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자 체스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1927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되는 체스 대회로, 초대 챔피언은 베라 멘치크였다. 대회는 토너먼트, 매치, 녹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소련 선수들의 강세 이후 중국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주요 챔피언으로는 멘치크, 노나 가프린다슈빌리,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셰쥔, 쥐원쥔 등이 있으며, 쥐원쥔은 2023년 대회에서 우승하여 현재 챔피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라이더 컵
라이더 컵은 미국과 유럽 팀 간의 골프 대항전으로, 1927년 시작되어 2년마다 매치 플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승리 팀에게 트로피가 수여된다. - 192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스누커 선수권 대회
세계 스누커 선수권 대회는 1927년 프로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여러 시대를 거쳐 현재의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1977년부터 셰필드의 크루시블 극장에서 개최되어 스누커 역사상 가장 권위 있는 토너먼트로 인정받고 있다. -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2013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마그누스 칼센이 비스와나탄 아난드를 꺾고 세계 챔피언이 된 체스 경기로, 칼센의 혁신적인 전략과 심리적 우위가 돋보인 대회이다. -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세계 주니어 체스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체스 선수권 대회는 20세 미만의 체스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체스 대회이며, 1951년부터 매년 개최되어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세계 여자 체스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체스 |
참가 자격 | 여성 |
주최 | 세계 체스 연맹 (FIDE) |
첫 대회 | 1927년 |
최근 대회 | 2023년 (최종) |
최다 우승자 | 베라 멘치크 (2회) |
현 챔피언 | 쥐원쥔 |
역사 | |
창설 | 1927년 |
초기 | 1927년부터 1939년까지는 대회 우승자가 챔피언이었다. 베라 멘치크는 초대 챔피언이었으며, 1944년에 사망할 때까지 타이틀을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새로운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해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1950년부터 1991년까지는 3년마다 토너먼트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1991년 이후에는 녹아웃 토너먼트와 매치 플레이 방식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
FIDE 통제 | 1950년, 세계 체스 연맹 (FIDE)이 선수권 대회를 관할하게 되었다. FIDE는 3년 주기로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
챔피언 결정 방식 변화 | 1991년 이후, 녹아웃 토너먼트와 매치 플레이 방식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는 챔피언이 녹아웃 이벤트에 참가하여 타이틀을 방어해야 했다. |
선수권 대회 주기 변화 | 2010년부터는 매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격년으로는 녹아웃 토너먼트가, 다른 해에는 챔피언십 매치가 개최되었다. |
챔피언십 매치 | 챔피언십 매치는 2년마다 개최되었다. 챔피언십 매치는 FIDE 여자 그랑프리 시리즈의 우승자와 녹아웃 선수권 대회의 우승자 간에 진행되었다. |
통일 챔피언십 | 2018년, 녹아웃 토너먼트가 다시 도입되어 챔피언십이 통일되었다. |
역대 챔피언 | |
1927 - 1944 | 베라 멘치크 |
1950 - 1953 | 류드밀라 루덴코 |
1953 - 1956 | 엘리자베타 비코바 |
1956 - 1958 | 올가 루브초바 |
1958 - 1962 | 엘리자베타 비코바 |
1962 - 1978 | 노나 가프린다슈빌리 |
1978 - 1991 | 마야 치부르다니제 |
1991 - 1996 | 셰쥔 |
1996 - 1999 | 수잔 폴가 |
1999 - 2001 | 셰쥔 |
2001 - 2004 | 주천 |
2004 - 2006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2006 - 2008 | 쉬위화 |
2008 - 2010 |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
2010 - 2012 | 허우이판 |
2012 - 2013 | 안나 우셰니나 |
2013 - 2015 | 허우이판 |
2015 - 2017 | 마리야 무지추크 |
2017 - 2018 | 탄중이 |
2018 - 현재 | 쥐원쥔 |
2. 역사
초대 챔피언을 결정하는 대회는 1927년 체스 올림피아드와 병행하여 열렸으며, 베라 멘치크가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 세계 대전 후에는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 마찬가지로 예선 대회를 통과한 선수가 챔피언과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오랫동안 소련 선수들의 독주가 이어졌으나,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중국의 셰쥔이 첫 우승을 차지하면서 중국 선수와 동유럽 선수들의 경쟁 구도가 되었다.
