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벡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벡스는 염소속에 속하는 종으로, 알프스 산맥을 포함한 중앙 유럽에 서식한다. 수컷은 크고 뒤로 굽은 뿔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보다 크고 무겁다. 알프스아이벡스는 뛰어난 등반가로, 가파르고 험한 지형에 적응하여 생활하며, 풀, 허브, 관목 등을 먹는다. 사회적인 종으로, 성별과 나이에 따라 그룹을 이루어 생활한다. 과거에는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수가 회복되어 현재는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유럽의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1758년 기재된 포유류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1758년 기재된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아이벡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Capra ibex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Alpine Ibex |
멸종 위기 등급 | 최소 관심 (LC) |
![]() | |
서식 고도 | 3300m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경우제목 |
과 | 소과 |
속 | 염소속 |
특징 | |
설명 | 알프스 산악 지대에 서식하는 아이벡스의 일종. |
2. 분류
칼 린네는 1758년에 알프스아이벡스를 처음으로 기술했으며, 다른 9종의 염소와 함께 속 ''Capra''로 분류했다.[32] 속명 ''Caprala''는 라틴어로 '암염소'를 의미하며, 종명 ''ibexla''는 라틴어에서 '샤무아'로 번역되는데, 이는 초기 알프스 언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중국 후기 마이오세 퇴적층에서 발견된 ''토순노리아'' 속 화석은 염소와 그 조상 사이의 과도기적 형태로 여겨진다.[7] ''Capra'' 속은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플라이오세부터 플라이스토세에 걸쳐 유럽, 코카서스, 동아프리카로 퍼져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와 Y 염색체 분석 결과는 이 계통 내 종들 사이에 잡종 형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4]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최후 빙하기 시기 알프스아이벡스 화석이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발견되었다. 알프스아이벡스와 이베리아아이벡스(*C. pyrenaica*)는 독일에서 화석이 발견된 멸종된 플라이스토세 종인 ''카프라 캄부르겐시스''에서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알프스아이벡스는 현존하는 개체들보다 크기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7]
20세기에는 누비아아이벡스(*C. nubiana*), 왈리아아이벡스(*C. walie*), 시베리아아이벡스(*C. sibirica*)가 알프스아이벡스의 아종으로 간주되었고, 알프스 개체군은 삼명법에 따라 *C. i. ibex*로 불렸다.[5] 그러나 2006년 유전적 증거 분석을 통해 이들은 각각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4]
2022년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기반의 ''Capra'' 속 7종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6] 시베리아아이벡스가 가장 먼저 분기했고, 그 다음으로 누비아아이벡스가 분기했다. 이후 마코르가 분기했으며, 나머지 종들은 두 그룹으로 나뉜다. 한 그룹은 집염소와 베조아르아이벡스를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알프스아이벡스'''와 이베리아아이벡스를 포함한다.
