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드나 (이누이트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드나는 이누이트 신화에서 바다의 여신으로 숭배받는 존재이다. 다양한 전승에 따르면, 세드나는 처음에는 인간이었으나, 아버지에 의해 바다에 버려지고 손가락이 잘린 후 바다의 여신이 되었다. 그녀는 바다 생물을 다스리고, 사냥꾼들에게 풍요를 가져다주며, 분노하면 폭풍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드나 숭배는 이누이트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사냥의 성공과 생존을 위해 그녀를 달래는 의식이 행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의 신 - 네레우스
    네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으로, 폰토스와 가이아의 아들이며 도리스와의 사이에서 네레이데스를 낳았고, 변신술과 예언 능력을 가진 정직한 인물로 묘사된다.
  • 물의 신 - 에르사
  • 동물의 여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동물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세드나 (이누이트 신화)

2. 전승

이누이트 사회에서 세드나는 바다의 신이나 주인이라기보다는 선조의 영혼, 즉 조상신으로서 숭배되는 경향이 있다.[2] 세드나에 관한 다양한 전승이 존재하며, 그 내용은 지역이나 부족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인 이야기의 줄거리와 여러 변형된 버전, 그리고 세드나의 역할과 숭배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주요 전승 내용

이누이트 사이에서는 바다의 신이나 주인이라기 보다도 선조의 영혼으로서 숭배되는 경향이 있다. 세드나에 관한 전승은 지역과 부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 옛날, 지상에는 오래된 종족(일설에는 거인)이 살았으며 세드나는 그들 중 한 명이었다. 아름다운 여성이었지만 "누구의 신부도 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부족이나 이야기에 따라 다르다.) 이에 아버지는 벌로 그녀를 에게 아내로 주었고, 둘 사이에서 여러 자식이 태어났다.

어느 날, 젊은 남자가 나타나 많은 모피와 옷을 주겠다며 세드나를 유혹해 데려갔으나, 그의 정체는 알바트로스 (혹은 갈매기, 까마귀, 풀머, 바다제비 등 새로 묘사됨)였다. 세드나의 아버지가 딸을 되찾으러 왔고, 부녀는 배를 타고 도망쳤다. 하지만 도망치던 중 거센 폭풍우를 만났다. 아버지는 새(남편)가 폭풍을 일으켜 딸을 되찾으려 한다고 (혹은 단순히 배가 뒤집힐 것을) 두려워하여 세드나를 바다에 밀어 떨어뜨렸다. 세드나가 배의 가장자리에 매달리자, 아버지는 그녀의 손가락을 (때로는 작은 도끼로) 잘라버렸다.[8] 잘려나간 손가락들은 각각 얼룩무늬 물범, 바다코끼리, 고래 등 다양한 바다 동물로 변했다고 전해진다.[4][2]

차가운 바닷속으로 가라앉은 세드나는 죽지 않고 바다의 여신이 되었다. 그녀의 다리는 물고기 꼬리처럼 변했고, 해저에 돌과 고래 뼈로 집을 짓고 살게 되었다. 함께 바다에 빠져 죽은 남편 개는 그녀의 집 문지기가 되었다. 세드나의 아버지 역시 나중에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가라앉았는데, 세드나가 그를 자신의 집으로 맞아들였다고도 하고, 집에 가두었다고도 하며, 혹은 아버지가 잘못을 뉘우치고 사과하여 함께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지상에 남겨졌던 세드나의 자식들(개와의 사이에서 낳은)은 다른 섬으로 가 지금 인간의 선조가 되었다고도 한다.

Sculpture of woman with fish tail, holding out her pigtails in both hands.
세드나 조각상, 핀란드 국립 박물관 소장.