역대 챔피언은 다음과 같다.
순번 | 이름 | 국적 | 재임 기간 |
---|---|---|---|
1 | 베라 멘치크 | 소련 | 1927년–1944년 |
2 | 류드밀라 루덴코 | 소련 | 1950년–1953년 |
3 | 엘리자베타 비코바 | 소련 | 1953년–1956년 |
4 | 올가 룹초바 | 소련 | 1956년–1958년 |
5 | 엘리자베타 비코바 | 소련 | 1958년–1962년 |
6 | 노나 가프린다슈빌리 | 소련 | 1962년–1978년 |
7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소련 | 1978년–1991년 |
8 | 셰쥔 | 중국 | 1991년–1996년 |
9 | 수잔 폴가 | 헝가리 | 1996년–1999년 |
10 | 셰쥔 | 중국 | 1999년–2001년 |
11 | 주천 | 중국 | 2001년–2004년 |
12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불가리아 | 2004년–2006년 |
13 | 쉬위화 | 중국 | 2006년–2008년 |
14 | 알렉산드라 코스테뉴크 | 러시아 | 2008년–2010년 |
15 | 허우이판 | 중국 | 2010년–2012년 |
16 | 안나 우셰니나 | 우크라이나 | 2012년–2013년 |
17 | 허우이판 | 중국 | 2013년-2015년 |
18 | 마리야 무지추크 | 우크라이나 | 2015년-2016년 |
19 | 허우이판 | 중국 | 2016년-2017년 |
20 | 탄중이 | 중국 | 2017년-2018년 |
21 | 쥐원쥔 | 중국 | 2018년- |
2. 1. 초기 역사 (1927년 ~ 1944년)
FIDE는 1927년에 세계 여자 체스 선수권 대회를 창설했다. 첫 챔피언을 결정하는 대회는 같은 해 체스 올림피아드와 함께 열렸으며, 베라 멘치크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1] 멘치크는 사망할 때까지 챔피언 자리를 지켰으며, 총 7번 타이틀을 방어했다.[1]멘치크 재임 기간 동안 세계 선수권 대회는 주로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도전자 시스템을 사용한 남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는 다른 방식이었다. 유일한 예외는 멘치크와 소냐 그라프 사이의 1937년 매치였는데, 이는 FIDE의 공식 인정을 받았다.[1]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는 체스 올림피아드와 함께 개최되었기 때문에, 도전자 선정 방식에 따라 불규칙하게 개최되었던 남자 세계 선수권 대회보다 더 정기적으로 열렸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 마찬가지로 예선 대회를 통과한 선수가 챔피언과 대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오랫동안 소련 선수들이 독주했으나,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중국의 시에준이 우승하면서 중국 선수와 동유럽 선수 간의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1]
2. 2. 소련 시대 (1950년 ~ 1991년)
베라 멘치크가 V-1 비행 폭탄에 의해 사망한 후, 1949~50년에 열린 대회에서 류드밀라 루덴코가 우승하며 다음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현 챔피언과 대결할 도전자를 선발하기 위한 후보자 토너먼트(이후에는 인터조날) 사이클이 도입되었다.첫 번째 후보자 토너먼트는 1952년 모스크바에서 열렸고, 엘리자베타 비코바가 우승하여 루덴코를 꺾고 세 번째 챔피언이 되었다. 올가 룹초바가 다음 후보자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지만, FIDE는 비코바와 직접 대결하는 대신 세계 3위 선수 간의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룹초바는 1956년 모스크바에서 비코바를 0.5점 차로 꺾고 우승했고, 비코바는 루덴코보다 5점 앞서 2위를 차지했다. 비코바는 1958년에 타이틀을 되찾았고, 1959년 후보자 토너먼트 우승자인 키라 즈보리키나를 상대로 방어했다.
