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까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까래는 지붕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 부재로, 위치, 모양, 크기,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주 서까래, 일반 서까래, 힙 서까래, 밸리 서까래, 잭 서까래 등이 있으며, 소나무나 삼나무, 또는 적층 베니어 목재로 만들어진다. 서까래는 마룻대와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를 서까래 간격이라고 한다. 서까래는 못이나 피스로 주요 구조재에 고정되며, 길이가 부족할 경우 이음매를 통해 연장하기도 한다. 현대 건축에서는 트러스 지붕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목 - 한국의 대목장
    한국의 대목장은 나무를 재료로 집을 짓는 기술을 가진 장인으로, 설계, 시공, 감리를 책임지고 한옥 건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도 한다.
  • 한국의 건축 - 인정전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은 조선시대에 창건, 소실 후 재건되었으며 법궁의 역할도 수행했고, 내부에 용상과 일월오악도 병풍, 서양식 장식 등이 남아 있다.
  • 한국의 건축 - 안방
    안방은 한옥 안채 깊숙한 곳에 위치한 안주인 공간으로, 외부인 출입이 제한된 사적 공간이자 집안 열쇠와 귀중품을 보관하고 집안일을 총괄하는 중심 공간이었으나, 현대에는 주거 형태 변화로 그 의미가 퇴색되어 부부 침실로 기능한다.
  • 지붕 - 시카라
    시카라는 힌두 사원 건축에서 탑 또는 성소 위의 첨탑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티나, 세카리, 부미자의 세 가지 주요 형태로 나뉘며, 그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고대 메소포타미아 건축과 불교 스투파의 영향을 받아 6세기경부터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해왔다.
  • 지붕 - 피뢰침
    피뢰침은 낙뢰로부터 건물이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안전하게 접지로 유도하는 장치이며, 벤자민 프랭클린이 널리 알리고 피뢰 시스템의 이해와 적용을 발전시켰다.
서까래

2. 종류

서까래는 위치, 모양, 크기,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지붕 형태 중 하나는 띠보 위에 일반 서까래를 얹는 방식으로, 이를 closed couple|폐쇄 커플영어이라고 부른다. 이후에는 주 서까래와 일반 서까래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등장했는데, 이를 주요/부(major/minor영어) 또는 1차/2차(primary/secondary영어) 지붕 시스템이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서까래, 특히 힙 서까래는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보통 발치 부분 너비의 1/5에서 1/6 정도 좁아졌다. 건축가 조지 우드워드(George Woodward)는 1860년에 이에 대해 "같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목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서까래를 톱질하는 데 추가 노동력이 들고, 통나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다른 계산이 필요하다. 제재소에 특별 주문해야 하므로, 절약되는 비용보다 추가 비용이 더 커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3] 존 뮬러(John Muller) 역시 서까래 폭이 1/6 정도 좁아지는 것에 대해 언급했다.[4]

서까래 발치에 덧대어 지붕 내밀기(오버행)를 만들거나 지붕 경사를 바꾸는 부재를 스프로킷(sprocket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coyau|코요프랑스어라고 한다. 건물 박공 부분에 내밀기를 형성하는 돌출 부재는 룩아웃(lookout)이라고 부른다.

서까래는 구조적 안정을 위해 버팀대, 주요 가새, 칼라보 등으로 보강될 수 있으며, 드물게는 보조 서까래(아래 설명 참조)로 보강되기도 한다.