3. 형태
알프스아이벡스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32] 수컷은 어깨 높이 90cm ~ 101cm까지 자라며, 몸길이는 149cm ~ 171cm이고, 몸무게는 67kg ~ 117kg이다. 암컷은 훨씬 작으며 어깨 높이는 73cm ~ 84cm, 몸길이는 121cm ~ 141cm, 몸무게는 17kg ~ 32kg이다.[7]
알프스아이벡스는 튼튼한 목과 짧은 중족골을 가진 튼튼한 다리를 가진 체격이 좋은 동물이다. 다른 대부분의 야생 염소와 비교하여, 이 종은 넓고 짧아진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등반에 적합하도록 날카롭고 분리된 발굽과 앞발 아래의 고무질 굳은살을 갖추고 있다.[32][7] 수컷과 암컷 모두 타원형 단면과 삼각 모양의 코어를 가진 크고 뒤로 굽은 뿔을 가지고 있다. 뿔의 앞면에 있는 가로 능선은 그렇지 않으면 평평한 표면을 표시한다. 수컷의 뿔은 69cm ~ 98cm로 암컷의 뿔(길이 18cm ~ 35cm)보다 훨씬 길다.[7]
이 종은 몸 전체에 걸쳐 갈색을 띤 회색 털을 가지고 있지만 턱과 목에 어두운 표시가 있으며 배 부분은 더 밝은 색을 띤다. 가슴 부위의 털은 거의 검은색이고 등(뒤) 표면을 따라 줄무늬가 있다. 알프스아이벡스는 다른 동족의 구성원보다 칙칙한 색상을 띤다. 다른 염소와 마찬가지로 수염은 수컷만 가지고 있다. 아이벡스는 두껍고 양털 같은 솜털로 구성된 겨울 털이 짧고 얇은 여름 털로 대체되는 봄에 탈피한다. 겨울 털은 가을에 다시 자란다. 다른 ''Capra'' 종과 마찬가지로, 알프스아이벡스는 눈, 사타구니, 발 근처에 선을 가지고 있지만 얼굴에는 없다.[7]
4. 분포 및 서식지
알파인 아이벡스는 중앙 유럽의 알프스가 원산지이며, 프랑스,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에 서식한다.[9] 과거에는 그리스와 같이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이 종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나, 약 7,500년 전 인간의 사냥으로 인해 지역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8]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는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서식지의 대부분에서 사라졌고, 19세기에는 이탈리아 그란 파라디소 주변에 단 하나의 개체군만이 살아남았다. 이후, 이 종은 이전 서식지의 일부와 슬로베니아[10], 불가리아[9] 등 새로운 지역에 성공적으로 재도입되었다.
알파인 아이벡스는 뛰어난 등반 능력을 바탕으로 1800m에서 3300m 사이 고도의 가파르고 험준한 지형에 주로 서식한다. 이들은 탁 트인 지역을 선호하지만,[7] 눈이 적고 개체 밀도가 높은 경우 성체 수컷은 낙엽송이나 낙엽송과 가문비나무가 섞인 숲에 모여 지내기도 한다.[12] 번식기를 제외하면 암컷과 수컷은 서로 다른 서식지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12][11] 암컷은 주로 가파른 경사면에서 발견되는 반면, 수컷은 비교적 평탄한 지면을 선호한다. 계절에 따른 이동 패턴도 뚜렷한데, 수컷은 신선한 풀이 자라는 봄에는 저지대 초원에 머물다가[7] 여름에는 고산 초원으로 이동한다.[12] 초겨울이 되면 수컷과 암컷 모두 눈이 많이 쌓이는 것을 피해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경사면으로 이동한다.[13] 알파인 아이벡스는 특히 30–45°의 경사면을 선호하며, 작은 동굴이나 바위 돌출부 등을 피난처로 삼는다.[14]
5. 생태
