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에 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리에 C는 이탈리아의 프로 축구 리그로, 1935년에 세리에 C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탈리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세리에 A와 세리에 B에 이어 3부 리그에 해당하며, 2017년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리그는 6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팀은 지역별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우승팀은 세리에 B로 승격되며, 하위 팀은 세리에 D로 강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단체 - 이탈리아 문화원
이탈리아 문화원은 이탈리아 문화와 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과의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이탈리아어 강좌, 도서관 운영, 문화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이탈리아 문화를 소개하고 포스코 마라이니 상과 스가 아츠코 번역상을 통해 문화 교류에 기여한다. - 이탈리아의 단체 -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는 세리에 D를 포함한 이탈리아 아마추어 축구 리그 시스템을 관할하며 지역 축구 협회를 통해 리그 운영을 지원하고 이탈리아 축구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195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쉬페르리그
쉬페르리그는 튀르키예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59년 밀리 리그로 출범하여 1963-64 시즌부터 현재 체제가 되었으며, 이스탄불 클럽들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이 주어지는 리그 우승팀이 결정되고, 2023년부터 Trendyol이 공식 스폰서를 맡고 있다. - 195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수페르리가 엘라다
수페르리가 엘라다는 1927-28 시즌 범그리스 선수권 대회를 전신으로 2006년 공식 출범한 그리스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2019-20 시즌부터 14개 팀으로 운영되며 올림피아코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세리에 C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이탈리아 |
대륙 | UEFA |
창립 | 1935년 |
재창립 | 2014년 (단일 그룹 레가 프로로 재창립) |
명칭 변경 | 2017년 (세리에 C로 명칭 변경) |
주최 기관 | 레가 이탈리아나 칼초 프로페시오니스티코 |
참가 팀 수 | 60개 팀 |
하위 리그 | 세리에 D |
상위 리그 | 세리에 B |
리그 등급 | 3부 리그 |
국내 컵 대회 | 코파 이탈리아 |
리그 컵 대회 |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
유럽 대회 진출 | UEFA 유로파 리그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 자격) |
최근 우승팀 | 만토바 (A조) 체세나 (B조) 유베 스타비아 (C조) |
최근 시즌 | 2023–24 시즌 |
최다 우승 클럽 | 프라토 (6회 우승) |
공식 웹사이트 | lega-pro.com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언어별 명칭 | |
이탈리아어 | Serie C (세리에 치, IPA: /ˌsɛːrje ˈtʃi/) |
일본어 | セリエC (세리에C) |
스폰서 | |
타이틀 스폰서 | NOW |
중계 | |
방송사 | Sky Sport Now Rai Sport FIFA+ (이탈리아 외 지역) |
2. 역사
이탈리아에서 지역 리그 위에 위치하는 3부 리그의 개념은 1926년, 당시 파시스트 정권이 국내 주요 대회들을 재조직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3부 리그 격인 '테르차 디비시오네'(Terza Divisione)에서 2부 리그 격인 '세콘다 디비시오네'(Seconda Divisione)로 승격하는 지역 팀들이 늘어났다.
이후 1935년에 공식적으로 세리에 C가 발족되었다. 리그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참가 팀 수가 증가하자, 1978년에는 리그를 세리에 C1과 세리에 C2의 두 개 디비전으로 분할하여 운영했다. 2008년에는 다시 한번 리그 시스템이 개편되어 각각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4-15 시즌에는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세콘다 디비시오네가 다시 통합되어 '레가 프로'(Lega Pro)라는 이름 아래 3개 조(지로네), 총 60개 팀이 참가하는 단일 리그로 재편되었다.
2017-18 시즌부터는 리그 명칭이 다시 '세리에 C'로 돌아왔으며, 리그 구성은 이전과 동일하게 3개 조, 60개 팀 체제를 유지하며 경쟁하게 되었다.