서까래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비고 (영어/일본어 명칭 등)
주 서까래크기가 큰 서까래. 보통 띠보 위에 직접 놓이며, 가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트러스의 상부 부재가 주 서까래처럼 보이기도 한다.Principal rafter영어
일반 서까래주 서까래보다 작은 서까래. 주 서까래와 함께 사용될 때 주/일반 서까래 지붕 또는 이중 지붕이라고 한다.Common rafter영어 (Secondary rafter)
보조 서까래주 서까래 아래에 위치하여 지지하는 2차 서까래. 드물게 사용된다.Auxiliary (cushion, compound, secondary, sub) rafter영어
컴퍼스 서까래윗면("등"이라고 함) 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 곡선이나 아치 형태인 서까래.Compass rafter영어
커브 서까래갬브럴이나 만사르 지붕의 위쪽 부분(커브, kerb)에 사용되는 서까래.Curb rafter영어
힙 서까래힙 지붕의 모서리에 있는 서까래. 발 부분은 드래곤 보 위에 놓인다.Hip rafter영어 (Angle rafter)
킹 서까래힙 지붕 측면에서 용마루선에 닿는 가장 긴 서까래.King rafter영어
밸리 서까래지붕골(valley)을 형성하는 서까래. 역사적으로 슬리퍼(sleeper)라고도 불렸다.Valley rafter영어
중간 서까래주 서까래나 일반 서까래 사이의 특정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서까래. 드물게 사용된다.Intermediate rafter영어
잭 서까래힙 서까래에 걸치거나 도머 때문에 길이가 짧아진 서까래. 크리플 서까래(cripple rafter영어) 또는 크리플 잭 서까래(cripple jack rafter영어)라고도 한다.Jack rafter영어
아치형 서까래아치형 지붕에서 분절된 형태로 사용되는 서까래.Arched rafter영어
무릎 서까래다락 공간 확보 등을 위해 발 부분에서 약간 떨어진 곳이 구부러진 서까래. 미국에서는 드물다.Knee (crooked, kneeling, cranked) rafter영어
바지 서까래박공 끝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지붕 처마를 형성하는 서까래.Barge rafter영어
버트 서까래버트 가새에 의해 중간이 끊기고 연결되는 작은 서까래. 일반 서까래는 주 가새 위로 지나가며, 가새가 있는 경우 이를 지지한다.Butt rafter영어
숨은 서까래처마 천장 등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구조 서까래.野垂木|노다루키일본어
노출 서까래숨은 서까래 아래에 나란히 배치되어 겉으로 드러나는 마감용 서까래.化粧垂木|게쇼다루키일본어
꼬리 서까래사찰 건축에서 두공과 함께 설치되는 장식적인 서까래.尾垂木|오다루키일본어
지 서까래 / 비 서까래사찰 건축 등에서 2단, 3단으로 배치되는 서까래 중 안쪽(지 서까래)과 바깥쪽(비 서까래) 서까래. 이를 두 겹 서까래(二軒|후타노키일본어)라고도 한다.地垂木|지다루키일본어 / 飛えん垂木|히엔다루키일본어



참고로, "바인딩 서까래"(binding rafter영어)는 서까래가 아니라 가새나 지지대를 의미하는 옛 용어이다. 크럭 프레임의 일부가 서까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이는 크럭 블레이드(cruck blade영어)라고 부른다.

서까래는 주로 소나무나 삼나무로 만들어진다. 더 긴 경간이 필요한 경우, 일반 목재 서까래보다 2~5배 더 길게 만들 수 있는 적층 베니어 목재(LVL) 서까래를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목재 서까래 최대 길이가 약 6.10m 정도이다.[5] 더 긴 서까래가 필요할 때 LVL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구조용 서까래(숨은 서까래, 野垂木|노다루키일본어) 위에 장식용 서까래(노출 서까래, 化粧垂木|게쇼다루키일본어)를 덧대어 미관을 살리기도 한다. 노출 서까래는 주로 10~15년생 삼나무 작은 통나무를 사용하여 만든다.[6] 띠 지붕이나 짚 지붕에는 대나무를 서까래로 사용하기도 한다.

사찰 건축에서는 두공과 함께 설치되는 꼬리 서까래(尾垂木|오다루키일본어)나, 서까래를 2단 또는 3단으로 배치하는 방식(안쪽의 지 서까래 地垂木|지다루키일본어와 바깥쪽의 비 서까래 飛えん垂木|히엔다루키일본어) 등 장식적인 요소가 강한 서까래도 볼 수 있다.