알프스아이벡스는 엄격한 초식 동물이며, 먹이는 주로 풀으로 일 년 내내 선호하는 먹이이다. 여름에는 허브로 식단을 보충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난쟁이 관목과 침엽수 싹을 먹는다.[15] 가장 흔히 먹는 풀 속은 ''Agrostis'', ''Avena'', ''Calamagrostis'', ''Festuca'', ''Phleum'', ''Poa'', ''Sesleria'', 그리고 ''Trisetum''이다.[7] 봄에는 암컷과 수컷 모두 하루 중 거의 같은 시간 동안 먹이를 먹지만, 여름에는 특히 수유 중인 암컷이 수컷보다 더 많이 먹는다.[16] 높은 온도는 덩치가 큰 성체 수컷에게 열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먹이 활동 시간을 줄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밤에 먹이를 먹음으로써 이를 피하기도 한다.[17]
그란 파라디소 국립공원에서 알프스아이벡스의 생활권은 700ha를 초과할 수 있으며, 재도입된 개체군에서는 3000ha에 이를 수도 있다.[7][18] 생활권의 크기는 자원의 가용성과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생활권은 여름과 가을에 가장 크고 겨울에 가장 작으며 봄에는 중간 정도이다. 암컷의 생활권은 일반적으로 수컷의 생활권보다 작다.[7][13][18] 아이벡스는 겨울 동안 겨울잠을 자지 않고, 추운 겨울밤에는 몸을 숨기고 아침에는 햇볕을 쬔다. 또한 심박수와 신진대사를 줄여 에너지를 아낀다.[19]
알프스아이벡스는 샤무아 및 붉은사슴과 먹이 등 자원을 놓고 경쟁할 수 있으며,[32] 이들의 존재는 아이벡스가 더 높은 고도를 서식지로 선택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알프스아이벡스는 뛰어난 등반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탈리아 피에몬테에 있는 칭기노 댐의 57도 경사면을 오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는 댐 벽에서 염분을 핥기 위한 행동으로 추정된다. 성체 수컷보다 가볍고 다리가 짧은 암컷과 새끼만이 이 가파른 댐을 오르며, 새끼는 49m 높이에서 지그재그 경로로 오르고 직선 경로로 내려가는 모습도 관찰되었다.[21]
5. 1. 사회 행동
알프스아이벡스는 사회성이 있는 동물이며, 성별과 나이를 기준으로 무리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7] 일 년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다 자란 수컷은 암컷과 따로 무리를 지으며, 나이가 많은 수컷은 어린 수컷과도 분리되어 생활한다.[22] 암컷 무리는 보통 5마리에서 10마리로 구성되고, 수컷 무리는 2마리에서 16마리 정도이지만 때로는 50마리가 넘기도 한다.[32][24] 아직 어미에게 의존하는 새끼는 암컷 무리와 함께 지낸다. 성별 간의 분리는 점진적인 과정이며, 9살 미만의 수컷은 여전히 암컷 무리와 어울릴 수 있다.[23] 다 자란 수컷, 특히 나이가 많은 수컷은 암컷보다 혼자 있는 경우가 더 많다.[24] 먹이가 풍부해지는 여름철에는 개체 간 거리가 멀어지는 등 사회적 공간이 느슨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아이벡스는 안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가지며, 환경 조건이 허락하면 꾸준히 같은 개체들과 다시 무리를 이룬다.[25] 암컷 무리는 수컷 무리보다 더 안정적인 경향이 있다.[32][23]
다 자란 수컷과 암컷은 번식기인 12월과 1월에 함께 모였다가, 4월과 5월에 다시 헤어진다.[7] 수컷들 사이에는 몸 크기, 나이, 뿔 길이를 기준으로 한 지배 계층이 존재한다.[26] 이 계층은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 형성되어, 수컷들이 번식기에 싸움보다는 짝짓기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컷은 뿔을 이용해 싸우는데, 상대방의 옆구리를 들이받거나 머리를 맞대고 힘을 겨루며, 때로는 뒷발로 일어서서 위에서 아래로 뿔을 내리찍기도 한다.[27]
