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첩은 성벽이나 요새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어 시설로, 틈새(여장)와 틈새 사이의 벽(치)으로 구성된다.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그리스, 중국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중세 유럽의 성곽 건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성첩 설치에 왕의 허가가 필요했고, 영주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성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이슬람,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에서도 독특한 양식으로 나타났다. 성첩의 구조와 기능은 방어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으며, 구멍뚫린 덧문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벽 - 병풍
    병풍은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장식, 칸막이, 바람막이 등으로 사용되며, 그림으로 장식되어 예술 작품으로도 여겨지고, 한국, 일본 등 각국에서 고유한 형태로 발전하여 현재까지도 다양한 문화 행사에 활용된다.
  • 유형별 벽 - 내력벽
    내력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탱하여 기초 구조로 전달하는 벽의 구조 요소로, 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벽돌 등이 주요 재료로 사용되며 건물의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성관건축 - 성곽
    성곽은 요새화된 장소의 방어를 위해 구축된 구조물로, 시대에 따라 흙, 돌, 벽돌, 두꺼운 벽 등의 재료와 형태를 달리하며 군사 기술과 건축 양식의 발전을 보여준다.
  • 성관건축 - 덴슈
    덴슈는 일본 성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군사적 요새이자 성주의 권위를 나타내며 다양한 형식과 분류를 가지며, 방어성과 장식성을 갖추고 전쟁 시 사령탑 역할을 하였고, 메이지 시대 이후 중단되었다가 쇼와 시대 이후 재건되기도 한다.
성첩
구조적 특징
성가퀴의 부분
성가퀴의 부분
정의간격을 두고 들여쓰기가 있는 흉벽
다른 이름Crenellated (크렌엘레이티드)
Castellated (카스텔레이티드)
Embattled (엠배틀드)
프랑스어Créneau (크레노)

2. 어원

"성첩"이라는 용어는 약 14세기경 고대 프랑스어 단어 ''batailler|바타이예fro''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batailles(batailles|바타이유fro; 고정식 또는 이동식 포탑)"로 요새화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crenel"(총안 사이의 돌출부)이라는 단어는 고대 프랑스어 ''cren|크렌fro''(현대 프랑스어 ''cran|크랑fra'')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crena|크레나lat''에서 유래했다. 이는 홈, 장부 또는 다른 틈새, 즉 다른 요소나 고정을 받기 위해 잘라낸 부분을 의미한다. 크레넬에 해당하는 현대 프랑스어 단어는 ''créneau|크레노fra''인데, 이 단어는 두 대의 자동차 사이의 길가 주차 공간, 행진하는 군대 그룹 간의 간격, 방송 시간대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틈새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3. 역사

성첩, 특히 성벽 위 방어 구조물인 성가퀴는 수천 년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중요한 군사 건축 요소이다. 그 기원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시리아, 고대 그리스, 중국 등 여러 고대 문명에서 성벽 방어 시설로 활용되었다. 이후 중세 유럽에서 성곽 건축이 발달하며 더욱 널리 사용되었고, 각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3. 1. 고대

성가퀴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성가퀴의 예는 고대 이집트의 부헨 요새에서 발견된다. 아시리아에서도 도시를 둘러싼 성벽에 성가퀴를 사용했으며, 이는 님루드 등에서 발견된 ''부조''에 잘 묘사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미케네 문명 유적에서도 성가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고대 그리스의 꽃병 그림에서도 성가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만리장성에도 성가퀴가 설치되어 있다.

3. 2. 중세 유럽

중세 잉글랜드웨일스에서는 성을 쌓거나 고쳐 방어 시설을 강화하려면 국왕의 허가가 필요했는데, 이를 '성첩 허가'라고 한다. 이러한 허가는 국왕뿐만 아니라, 자신의 영지 내에서는 팔라티네 백작령의 통치자들(예: 더럼 주교, 체스터 백작, 1351년 이후 랭커스터 공작)도 부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잉글랜드에 존재했던 성의 수는 성첩 허가를 받은 수보다 훨씬 많았다. 허가 없이 성벽을 쌓은 사람은 임의로 정해진 벌금을 내면 왕의 사면을 받을 수 있었다. 성첩 허가는 보통 특허장 형태로 발급되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허가 기록들은 옛 건물의 건축 연대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12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잉글랜드 왕실에서 발급한 허가 목록은 터너와 파커가 정리했고, 필립 데이비스가 이를 보완하여 ''The Castle Studies Group Journal''에 발표했다.

성첩 허가의 목적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 과거 군사 중심의 역사가들은 왕실 군대에 대항할 수 있는 요새의 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찰스 콜슨과 같은 현대 학자들은 성첩이 사회적으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갖고 싶어 했던 건축적 지위의 상징이었다고 주장한다. 콜슨에 따르면, "성첩 허가는 주로 영주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이었으며, 성벽은 고귀한 신분의 건축적 표현이었다." 즉, 성첩 허가는 허가를 받은 사람이 "왕의 인정, 승인, 칭찬"을 받았음을 보여주는 표시였다는 것이다. 물론 성벽은 떠돌이 도둑 무리를 막는 기본적인 역할도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마치 오늘날 주택 소유자들이 실제 작동하지 않더라도 눈에 잘 띄는 CCTV나 방범 장치를 설치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왕실은 일반적으로 허가를 내주는 데 비용을 받지 않았지만, 때로는 약 0.5 마르크 정도의 수수료를 받기도 했다.

