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타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타이주는 튀르키예 최남단에 위치한 주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교차로였다. 아카드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등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특히 헬레니즘 시대에는 시리아 4대 도시가 위치한 중요한 지역이었다. 중세 시대에는 라시둔 칼리파국, 비잔티움 제국, 셀주크 제국 등을 거쳐 십자군 국가인 안티오크 공국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로 불렸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에 편입되었다가, 1930년대에 하타이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후 주민투표를 통해 1939년 터키에 합병되었고, 현재는 15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튀르키예어와 아랍어가 사용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타이주 - 안타키아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에 위치한 안타키아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수도이자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중심지였으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며 지진 피해 복구를 노력 중이다. - 하타이주 - 이스켄데룬
이스켄데룬은 튀르키예 하타이 주, 지중해 연안의 이스켄데룬 만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333년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건설되어 무역항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터키 최대 규모의 항구와 철강 회사가 위치한 산업 중심지이자 관광 산업 또한 발전하고 있다. - 시리아의 지리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시리아-튀르키예 관계 - 하타이 공화국
하타이 공화국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존재했던 독립 국가로, 터키의 지원을 받아 독립하여 터키식 개혁을 추진했으나, 국민 투표를 통해 터키에 합병되어 시리아와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하타이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타이 주 |
다른 이름 | Hatay ili |
로마자 표기 | Hatay ili |
아랍어 이름 | محافظة حطاي |
로마자 표기 (아랍어) | Muḥāfaẓat Ḥaṭāy |
위치 | 터키 최남단 |
서쪽 경계 | 지중해 |
남쪽 및 동쪽 경계 | 시리아 |
행정 | |
관할 국가 | 터키 |
유형 | 광역 주 |
주도 | 안타키아 |
주지사 | Mustafa Masatlı |
소속 정당 | AK Party |
시장 | Mehmet Öntürk |
면적 | |
총 면적 | 5524 km² |
면적 출처 | 터키 지도 총괄국 |
인구 | |
총 인구 | 1,686,043 명 |
인구 조사 년도 | 2022년 |
인구 출처 | TÜİK |
지역 번호 | |
지역 번호 | 0326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하타이 광역 시청 하타이 주청 |
기타 | |
명칭 유래 | 안타키아의 옛 이름 |
역사적 의미 | 과거 아프린 지역과 인접 |
관련 역사적 사건 | 1938년부터 1939년까지 하타이 국 존재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역사
청동기 시대 초기부터 사람이 살았던 하타이 지역은 아카드 제국, 야무하드, 미타니, 히타이트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현대 하타이 주의 이름은 신히타이트 민족들에게서 유래했다. 기원전 7세기부터는 아시리아인, 신바빌로니아 제국, 페르시아에게 차례로 지배를 받았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안티오크, 피에리아의 셀레우키아, 아파메아, 라오디케이아를 포함한 시리아 4대 도시가 이곳에 있었다. 기원전 64년 로마 제국에 편입된 후, 안티오크는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로 번성했다. 알랄라크, 텔 타이나트, 텔 주다이다, 안티오크 등 중요한 고고학 유적들이 남아있다.
638년 라시둔 칼리파국에 정복된 후,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6] 툴루니드 왕조가 잠시 통치했으나 압바스 왕조가 다시 복권되었다. 10세기부터 이 지역은 이크시드 왕조의 짧은 통치 이후 알레포를 근거지로 한 함다니드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969년 안티오크는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탈환되었다. 1078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필라레토스 브라카미오스에 의해 정복되었고, 안티오크에서 에데사까지 이르는 공국을 건설했다. 1084년에는 룸 술탄국의 술레이만 1세에게 점령당했다. 1086년에는 시리아 셀주크 왕조의 투투시 1세에게 넘어갔다. 셀주크의 지배는 1098년 제1차 십자군에 하타이가 함락될 때까지 14년간 지속되었고, 그 일부는 안티오크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동시에 하타이의 대부분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이 왕국은 이후 몽골 제국과 동맹을 맺고 1254년 안티오크 공국을 장악했다. 1268년 하타이는 몽골-아르메니아 동맹으로부터 맘루크 왕조에게 함락되었고, 이후 15세기 초 티무르에게 빼앗겼다.