알프스아이벡스는 주로 짧고 날카로운 휘파람 소리를 통해 의사소통한다. 이 소리는 주로 경고 신호로 사용되며, 한 번만 내거나 짧은 간격을 두고 여러 번 연속해서 낼 수 있다. 암컷과 새끼는 매애거리는 소리로 서로 의사소통한다.[32]
5. 2. 번식
번식기는 12월에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약 6주 동안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수컷 무리는 더 작은 그룹으로 나뉘어 암컷을 찾는다. 발정기는 두 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수컷은 그룹으로 암컷과 상호 작용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한 수컷이 자신의 그룹에서 떨어져 발정기에 있는 암컷을 따라간다.[7] 우세한 수컷은 9세에서 12세 사이이며 암컷을 따라다니며 경쟁자로부터 보호하는 반면, 열등한 젊은 수컷은 2세에서 6세 사이로, 곁에서 돌보는 수컷이 주의가 산만해지면 몰래 지나가려고 한다. 암컷이 도망가면 우세한 수컷과 열등한 수컷 모두 암컷을 따라가려고 한다. 구애하는 동안 수컷은 목을 뻗고, 혀를 핥고, 윗입술을 말아 올리고, 배뇨하고, 암컷의 냄새를 맡는다.[28] 교미 후 수컷은 자신의 그룹에 합류하여 발정기의 첫 번째 단계를 다시 시작한다.[7] 환경 조건은 이 종의 구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이 오면 수컷이 암컷을 따라다니며 교미하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29]
암컷은 약 20일 동안 발정 상태에 있으며 임신 기간은 평균 약 5개월이며, 일반적으로 한 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때로는 두 마리를 낳기도 한다.[30] 암컷은 포식자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바위 경사면에서 자신의 사회 집단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출산한다.[31] 며칠 후, 새끼들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 어미와 새끼는 육아 그룹으로 모이며, 그곳에서 어린 새끼들은 최대 5개월 동안 젖을 먹는다.[32] 육아 그룹에는 젖을 먹이지 않는 암컷도 포함될 수 있다.[16] 알프스 아이벡스는 18개월에 성적 성숙에 도달하지만 암컷이 5~6세, 수컷이 9~11세가 될 때까지 계속 성장한다.[7]
뿔은 평생 자란다. 새끼는 뿔 없이 태어나 한 달이 지나면 작은 팁으로 보이기 시작하여 두 번째 달에 20mm~25mm에 이른다.[32] 수컷의 경우 뿔은 처음 5년 반 동안 연간 약 8cm의 속도로 자라며, 동물이 10세가 되면 그 속도의 절반으로 느려진다.[7] 수컷의 뿔 성장의 둔화는 노화와 일치한다.[33] 아이벡스의 나이는 겨울에 성장을 멈추는 뿔의 연간 성장 링으로 결정할 수 있다.[34][35][32]
5. 3. 건강
수컷 아이벡스는 약 16년, 암컷은 약 20년을 산다. 이 종은 비슷한 크기의 다른 초식동물에 비해 성체의 생존율이 높은 편이다.[37][36] 한 연구에 따르면, 새끼는 대부분 2세까지 생존하며 성체는 상당수가 13년까지 살지만, 13세가 된 수컷 대부분은 15세를 넘기지 못했다.[37]
아이벡스는 포식당할 확률이 낮다.[7] 주로 서식하는 험준한 산악 지대는 늑대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비교적 안전하지만, 새끼는 황금독수리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32] 그란 파라디소에서는 노령, 식량 부족, 질병 등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눈사태로 인해 사망하기도 한다.[7]
아이벡스는 다양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주요 질병은 다음과 같다.
