등장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부정되는 이론이다.
- 14세기~현재: 프랑스어는 다른 오일 방언들을 압도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1539년 빌레르코테레 법령으로 법률 및 행정 언어로 강제되었고, 프랑스 혁명 이후 공식 언어가 되면서 지역 언어는 억압되었다.[13] 그 결과, 프랑스어는 현재 오일어 중 가장 잘 알려진 언어가 되었다.
4. 1. Romana lingua (9세기)
9세기, 스트라스부르크 서약(842년)에서 사용된 "romana lingua"라는 용어는 로망스어 화자들이 독립된 언어로 인식한 최초의 언어였다. 아마도 다른 로망스어에 비해 라틴어와 가장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1]왈롱어의 특징으로 여겨지는 많은 발전은 8세기와 12세기 사이에 나타났다. 왈롱어는 13세기 초부터 명확하게 정의된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1] 당시 언어 관련 문서에서는 피카르드어나 로렌어와 같은 오일어파 언어들은 언급되었지만, 왈롱어는 언급되지 않았다.[1] 15세기에 이 지역의 서기관들은 구분이 필요할 때 이 언어를 "로만(Roman)"이라고 불렀다.[1] 오늘날 사용되는 "왈롱(Walloon)"이라는 단어는 16세기 초에 처음 등장한다.[1]
4. 2. Langue d'oïl (12세기-13세기)
'랑그 드 오일'(langue d'oïl)은 9세기부터 프랑스 북부와 벨기에 남부(왈로니아), 10세기부터는 채널 제도,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는 잉글랜드(앵글로-노르만어)에서 사용되었던 서로 이해 가능한 '로마 언어'(lingua romana)의 변종들을 가리킨다. '랑그 드 오일'이라는 용어는 12세기부터 이 고대 언어 집단 전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랑그 드 오일'은 때때로 고대 프랑스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9]후기 로마 시대 혹은 그 이후, 프랑스에서 사용되던 속어 라틴어는 긍정을 나타내는 두 가지 용어, "hoc ille"("이것이 그것이다")와 "hoc"("이것")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각각 "oïl"과 "oc"이 되었다. 이후 "oïl"은 현대 프랑스어의 "oui"로 변화했다. "langue d'oïl"이라는 용어는 12세기에 처음 사용되어 고대 프랑스어 언어군을 지칭했다.
14세기 이탈리아 시인 단테는 『속어에 관하여(De vulgari eloquentia)』에서 "yes"의 차이점을 언급하며 로망스어를 "oc 언어"(프랑스 남부), "si 언어"(이탈리아와 이베리아 반도), "oïl 언어"(프랑스 북부)로 구분했다.
다른 로망스어들은 "yes"를 고전 라틴어 "sic"("그렇게")에서 유래했다. (이탈리아어 "sì",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 "sí", 포르투갈어 "sim", 프랑스어 "si"). 사르데냐어는 예외적으로 "yes"에 해당하는 "eja"가 다른 어원을 가진다.[11] 루마니아어는 "yes"에 슬라브어 기원의 "da"를 사용한다.[12]
"lingua romana"나 "langue d'oïl"은 단일한 언어가 아니라,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 변종들을 가리킨다. 당시 서유럽의 구어는 규범화되지 않았고, 인구도 적었으며, 인구 밀집 지역은 서로 고립되어 있었다. 그 결과,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 변종들은 하나의 언어로 간주되었다.