1516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가 맘루크 왕조로부터 하타이를 점령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기, 하타이 지역은 알렉산드레타 산자크(주지사령)로 알려졌다. 1907년 출판된 거트루드 벨의 저서 『시리아: 사막과 경작지』에는 당시 이 지역의 터키인과 아랍인의 혼합이 심했음이 언급되어 있다.[7]
알렉산드레타는 전통적으로 시리아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1764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지도들이 이를 뒷받침한다.[7] 제1차 세계 대전 중, 무드로스 휴전 협정에 따라 하타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남았으나, 영국군이 점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터키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알렉산드레타는 터키에 포함되지 않고, 세브르 조약에 따라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에 편입되었다.[8]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하타이가 4000년 동안 터키의 고향이었다고 주장하며 터키 공동체의 권익 보호를 강조했다.[2] 1921년 10월 20일 앙카라 조약에 따라 알렉산드레타 지역은 자치권을 얻어 프랑스령 알렉산드레타 자치주가 되었고, 1923년에는 알레포 주에 편입되었다.[2] 1925년에는 특별 행정 지위를 가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의 일부가 되었다.[2]
1936년 시리아 독립을 지지하는 두 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되면서 터키와 시리아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 아타튀르크는 하타이 주민 대다수가 터키인이라고 주장하며 터키로의 귀속을 요구했고, 터키 정부는 국제 연맹에 터키인 학살 문제를 제소했다.[2] 1937년 국제 연맹의 중재로 하타이는 자치권을 획득하고, 외교적으로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와 "구별되지만 분리되지 않은" 지역이 되었다.[2]
1938년 9월 2일, 터키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으로 인해 하타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31] 하타이 공화국은 터키와 프랑스의 공동 군사 감독 하에 약 1년 동안 존속한 과도기적 정치 체제였다. '하타이'라는 명칭은 터키 측에서 제안한 것이다. 초대 대통령은 타이푸르 쇠크멘이었고, 총리는 압둘라흐만 멜레크였다.[31]
1939년 6월 29일, 주민투표를 거쳐 하타이는 터키의 한 주가 되었다. 이 주민투표는 "가짜"이자 "조작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맞서기 위한 목적으로 터키에 하타이를 넘겨준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14][15] 터키는 주민투표를 위해 수만 명의 터키인들을 알렉산드레타로 이주시켜 투표에 참여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16] 시리아 대통령 하심 알아타시는 프랑스의 시리아 문제 개입에 항의하며 사임했고, 시리아는 1936년 프랑스-시리아 독립 조약에 따라 합병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지안테프의 하사 지역과 아다나의 도르튀욜 지역(에르진은 그 나히야(nahiya)였다)이 하타이에 편입되었다. 합병으로 인해 하타이에서는 많은 인구 변화가 일어났다. 합병 후 6개월 동안 18세 이상 주민들은 터키 시민으로 남을지, 아니면 프랑스 시리아 위임통치령 또는 대레바논으로 이주하여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할지 선택할 수 있었다. 많은 수니파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알라위파, 아랍 기독교인들이 시리아와 레바논으로 이주했다.[18][19]
시리아는 현재까지도 하타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공식 지도에도 그렇게 표시하고 있다. 다만, 2000년대 이후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 집권 시기에는 터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하타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하타이 주는 큰 피해를 입었다.[32] 이 지역에서 지진으로 2만 3065명이 사망했고, 3만 762명이 부상당했다.[33][34] 1만 3500채가 넘는 건물이 붕괴되었고, 6만 7346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8162채는 철거해야 했다.[35] 가장 큰 피해를 본 지역은 안타키아, 크르크한, 이스켄데룬이다.[36]
2. 1. 고대

청동기 시대 초기부터 정착해 온 하타이 지역은 아카드 제국, 아모리트인의 야무하드, 미타니, 히타이트, 신히타이트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현대 하타이 주의 이름은 신히타이트 민족들에게서 기원했습니다. 팔레스틴 왕국도 이 지역에 있었습니다.