질병 종류 | 원인 | 주요 증상 및 영향 |
---|---|---|
브루셀라증 | 세균 Brucella melitensislat | 괴사, 섬유증[38] |
발굽썩음병 | 세균 Dichelobacter nodosuslat | 발굽 감염[39] |
전염성 각결막염 | 세균 Mycoplasma conjunctivaelat | 눈 손상, 최대 30% 사망률[40] |
위장 기생충 감염 | 콕시듐, 스트롱길류(주로 Teladorsagia circumcinctalat, Marshallagi amarshallilat) | 소화기 문제[41][42] |
폐충 감염 | 주로 Muellerius capillarislat | 호흡기 문제[43] |
기타 질환 | 원인 불명확 또는 다양 | 동맥 경화증, 심장 섬유증, 육포자충증, 심장 판막 질환[44] |
6. 보존
중세 시대에 알프스아이벡스는 유럽의 알프스 전역에 분포했다.[9] 그러나 16세기 초부터 총기 도입 등으로 인한 인간의 사냥 때문에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45] 19세기에는 이탈리아 북서부의 그란 파라디소와 이탈리아-프랑스 국경 인근에 약 100마리만 남게 되었다.[7][45][9]
멸종 위기에 처하자 알프스아이벡스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1821년 피에몬테 정부는 사냥을 금지했고, 1854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그란 파라디소를 왕립 사냥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7][32] 1920년, 그의 손자인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 땅을 이탈리아 정부에 기증하여 국립공원으로 만들었다.[46] 국립공원 지정 후 개체수는 1933년 4,000마리까지 회복되었으나, 이후 관리 부실로 1945년에는 약 400마리로 다시 급감하기도 했다.[47][4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보호 노력이 강화되면서 2005년에는 공원 내 개체수가 4,000마리 수준으로 회복되었고,[46] 그란 파라디소의 개체군은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다른 지역으로 아이벡스를 재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1902년부터는 그란 파라디소의 일부 개체가 스위스로 옮겨져 사육 번식 및 야생 재도입 프로그램에 활용되었다.[7] 이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에도 새로운 아이벡스 개체군이 형성되었다.[7] 또한, 과거 서식 기록이 명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슬로베니아(1890년대 도입)[10]와 불가리아(1980년 이식)[9]에도 아이벡스가 도입되어 서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적극적인 보호와 재도입 노력 덕분에 알프스아이벡스 개체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1914년 약 3,020마리였던 개체수는 1991년 20,000마리, 2015년에는 55,297마리까지 늘어났으며,[7][9][45] 1975년경에는 중세 시대 분포 범위의 상당 부분을 회복했다.[7] 2015년에서 2017년 사이의 주요 서식 국가별 추정 개체수는 다음과 같다.[9]
국가 | 개체수 (추정) | 무리 수 |
---|---|---|
스위스 | 17,800마리 이상 | 30개 |
이탈리아 | 16,400마리 이상 | 67개 |
프랑스 | 약 9,000마리 | 30개 |
오스트리아 | 약 9,000마리 | 27개 |
독일 | 약 500마리 | 5개 |
슬로베니아 | 약 280마리 | 4개 |
2020년 현재, IUCN은 알프스아이벡스를 안정적인 개체수 추세를 보이는 최소 관심(LC)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회복 점수는 79%로 평가되었으며, 보존 의존도는 낮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현재의 보호 조치가 중단되더라도 개체수 감소는 미미할 것이라는 의미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제한적인 사냥이 허용되기도 한다.[1]
그러나 과거 심각한 유전적 병목 현상을 겪었기 때문에, 현재 알프스아이벡스 개체군은 낮은 유전적 다양성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근친 교배 우울증의 위험을 높인다.[1][49] 2020년 분석에 따르면, 병목 현상을 거치면서 매우 해로운 돌연변이는 제거되었지만, 경미하게 해로운 돌연변이가 축적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0] 또한, 서식지 내 가축 염소와의 교잡은 유전적 순수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51] 낮은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다양성은 개체군을 전염성 질병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52] 실제로 프랑스 알프스의 한 지역에서는 ''브루셀라'' 감염이 문제가 되었으나, 검사 및 도태를 포함한 관리 조치를 통해 성체 암컷의 감염률을 2013년 51%에서 2018년 21%로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사례가 있다.[53]
7. 문화적 의미
알프스아이벡스는 "돌 수컷"을 뜻하는 고대 고지 독일어 단어 "steinboc"에서 유래하여 ''슈타인복''이라고 불린다.[54][55] 이 단어에서 파생된 유럽 이름으로는 프랑스어의 "bouquetin"과 이탈리아어의 "stambecco"가 있다.[55] 알프스아이벡스는 서유럽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 마들렌 문화의 예술 작품에 묘사된 여러 동물 중 하나이다.[56]
과거 현지인들은 아이벡스를 전통 의학에 사용하기도 했다.[45] 뿔은 경련, 중독, 히스테리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고, 혈액은 방광 결석을 예방한다고 믿어졌다.[57] 이러한 약재로서의 가치 때문에 아이벡스는 거의 멸종될 뻔했다.[45]
복원 노력 이후, 알프스아이벡스는 산맥의 회복력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스위스의 칸톤 중 하나인 그라우뷘덴주의 문장에도 아이벡스가 그려져 있다.[58]
8. 갤러리
- -|]]
참조
[1]
IUCN
Capra ibex
2021-11-19
[2]
웹사이트
Capri
https://www.etymonli[...]