2019-20 시즌에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이탈리아 내에서도 심각한 감염 확산이 발생했다. 특히 지로네 A 소속의 US 피아네세에서 프로 축구 선수 중 최초의 감염 사례가 확인되기도 했다.[8] 결국 리그는 중단되었고, 2020년 6월 8일 리그의 조기 종료가 결정되었다.[9] 순위는 리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확정되었으며, 승격 및 강등 플레이오프는 7월에 진행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리그 (1926-1935)
1926년, 당시 이탈리아를 통치하던 파시스트 정권은 국내 주요 축구 선수권 대회를 전국 단위로 재편하기로 결정했다.[1] 이는 국가주의적 통제 강화와 대중 동원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볼 수 있다.[1] 이 과정에서 기존의 지역 리그 위에 새로운 3부 리그 격인 '테르차 디비시오네'(Terza Divisione)가 창설되었고, 동시에 많은 3부 리그 소속 지역 팀들이 상위 리그인 '세콘다 디비시오네'(Seconda Divisione)로 승격하면서 리그 규모가 확대되었다.[1]확대된 세콘다 디비시오네를 관리하기 위해 북부 지역을 담당하는 '북부 하부 리그 관리 위원회'(''Direttorio Divisioni Inferiori Nord'')가 제노바에 설립되었고, 남부 지역은 '남부 하부 리그 관리 위원회'(''Direttorio Divisioni Inferiori Sud'', 이후 '남부 관리 위원회'(''Direttorio Meridionale'')로 변경)가 관할했다.[2] 그러나 이 체제는 오래가지 못하고 1930년에서 1931년 사이 또 다른 리그 개혁으로 해체되었다.[2] 이 개혁 과정에서 100m x 60m 크기의 경기장을 갖춘 일부 규모 있는 클럽들은 '프리마 디비시오네'(Prima Divisione)로 승격했는데, 이 리그는 실질적인 '전국 선수권 대회'로 자리매김했다.[2]
개편 이전의 세콘다 디비시오네는 매 시즌 초 대부분의 팀이 재선발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지역 리그로의 강등 제도가 없었다.[3] 하지만 참가 팀 증가로 리그 운영에 부담이 커지자,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은 결국 이 리그들을 폐지하고 소속 팀들을 각 지역 위원회("Direttori Regionali") 산하로 이관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3]
1926-27 시즌부터 1930-31 시즌까지 5년 동안, 세콘다 디비시오네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들은 계속해서 프리마 디비시오네로 승격했다.[3] 프리마 디비시오네는 초기에 6개 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당시 남부 이탈리아 지역 팀들은 소수에 불과했다.[3] 이 리그는 세리에 A와 세리에 B를 관리하는 상위 리그 위원회("Direttorio Divisioni Superiori")에서 조직했지만, 전국 단위 리그인 상위 리그들과 달리 지역적 기준에 따라 그룹이 편성되었다.[3]
프리마 디비시오네에 참가하는 클럽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했고, 이에 FIGC는 1935–36 시즌을 앞두고 리그 명칭을 공식적으로 세리에 C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3] 이것이 오늘날 세리에 C의 시작이다.
2. 2. 세리에 C 시대 (1935-1978)
1926년부터 이어진 이탈리아 축구 리그 개편 과정에서, 지역 리그 상위의 3부 리그 역할을 하던 1부 리그(Prima Divisione)는 참가 클럽 수가 계속 증가했다. 이에 FIGC는 1935–36 시즌부터 리그 명칭을 세리에 C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세리에 C는 세리에 A와 세리에 B를 관장하는 리그("Direttorio Divisioni Superiori")가 조직했지만, 상위 두 리그와는 달리 지역적 기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이후 1948년 리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고, 1952–53 시즌에는 단일 전국 디비전으로 운영되기도 했다.
1959년, 브루노 자울리가 주도한 개혁을 통해 이탈리아 축구 리그 시스템에 큰 변화가 생겼다. 이 개혁은 프로와 세미 프로 리그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피렌체에 기반을 둔 새로운 ''Lega Nazionale Semiprofessionisti''(전국 세미 프로 리그)가 창설되어 세미 프로 및 하위 전국 디비전인 세리에 C와 세리에 D를 관리하게 되었다. 이때 세리에 C는 각 20개 팀으로 구성된 3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형식을 채택하며 세미 프로 리그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세미 프로 리그로서의 세리에 C 체제는 1978년까지 이어졌다. 1978년에 세미 프로 부문이 폐지되면서 세리에 D는 아마추어 리그가 되었고, 세리에 C는 프로 리그인 세리에 C1과 세리에 C2의 두 개 디비전으로 분할되었다. 리그 운영 주체의 명칭도 ''Lega Professionisti Serie C''로 변경되었다.