다양한 전승들세드나 전설에는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 '''다른 기원''': 어떤 전승에서는 세드나가 창조신 앙구타의 딸인 거인으로, 너무 굶주린 나머지 부모를 공격하려다 바다에 버려졌다고 한다. 이때 잘린 손가락들이 바다 동물이 되었다.[4]
  • '''개와의 결혼 (다른 순서)''': 아버지가 찾아준 남자들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개와 결혼하자 아버지가 분노하여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을 잘랐다는 버전도 있다.[2]
  • '''새와의 결혼''': 인간 구혼자들을 거부하고 정체 모를 사냥꾼(실은 새 영)과 결혼했으나, 그가 물고기밖에 잡지 못하자 아버지가 구출하러 온다. 도망치는 과정에서 새 영 또는 그의 친구들이 폭풍을 일으키고, 아버지는 세드나를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을 자른다.[8][9]
  • '''네칠리크 지역 (누리아육)''': 네칠리크 이누이트 전승의 누리아육은 학대받던 고아로, 사람들이 그녀를 물에 빠뜨리려 할 때 잘린 손가락 끝이 물범바다코끼리가 되었다고 한다.[7]
  • '''탐욕스러운 세드나''': 세드나가 고기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잠든 부모의 손발을 먹으려 했기 때문에 (혹은 먹었기 때문에) 바다에 버려졌다는 설도 있다.
  • '''폭풍 속의 희생양''': 배핀 섬 전승에서는 가족과 카약을 타고 가던 중 폭풍이 일자 부모가 그녀 탓이라 여기고 바다에 던졌고, 매달리는 손가락을 마디마디 잘랐다고 한다.[10]

세드나의 역할과 숭배어떤 이야기가 되었든, 세드나는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아 해양 동물을 다스리는 강력한 바다 여신이 된다.[2][11] 그녀가 인간들에게 노하면 바다 동물들을 내보내지 않아 기근을 가져올 수 있었다.[10] 이 때문에 이누이트 사냥꾼들은 사냥의 성공을 위해 제물을 바치거나 기도를 통해 그녀를 달래야 했다.[12][2] 세드나는 손가락이 없어 스스로 머리를 빗을 수 없었기에, 무당(앙아쿠)이 영적으로 그녀를 찾아가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빗겨주면 분노가 누그러져 동물들을 풀어준다고 믿었다.[5][6]

2. 2. 전승의 다양성과 한국적 해석

이누이트 신화에서 세드나는 바다의 신이나 주인이라기보다는 선조의 영혼, 즉 조상신으로 숭배되는 경향이 있다.[2] 세드나 전설에는 매우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세부 내용은 부족이나 이야기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어떤 전승에서는 본래 지상에 살던 오래된 종족(혹은 거인)의 일원으로, 아름답고 착한 여성이었으나 "누구의 신부도 되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아버지에 의해 와 결혼하게 되었다고 한다. 개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식을 낳았으나, 이후 나타난 젊은 남자(정체는 알바트로스, 갈매기, 혹은 까마귀 등으로 다양하게 묘사됨)의 유혹에 넘어가 그를 따라간다. 아버지가 그녀를 되찾아 배를 타고 도망치던 중 폭풍우를 만나고, 아버지는 폭풍의 원인이 세드나를 되찾으려는 새 남자 때문이라 생각해 딸을 바다에 던진다. 배에 매달리는 세드나의 손가락(혹은 손)과 눈을 노로 내리쳐 결국 그녀는 차가운 바다에 가라앉는다. 그녀의 남편이었던 개 역시 나중에 아버지에 의해 살해당한다. 바다에 가라앉은 세드나는 죽지 않고 하반신이 물고기처럼 변해 바다의 여신이 되었으며, 잘린 손가락들은 물범, 바다코끼리, 고래 등 바다 동물이 되었다고 전해진다.[4][2] 함께 바다에 가라앉은 남편 개는 그녀의 집 문지기가 되었다고도 한다. 이후 아버지 역시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 가라앉았는데, 세드나가 아버지를 집에 받아들여 함께 살거나(혹은 가두거나), 아버지가 사죄하여 화해했다는 등 결말은 다양하다.

다른 버전의 전설들은 세드나의 배경과 사건의 원인을 다르게 설명한다.