기원전 7세기부터는 아시리아인, 신바빌로니아 제국, 페르시아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습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시리아 4대 도시(안티오크, 피에리아의 셀레우키아, 아파메아, 라오디케이아)가 이곳에 위치했습니다. 기원전 64년 로마 제국에 편입된 후, 안티오크는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로 번성했습니다.
알랄라크, 텔 타이나트, 텔 주다이다, 안티오크 등 중요한 고고학 유적들이 남아있습니다.
2. 2. 중세
638년 라시둔 칼리파국에 정복되었고, 이후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6] 툴루니드 왕조가 잠시 통치했으나 압바스 왕조가 다시 복권되었다. 10세기부터 이 지역은 이크시드 왕조의 짧은 통치 이후 알레포를 근거지로 한 함다니드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969년 안티오크는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탈환되었다. 1078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필라레토스 브라카미오스에 의해 정복되었고, 안티오크에서 에데사까지 이르는 공국을 건설했다. 1084년에는 룸 술탄국의 술레이만 1세에게 점령당했다. 1086년에는 시리아 셀주크 왕조의 투투시 1세에게 넘어갔다. 셀주크의 지배는 1098년 제1차 십자군에 하타이가 함락될 때까지 14년간 지속되었고, 그 일부는 안티오크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동시에 하타이의 대부분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이 왕국은 이후 몽골 제국과 동맹을 맺고 1254년 안티오크 공국을 장악했다. 1268년 하타이는 몽골-아르메니아 동맹으로부터 맘루크 왕조에게 함락되었고, 이후 15세기 초 티무르에게 빼앗겼다.2. 3. 오스만 제국 시대
1516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1세가 맘루크 왕조로부터 하타이를 점령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기, 하타이 지역은 알렉산드레타 산자크(주지사령)로 알려졌다. 1907년 출판된 거트루드 벨의 저서 『시리아: 사막과 경작지』에는 당시 이 지역의 터키인과 아랍인의 혼합이 심했음이 언급되어 있다.[7]알렉산드레타는 전통적으로 시리아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1764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지도들이 이를 뒷받침한다.[7] 제1차 세계 대전 중, 무드로스 휴전 협정에 따라 하타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로 남았으나, 영국군이 점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터키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알렉산드레타는 터키에 포함되지 않고, 세브르 조약에 따라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에 편입되었다.[8]
2. 4. 알렉산드레타 산자크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하타이가 4000년 동안 터키의 고향이었다고 주장하며 터키 공동체의 권익 보호를 강조했다.[2] 1921년 10월 20일 앙카라 조약에 따라 알렉산드레타 지역은 자치권을 얻어 프랑스령 알렉산드레타 자치주가 되었고, 1923년에는 알레포 주에 편입되었다.[2] 1925년에는 특별 행정 지위를 가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의 일부가 되었다.[2]1936년 시리아 독립을 지지하는 두 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되면서 터키와 시리아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 아타튀르크는 하타이 주민 대다수가 터키인이라고 주장하며 터키로의 귀속을 요구했고, 터키 정부는 국제 연맹에 터키인 학살 문제를 제소했다.[2] 1937년 국제 연맹의 중재로 하타이는 자치권을 획득하고, 외교적으로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와 "구별되지만 분리되지 않은" 지역이 되었다.[2]
2. 5. 하타이 공화국
1938년 9월 2일, 터키인과 아랍인 간의 갈등으로 인해 하타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31] 하타이 공화국은 터키와 프랑스의 공동 군사 감독 하에 약 1년 동안 존속한 과도기적 정치 체제였다. '하타이'라는 명칭은 터키 측에서 제안한 것이다. 초대 대통령은 타이푸르 쇠크멘이었는데, 그는 1935년에 터키 의회 의원으로 선출된 인물이었다. 총리는 압둘라흐만 멜레크였으며, 그는 1939년 터키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면서도 총리직을 계속 맡았다.[31]2. 6. 터키 편입과 시리아와의 분쟁