1961년 브르냐츠카 바냐에서 열린 네 번째 후보자 토너먼트에서는 조지아 출신의 노나 가프린다쉬빌리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그녀는 1962년 모스크바에서 비코바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 가프린다쉬빌리는 1965년 리가와 1969년 트빌리시/모스크바에서 러시아 출신 알라 쿠쉬니르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2년 FIDE는 여자 선수권 대회에도 종합 선수권 대회와 동일한 시스템을 도입했다. 인터조날 토너먼트 시리즈에 이어 후보자 매치가 열렸다. 쿠쉬니르는 다시 우승했지만, 1972년 리가에서 가프린다쉬빌리에게 패했다. 가프린다쉬빌리는 1975년 피춘다/트빌리시에서 조지아 출신 나나 알렉산드리아를 상대로 마지막으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6~1978년 후보자 사이클에서 17세의 조지아 출신 마야 치부르다니제가 떠올라, 나나 알렉산드리아, 엘레나 아흐밀로프스카야, 알라 쿠쉬니르를 꺾고 1978년 트빌리시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가프린다쉬빌리와 대결했다. 치부르다니제는 가프린다쉬빌리를 꺾고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치부르다니제는 1981년 보르조미/트빌리시에서 알렉산드리아를 상대로, 1984년 볼고그라드에서 이리나 레비티나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이후 FIDE는 후보자 토너먼트 시스템을 재도입했다. 앞서 후보자 매치에서 치부르다니제에게 패했던 아흐밀로프스카야는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지만, 1986년 소피아에서 치부르다니제에게 패했다. 치부르다니제의 마지막 타이틀 방어전은 1988년 텔라비에서 나나 이오셀리아니를 상대로 치러졌다.
2. 3. 소련 붕괴 이후 (1991년 ~ 현재)
셰쥔이 1991년 마닐라에서 마이아 치부르다니제를 꺾고 우승하면서 여자 체스 부문에서 41년간 지속된 소련의 지배가 막을 내렸다.[1] 이 시기에 주디트 폴가르를 포함한 폴가르 자매들이 강력한 선수로 부상했지만, 이들은 여자 선수권 대회 대신 오픈 대회에 주로 참가했다.수잔 폴가르는 1996년 하엔에서 열린 선수권 대회에서 셰쥔을 꺾고 우승했다. 1999년에는 알리사 갈리아모바와 셰쥔의 경기가 카잔, 타타르스탄 및 중국 선양에서 열렸고, 셰쥔이 승리했다.
2000년부터 녹아웃 방식의 새로운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 형식이 도입되었고, 셰쥔이 우승했다. 2001년에는 주천이 우승했다. 2004년에는 칼미크 공화국의 수도 엘리스타에서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가 챔피언이 되었다. 2006년에는 임신 중이었던 쉬유화가 우승했다.
2008년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가 결승에서 후이판을 꺾고 우승했다. 2010년에는 후이판이 16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여자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2010년부터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격년으로 번갈아 가며 개최되었다. 짝수 해에는 64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 홀수 해에는 두 명의 선수만 참가하는 클래식 매치가 개최되었다.[1] 2011년 호우 이판은 코네루 훔피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2012년 안나 우셰니나가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를 꺾고 우승했다. 2013년 호우 이판은 안나 우셰니나를 꺾고 타이틀을 되찾았다. 2015년 마리야 무지추크가 나탈리아 포고니나를 꺾고 우승했다. 2016년 호우 이판은 마리야 무지추크를 꺾고 통산 4번째 챔피언십을 달성했다.