2. 3. 세리에 C1 & C2 시대 (1978-2008)
1935년에 시작된 세리에 C는 참가 팀 수가 계속 늘어나면서 1978년에 두 개의 디비전인 세리에 C1과 세리에 C2로 나누어졌다. 이후 2008년에 리그가 다시 개편되어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가 되었다.2. 4. 레가 프로 시대 (2008-2017)
2008년 6월 20일, 리그는 기존의 'Lega Professionisti Serie C'에서 재구조화되어 'Lega Italiana Calcio Professionistico'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다.이후 리그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2013-14 시즌 기준으로 프리마 디비시오네는 2개 조(A조 17팀, B조 16팀, 총 33팀), 세콘다 디비시오네는 2개 조(각 18팀, 총 36팀)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4년 리그 개편을 통해, 이 두 디비전은 '레가 프로 디비시오네 우니카'(Lega Pro Divisione Unica)라는 단일 리그로 통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레가 프로'(Lega Pro)로 불렸다. 새롭게 개편된 레가 프로는 총 60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역별로 20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승격 규정은 각 조의 우승팀 3팀과 각 조 2위 팀들이 치르는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 1팀, 총 4팀이 세리에 B로 승격하는 방식이었다. 강등 규정은 각 조 최하위 팀(총 3팀)은 세리에 D로 즉시 강등되고, 각 조의 16위부터 19위까지의 팀들이 강등 플레이오프(공식 명칭 ''플레이아웃'')를 치러 패배한 2팀씩(총 6팀) 추가로 강등되어, 총 9팀이 강등되는 방식이었다.
2017년 5월, 레가 프로 총회는 리그 명칭을 다시 원래 이름인 세리에 C로 복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하였다.[4] 이로써 레가 프로 시대는 막을 내리고 2017–18 세리에 C 시즌부터 다시 세리에 C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2. 5. 세리에 C 복귀 (2017-현재)
2014년 리그 개혁 이후, Lega Pro Prima Divisione과 Lega Pro Seconda Divisione의 두 이전 디비전은 '''Lega Pro'''라는 이름의 단일 리그로 통합되었다. 이 리그는 비공식적으로 '레가 프로'로 불렸으며, 각 20개 팀으로 구성된 3개의 지리적 그룹(지로네)으로 나뉘어 총 60개 팀이 참가하는 구조였다.2017년 5월, 레가 프로 총회는 리그의 명칭을 원래 이름인 '''세리에 C'''로 복귀시키는 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4] 이에 따라 2017–18 세리에 C 시즌부터 '세리에 C'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해당 시즌에는 일부 클럽의 참가가 제외되면서 조정이 이루어져 각 디비전(지로네)당 19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5] 리그의 기본적인 구조는 3개 지로네, 총 60개 팀 체제를 유지했다.
2019-20 시즌 중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이탈리아 역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 여파로 지로네 A에 소속된 US 피아네세에서 프로 축구 선수 중 최초의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8] 감염 확산세가 심화되자 리그는 중단되었고, 결국 2020년 6월 8일에 리그의 조기 종료가 결정되었다.[9] 시즌 순위는 리그 중단 시점을 기준으로 확정되었으며, 승격 플레이오프와 강등 플레이아웃(''플레이아웃'')은 같은 해 7월에 진행되었다.