1939년 6월 29일, 주민투표를 거쳐 하타이는 터키의 한 주가 되었다. 이 주민투표는 "가짜"이자 "조작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맞서기 위한 목적으로 터키에 하타이를 넘겨준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14][15] 터키는 주민투표를 위해 수만 명의 터키인들을 알렉산드레타로 이주시켜 투표에 참여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16]시리아 대통령 하심 알아타시는 프랑스의 시리아 문제 개입에 항의하며 사임했고, 시리아는 1936년 프랑스-시리아 독립 조약에 따라 합병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지안테프의 하사 지역과 아다나의 도르튀욜 지역(에르진은 그 나히야(nahiya)였다)이 하타이에 편입되었다. 합병으로 인해 하타이에서는 많은 인구 변화가 일어났다. 합병 후 6개월 동안 18세 이상 주민들은 터키 시민으로 남을지, 아니면 프랑스 시리아 위임통치령 또는 대레바논으로 이주하여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할지 선택할 수 있었다. 많은 수니파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알라위파, 아랍 기독교인들이 시리아와 레바논으로 이주했다.[18][19]
시리아는 현재까지도 하타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공식 지도에도 그렇게 표시하고 있다. 다만, 2000년대 이후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 집권 시기에는 터키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하타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2. 7.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으로 하타이 주는 큰 피해를 입었다.[32] 이 지역에서 지진으로 2만 3065명이 사망했고, 3만 762명이 부상당했다.[33][34] 1만 3500채가 넘는 건물이 붕괴되었고, 6만 7346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8162채는 철거해야 했다.[35] 가장 큰 피해를 본 지역은 안타키아, 크르크한, 이스켄데룬이다.[36]
3. 지리
하타이 주는 튀르키예 최남단에 위치하며, 지중해 동쪽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지역의 46%는 산지, 33%는 평야, 20%는 고원과 구릉지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으로 뻗은 누르산맥이 가장 두드러진 지형이며, 최고봉은 므으르테페(2,240m)이다. 아라비아-누비아 방패와 아나톨리아 지괴의 충돌로 형성된 호스트-그라벤 지형이 나타난다.
레바논의 베카 계곡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하타이를 거쳐 지중해로 흘러드는 오론테스 강이 있다. 아믹 평야는 중요한 농업 중심지이며, 과거에는 아믹 호가 있었으나 1970년대에 배수되었다. 이스켄데룬에는 튀르키예 최대의 철강 공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야이라다으 지역에서는 '하타이의 장미'라고 불리는 대리석이 생산된다.
3. 1. 기후
하타이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띠며,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습한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38] 산악 지대는 해안 지역보다 더 건조하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12.5 | 14.9 | 19.0 | 23.0 | 27.0 | 29.7 | 31.6 | 32.5 | 31.4 | 28.2 | 20.3 | 13.9 | 23.7 |
평균 기온 (°C) | 8.2 | 9.9 | 13.6 | 17.4 | 21.6 | 25.1 | 27.6 | 28.3 | 26.1 | 21.5 | 14.3 | 9.5 | 18.6 |
평균 최저 기온 (°C) | 5.0 | 5.9 | 9.1 | 12.6 | 16.9 | 21.3 | 24.4 | 25.2 | 21.7 | 16.2 | 9.8 | 6.2 | 14.5 |
강수량 (mm) | 179.5mm | 162mm | 145.1mm | 108.4mm | 89.8mm | 20.3mm | 8.1mm | 5.4mm | 61.7mm | 56mm | 99.2mm | 188.7mm | 1124.2mm |
평균 강수일수 | 13.57 | 12.07 | 11.20 | 9.73 | 5.67 | 1.83 | 0.80 | 0.80 | 4.33 | 7.70 | 8.03 | 11.40 | 87.1 |
평균 일조시간 | 105.4 | 130.0 | 186.0 | 219.0 | 282.1 | 327.0 | 341.0 | 319.3 | 273.0 | 217.0 | 156.0 | 102.3 |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3.4 | 4.6 | 6.0 | 7.3 | 9.1 | 10.9 | 11.0 | 10.3 | 9.1 | 7.0 | 5.2 | 3.3 | 7.3 |
4. 행정 구역
하타이 주는 15개의 군으로 나뉘며,[39] 2022년 12월 31일 기준 공식 추산 인구는 다음과 같다.[3]
군 이름 | 인구 (2022년 기준) |
---|---|
알튼외쥐 | 60,344 |
안타키아 | 399,045 |
아르수즈 | 101,233 |
벨렌 | 34,449 |
데프네 | 165,494 |
도르튀욜 | 128,941 |
에르진 | 41,558 |
하사 | 56,675 |
이스켄데룬 | 251,682 |
크르크한 | 121,028 |
쿰루 | 13,333 |
파야스 | 43,919 |
레이한러 | 108,092 |
사만다으 | 123,447 |
야이라다으 | 36,803 |
5. 인구
연도 | 인구 |
---|---|
1940 | 246,138명 |
1950 | 296,799명 |
1960 | 441,209명 |
1970 | 591,064명 |
1980 | 856,271명 |
1990 | 1,109,754명 |
2000 | 1,253,726명 |
2010 | 1,480,571명 |
2020 | 1,659,320명 |
2021 | 1,670,712명 |
2022 | 1,686,043명 |
하타이 주는 1940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인구가 증가했다. 2022년 기준 인구는 약 169만 명이다.