2023-12-11
[3]
웹사이트
ibex
https://www.etymonli[...]
2023-12-11
[4]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enus ''Capra'' (Mammalia, Artiodactyla): Discordance between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phylogenies
2006
[5]
서적
Wild Sheep and Goats and Their Relatives: Status Survey and Action Plan for Caprina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Species Survival Commission. Caprinae Specialist Group
1997
[6]
논문
Ancient mitochondrial and modern whole genomes unravel massive genetic diversity loss during near extinction of Alpine ibex
2022
[7]
논문
Capra ibex (Artiodactyla: Bovidae)
2009
[8]
논문
Past and present distribution of the genus ''Capra'' in Greece
2013
[9]
논문
Distribution, status, and recent population dynamics of Alpine ibex ''Capra ibex'' in Europe
https://www.zora.uzh[...]
2023-12-01
[10]
서적
European Ungulates and Their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1]
논문
Adult survival pattern of the sexually dimorphic Alpine ibex (''Capra ibex ibex'')
1997
[12]
논문
Habitat selection in adult males of Alpine ibex, ''Capra ibex ibex''
https://web.archive.[...]
2014-12-18
[13]
논문
Seasonal variations of spatial behaviour in female Alpine ibex (''Capra ibex ibex'') in relation to climatic conditions and age
2004
[14]
논문
Seasonal use and quality assessment of ibex habitat
1984
[15]
논문
Die Äsungszusammensetzung des Alpensteinwildes (Capra i. ibex L.) in Abhängigkeit von Jahreszeit, Alter und Äsungsangebot in Graubünden
1995
[16]
논문
Foraging behaviour in Alpine ibex (''Capra ibex''): consequences of reproductive status, body size, age and sex
2002
[17]
논문
Temperature constraints on foraging behavior of male Alpine ibex (''Capra ibex'') in summer
2009
[18]
논문
Spatial behaviour of adult male Alpine ibex ''Capra ibex ibex'' in the Gran Paradiso National Park, Italy
2003
[19]
논문
Hypometabolism and basking: the strategies of Alpine ibex to endure harsh over-wintering conditions
2011
[20]
논문
Climate, competition and weather conditions drive vertical displacement and habitat use of an alpine ungulate in a highly topographic landscape
2019
[21]
논문
Gradient limits and safety factor of Alpine ibex (''Capra ibex'') locomotion
2017
[22]
논문
Segregation is not only a matter of sex in Alpine ibex, ''Capra ibex ibex''
2001
[23]
논문
Social and spatial segregation in Alpine ibex (''Capra ibex'') in Bargy, French Alps
1995
[24]
논문
Sociality and relationships in Alpine ibex (''Capra ibex'')
https://hal.science/[...]
