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태양보다 4~20배 무겁고, 광도는 1,000~50,000배 더 밝은 변광성이다. 분광형은 F6~K2 사이의 거성 또는 저광도 초거성에 속하며, 주계열성을 벗어나 진화하는 중간 질량 항성이 불안정띠를 지날 때 발생한다. 이들은 맥동 주기가 길수록 광도가 크다는 주기-광도 관계를 가지며, 이를 통해 천문학적 거리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한 거리 측정에는 여러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는 허블 상수 측정의 오차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주기-광도 관계
맥동 변광성의 광도와 맥동 주기 사이의 관계인 주기-광도 관계는 다양한 유형의 변광성에서 나타나며, 천문학자들이 멀리 떨어진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우주의 구조와 규모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우주 거리 사다리 - 세페이드 변광성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기적인 밝기 변화와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우주 거리 측정에 활용되는 별로, 고전 세페이드와 II형 세페이드로 나뉘며 헬륨 이온화에 의한 맥동 현상을 보인다. - 우주 거리 사다리 - 초신성
초신성은 항성의 폭발적 최후 단계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중원소를 우주에 퍼뜨리는 현상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최근 초기 우주에서 발생한 초신성 발견으로 항성 진화 및 우주론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위치천문학 - 극운동
극운동은 지구 자전축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챈들러 요동, 연주기 진동, 불규칙적 표류로 구성되며 지구 핵-맨틀 운동, 해수면 재분포, 지각균형 재조정 등으로 발생하고 우주측지학 방법으로 관측되며 IERS에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 위치천문학 - 천체역학
천체역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케플러 운동 법칙, 섭동 이론, 다체 문제 등을 포함하며,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해석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우주 탐사 및 행성 형성 연구에 기여한다.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
---|---|
개요 | |
![]() | |
유형 | 맥동변광성 |
분광형 | F6 – K6 |
질량 | 4–20 M☉ |
반지름 | 30–300 R☉ |
광도 | 100–100,000 L☉ |
주기 | 1–100일 |
특징 | |
변광폭 | 0.1–2등급 |
스펙트럼 변화 | 존재 |
별무리 | 종족 I |
명칭 | |
다른 이름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종족 I 세페이드 변광성 제1형 세페이드 변광성 δ 세페이드 변광성 |
영어 명칭 | Classical Cepheid variable |
상세 정보 | |
발견 | 1784년 에드워드 피곳 (η Aql) 1784년 존 굿릭 (δ Cep) |
광도-주기 관계 |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와 변광 주기 사이의 관계 |
표준 촉광 |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됨 |
하위 분류 | |
종류 | 세페이드 변광성 종족 II 세페이드 변광성 특이 세페이드 변광성 |
2. 성질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항성분류상 분광형 F6 ~ K2 사이의 거성 또는 저광도 초거성에 속하며, 밝기는 태양의 1,000배에서 50,000배(예외적으로 센타우루스자리 V810은 200,000배)에 달한다.[64] 질량은 태양의 4 ~ 20배 정도이다.[63]
이 별들은 맥동함에 따라 온도, 분광형, 지름이 변한다. 지름은 태양의 수십에서 수백 배에 달하며, 광도가 클수록 크기가 크고 온도가 낮으며 주기가 길다. 변광 시 광도 변화는 파장이 짧을수록 더 뚜렷하다.[65]
세페이드 변광성은 대부분 고유진동이나 첫 번째 배음 형태로 나타나며, 간혹 합성파 형태로도 나타난다.[70] 광도곡선만으로는 진동 형태를 구별하기 어렵지만, 주기가 같을 경우 배음 형태로 나타나는 변광성이 고유진동으로 나타나는 변광성보다 더 밝고 크다.[66]
2. 1. 진화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계열에서 벗어나 진화하는 중간 질량 항성이다. 이들은 수소 껍질 연소 단계에서 불안정띠를 빠르게 지나고, 헬륨 핵 점화 이후 블루 루프를 그리며 다시 불안정띠를 통과한다. 이때 고온으로 이동했다가 점근거성가지로 진화하면서 다시 불안정띠를 지난다. 이상의 무거운 항성은 적색거성 가지에 도달하기 전 헬륨 연소를 시작하여 적색초거성이 되지만, 이 경우에도 블루 루프를 통해 불안정띠를 지날 수 있다.[67]
블루 루프의 지속 시간과 존재 여부는 항성의 질량, 금속함량, 헬륨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경우에는 헬륨 껍질 연소가 시작될 때 불안정띠를 여러 번 지나기도 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 변화율과 화학 성분 변화를 통해 항성이 어떤 진화 경로를 거치는지 추론할 수 있다.[67]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핵에서 수소가 고갈되기 전, B7 이상의 B형 주계열성이었다. 더 무겁고 뜨거운 항성은 주기가 길고 더 밝은 변광성이 된다. 우리은하 내 태양과 비슷한 금속함량을 가진 항성은 처음 불안정띠를 지날 때까지 질량을 잃어 주기가 50일 이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도에서는 금속함량에 따라 적색초거성이 블루 루프를 거치지 않고 청색초거성으로 진화하지만, 이 경우 세페이드 변광성이 아닌 불안정한 황색극대거성 형태를 띤다. 매우 무거운 별은 불안정띠를 지날 만큼 냉각되지 않아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지 않는다. 마젤란 은하처럼 금속함량이 낮은 경우, 항성의 질량 손실이 줄어들어 더 밝고 주기가 긴 세페이드 변광성이 만들어진다.[64]