6. 민족 및 종교
• 튀르키예어
• 아랍어 사용자 는 종교적 소속에 따라 표시됨: 알라위파(원), 기독교(삼각형), 수니파(정사각형), 베두인 수니파(직사각형), 유대교(마름모).[40]||upright=1.59||right]]
하타이 주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인구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으며, 알라위 계열의 시아파 또는 수니파에 속하지만,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가톨릭교회, 마로니트교,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 아르메니아인 공동체를 포함한 다른 소수 민족도 존재한다.[41][42] 사만다그 지역의 바크플르 마을은 튀르키예에 남아 있는 마지막 아르메니아인 농촌 공동체이다.[41][42]
주요 민족 구성은 튀르키예인,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등이다. 아랍인들은 12개 지역 중 3개 지역(알라위파인 사만다그, 알트뇌쥐, 수니파인 레이한르)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지중해 연안의 대부분의 주와 달리 하타이 주는 최근 수십 년 동안 튀르키예 다른 지역에서 대규모 이주를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 문화를 많이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랍어는 여전히 주에서 널리 사용된다.[43]
7. 언어
2016년을 기준으로 하타이 지역에서 아랍어를 매일 듣고 사용하는 사람들 중 85%는 아랍어 사용이 줄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머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했다.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로잔 조약에 따라 아랍어를 가르칠 권리가 있지만, 종파 간의 긴장을 피하기 위해 아랍어 교육을 자제하는 경향이 있다.[46]
하타이는 터키에서도 국제적인 도시이며, 터키인,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등 여러 민족이 함께 살고 있다. 지중해 연안의 많은 주와는 달리, 하타이는 터키 다른 주에서의 이주가 적어, 문화적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아랍어가 사용된다.
8. 교육
9. 교통
이 지역은 하타이 공항과 시외버스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10. 문화
하타이는 튀르키예에서도 국제적인 도시로, 터키인,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등 여러 민족이 수니파, 알레비파,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고 함께 살고 있다. 사만다 구역에 있는 바크플르(Vakıflı) 마을에는 아르메니아의 전원 풍경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사만다, 알투노쥐, 레이한르에서는 아랍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하타이는 튀르키예 다른 주에서 이주해 온 사람이 적어 문화적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아랍어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2005년에는 이러한 문화적 융합을 기념하여 무스타파 케말 대학교의 아이둔 박사가 “하타이 문화 회합”과 “하타이 국제적 가치 보호 기구”를 개최 및 설립했다.
10. 1. 요리
하타이는 고구마, 사탕수수와 같은 열대 작물을 재배할 만큼 따뜻하며, 이러한 작물들은 키테(kitte)라고 불리는 일종의 오이/스쿼시와 함께 지역 요리에 사용된다. 하타이의 유명한 요리로는 널리 알려진 시럽이 풍부한 가늘게 썬 페이스트리인 퀴네페(künefe)(카나페), 양파와 토마토 페이스트에 졸인 스쿼시(sıhılmahsi), 가지와 참깨 페이스트(바바가누시), 병아리콩과 참깨 페이스트인 후무스, 그리고 터키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케밥 등이 있다. 특별한 향신료 혼합물과 허브 혼합물이 인기이다. 페이스트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호두와 향신료 페이스트, 무함마라(muhammara)
- 타임과 파슬리 페이스트, 자아타르(Za'atar)
동물성 식품으로는 매운 쾨프테(köfte)(서아시아 및 그 너머 지역에서 코프타(kofta)로 알려짐): "오룩(oruk)"; 그리고 매운 햇볕에 말린 치즈, 수르케(surke)가 있다.