예루살렘 다윗 탑의 성첩. 팔레스타인 지역의 맘루크 왕조와 오스만 제국 시대 양식을 보여준다.


중세 시대 유럽 성첩의 여장(crenel, 성벽 위에서 움푹 들어간 부분)은 보통 치(merlon, 성벽 위에서 튀어나온 부분) 너비의 3분의 1 정도였다. 치에는 활이나 석궁 등 사용하는 무기에 맞춰 동그란 모양부터 십자 모양까지 다양한 형태의 사격구가 뚫려 있었다. 후기에는 최초의 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격구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13세기부터는 치 사이에 나무 덮개(방패라고도 불림)를 달아 닫으면 방어력을 높일 수 있었다. 이 덮개는 병사가 적을 향해 사격할 때는 열고, 무기를 재장전할 때는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탈리아 그라다라 성(13-14세기). 외벽과 탑 꼭대기에 V자형 홈(기벨린식)이 있는 치성이 보인다.


이탈리아의 성벽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었다. 이탈리아의 치성은 높이가 훨씬 높고 눈에 띄는 덮개를 갖추고 있었다. 특히 이탈리아 군사 건축가들은 치성 꼭대기에 V자 모양의 홈을 파낸 형태를 사용했는데, 이를 기벨린(Ghibelline) 또는 '제비 꼬리' 모양 성벽이라고 부른다. 이 V자 홈 덕분에 방어자는 몸을 완전히 편 상태에서도 보호받으며 사격할 수 있었다. 반면, 일반적인 사각형 모양의 치성은 나중에 구엘프(Guelph)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3. 3. 중세 이후

쿰발가르 요새의 인도식 성벽


많은 남아시아의 성벽은 독특한 모양의 치와 복잡한 형태의 총안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지역의 성벽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3] 전형적인 인도식 치는 반원형이며 꼭대기가 뾰족한 형태이지만, 때로는 실제 방어 기능이 없는 장식적인 경우도 있었다. 성벽은 견고하게 지어졌으며, 치토르가르 요새처럼 치가 성벽 외부에 돋을새김(부조)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총안은 치 자체와 성가퀴 아래 모두 설치될 수 있었다. 이 총안들은 멀리 있는 적을 공격하기 위해 앞쪽을 향하거나, 성벽 바로 아래의 적을 공격하기 위해 아래쪽을 향하기도 했다. 때로는 하나의 치에 두세 개의 총안이 뚫려 있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총안을 수평 또는 수직 칸막이로 나누어 두세 개의 틈을 만드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쿰발가르 요새에서 볼 수 있듯이, 총안과 치의 모양이 요새 전체에서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았다.[3]

이슬람과 아프리카 요새에서, 치상(merlon)은 종종 둥근 형태를 띠었다. 아랍의 성가퀴는 더욱 장식적이고 다양한 특징을 지녔으며, 13세기부터 방어 목적보다는 벽의 장식적 특징으로 지속되었다. 이는 크레스팅이 스페인 르네상스 건축에서 하는 역할과 유사하다.

"아일랜드식" 성가퀴(crenellations)는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아일랜드에서 나타난 독특한 형태이다. 이것은 "계단식" 형태의 성가퀴로, 각 치(merlon)는 거꾸로 된 'T'자 모양을 하고 있다.[4][5][6][7][8]

4. 구조 및 기능



중세 시대 유럽의 성첩에서 총안(crenel)은 일반적으로 치(merlon) 폭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 치(merlon)에는 사용되는 무기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사격구가 만들어졌는데, 단순한 원형부터 십자형까지 다양했다. 후기에는 치(merlon)에 초기 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격구가 설계되기도 했다. 13세기부터는 치(merlon) 사이에 나무 덮개(방패라고도 함)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방어력을 확보하기도 했다. 이 덮개는 사수가 공격자를 향해 사격할 때는 열고, 재장전할 때는 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4. 1. 구멍뚫린 덧문 (마시쿨리)

성가퀴는 아래 벽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때 지지하는 구조물인 내어쌓기 사이의 바닥 부분에 구멍을 내는데, 이 구멍을 통해 돌이나 불타는 물체 등을 성벽 아래의 공격자나 포위 중인 적에게 떨어뜨릴 수 있다. 이것을 구멍뚫린 덧문이라고 한다.

참조

[1] 서적 The Architecture of Ancient Israel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92
[2] 서적 Larousse Dictionnaire Lexis de la Langue Française Collins French Dictionary Robert 1979
[3] 서적 Indian Castles 1206–1526: The Rise and Fall of the Delhi Sultanat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
[4] 웹사이트 Irish tower houses - Roaringwater Journal https://roaringwater[...]
[5] 간행물 ' Indeed a town of castles'; the castles of Limerick city http://www.limerickc[...] 2011
[6] 서적 Ireland in the Virginian Sea: Colonialism in the British Atlantic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018-11-12
[7] 웹사이트 Irish castles - Roaringwater Journal https://roaringwater[...]
[8] 웹사이트 Clara Castle, Kilkenny http://www.megalithi[...] 2019-08-21
[9] 서적 歴史的古城を読み解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