2017년 탄중이가 안나 무지추크를 꺾고 타이틀을 차지했다. 2018년 쥐원쥔이 탄중이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
3. 역대 챔피언
이름 | 연도 | 국적 |
---|---|---|
베라 멘치크 | 1927–1944 | 체코슬로바키아영어, 잉글랜드영어 |
류드밀라 루덴코 | 1950–1953 | 소련ru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엘리사베스 비코바 | 1953–1956 | 소련ru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올가 루브츠바 | 1956–1958 | 소련ru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엘리사베스 비코바 | 1958–1962 | 소련ru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노나 가프린다시빌리 | 1962–1978 | 소련ru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마야 치부르다니체 | 1978–1991 | 소련ru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셰쥔 | 1991–1996 | 중국중국어 |
수산 폴거 | 1996–1999 | 헝가리hu |
셰쥔 | 1999–2001 | 중국중국어 |
주첸 | 2001–2004 | 중국중국어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2004–2006 | 불가리아bg |
쉬유화 | 2006–2008 | 중국중국어 |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 2008–2010 | 러시아ru |
호우이판 | 2010–2012 | 중국중국어 |
안나 우셰니나 | 2012–2013 | 우크라이나uk |
호우이판 | 2013–2015 | 중국중국어 |
마리야 무지추크 | 2015–2016 | 우크라이나uk |
호우이판 | 2016–2017 | 중국중국어 |
탄중이 | 2017–2018 | 중국중국어 |
쥐원쥔 | 2018–현재 | 중국중국어 |
4. 대회 방식
세계 여자 체스 선수권 대회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1927년 국제 체스 연맹(FIDE)이 대회를 창설했을 때는 체스 올림피아드와 함께 열리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이었으며, 베라 멘치크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멘치크는 1944년 사망할 때까지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 멘치크 사후, 1949~50년에 열린 리그전에서 류드밀라 루덴코가 우승했다. 이후에는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 유사하게, 예선 통과자가 챔피언과 대결하는 매치 방식이 도입되었다.
- 2000년부터는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이 도입되어 셰쥔, 주천,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쉬유화,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후이판 등이 우승했다.
- 2010년부터는 짝수 해에는 녹아웃 토너먼트, 홀수 해에는 챔피언-도전자 간 매치를 번갈아 개최하는 혼합 방식이 사용되었다.
- 2019년부터는 다시 매치 방식으로 복귀하여, 챔피언이 2년마다 도전자와 경기를 치르는 현재 방식[5]이 되었다.
연도 | 개최국 | 개최 도시 | 여자 세계 챔피언 | 준우승자 | 승 | 패 | 무 | 형식 |
---|---|---|---|---|---|---|---|---|
토너먼트 형식 (1927–1944) | ||||||||
1927 | 런던 | 베라 멘치크 | 카타리나 베스코프 | 10 | 0 | 1 | RR (12명) | |
1930 | 함부르크 | 베라 멘치크 | 파울라 볼프-칼마르 | 6 | 1 | 1 | 더블 RR (5명) | |
1931 | 프라하 | 베라 멘치크 | 파울라 볼프-칼마르 | 8 | 0 | 0 | ||
1933 | 폴크스톤 | 베라 멘치크 | 에디스 샬롯 프라이스 | 14 | 0 | 0 | 더블 RR (8명) | |
1935 | 바르샤바 | 베라 멘치크 | 레지나 게르레카 | 9 | 0 | 0 | RR (10명) | |
1937년 7월 | 젬머링 | 베라 멘치크 | 손야 그라프 | 9 | 2 | 5 | 16경기 매치 | |
1937년 8월 | 스톡홀름 | 베라 멘치크 | 클라리체 베니니 | 14 | 0 | 0 | 스위스 시스템 (26명) | |
1939 | 부에노스 아이레스 | 베라 멘치크 | 손야 그라프 | 17 | 0 | 2 | RR (20명) | |
멘치크는 1944년 여자 세계 챔피언으로 사망했다. | ||||||||
과도기 (1944–1950) | ||||||||
매치 형식 (1950–1999) | ||||||||
1950 | 모스크바 | 류드밀라 루덴코 | 올가 룹초바 | 9 | 5 | 1 | RR (16명) | |
1953 | 모스크바 | 엘리자베타 비코바 | 류드밀라 루덴코 | 7 | 5 | 2 | 14경기 매치 | |
1956 | 모스크바 | 올가 룹초바 | 엘리자베타 비코바 | 7 | 6 | 3 | 팔중 RR (3명) | |
1958 | 모스크바 | 엘리자베타 비코바 | 올가 룹초바 | 7 | 4 | 3 | 16경기 매치 | |
1959 | 모스크바 | 엘리자베타 비코바 | 키라 즈보리키나 | 6 | 2 | 5 | ||
1962 | 모스크바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엘리자베타 비코바 | 7 | 0 | 4 | ||
1965 | 리가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알라 쿠쉬니르 | 7 | 3 | 3 | ||