3. 리그 구조
2014년 리그 개편을 통해 기존의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와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 두 리그가 '레가 프로 디비시오네 우니카'(Lega Pro Divisione Unicait)라는 단일 리그로 통합되었으며, 이후 '레가 프로'(Lega Proit)로 불리다가 현재의 '''세리에 C'''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세리에 C는 총 60개의 팀으로 구성되며, 이탈리아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각 20개 팀씩 3개의 조(지로네, Gironeit)로 편성된다. 시즌이 끝나면 총 4개 팀이 상위 리그인 세리에 B로 승격하고, 9개 팀이 하위 리그인 세리에 D로 강등된다. 각 조의 우승팀은 자동으로 승격하며, 최하위 팀은 자동으로 강등된다. 나머지 승격 및 강등 팀은 플레이오프와 플레이아웃을 통해 결정된다. 리그 운영 방식, 승점 계산, 승격 및 강등에 대한 자세한 규정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구성
세리에 C는 총 60개의 팀으로 구성되며, 이탈리아를 지리적으로 북부, 중부, 남부 세 권역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20개 팀씩 배정된다. 정규 시즌 동안 각 팀은 자신이 속한 그룹 내의 다른 팀들과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시즌은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뉘며, 두 기간의 경기 순서는 동일하게 진행된다.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의 승점이 부여된다. 정규 시즌 종료 후, 각 그룹별로 누적된 승점을 기준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만약 둘 이상의 팀이 승점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6]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맞대결에서의 골득실
# 전체 리그 골득실
# 전체 리그 득점
# 전체 리그 실점
# 전체 리그 승리 횟수
# 전체 리그 패배 횟수
# 원정 경기 승리 횟수
# 홈 경기 패배 횟수
시즌 결과에 따라 총 4개 팀이 상위 리그인 세리에 B로 승격하고, 9개 팀이 하위 리그인 세리에 D로 강등된다. 각 그룹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은 세리에 B로 자동 승격하며, 이 세 팀은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에 참가하여 통합 우승팀을 가린다. 반면, 각 그룹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팀은 세리에 D로 자동 강등된다. 나머지 승격 및 강등 팀은 복잡한 플레이오프 및 플레이아웃 시스템을 통해 결정된다.
3. 2. 승격 및 강등
총 4개의 팀이 세리에 B로 승격하고 9개의 팀이 세리에 D로 강등된다.'''승격'''
각 조(A, B, C조)의 우승팀(총 3개 팀)은 세리에 B로 자동 승격하며,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참가 자격을 얻는다.
나머지 한 자리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된다. 플레이오프에는 각 조 2위부터 10위까지의 팀(총 27개 팀)과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우승팀이 참가하여 총 28개 팀이 경쟁한다. 플레이오프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일수록 상위 라운드부터 시작하여 유리한 위치를 점한다.
- '''조별 예선 단계:''' 각 조별로 5위 vs 10위, 6위 vs 9위, 7위 vs 8위가 단판 승부를 벌인다. 승리 팀은 해당 조 4위 팀과 다시 단판 승부를 치른다.
- '''조별 결선 단계:''' 예선 승리 팀은 해당 조 3위 팀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 '''전국 본선 단계:''' 조별 결선 승리 팀(3팀), 각 조 2위 팀(3팀),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우승팀이 합류하여 16강 토너먼트부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종 우승팀 1팀이 세리에 B로 승격한다.[6]
'''강등'''
총 9개 팀이 세리에 D로 강등된다. 각 조의 최하위 팀(총 3개 팀)은 자동으로 강등된다.
나머지 6개 강등팀은 각 조 16위부터 19위까지의 팀들이 참가하는 강등 플레이아웃(Play-out)을 통해 결정된다.
- 각 조별로 16위 팀과 19위 팀, 17위 팀과 18위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두 경기를 치른다.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이 2차전 홈 경기를 갖는다.
- 두 경기 합산 결과 동점일 경우에는 정규 시즌 순위가 높은 팀이 잔류하고, 순위가 낮은 팀이 강등된다. 즉, 연장전이나 승부차기는 없다.
- 각 플레이아웃 대결에서 패배한 팀(조별 2팀, 총 6팀)이 세리에 D로 강등된다.
- '''플레이아웃 생략 조건:''' 만약 정규 시즌 종료 시점에서 16위 팀과 19위 팀 간의 승점 차이, 또는 17위 팀과 18위 팀 간의 승점 차이가 9점 이상 벌어지면 해당 플레이아웃 경기는 열리지 않고, 순위가 낮은 팀이 자동으로 강등된다.[6]
4. 소속 클럽
2024-25 시즌 세리에 C에는 총 60개의 클럽이 참가한다. 이 클럽들은 이탈리아 지역을 기준으로 북부(A조), 중부(B조), 남부(C조)의 3개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를 진행한다. 각 그룹에는 20개의 팀이 소속되어 있다.