4. 3. French (Old French/Standardized Oïl) or lingua Gallicana (13세기 후반)
13세기에 이 방언들은 단일 언어인 ‘오일어(langue d’oïl)’의 여러 “방언”(idioms)으로 인식되고 언급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 세기들부터 공통적인 문학적이고 법률적인 “중간 방언” 오일어, 일종의 코이네가 등장했다. 13세기 후반 이 공통 오일어는 프랑스어(프랑스어로는 françois, 중세 라틴어로는 lingua gallica 또는 gallicana)로 명명되었다. “같은 언어의 방언”과 “공통 오일어로서의 프랑스어”라는 두 가지 측면은 로저 베이컨의 저서 그레이트 저작(Opus maius)에 나타난다(중세 라틴어로 저술되었으나 다음과 같이 번역됨). "사실, 같은 언어의 방언은 사람들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데, 프랑스어에서처럼 프랑스인, 피카르디인, 노르망디인, 그리고 부르고뉴인들 사이에서 방언적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피카르디인들에게는 옳은 용어가 부르고뉴인들에게는 그들의 가까운 이웃인 프랑스인만큼이나 끔찍하게 들린다."4. 4. 프랑시앵 (Francien) (19세기)
프랑시앵이라는 용어는 19세기에 만들어진 언어학적 신조어로, 14세기 후반에 고대 프랑스 지방인 "프랑스 땅(Pays de France)"—나중에 일드프랑스라고 불린 당시의 파리 지역—에서 사용되었다고 주장되는 고대 프랑스어의 가상적인 변종을 명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프랑시앵이 중세 프랑스어가 되었다고 주장된다. 현재의 언어학적 사고는 대부분 프랑시앵 이론을 부정하지만, 여전히 대중적인 교과서에 자주 인용된다. "francien"이라는 용어는 그 변종을 사용했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된 적이 없다. 하지만 오늘날 이 용어는 파리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10세기와 11세기의 특정 오일어 변종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두 변종 모두 당시 프랑스어로 불렸기 때문에 코이네에 기여했다.4. 5. 프랑스어의 부상과 다른 오일어의 쇠퇴 (14세기-현재)
정치적인 이유로 파리와 일드프랑스 지역에서 이 공통어(koiné)가 문어에서 구어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미 12세기에 코농 드 베튀느(Conon de Béthune)는 프랑스 궁정이 그가 아르투아(Artois) 지방의 단어를 사용했다고 비난했다고 보고했다.13세기 후반에는 이 문어 공통어가 구어 및 문어 표준어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프랑스어'로 명명되었다. 그 이후로 프랑스어는 다른 오일 방언뿐만 아니라 오크어(langue d'oc) 지역에도 강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일 방언과 오크어는 프랑스어 어휘에 계속 기여했다.
1539년 빌레르코테레 법령(Ordinance of Villers-Cotterêts)에 의해 프랑스어가 강제되었다. 이 법령은 판결과 공식적인 문서에서 라틴어를 대체하도록 규정했다. 지역 오일 방언은 항상 법정에서 사용되는 언어였다. 빌레르코테레 법령은 프랑스어를 국어로 만들려는 의도가 아니라, 법률과 행정을 위한 관청 언어로 만드는 것이었다. 중세 시대에 오일 방언들 사이에는 경쟁적인 문학 표준이 있었지만, 프랑스 왕국(Kingdom of France)의 중앙 집권화와 그 영향력은 공식적인 국경 밖까지 미쳐서 수 세기 동안 대부분의 오일 방언을 상대적으로 무명하게 만들었다. 이 새로운 언어로 문학이 발전하면서 작가들은 자신의 지역 언어 대신 프랑스어를 사용하도록 장려되었다. 이것은 토착어 문학(vernacular literature)의 쇠퇴로 이어졌다.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은 모든 영토에서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강요한 것이었다. 프랑스어(그리고 채널 제도에서는 영어)의 영향이 지방 주민들 사이로 퍼져나가면서, 토착어를 연구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문화 운동이 생겨났다. 18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여러 단체가 설립되었고(예: 1856년 "Société liégoise de Littérature wallonne"), 사전이 출판되었으며(예: 조르주 메티비에(George Métivier)의 1870년 ''Dictionnaire franco-normand''), 오일 방언을 지원하고 홍보하기 위한 그룹과 문학 운동이 경쟁 속에서 발전했다. 제3공화국은 프랑스를 현대화하려고 노력했고, 프랑스어만 인정되는 초등 교육을 설립했다. 지역 언어는 억압되었고, 프랑스어 사용은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져 그 쇠퇴를 가속화했다.[13] 이것은 오일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에서도 일반적으로 마찬가지였다. 프랑스어는 현재 오일 방언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
5. 현대의 지위
프랑스어는 여러 국가의 공용어이지만(여기 참조), 오일어군은 최근까지 거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다.
현재 왈롱어, 로랭어(''고메어''로 불림), 샹파뉴어는 왈로니아의 지역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영국령 채널 제도의 노르망디 방언은 해당 대영령 정부와 영국-아일랜드 협의회의 지역 및 소수 언어 체계 내에서 어느 정도 지위를 누리고 있다. 한때 잉글랜드의 공용어였던 앵글로-노르망어는 현재 영국에서 주로 의례적인 명예로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현재는 ''법률 프랑스어''로 불림).