1969 | 트빌리시 모스크바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알라 쿠쉬니르 | 6 | 2 | 5 | ||
1972 | 리가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알라 쿠쉬니르 | 5 | 4 | 7 | ||
1975 | 피춘다 트빌리시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나나 알렉산드리아 | 8 | 3 | 1 | ||
1978 | 트빌리시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노나 가프린다쉬빌리 | 4 | 2 | 9 | ||
1981 | 보르조미 트빌리시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나나 알렉산드리아 | 4 | 4 | 8 | ||
1984 | 볼고그라드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이리나 레비티나 | 5 | 2 | 7 | ||
1986 | 소피아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엘레나 아크밀로브스카야 | 4 | 1 | 9 | ||
1988 | 텔라비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나나 이오셀리아니 | 3 | 2 | 11 | ||
1991 | 마닐라 | 셰쥔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4 | 2 | 9 | ||
1993 | 모나코 | 셰쥔 | 나나 이오셀리아니 | 7 | 1 | 3 | ||
1996 | 하엔 | 수잔 폴가르 | 셰쥔 | 6 | 2 | 5 | ||
폴가르는 1999년 몰수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 ||||||||
1999 | 카잔 선양 | 셰쥔 | 알리사 갈리아모바 | 5 | 3 | 7 | ||
녹아웃 형식 (2000–2010) | ||||||||
2000 | 뉴델리 | 셰쥔 | 친 캉잉 | 1 | 0 | 3 | KO (64명) | |
2001 | 모스크바 | 주첸 |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 2+3 | 2+1 | 0 | ||
2004 | 엘리스타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예카테리나 코발레프스카야 | 2 | 0 | 1 | ||
2006 | 예카테린부르크 | 쉬위화 | 알리사 갈리아모바 | 2 | 0 | 1 | ||
2008 | 날치크 |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 후이판 | 1 | 0 | 3 | ||
2010 | 하타이 | 후이판 | 루안 루페이 | 1+2 | 1 | 2+2 | ||
번갈아 하는 형식 (2011–2018) | ||||||||
2011 | 티라나 | 후이판 | 코네루 후피 | 3 | 0 | 5 | 10경기 매치 | |
2012 | 한티만시스크 | 안나 우셰니나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1+1 | 1 | 2+1 | KO (64명) | |
2013 | 타이저우 | 후이판 | 안나 우셰니나 | 4 | 0 | 3 | 10경기 매치 | |
2015 | 소치 | 마리야 무지추크 | 나탈리아 포고니나 | 1 | 0 | 3 | KO (64명) | |
2016 | 리비우 | 후이판 | 마리야 무지추크 | 3 | 0 | 6 | 10경기 매치 | |
2017 | 테헤란 | 탄 중이 | 안나 무지추크 | 1+1 | 1 | 2+1 | KO (64명) | |
2018년 5월 | 상하이 충칭 | 쥐원쥔 | 탄 중이 | 3 | 2 | 5 | 10경기 매치 | |
2018년 11월 | 한티만시스크 | 쥐원쥔 | 카테리나 라그노 | 1+2 | 1 | 2+2 | KO (64명) | |
매치 형식 (2019–현재) | ||||||||
2020 | 상하이 블라디보스토크 | 쥐원쥔 | 알렉산드라 고랴치키나 | 3+1 | 3 | 6+3 | 12경기 매치 | |
2023 | 상하이 충칭 | 쥐원쥔 | 레이 팅지에 | 2 | 1 | 9 | ||
2025 | 쥐원쥔 vs. 탄 중이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style="text-align:center;"| |
참고: RR =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KO = 녹아웃 토너먼트
4. 1. 토너먼트 방식 (1927년 ~ 1944년, 일부 기간)
FIDE는 1927년 세계 여자 체스 선수권 대회를 창설했다. FIDE는 이미 관리하고 있던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를 설립하면 세계 선수권 대회를 장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체스 올림피아드의 부대 행사로 여자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개최했고, 토너먼트가 끝난 지 몇 주 후에 이 토너먼트의 우승자인 베라 멘치크를 초대 세계 여자 체스 챔피언으로 소급하여 선언하기로 결정했다.멘치크는 사망할 때까지 챔피언 자리를 유지하며 7번 더 타이틀을 방어했다. 멘치크의 통치 기간 동안 세계 선수권 대회는 주로 토너먼트 형식으로 치러졌는데, 이는 매치 형식과 챌린지 시스템을 사용한 절대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는 대조적이었다. 유일한 예외는 멘치크와 소냐 그라프 사이의 사적으로 조직된 1937년 매치였으며, 이는 FIDE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는 체스 올림피아드와 함께 계속 개최되었다. 결과적으로 챌린저가 있을 때마다 불규칙적으로 개최되었던 절대 세계 선수권 대회보다 더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다.