2023-11-07
[25]
논문
Long term analysis of social structure: evidence of age-based consistent associations in male Alpine ibex
2022
[26]
논문
Secondary sexual characters signal fighting ability and determine social rank in Alpine ibex (''Capra ibex'')
2010
[27]
논문
Social dominance and conflict reduction in rutting male Alpine ibex, ''Capra ibex''
2010
[28]
논문
Alternative mating tactics and their impact on survival in adult male Alpine ibex (''Capra ibex ibex'')
2009
[29]
논문
Strategie riproduttive dello Stambecco (Capra ibex ibex) nel Parco Nazionale del Gran Paradiso
2003
[30]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captive Alpine ibex (''Capra i. ibex'')
1987
[31]
논문
Influence of the kid on space use and habitat selection of female Alpine ibex
2007
[32]
서적
Terrestrial Cetartiodactyla – Handbook of the Mammals of Europe
Springer
2022
[33]
논문
Horn growth but not asymmetry heralds the onset of senescence in male Alpine ibex (''Capra ibex'')
2004
[34]
논문
Valeur de critères biométriques externes pour la détermination de l'âge du bouquetin des Alpes (Capra ibex ibex): rôle du sexe et de l'habitat
1994
[35]
논문
Untersuchungen zur Altersschätzung und Altersbestimmung beim Alpensteinbock (Capra ibex ibex) im Kanton Graubünden
1977
[36]
논문
Patron de survie chez le bouquetin des Alpes (''Capra ibex ibex'') dans le parc national de la Vanoise
1999
[37]
논문
Sex- and age-specific survival of the highly dimorphic Alpine ibex: evidence for a conservative life-history tactic
2007
[38]
논문
Isolation of ''Brucella melitensis'' from alpine ibex
1998
[39]
논문
Occurrence of footrot in free-ranging alpine ibex (''Capra ibex'') colonies in Switzerland
2021
[40]
논문
Infectious keratoconjunctivitis of ibex, chamois and other Caprinae
2002
[41]
논문
Factors influencing gastrointestinal parasites in a colony of Alpine ibex (''Capra ibex'') interacting with domestic ruminants
2021
[42]
논문
Eine dreijährige Untersuchung der Labmagen-Helminthenfauna beim Alpensteinbock (Capra i. ibex) der Kolonie Albris, Graubünden, Schweiz
1995
[43]
논문
Lungworms in Alpine ibex (''Capra ibex'') in the eastern Alps, Italy: An ecological approach
2015
[44]
논문
Patologia Cardiaca Del Camoscio (Rupicapra Rupicapra) E Dello Stambecco (Capra Ibex) Nel Parco Nazionale Gran Paradiso
https://vetjournal.i[...]
2023-12-21
[45]
논문
Recovery of Alpine ibex from near extinction: the result of effective protection, captive breeding, and reintroductions
1991
[46]
서적
Nature's Strongholds: The World's Great Wildlife Reserv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47]
서적
A Monastery for the Ibex: Conservation, State, and Conflict on the Gran Paradiso 1919–1949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21
[48]
서적
Nature and History in Modern Italy
Ohio University Press
2010
[49]
논문
A strong genetic footprint of the re-introduction history of Alpine ibex (''Capra ibex ibex'')
2009
[50]
논문
Purging of highly deleterious mutations through severe bottlenecks in Alpine ibex
2020
[51]
논문
Alpine ibex ''Capra ibex ibex'' x domestic goat ''C. aegagrus domestica'' hybrids in a restricted area of southern Switzerland
2004
[52]
논문
Heterozygosity–fitness correlation at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despite low variation in Alpine ibex (''Capra ibex'')
2017
[53]
논문
Estimating disease prevalence and temporal dynamics using biased capture serological data in a wildlife reservoir: The example of brucellosis in Alpine ibex (''Capra ibex'')
2021
[54]
웹사이트
steinbock
https://www.merriam-[...]
2024-01-07
[55]
논문
The names of southwestern European goats: is Iberian ibex the best common name for ''Capra pyrenaica''?
2021
[56]
웹사이트
Ibex Images from the Magdalenian Culture
https://paleoanthro.[...]
2023-12-19
[57]
논문
The ibex and chamois in ancient medicine
1944
[58]
논문
Symbolic species as a cultural ecosystem service in the European Alps: insights and open issues
2018
[59]
뉴스
ダムの絶壁登るヤギの親子、伊アルプス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4-09-25
[60]
뉴스
アルプスの野生動物
http://www.swissworl[...]
プレゼンス・スイス
[61]
간행물
Capra ibex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