프랑스 정부는 오일어군을 프랑스의 언어로 인정하지만, 프랑스 헌법위원회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의 비준을 거부했다.[14]
6.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오일어는 다른 언어, 특히 어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어: 노르망 정복 이후 노르망어와의 접촉으로 큰 영향을 받았으며, 수용된 어휘의 상당 부분은 전형적인 노르망어 특징을 보인다.[15]
- 림뷔르흐어: 마스트리흐트 지역, 특히 마스트리흐트 방언의 어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 포르투갈어: 오일어군 및 오크어군과 1000년 이상 지속적인 접촉으로 어휘(최대 15~20%, 최소 5000개의 어근), 음운론 및 철자법에 큰 영향을 받았다.[16][17] 부르고뉴 가문의 통치, 클뤼니와 시토회 수도원의 설립, 산티아고 순례길 등이 영향을 주었다.[18][19] 19세기 브라질 민족주의의 반포르투갈 요소는 프랑스어 사용을 증가시켰다.[20]
- 벨기에 프랑스어: 왈롱어의 영향을 받았다.
- 북아메리카의 프랑스어: 프랑스 북서부 출신 정착민들의 언어에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프랑스어, 캐나다의 프랑스어'' 참조)
-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에서 사용되는 모든 지역 언어
- 모든 프랑스 기반 크리올어
- 프랑코-이탈리아어: 13세기와 14세기 북부 이탈리아 문학 작품에서 사용된 고대 프랑스어와 베네토어 또는 롬바르드어의 혼합어

7. 문학
프랑스 문학의 영향 외에도, 다른 오일어들에서도 소규모 문학이 살아남았다. 극작은 피카르어(속어 마리오네트 극의 장르를 유지하고 있다), 푸아트뱅어, 그리고 생통주아어에서 가장 주목할 만하다. 구전 전승(이야기 전달)은 예를 들어 갈로어의 특징인 반면, 노르망디어와 왈롱어 문학, 특히 19세기 초의 문학은 서면 텍스트와 시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어, ''와스''와 ''제르시아어 문학'' 참조).[1]
속어 오일어가 도시에서 사라지면서, 일반적으로 농촌 지역에서 더 많이 살아남았다. 따라서 농촌과 농민을 다룬 문학이 많다. 자치령인 채널 제도의 특수한 상황은 활발한 정치적 논평의 계보를 발전시켰고, 피카르디의 초기 산업화는 지역 광산과 작업장에서 피카르어의 생존으로 이어졌다. 피카르디의 광산 시인들은 비슷한 산업 환경에서 운율적인 직조 시인들의 얼스터 스코트어 방언 전통과 비교될 수 있다.[1]
''Ch'lanchron''(피카르어), ''Le Viquet''(노르망디어), ''Les Nouvelles Chroniques du Don Balleine'' http://www.societe-jersiaise.org/langsec/chroniques.html (제르시아어), 그리고 ''El Bourdon''(왈롱어)과 같은 지역 잡지들이 있다. 이들은 각각의 오일어로만 또는 프랑스어와 함께 이중 언어로 출판된다. 이들은 문학 작품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Glottolog 4.8 - Oil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2]
웹사이트
Atlas sonore des langues régionales de France
https://atlas.limsi.[...]
2020
[3]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s://www.merriam-[...]
[5]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ttps://www.ahdictio[...]
[6]
일반
[7]
서적
Le Petit Robert 1
1990
[8]
사전
[9]
사전
[10]
서적
Manuel pratique de philologie romane
1970-1971
[11]
서적
Romance languages : a historical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2]
웹사이트
DA - DEX online
http://dexonline.ro/[...]
2014-08-11
[13]
서적
French, from dialect to standard
Routledge
1993-03-04
[14]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uncil Decision 99-412 DC,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www.conseil-c[...]
[15]
웹사이트
Exposição no Museu da Língua Portuguesa mostra a influência do francês na nossa língua
http://oglobo.globo.[...]
[16]
웹사이트
Contacts between French and Portuguese or the first's influences on the second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loanwords in the Portuguese language: a process of globalization, ideology and communication
https://web.archive.[...]
[18]
서적
A língua que falamos: Português, história, variação e discurso
https://books.google[...]
2005
[19]
웹사이트
Occitejano: Sobre a origem occitana do subdialeto do Alto Tejo português
http://www.altotejo.[...]
2012
[20]
서적
Immigration and Xenophobia: Portuguese Immigrants in Early 19th Century Rio de Janeiro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9
[21]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the French language in Brazil: marks and milestones in the early periods of teaching
http://www.gel.org.b[...]
[22]
웹사이트
Presence of the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in Brazil – for a history of Franco-Brazilian bonds of cultural affection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Quais influências do pensamento francês ainda podem ser vistas no Brasil?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France in Brazil Year – the importance of cultural diplomacy
http://www.cedep.ifc[...]
[25]
서적
Manuel pratique de philologie romane
1970-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