4. 2. 매치 방식 (1950년 ~ 1999년, 일부 기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와 마찬가지로, 예선 대회를 통과한 선수가 챔피언과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44년 베라 멘치크가 V-1 비행 폭탄에 의해 사망한 이후, 1949~50년에 열린 리그전에서 류드밀라 루덴코가 우승하며 다음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현 챔피언과 대결할 도전자 선발을 위한 후보자 토너먼트(이후에는 인터조날) 사이클이 도입되었다.첫 번째 후보자 토너먼트는 1952년 모스크바에서 열렸고, 엘리자베타 비코바가 우승하여 루덴코를 꺾고 세 번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올가 룹초바가 후보자 토너먼트에서 우승했지만, FIDE는 비코바와 직접 대결하는 대신 3위 선수 간의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여 룹초바가 우승했다. 비코바는 1958년에 타이틀을 되찾았고, 1959년 후보자 토너먼트 우승자인 키라 즈보리키나를 상대로 방어했다.
1961년 브르냐츠카 바냐에서 열린 네 번째 후보자 토너먼트에서는 노나 가프린다쉬빌리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1962년 모스크바에서 비코바를 완파하며 챔피언이 되었다. 가프린다쉬빌리는 알라 쿠쉬니르를 상대로 두 번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2년 FIDE는 여자 선수권 대회에도 인터조날 토너먼트와 후보자 매치 시스템을 도입했다. 쿠쉬니르는 다시 우승했지만, 가프린다쉬빌리에게 패했다. 가프린다쉬빌리는 1975년 나나 알렉산드리아를 상대로 마지막으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6~1978년 후보자 사이클에서 마야 치부르다니제가 떠올라 알렉산드리아, 엘레나 아흐밀로프스카야, 쿠쉬니르를 꺾고 1978년 결승전에서 가프린다쉬빌리를 꺾고 챔피언이 되었다. 치부르다니제는 알렉산드리아와 이리나 레비티나를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이후 FIDE는 후보자 토너먼트 시스템을 재도입했고, 아흐밀로프스카야가 우승했지만 치부르다니제에게 패했다. 치부르다니제의 마지막 타이틀 방어전은 1988년 나나 이오셀리아니를 상대로 치러졌다.
4. 3.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 (2000년 ~ 2010년, 일부 기간)
2000년, FIDE는 녹아웃 방식의 새로운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 형식을 도입했고, 이 대회에서 셰쥔이 우승했다. 2001년 대회에서는 주천이 우승했다. 2004년에는 칼미크 공화국 엘리스타에서 별도 토너먼트가 열려 불가리아의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가 챔피언이 되었다. 2006년에는 쉬유화가 우승하며 타이틀이 중국으로 돌아갔다. 2008년에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가, 2010년에는 중국의 후이판이 우승했다.[4]4. 4. 혼합 방식 (2011년 ~ 2018년)
2010년부터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짝수 해에는 64인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 홀수 해에는 챔피언과 도전자 간 매치를 번갈아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2011년 대회는 2010년 챔피언 호우 이판과 FIDE 여자 그랑프리 2009–2011 우승자 간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호우 이판이 그랑프리에서 우승했기 때문에 도전자로는 준우승자인 코네루 훔피가 결정되었다.[2] 호우 이판은 알바니아 티라나에서 열린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1에서 코네루 훔피를 상대로 10경기 중 3승 5무를 기록하며 타이틀을 방어했다.
