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캅카스염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캅카스염소는 조지아, 러시아의 코카서스 산맥 서부의 험준한 산악 지대에 서식하는 야생 염소이다. 몸길이 150-165cm, 어깨 높이 95-109cm, 몸무게 65-100kg이며, 수컷은 70cm 정도의 굵은 검 모양 뿔을 가지고 있다. 풀과 잎을 먹고, 밤에 활동하며, 암컷은 무리를 이루고 수컷은 단독 생활을 한다. 무분별한 사냥,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3년 기재된 포유류 - 남아메리카물개
    남아메리카물개는 남아메리카 해안에 서식하며 어두운 회색 또는 갈색 털을 가진 물개 종으로,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갈기가 발달하며, 신열대구 해안과 포클랜드 제도 등 경사가 급한 바위 해안이나 섬에서 주로 발견되고, 현재 2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어 국내 동물원에서도 사육된다.
  • 1783년 기재된 포유류 - 오리비영양
    오리비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작은 영양으로 아프리카 사바나와 초원에 서식하며, 황갈색 털과 수컷의 뿔을 특징으로 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서캅카스염소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서캅카스염소 수컷
서캅카스염소 수컷
학명Capra caucasica
명명자귈덴슈테트 & 팔라스, 1783
영명Caucasian ibex
West Caucasian tur
Western tur
한국어 이름카프카스아이벡스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멸종 위기 (EN) https://www.iucnredlist.org/
CITES부록 II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
아목소아목
소과
아과야기아과
야기속
서캅카스염소 (C. caucasica)

2. 명칭

"제부더", "자크", "코카서스 아이벡스"로도 알려져 있다.[2][3]

3. 분포

조지아, 러시아의 코카서스 산맥 서부에 분포한다.[5][6][7]

4. 형태

코카서스 생물권 보전구역의 서캅카스염소


서캅카스염소는 몸이 크지만 좁고 다리는 짧다. 몸길이는 150cm-165cm[7], 어깨 높이는 95cm-109cm[7], 몸무게는 65kg-100kg[7]이다.

몸의 털은 기본적으로 밤색이며 배는 노란색을 띠고 다리 색은 더 어둡다. 여름에는 털 색깔이 회적갈색, 회황갈색, 적갈색이고[6], 겨울에는 회갈색, 황갈색, 적갈색으로 변하며 등 중앙선을 따라 어두운 세로 줄무늬가 나타난다[6].

뿔은 검 모양이며 굵은 융기가 있다. 수컷의 경우 뿔 길이가 약 70cm인 반면 암컷은 훨씬 작다.[6][7] 뿔은 기부에서 뒤쪽으로 뻗어 나가 끝이 바깥쪽 아래로 향하는 초승달 모양이며[6], 길이는 75cm-100cm에 이른다.[6][7] 뿔의 단면은 사각형[6][7]이고, 앞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물결 모양의 불명확한 융기가 있다[6][7].

수컷은 턱에서 뻗어 나오는 털(턱수염)이 18cm 이하로 길고, 꼬이지 않는다[5][6][7].

5. 생태

서캅카스염소는 해발 800m~4000m 사이의 험준한 산악 지대에서 서식하며, 주로 을 먹는다.[7]

서캅카스염소는 야행성으로, 밤에는 밖에서 먹이를 먹고 낮에는 은신한다. 암컷은 약 10마리 정도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수컷은 단독 생활을 한다.

5. 1. 천적

스텝늑대와 스라소니가 주요 포식자이며, 페르시아표범과 시리아갈색곰 또한 서캅카스염소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인간의 사냥 역시 서캅카스염소에게 주요한 위협 요인이 된다.

6. 인간과의 관계

인간의 사냥, 서식지 파괴, 가축과의 경쟁 등으로 인해 서캅카스염소는 위협받고 있으며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7]

6. 1. 보존 노력

사냥, 가축과의 경쟁 등으로 인해 서캅카스산양의 개체수는 감소하고 있다.[7] 1980년대 후기에는 12,000마리, 1997년에는 10,000마리로 개체수가 추정된다.[7]

7. 분류

카프카스사슴을 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으며, 분포 지역이 일부 겹치고 종간 잡종도 형성한다.[6]

참조

[1] 간행물 Capra caucasica 2020
[2] 서적 English Cyclopaedia/Cyclopaedia of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Bradbury and Evans 1856
[3] 서적 Illustrated Natural History of the Animal Kingdom, vol. 1 https://archive.org/[...] Derby & Jackson 1859
[4]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5]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986
[6]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7 (偶蹄目III) 東京動物園協会 1988
[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 講談社 2000
[8] 간행물 Capra caucasica
[9] 웹사이트 West Caucasian tur http://www.dict.c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