  • 세드나가 창조신 앙구타의 딸인 거인이며, 극심한 굶주림에 부모를 공격하려다 아버지에 의해 바다에 던져지고 손가락이 잘렸다는 설.[4]
  • 아버지가 찾아준 구혼자들을 거부하고 개와 결혼하여 아버지의 분노를 사 바다에 던져지고 손가락이 잘렸다는 설.[2] 이 경우, 세드나가 화가 나면 무당(앙아쿠)이 바다 밑으로 가 그녀의 머리를 빗겨주어야만 진정하고 사냥감을 풀어준다고 한다.[5] 손가락이 없어 스스로 머리를 빗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6]
  • 네칠리크 지역에서는 '누리아육'이라는 학대받던 고아가 주인공으로, 사람들이 그녀를 익사시키려다 손가락 끝을 잘랐고 이것이 물범과 바다코끼리가 되었다는 설. 누리아육은 둑중개와 결혼해 바다 동물을 다스리게 된다.[7]
  • 아름다운 처녀 세드나가 아버지에 의해 정체 모를 사냥꾼(거대한 새 영: 갈까마귀, 풀머, 콕사우트 / 바다제비 영 등)에게 팔려 갔다가, 아버지가 구출하러 오지만 새 영이 일으킨 폭풍 때문에 아버지가 그녀를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을 잘랐다는 설.
  • 새 생물에게 납치 혹은 속아서 끌려간 세드나를 아버지가 구출하려다 새의 친구들이 일으킨 폭풍 때문에 세드나를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을 도끼로 잘랐다는 설.[8]
  • 훌륭한 사냥꾼인 줄 알고 결혼한 남자가 사실 물고기만 잡는 조류인간이었고, 아버지가 그녀를 구출하려다 조류인간을 죽이자 그의 친구들이 복수하기 위해 폭풍을 일으켜 결국 아버지가 세드나를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을 잘랐다는 설.[9]
  • 배핀 섬에서는 가족과 카약을 타고 가던 중 폭풍이 일자 부모가 그녀를 폭풍의 원인으로 지목해 바다에 던지고 손가락 마디마디를 잘랐다는 설.[10]
  • 잠자는 부모의 손발을 먹으려 했기 때문에 (혹은 먹었기 때문에) 바다에 던져졌다는 설도 있다.


이처럼 세드나의 죽음(혹은 변신)에 대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아버지에 의해 카약을 타고 바다로 나가 손가락이 잘리고 바다 밑으로 가라앉는다는 점, 그리고 바다 동물을 다스리는 강력한 존재가 된다는 점이 나타난다.[11] 세드나는 일반적으로 복수심에 불타는 여신으로 여겨지며, 사냥꾼들은 사냥을 위해 바다 동물을 풀어달라고 그녀를 달래고 기도해야 한다.[12] 킬리닉에서는 낡은 작살 머리, 부러진 칼, 고기 조각 등을 바다에 제물로 바쳤다고 한다.[2]

3. 세드나의 역할



세드나는 여러 이누이트 신화 전승 속에서 해저 세계의 중요한 지배자로 등장한다. 전승에 따르면, 세드나는 바다 밑바닥에 있는 죽은 자들의 나라를 다스리는 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다. 일부 전승에서는 그녀의 남편이었던 문지기 개가 죽은 자들을 세드나에게 안내한다고 전해진다.[3][4][2]

세드나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바다 동물들의 지배자로서의 역할이다. 이는 그녀가 아버지에 의해 바다에 버려질 때의 사건과 관련이 깊다. 배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뱃전을 붙잡은 세드나의 손을 아버지가 도끼로 내리쳤고, 이때 잘려나간 그녀의 손가락 마디마디가 바다표범, 물개, 바다코끼리, 고래 등 오늘날의 바다 동물들이 되었다고 한다.[4][2][7][8][9][10][11] 이 때문에 세드나는 이 바다 동물들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인간들에게 사냥감으로 이 동물들을 베푼다고 여겨진다.