호우 이판은 한티만시스크에서 열린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2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이 대회에서는 안나 우셰니나가 결승에서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를 꺾고 우승했다.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3은 안나 우셰니나와 FIDE 여자 그랑프리 2011–2012 우승자 호우 이판 간의 10경기 매치로 진행되었다. 호우 이판은 7경기 만에 5.5대 1.5로 승리하며 타이틀을 되찾았다.
호우 이판이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5에서 타이틀 방어를 거부한 후, 마리야 무지추크가 결승에서 나탈리아 포고니나를 꺾고 우승했다.
호우 이판은 2016년 3월 마리야 무지추크를 6–3으로 꺾고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6에서 우승하며 통산 4번째 챔피언십을 달성했다.
이듬해 탄 종이는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2017에서 안나 무지추크를 꺾고 타이틀을 차지했다.
탄 종이는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매치 2018에서 쥐 원쥔에게 타이틀을 내주었다.
4. 5. 현재 방식 (2019년 ~ 현재)
2010년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후이판이 우승한 후, 여자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다시 매치 방식으로 복귀했다. 챔피언은 2년마다 열리는 대회에서 도전자와 경기를 치른다. 챔피언이 FIDE 레이팅 목록에서 상위 도전자 중 한 명이라면, 도전자는 그 해의 FIDE 그랑프리 시리즈 우승자가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도전자는 그랑프리 준우승자가 된다.5. 주요 기록 및 통계
챔피언 | 우승 횟수 | 챔피언 재임 기간 (년) |
---|---|---|
베라 멘치크 | 8 | 17 |
노나 가프린다슈빌리 | 5 | 16 |
마이아 치부르다니제 | 5 | 13 |
셰쥔 | 4 | 7 |
쥐원쥔 | 4 | 6 |
호우이판 | 4 | 5 |
엘리자베타 비코바 | 3 | 7 |
류드밀라 루덴코 | 1 | 3 |
수잔 폴가 | 1 | 3 |
주천 | 1 | 3 |
올가 룹초바 | 1 | 2 |
안토아네타 스테파노바 | 1 | 2 |
쉬위화 | 1 | 2 |
알렉산드라 코스테니우크 | 1 | 2 |
안나 우셰니나 | 1 | 1 |
마리야 무지추크 | 1 | 1 |
탄중이 | 1 | 1 |
위 표는 여자 세계 체스 챔피언을 챔피언십 우승 횟수 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무승부로 끝난 경기라도 방어에 성공한 경우 우승으로 간주한다. 챔피언십 우승 횟수가 동일한 경우, 챔피언으로서의 재임 기간이 동점자 처리 기준으로 사용된다. 두 숫자 모두 같은 경우, 선수들은 세계 선수권 대회 첫 승리 연도(연대순)에 따라 나열된다.
참조
[1]
간행물
Regulations for the Women’s World Chess Championship Cycle
http://www.fide.com/[...]
FIDE
[2]
간행물
Regulations and Bidding Procedure for the Women's Grand-Prix 2009-2010
http://old.fide.com/[...]
FIDE
2008-07-30
[3]
간행물
FIDE General Assembly Agenda
https://www.fide.com[...]
[4]
웹사이트
A. Dvorkovich: Format of the Women's World Championship Cycle will be changed – Women's World Championship 2018
https://ugra2018.fid[...]
2018-10-13
[5]
웹사이트
FIDE World Championship Cycle
https://wcc.fide.com[...]
2024-02-02
[6]
간행물
Women's World Chess Championship Regulations
http://www.fide.com/[...]
FID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