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화부인은 남조 진나라 선제의 딸로, 수나라 문제의 후궁이 되었다. 진나라 멸망 후 수나라에 들어가 독고황후의 질투로 총애받지 못하다가 독고황후 사후 선화부인으로 책봉되었으며, 수 문제 사후 양제의 후궁이 되었다. 양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대업 원년(605년)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선화부인 | |
---|---|
인물 정보 | |
이름 | 진씨 (陳氏) |
시호 | 선화부인 (宣華夫人) |
생몰년 | 577년 ~ 605년 |
출생지 | 오흥군 (吳興郡) |
사망지 | 낙양 (洛陽) |
성씨 | 진씨 (陳氏) |
가계 | |
아버지 | 진숙견 (陳叔堅) |
남편 | 수 문제 (隋文帝) |
주요 정보 | |
봉호 | 부인 (夫人) |
시대 | 수나라 (隋朝) |
2. 생애
선화부인은 577년 선제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시비(施姬)였다. 진의 닝위안 공주로 태어났지만, 북주에 의해 북제가 멸망하면서 진은 북제 영토 정복으로 얻은 많은 이익을 잃었다.
582년, 선제가 사망하고 이복 오빠인 진 숙보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수 문제에게 항복하여 진나라는 멸망했다. 닝위안 공주를 포함한 진 숙보와 그의 가족은 수나라 수도로 호송되었다.[2][3][4]
수나라 궁중에 들어간 후, 선화부인이 되었으며 수 문제의 후궁이 되었지만, 독고황후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황제와 관계를 맺지 못했다. 독고황후가 죽은 후, 수 문제는 선화부인과 채부인을 총애했다.
604년, 문제가 병들자 양광(훗날의 수 양제)이 선화부인을 겁탈하려 했다. 선화부인은 이 사건을 문제에게 보고했고, 그는 분노하여 양광을 태자 자리에서 폐하려 했다. 양광은 양소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살해하고, 선화부인을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5]
수나라는 당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2. 1. 진나라 공주 시절
진씨는 진 선제의 딸로, 시희(施姬) 소생이다. 어머니 시희는 장안 출신으로 시지펑(施績封)의 딸이며, 시싱왕(始興王)이었다.[1] 진씨는 닝위안 공주(寧遠公主)로 봉해졌으며, 총명하고 아름다운 외모로 유명했다.[1]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형제로는 임하왕 진숙오, 원릉왕 진숙흥 등이 있었다.[1]582년, 닝위안 공주가 다섯 살이 되던 해에 선제가 사망했고, 왕위는 이복 오빠인 진 숙보가 계승했다.[2] 589년 2월 10일, 진 숙보는 수 문제에게 항복하여 진나라가 멸망했다.[3][4] 이때 닝위안 공주를 포함한 진 숙보와 그의 가족은 수나라 수도로 호송되었다.[2]
2. 2. 수나라 후궁 시절
수나라 궁중에 들어간 진씨는 수 문제의 후궁이 되었으나, 독고황후의 질투심 때문에 가까이 할 수 없었다. 독고황후는 남편인 수문제가 다른 후궁은 물론이고, 아들과 신하들까지 첩을 두는 것을 싫어했다.[5] 독고황후가 죽은 뒤, 수 문제는 진씨를 선화부인(宣華夫人)으로 책봉하고 총애하였다. 양광(훗날의 수 양제)이 황태자가 되는 과정에서 진씨에게 금은보화를 보내어 도움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5]2. 3. 문제의 죽음과 양제의 즉위
604년, 문제가 병석에 눕자 양제가 선화부인을 겁탈하려 했다는 기록이 있다.[6][5] 문제는 이 소식을 듣고 분노하여 양광을 폐위하려 했으나, 양광이 양소 등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살해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5]『자치통감』의 기록에 따르면, 문제가 인수궁(仁寿宮)에서 병석에 누웠을 때 진씨와 태자 양광이 문제를 보살폈다.[6] 진씨가 옷을 갈아입으러 간 틈을 타 양광이 관계를 요구했으나, 진씨는 이를 거부하고 문제에게로 도망쳐 돌아갔다. 문제가 무슨 일이냐고 묻자, 진씨는 양광의 무례함을 호소했다. 문제는 "짐승 같은 놈, 어찌 대사를 맡길 수 있겠는가. 독고, 과연 나를 속였구나"라며 격노했다. 문제는 병부상서 유술과 황문시랑 원엄을 불러 폐태자 양용을 소환하라고 명했다. 유술과 원엄이 이 사실을 양소에게 알리자, 양소는 양광에게 보고했다. 양광은 장형을 침전에 파견하여 진씨와 후궁에서 간병하는 사람들을 별실로 옮기게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문제가 사망했으나, 상(喪)은 발표되지 않았다. 진씨와 후궁 사람들은 사변을 감지하고 전율했다. 해 질 녘, 양광에게서 온 사자가 합봉된 봉투를 진씨에게 보냈는데, 진씨는 짐독이 아닐까 두려워 열어보지 못했다. 사자의 재촉에 마지못해 열어보니, 그 안에는 동심결(사랑의 징표) 여러 개가 들어 있었다. 궁인들은 "죽음을 면했다"며 기뻐했지만, 진씨는 화를 내며 자리를 떠났고, 예를 표하지도 않았다. 궁인들은 사자에게 답례를 하라고 진씨를 몰아세웠다. 그날 밤, 양광과 진씨는 관계를 맺었다.[6] 문제 사후, 양광은 선화부인을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5]
2. 4. 양제와의 관계와 죽음
양제가 즉위하자 선화부인은 진귀비(陳貴妃)로 책봉되었다.[5] 그러나 후궁이 된 지 1년 만에 29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 양제는 그녀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며 「신상부(神傷賦)」를 지어 애도했다고 전해진다.3. 가계
寧遠公主|닝위안 공주중국어는 선제와 그의 후궁 시희(施姬, 551–609) 사이에서 태어났다. 시희는 장안 출신으로 시지펑(施績封)의 딸이자 시싱왕(始興王)이었다.[1] 선제에게는 닝위안 공주 외에도 수아오(임하왕)와 진숙행(완릉왕) 두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훗날 수나라에서 관료가 되었다.[1]
4. 평가 및 의혹
선화부인에 대해서는 문제의 죽음에 양광과 함께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5]
4. 1. 부정적 평가 및 의혹
문제의 죽음에 양광과 함께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5]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6. 기타
참조
[1]
서적
Book of Sui
[2]
문서
大業略記
[3]
문서
資治通鑒
[4]
문서
隋炀帝杨广“因色弑父”这种说法被诸多近现代史学家质疑,仁寿宫变也成为千古疑案。
[5]
서적
Book of Sui 卷三十六 列传第一
[6]
서적
대륙에 서다
미지북스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