세드나는 물고기의 회유 또한 지배하며, 지상에서의 불행했던 기억 때문에 분노하면 거센 폭풍우를 일으키거나 바다 동물들을 내어주지 않아 흉어를 초래하기도 한다.[12] 따라서 이누이트 사람들은 흉어가 들거나 사냥이 잘 되지 않을 때, 세드나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앙아쿠(샤먼)를 통해 그녀의 뜻을 묻고 달래고자 했다. 앙아쿠는 때때로 물고기로 변신하여 바다 깊은 곳의 세드나를 찾아가 손가락이 없어 머리를 빗지 못하는 세드나의 머리카락을 정성껏 빗겨주었다. 그러면 세드나가 기뻐하며 노여움을 풀고 다시 바다 동물들을 인간들에게 보내준다고 믿었다.[5][6] 일부 지역에서는 세드나를 달래기 위해 낡은 작살 머리나 부러진 칼, 고기 조각 등을 바다에 제물로 바치기도 했다.[2]

4. 세드나 숭배와 관련된 추가 정보

이러한 전승에 따라 세드나는 해저에서 죽은 자들의 세계를 다스리는 관리자가 되었다. 문지기 역할을 하는 개(전설에 따라 남편이기도 함)는 죽은 자들을 세드나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세드나가 아버지에 의해 바다에 버려질 때 뱃전을 붙잡은 그녀의 손을 아버지가 도끼로 잘랐고, 이때 잘려나간 손가락 마디들이 지금의 바다표범, 물개 등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로써 세드나는 바다짐승들의 지배자가 되었고, 이 동물들을 자신의 후손인 인간에게 식량으로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세드나는 물고기들도 다스리는데, 지상에서의 불행했던 기억 때문에 분노하면 폭풍우를 일으킨다고 믿어졌으며, 물고기가 잘 잡히지 않을 때는 샤먼들이 그녀의 뜻을 묻곤 했다. 샤먼들은 때때로 물고기로 변신하여 바닷속 세드나의 거처로 가서, 손가락이 없어 머리를 빗지 못하는 그녀의 머리를 빗겨주면 세드나가 기뻐하며 노여움을 푼다고 전해진다.[6] 킬리닉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낡은 작살 머리, 부러진 칼, 고기 조각과 뼈 등을 바다에 던져 세드나에게 제물로 바쳤다.[2]