4. 1. 그룹 A (North)
롬바르디아 10개 팀, 베네토 6개 팀, 피에몬테 2개 팀,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1개 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1개 팀으로 구성된다.클럽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알비노레페 | 알비노 및 레페 | 알비노레페 경기장 (자니카) | 1791 |
알치오네 | 밀라노 | 스타디오 브레다 (세스토 산 조반니) | 3523 |
아르지냐노 발키암포 | 아르지냐노 | 달 몰린 | 1690 |
아탈란타 U23 | 베르가모 | 코무날레 디 카라바조 (카라바조) | 2180 |
칼디에로 테르메 | 칼디에로 | 마리오 가바그닌-시니발도 노치니 (베로나) | 1500 |
페랄피살로 | 살로 및 로나토 델 가르다 | 스타디오 리노 투리나 (살로) | 2364 |
지아나 에르미니오 | 고르곤졸라 | 치타 디 고르곤졸라 | 3766 |
레코 | 레코 | 스타디오 리가몬티-체피 | 5508 |
루메자네 | 루메자네 | 툴리오 살레리 | 4150 |
노바라 | 노바라 | 실비오 피올라 | 17875 |
파도바 | 파도바 | 에우가네오 | 32420 |
페르골레테세 | 크레마 | 주세페 볼티니 | 4095 |
프로 파트리아 | 부스토 아르시치오 | 카를로 스페로니 | 5000 |
프로 베르첼리 | 베르첼리 | 실비오 피올라 | 5526 |
레나테 | 레나테 | 치타 디 메다 (메다) | 2500 |
트렌토 | 트렌토 | 브리아마스코 | 3000 |
트리에스티나 | 트리에스테 | 네레오 로코 | 26566 |
유니온 클로디엔세 키오자 | 키오자 | 마리오 산드리니 (레냐고) | 2152 |
비첸차 | 비첸차 | 로메오 멘티 | 17163 |
비르투스 베로나 | 베로나 | 마리오 가바그닌-시니발도 노치니 | 1500 |
4. 2. 그룹 B (Centre)
토스카나 4개 팀, 에밀리아-로마냐 3개 팀, 움브리아 3개 팀, 아브루초 2개 팀, 리구리아 2개 팀, 마르케 2개 팀, 사르데냐 1개 팀, 롬바르디아 1개 팀, 베네토 1개 팀, 몰리세 1개 팀으로 구성된다.2024–25 세리에 C (B조) 팀 위치
클럽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아레초 | 아레초 | 치타 디 아레초 | 13,128 |
아스콜리 | 아스콜리 피체노 | 치노 에 릴로 델 두카 | 12,461 |
캄포바소 | 캄포바소 | 누오보 로마뇰리 | 21,800 |
카르피 | 카르피 | 산드로 카바시 | 5,510 |
구비오 | 구비오 | 피에트로 바르베티 | 4,939 |
레냐고 | 레냐고 | 마리오 산드리 | 2,152 |
루케세 | 루카 | 포르타 엘리사 | 12,800 |
밀란 푸투로 | 밀라노 | 코무날레 (솔비아테 아르노) | 4,500 |
페루자 | 페루자 | 레나토 쿠리 | 23,625 |
페스카라 | 페스카라 | 아드리아티코 – 조반니 코르나키아 | 20,515 |
피아네세 | 피안카스타냐이오 | 코무날레 | 1,500 |
피네토 | 피네토 | 파보네-마리아니 | 1,500 |
폰테데라 | 폰테데라 | 에토레 마누치 | 2,700 |
리미니 | 리미니 | 로메오 네리 | 9,768 |
세스트리 레반테 | 세스트리 레반테 | 스타디오 알베르토 피코 (라스페치아) | 11,466 |
SPAL | 페라라 | 파올로 마차 | 16,134 |
토레스 | 사사리 | 바니 산나 | 7,480 |
테르니 | 테르니 | 리베로 리베라티 | 17,460 |
비르투스 엔텔라 | 키아바리 | 코무날레 디 키아바리 | 5,587 |
비스 페사로 | 페사로 | 토니노 베넬리 | 4,898 |
4. 3. 그룹 C (South)
캄파니아에서 7개 팀, 풀리아에서 5개 팀, 시칠리아에서 3개 팀, 바실리카타에서 2개 팀, 라치오에서 1개 팀, 칼라브리아에서 1개 팀, 피에몬테에서 1개 팀이 참가한다.클럽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아우다체 체리뇰라 | 체리뇰라 | 도메니코 몬테리시 | 7,453 |
아벨리노 | 아벨리노 | 파르테니오-아드리아노 롬바르디 | 26,000 |
베네벤토 | 베네벤토 | 치로 비고리토 | 16,867 |