3. 배치

서까래는 지붕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인 목조 건축에서는 서까래를 마룻대 방향과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모임지붕과 같이 추녀가 있는 지붕에서는 추녀의 영향을 받아 길이가 다른 서까래인 '''배붙이 서까래'''를 추녀가 있는 마룻대에 배치한다. 힙 지붕에서는 모서리에 힙 서까래를, 지붕 골짜기 부분에는 밸리 서까래를 배치하며, 힙 서까래에 걸쳐 길이가 짧아진 잭 서까래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오래된 목조 건축이나 일본사찰 건축 등에서는 용마루에서 방사선상으로 배치되는 '''부채 서까래''' 방식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옛 중국 건축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유럽에서 가장 초기에 남아있는 지붕 형태 중 하나는 띠보 위에 일반 서까래를 얹는 방식으로, 이를 '폐쇄 커플'이라고 부른다. 이후에는 주 서까래와 일반 서까래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주요/부 또는 1차/2차 지붕 시스템)도 나타났다.

=== 서까래 간격 ===

서까래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서까래 간격'''이라고 한다. 서까래 간격을 정하는 기준으로는 서까래 자체의 중심선(심)을 기준으로 하는 '정치 마무리'와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는 '손 끼움' 방식이 있다.

서까래 간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명칭설명
성김 간격일반적인 목조 건축에서 사용되며, 폭 약 36mm, 높이 약 66mm인 각재를 약 300mm 간격으로 배치하는 방식이다.
반번 간격사찰 건축이나 고건축에서 사용되며, 서까래 끝 부분의 폭과 높이를 합한 만큼의 안쪽 치수(내법) 간격으로 배치한다.
본번 간격사찰 건축이나 고건축에서 사용되며, 서까래 높이만큼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4. 접합

서까래는 도리, 마룻대, 처마도리와 같은 주요 구조재에 접하며, 이러한 구조재에 이나 피스 등으로 고정된다. 서까래가 길어지는 경우 이음매가 생길 수 있는데, 구체적인 접합 및 이음 방식은 다음과 같다.

'''마룻대와의 접합'''

마룻대와 서까래를 접합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맞춤 접합''': 마룻대 위에 서까래를 얹어 서로의 나무결이 중력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가공하여 접합하는 방식이다.
  • '''서까래 조각''': 마룻대에서 서까래가 닿는 부분을 서까래 모양으로 파내어 끼워 맞추는 방식이다.
  • '''면 깎기''': 마룻대에서 서까래가 접합될 면 자체를 특정 각도로 깎아내어, 마룻대 위 어디든 서까래를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음매'''

보 사이의 간격이 넓은 지붕을 만들 때,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서까래용 목재(길이 약 4m)로는 길이가 부족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서까래를 이어 붙여 길이를 연장한다.

  • '''맞댐 이음''': 이어 붙일 두 서까래의 끝부분을 서로 맞대어 잇는 방식이다.
  • '''사선 이음''': 이어 붙일 두 서까래의 끝부분을 동일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잘라내어 맞추어 잇는 방식이다.


어떤 방식으로 잇든 이나 피스 등을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하며, 이음매 부분은 마룻대와 같이 하중을 받아 고정할 수 있는 다른 구조 부재 위에 오도록 배치한다.

5. 현대 건축

최근 건축물에서는 비용과 자재를 절약하고, 외부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쉽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트러스 지붕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넓은 공간(경간)을 확보해야 하거나 지붕이 받는 하중(상부 하중)이 클 경우 등 설계상의 이유로 트러스 구조가 선택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Regional geography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oward a sustainable futur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3
[2] 웹사이트 rafter (1) http://encarta.msn.c[...] Microsoft 2017-07-04
[3] 간행물 " 'Balloon Frames' - 9th Article" The Cultivator 1861-01
[4] 문서 A Treatise Containing the Practical Part of Fortification London 1755
[5] 뉴스 Rafter Calculator – Estimate Length And Cost To Replace Roof Rafter {{!}} RoofCalc.org https://www.roofcalc[...] 2018-07-10
[6] 웹사이트 海布丸太・垂木(カイフ丸太・タルキ) https://www.tokudame[...] 2023-02-21
[7] 문서 長方形の材の木口から見て、材を使用したときの縦の長さ
[8] 서적 古建築の細部意匠 大河出版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