세드나 전설에는 여러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 한 전설에서는 세드나가 이사라타이초크 여신의 딸이라고 하지만, 다른 전설에서는 아버지에 대해서만 언급한다.[3]
  • 거인으로 묘사되는 전설에서 세드나는 창조신 앙구타의 딸로, 극심한 굶주림에 부모를 공격하려다 아버지에 의해 바다에 버려진다. 그녀가 뱃전에 매달리자 아버지는 손가락을 잘랐고, 세드나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심해 생물들을 다스리게 된다. 그녀의 잘린 손가락들은 이누이트가 사냥하는 얼룩무늬 물범, 바다코끼리, 고래가 되었다고 한다.[4]
  • 개와 결혼하는 이야기도 있는데, 아버지(앙구타)가 찾아준 구혼자들에게 만족하지 못한 세드나가 개와 결혼하자 아버지가 분노하여 그녀를 바다에 던진다. 잘린 손가락은 최초의 바다표범류가 되었고, 그녀는 강력한 바다의 여신이 된다.[2] 세드나가 노하면 앙아쿠(샤먼)가 바닷속으로 가 그녀의 머리를 빗겨 달래주어야, 그녀가 사냥할 동물들을 풀어준다고 한다.[5]
  • 네칠리크 지역의 전설에서 누리아육(세드나)은 학대받던 고아로, 사람들이 그녀를 없애려 손가락 끝을 잘라 물에 빠뜨렸고, 잘린 손가락들이 물범과 바다코끼리가 되었다.[7] 이후 누리아육은 둑중개와 결혼하여 바다에 살며 모든 해양 포유동물을 다스리게 되었다.
  • 마을 사냥꾼들의 청혼을 거부하는 아름다운 처녀 세드나의 이야기도 있다. 정체불명의 사냥꾼이 나타나자 아버지는 물고기를 받는 대가로 딸을 그에게 넘긴다. 사냥꾼은 세드나를 절벽 위 둥지로 데려가 자신의 정체인 거대한 새의 영(자료에 따라 갈까마귀, 풀머, 또는 바다제비 등으로 묘사됨)을 드러낸다. 아버지가 딸을 구하러 오자 분노한 새의 영은 폭풍우를 일으킨다. 절망한 아버지는 딸을 거친 바다에 던졌고, 카약에 매달린 딸의 손이 얼어붙어 손가락이 떨어져 나가면서 바다 생물들이 되었다. 세드나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물고기 꼬리를 갖게 되었다.
  • 새의 정령에게 납치되거나 속는 다른 버전의 이야기도 있다. 아버지가 그녀를 구출하려 하자, 새의 정령은 바다의 영에게 도움을 청해 거대한 파도를 일으킨다. 아버지는 분노한 신을 달래기 위해 세드나를 배 밖으로 던진다. 세드나가 카약에 매달리자 아버지는 도끼로 세 손가락을 자르고 머리를 내리친다. 잘린 세 손가락은 각각 다른 종류의 바다표범이 되었고, 세드나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바다 동물들을 다스리게 된다.[8]
  • 훌륭한 사냥꾼이라 속이고 세드나와 결혼한 조류인간 이야기도 있다. 그는 물고기밖에 잡지 못했다. 세드나의 아버지가 딸을 구하기 위해 조류인간을 죽이자, 그의 친구들이 복수하기 위해 카약을 공격한다. 그들은 거대한 파도를 일으켰고, 겁에 질린 아버지는 세드나를 배 밖으로 던졌다. 세드나가 뱃전을 붙잡자 아버지는 그녀의 손가락을 잘라 물에 빠뜨렸다. 잘린 손가락들은 바다 동물이 되었고, 세드나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바다의 영이 되었다.[9]
  • 배핀 섬의 전승에서는, 가족과 카약을 타고 가던 중 폭풍우가 치자 세드나가 그 원인으로 지목되어 바다에 던져진다. 그녀가 카약에 매달리자 아버지는 손가락 마디를 차례로 잘랐고, 잘린 손가락들은 바다 생물로 변했다. 세드나는 이 동물들을 다스리게 되었으며, 인간들이 그녀를 노하게 하면 사냥감들을 막아 기근을 일으킬 수 있었다.[10]


이처럼 다양한 전설들은 세드나가 바다의 여신이 된 경위에 대해 조금씩 다른 설명을 하지만, 아버지가 카약에서 그녀를 바다로 던지고 손가락을 자른다는 공통된 요소를 가지고 있다.[11] 모든 이야기에서 세드나는 바다 밑으로 가라앉고, 사냥꾼들은 식량을 얻기 위해 그녀의 호의에 의존하며 숭배하게 된다. 세드나는 일반적으로 변덕스럽고 때로는 복수심에 찬 여신으로 여겨지므로, 사냥꾼들은 사냥감을 얻기 위해 기도를 통해 그녀를 달래야 한다.[12]

2003년 11월 14일 발견된 왜소행성 후보 천체인 90377 세드나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딴 것이다.

참조

[1] 서적 The Northern Copper Inuit
[2] 논문 Exploring the Legend of Sedna https://drive.google[...] 2018
[3] 서적 The Mythology of the Night Sky Springer 2020
[4] 논문 The Sedna Cycle: A Study in Myth Evolution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00
[5] 학위논문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https://open.library[...] 1990
[6] 논문 Representing the "Sea Woman" 2009
[7] 학위논문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https://open.library[...] 1990
[8] 학위논문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https://open.library[...] 1990
[9] 웹사이트 SEDNA or SANNA the Sea Goddess O https://www.palomar.[...]
[10] 논문 Dreaming an Identity between Two Cultures: The Works of Alootook Ipellie https://ro.uow.edu.a[...] 2006
[11] 문서 Osbourne, p. 217
[12] 문서 Tchana, p. 22
[13] 뉴스 Taissumani: History March 15, 2004 – Sedna in space https://nunatsiaq.co[...] Nunatsiaq News 2004-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