카세르타나 | 카세르타 | 알베르토 핀토 | 12,000 |
카타니아 | 카타니아 | 안젤로 마시미노 | 20,204 |
카베세 | 카바 데 티레니 | 시모네타 람베르티 | 5,200 |
크로토네 | 크로토네 | 에치오 시다 | 16,640 |
포자 | 포자 | 피노 자케리아 | 25,085 |
주글리아노 | 주글리아노 인 캄파니아 | 알베르토 데 크리스토파로 | 6,044 |
유벤투스 넥스트 젠 | 토리노 | 주세페 모카가타 (알레산드리아) | 5,926 |
라티나 | 라티나 | 도메니코 프란시오니 | 9,310 |
메시나 | 메시나 | 산 필리포-프랑코 스글리오 | 38,722 |
모노폴리 | 모노폴리 | 비토 시모네 베네치아니 | 6,880 |
피체르노 | 피체르노 | 도나토 쿠르치오 | 1,500 |
포텐자 | 포텐자 | 알프레도 비비아니 | 4,977 |
소렌토 | 소렌토 | 이탈리아 | 3,600 |
타란토 | 타란토 | 에라스모 야코보네 | 27,584 |
알타무라 | 알타무라 | 프랑코 파누치 (브린디시) | 7,462 |
트라파니 | 트라파니 | 프로빈치알레 | 7,000 |
투리스 | 토레 델 그레코 | 아메리고 리구오리 | 3,566 |
5. 역대 우승팀
세리에 C는 이탈리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리그 명칭은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레가 프로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다시 세리에 C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리그 구조와 참가팀 수의 변화에 따라 시즌별 우승팀 결정 방식도 다양했다. 초창기 및 특정 시기에는 여러 지역 그룹(ita)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각 그룹의 우승팀이 해당 시즌의 공동 우승팀으로 기록되거나 승격 자격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리그가 중단되기도 했으며, 1947-48 시즌처럼 세리에 B로의 승격팀만 결정되고 전체 우승팀은 선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1951-52 시즌부터 1957-58 시즌까지는 단일 우승팀 체제로 운영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다시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리그를 진행하고 각 그룹 우승팀이 세리에 B로 자동 승격하며, 시즌 종료 후 플레이오프 등을 통해 추가 승격팀을 결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아래 하위 섹션에서 1935-36 시즌부터 현재까지 각 시즌별 우승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5. 1. 시즌별 우승팀 (1935-현재)
시즌 | 우승팀 |
---|---|
세리에 C | |
1935–36 | 베네치아, 크레모네세, 스페치아, 카탄차로 |
1936–37 | 파도바, 비제바노, 산레메세, 안코니타나, 타란토 |
1937–38 | SPAL, 판풀라 로디, 카살레, 시에나, 살레르니타나 |
1938–39 | 브레시아, 카타니아 |
1939–40 | 레지아나, 비첸차, 마체라테세 |
1940–41 | 프라토, 피우마나 |
1941–42 | 크레모네세, 유벤티나 팔레르모 |
1942–43 | 바레세, 프로 고리치아 |
1943–45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전국 대회가 열리지 않음 |
1945–46 | 메스트리나, 프라토, 페루자, 알바 알라 로마, 베네벤토, 레체, 레오네 팔레르모 |
1946–47 | 마젠타, 비타 노바 P.S. 피에트로, 볼차노, 첸테세, 노체리나 |
1947–48 | 18개 지역 리그로 운영되었으며, 세리에 B로의 승격 및 전체 우승팀 없음 |
1948–49 | 판풀라 로디, 우디네세, 프라토, 아벨리노 |
1949–50 | 세레뇨, 트레비소, 안코니타나, 메시나 |
1950–51 | 몬차, 마르초토 발다뇨, 피옴비노, 유베 스타비아 |
1951–52 | 칼리아리 |