석류 시럽(nar ekşisi)은 하타이의 특징적인 샐러드 드레싱이다.
10. 2. 주요 명소
- 하타이 고고학 박물관: 안타키아에 있으며, 세계 2위 규모의 로마 모자이크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50]
- 하빕-이 나즈자르 모스크: 이전의 다신교 사원 자리에 세워졌으며, 두 명의 성인이 묻혀 있어 무슬림들이 방문하는 곳이다.[50]
- 성 베드로 교회: 안타키아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교회로, 기독교 순례지이다.[50]
- 귄뒤즈 영화관: 하타이 공화국의 의회 건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50]
- 베스파시아누스의 티투스 터널: 2세기에 수로로 건설되었으며, 사만다으에 있다.[50]
- 성곽: 코즈 성, 바크라스 성, 파야스 성, 만치넉 성, 친 성, 다르뷔삭 성[50]
11. 저명한 출신 인물
이름 | 설명 |
---|---|
타이푸르 쇠크멘 | 하타이 공화국의 대통령 |
제밀 메리치 | 튀르키예의 작가, 번역가, 사상가 |
바르시 아타이 | 튀르키예의 배우, 정치인 |
잔 아탈라이 | 튀르키예의 변호사, 정치인 |
볼칸 데미렐 | 튀르키예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
제한 바르부르 | 튀르키예의 가수, 작곡가, 프로듀서 |
셀라미 샤힌 | 튀르키예의 가수, 작곡가, 배우 |
카르수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 가수 |
칼벤 | 튀르키예의 가수, 작곡가 |
사둘라 에르긴 | 튀르키예의 정치인, 전 법무부 장관 |
에렌 팡사 | 튀르키예의 배우 |
참조
[1]
서적
Energy and Security in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18
[2]
웹사이트
İl ve İlçe Yüz ölçümleri
https://www.harita.g[...]
General Directorate of Mapping
2023-09-19
[3]
웹사이트
Address-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DNKS) results dated 31 December 2022, Favorite Reports
https://biruni.tuik.[...]
TÜİK
2023-09-19
[4]
웹사이트
Antakya'nın Adı "Hatay" mıdır?
https://www.iskender[...]
2022-11-04
[5]
웹사이트
How historical Afrin became a prize worth a war
https://www.bbc.com/[...]
BBC
2018-01-24
[6]
웹사이트
Antakya
https://islamansiklo[...]
[7]
웹사이트
Map of Iskenderun, Joseph Roux, 1764
http://historic-citi[...]
2017-01-14
[8]
서적
Turkish Foreign Policy, 1774–20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웹사이트
Syria – Turkey Boundary
http://www.law.fsu.e[...]
2008-01-17
[10]
서적
Sources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1]
논문
[12]
서적
Turkey Beyond Nationalism: Towards Post-Nationalist Identities
https://books.google[...]
I.B.Tauris
[13]
서적
State Frontiers: Borders and Boundari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3-07-30
[14]
서적
Identity, Conflict and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River System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15]
뉴스
Robert Fisk: US power games in the Middle East
https://www.independ[...]
2007-03-19
[16]
서적
The Great War for Civilisation: The Conquest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Vintage
[17]
서적
Islam, secular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Turkey: who is a Turk?
Taylor & Francis
[18]
서적
Beyond Syria's Borders: A History of Territorial Disput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I.B. Tauris
[19]
웹사이트
ARMENIA AND KARABAGH
http://www.historyof[...]
1991
[20]
서적
Sources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1-08
[21]
서적
Survey of International Affairs
[22]
웹사이트
معلومات عن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http://www.parliamen[...]
[23]
논문
The Alexandretta Dispute
https://www.jstor.or[...]
[24]
웹사이트
Withdrawing from the Golan talks
https://www.jpost.co[...]