1952–53 | 파비아 |
1953–54 | 파르마 |
1954–55 | 바리 |
1955–56 | 베네치아 |
1956–57 | 프라토 |
1957–58 | 레지아나 |
1958–59 | OZO 만토바, 카탄차로 |
1959–60 | 프로 파트리아, 프라토, 포자 |
1960–61 | 모데나, 루케세, 코센차 |
1961–62 | 트리에스티나, 칼리아리, 포자 |
1962–63 | 바레세, 프라토, 포텐차 |
1963–64 | 레지아나, 리보르노, 트라니 |
1964–65 | 노바라, 피사, 레지나 |
1965–66 | 사보나, 아레초, 살레르니타나 |
1966–67 | 몬차, 페루자, 바리 |
1967–68 | 코모, 체세나, 테르나나 |
1968–69 | 피아첸차, 아레초, 카세르타나 |
1969–70 | 노바라, 마세세, 카세르타나 |
1970–71 | 레지아나, 제노아, 소렌토 |
1971–72 | 레코, 아스콜리, 브린디시 |
1972–73 | 파르마, SPAL, 아벨리노 |
1973–74 | 알레산드리아, 삼베네데테세, 페스카라 |
1974–75 | 피아첸차, 모데나, 카타니아 |
1975–76 | 몬차, 리미니, 레체 |
1976–77 | 크레모네세, 피스토이에세, 바리 |
1977–78 | 우디네세, SPAL, 노체리나 |
레가 프로 | |
2014–15 | 노바라, 테라모 (승부 조작으로 우승 박탈, 아스콜리에 수여), 살레르니타나 |
2015–16 | 치타델라, SPAL, 베네벤토 |
2016–17 | 크레모네세, 베네치아, 포자 |
세리에 C | |
2017–18 | 리보르노, 파도바, 레체 |
2018–19 | 비르투스 엔텔라, 포르데노네, 유베 스타비아 |
2019–20 | 몬차, 비첸차, 레지나 |
2020–21 | 코모, 페루자, 테르나나 |
2021–22 | 쥐트티롤, 모데나, 바리 |
2022–23 | 페랄피살로, 레지아나, 카탄차로 |
2023–24 | 체세나, 만토바, 유베 스타비아 |
참조
[1]
웹사이트
serie
http://www.dipionlin[...]
2021-03-26
[2]
웹사이트
Now sarà il title sponsor della serie C
https://www.lega-pro[...]
2023-08-30
[3]
웹사이트
Communicatio ufficiale N.47/A
http://tccdb-storage[...]
FIGC
2014-08-01
[4]
웹사이트
A FIRENZE SORTEGGIO PLAY OFF E ASSEMBLEA DEI CLUB
http://www.lega-pro.[...]
Lega Pro
2017-05-25
[5]
웹사이트
Serie C, Rende ripescato: girone con 19 squadre
http://www.tuttospor[...]
FIGC
2017-08-11
[6]
웹사이트
PLAY-OFF e PLAY-OUT CAMPIONATO SERIE C 2021-2022
https://www.lega-pro[...]
Lega Pro
2022-03-25
[7]
웹사이트
Comunicato Ufficiale N°11/L (2016–17)
http://www.lega-pro.[...]
Lega Pro
2016-07-14
[8]
웹사이트
サッカー選手世界初の感染者か…セリエCの22歳に新型コロナ陽性反応
https://web.gekisaka[...]
2020-02-28
[9]
웹사이트
セリエC、レギュラーシーズン打ち切り。レッジーナらの昇格が決まる
https://www.football[...]
2020-06-12
[10]
뉴스
パルマが破産発表。来季からアマリーグの4部へ
http://www.footballc[...]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5-06-22
[11]
웹사이트
CAMPIONATO
https://www.lega-pro[...]
2023-09-03
[12]
문서
八百長により、優勝と昇格取り消し
[13]
뉴스
Calcio: CF approva riforma Lega Pro, 60 squadre dal 2014-15
http://www.asca.it/n[...]
ASCA Agenzia di Stampa
2012-11-21
[14]
URL
http://www.lega-p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