Jerusalem Post
2018-12-20
[25]
웹사이트
Hatay'da yabancılara gayrimenkul satışı durduruldu
http://www.hurriyet.[...]
2017-01-14
[26]
웹사이트
World Bulletin [ Eid-al-Adha greetings at Turkey-Syria border ]
http://www.worldbull[...]
[27]
웹사이트
Interior Minister Inspects Bab al-Hawa Border Center, Emphasizes Ministry's Keenness on Providing Facilities :: Syrian Arab news agency - SANA - Syria : Syria news ::
http://www.sana.sy/e[...]
[28]
뉴스
PM vows to build model partnership with Syria
https://archive.toda[...]
Today's Zaman
2010-12-23
[29]
서적
Turkey-Syria Relations: Between Enmity and Amity
Ashgate
[30]
웹사이트
Syria's "Lost Province": The Hatay Question Returns
http://carnegieendow[...]
2017-01-14
[31]
서적
Beyond Syria's Borders: A history of territorial disputes in the Middle East
I.B. Tauris
[32]
웹사이트
Hatay province, Turkey from PHOTOS: Rescues continue after massive earthquake strikes Turkey and Syria
https://abcnews.go.c[...]
2023-02
[33]
웹사이트
Türki̇ye - Earthquake Response 2023: Hatay Humanitarian Snapshot (2 May 2023)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23-05-07
[34]
뉴스
Lütfü Savaş: Hatay'da 21 bin 910 kaybımız var
https://www.egedeson[...]
2023-02-23
[35]
뉴스
Hatay earthquake report released: 89,025 buildings lost
https://www.gercekne[...]
2023-04-08
[36]
뉴스
Hatay'da son durum: '2 bine yakın yıkılmış bina var, kayıplarımız çok fazla'
https://www.bbc.com/[...]
2023-02-06
[37]
논문
Present and futur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maps at 1-km resolution
https://www.nature.c[...]
[38]
웹사이트
Resmi İstatistikler: İllerimize Ait Mevism Normalleri (1991–2020)
https://www.mgm.gov.[...]
Turkish State Meteorological Service
2021-06-28
[39]
웹사이트
Büyükşehir İlçe Belediyesi
https://www.e-icisle[...]
Turkey Civi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ventory
2023-09-19
[40]
서적
Arabic as a minority language
Walter de Gruyter
[41]
뉴스
Türkiye'nin tek Ermeni köyü Vakıflı
http://hurarsiv.hurr[...]
2005-07-31
[42]
서적
Turkey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43]
웹사이트
Samandağ'da 'Alluş'la dans
http://www.radikal.c[...]
[44]
웹사이트
Spiritual leaders speak up in Hatay for global peace – Turkish Daily News
http://www.turkishda[...]
[45]
웹사이트
Mültecilerin Şartları Kötü, Hatay'da Herkes Tedirgin
http://bianet.org/bi[...]
Bianet
2016-05-13
[46]
웹사이트
For reasons out of our hands: A Community identifies the causes of language shift – Cultural Survival
http://www.culturals[...]
2017-01-14
[47]
웹사이트
Genel Nüfus Sayımları
https://biruni.tuik.[...]
[48]
웹사이트
Turkstat
https://kutuphane.tu[...]
[49]
웹사이트
The Results of Address 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2020
https://data.tuik.go[...]
Turkish Statistical Institute
2021-12-07
[50]
웹사이트
Kaleler
http://www.hataykult[...]
Hatay Directorate of Culture and Tourism
2016-05-13
[51]
웹사이트
Başbakanlık Mevzuatı Geliştirme ve Yayın Genel Müdürlüğü
https://www.resmigaz[...]
2012-12-11
[52]
웹사이트
Genel Nüfus Sayımları
https://biruni.tuik.[...]
[53]
웹사이트
Turkstat
https://kutuphane.tu[...]
[54]
웹사이트
The Results of Address 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2020
https://data.tuik.go[...]
Turkish Statistical Institute
2021-12-07
[55]
웹사이트
Resmi İstatistikler: İllerimize Ait Mevism Normalleri (1991–2020)
https://www.mgm.gov.[...]
Turkish State Meteorological Service
2021-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