2. 2. 맥동
항성이 블루 루프를 지나며 불안정띠를 통과하는 진화 과정에서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맥동 현상이 나타난다. 이 별들은 보통 태양보다 4배에서 20배 더 무겁고,[63] 광도는 1,000배에서 50,000배 (예외적으로 센타우루스자리 V810은 200,000배) 더 밝다.[64] 항성분류상 분광형 F6 ~ K2의 거성이며, 맥동에 따라 온도, 분광형, 지름이 변한다. 지름은 태양의 수십에서 수백 배에 달하며, 광도가 클수록 크기가 크고 온도가 낮으며 주기가 길다. 변광 시 광도 변화는 파장이 짧을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65]
세페이드 변광성은 주로 고유진동이나 첫 번째 배음 형태로 맥동하며, 드물게 합성파 형태로도 나타난다.[70] 대부분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고유진동 맥동체로 여겨지지만, 광도곡선만으로는 진동 형태를 구별하기 어렵다. 주기가 같을 경우, 배음 형태로 맥동하는 변광성이 고유진동으로 맥동하는 변광성보다 더 밝고 크다.[66]
중간 질량 항성이 주계열에서 벗어나 진화할 때, 수소 연소 과정에서 빠르게 불안정띠를 지난다. 이후 헬륨 핵융합이 시작되면 블루 루프를 통해 불안정띠를 다시 지나 온도가 높아지며 점근거성열로 향한다. 이상으로 무거운 항성은 거성열에 도달하기 전에 헬륨 연소가 시작되어 적색초거성이 되지만, 이 경우에도 블루 루프를 통해 불안정띠를 지날 수 있다. 블루 루프의 지속 시간과 존재 여부는 질량, 금속함량, 헬륨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때로는 불안정띠를 여러 번 지나기도 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와 화학 성분 변화를 통해 항성이 겪는 진화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67]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핵에서 수소가 고갈되기 전, B7 이상의 B형 주계열성이었다. 더 무겁고 뜨거운 항성은 주기가 길고 더 밝은 변광성이 된다. 우리은하 내 태양과 비슷한 금속함량을 가진 항성은 처음 불안정띠를 지날 때까지 질량을 잃어 주기가 50일 이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도에서는 금속함량에 따라 적색초거성이 블루 루프를 거치지 않고 청색초거성으로 진화하지만, 이 경우에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아닌 불안정한 황색극대거성 형태를 띤다. 매우 무거운 별은 불안정띠를 지날 만큼 냉각되지 않아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지 않는다. 마젤란 은하처럼 금속함량이 낮은 경우, 항성은 질량 손실이 적어 더 밝고 주기가 긴 세페이드 변광성이 될 수 있다.[64]
2. 3. 금속함량의 영향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금속함량은 항성의 진화와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금속함량이 낮은 환경에서는 항성의 질량 손실이 줄어들어 더 밝고 주기가 긴 세페이드 변광성이 만들어진다. 마젤란 은하와 같이 금속함량이 낮은 은하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64]우리 은하 내 태양과 비슷한 금속함량을 가진 젊은 항성의 경우, 불안정띠를 처음 통과할 때까지 질량을 잃어 주기가 50일 이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금속함량이 낮은 마젤란 은하에서는 항성이 질량을 덜 잃기 때문에 더 밝고 주기가 긴 세페이드 변광성이 될 수 있다.[64]
항성의 질량, 금속함량, 헬륨 함량은 블루 루프의 지속 시간과 존재 여부에 민감하게 작용한다. 블루 루프는 중간 질량 항성이 주계열에서 벗어나 진화하는 과정에서 불안정띠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현상이다. 경우에 따라 항성은 불안정띠를 여러 번 지나기도 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와 화학 성분의 변화를 통해 항성이 지나는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67]
3. 광도곡선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곡선은 보통 최대 광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천천히 최소 광도로 돌아가는 불균형 형태를 띤다. 이는 지름과 온도 변화 사이의 위상차로 인한 현상으로 추정되며,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중 가장 흔한 형태인 고유진동 맥동체의 성질로 여겨진다. 일부 세페이드 변광성은 '언덕'처럼 밝기의 감소 속도가 줄거나 밝기가 잠시 증가하기도 하는데, 이는 고유진동과 첫 번째 배음의 공명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69] 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언덕의 위치는 광도 극대 쪽으로 이동하며, 극대가 두 번 나타나거나 극대와 합쳐지기도 한다. 주기가 20일 이상이 되면 언덕이 사라진다.[70][71]
3. 1. s형 세페이드 변광성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중 소수는 거의 대칭인 사인파 형태의 광도곡선을 보인다. 이러한 별들을 s형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부르며, 진폭이 작고 주기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 궁수자리 X 등 대다수는 첫 번째 배음 이상에 속하지만, 여우자리 S 등 극소수는 고유진동 상태임에도 이러한 광도곡선을 나타내기도 한다. 우리 은하 내 첫 번째 배음에 속하는 변광성은 주기가 짧은 형태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마젤란 은하 등 금속함량이 낮을 경우 주기가 길어진다. 마젤란 은하에는 배음이 높거나 둘 이상인 변광성도 여럿 존재하며, 이러한 항성은 진폭이 작고 광도곡선이 불규칙하다.[70][71]진폭이 0.5등급 이하로, 거의 대칭적인 사인파 형태의 광도곡선을 가지며 주기가 짧은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소진폭 세페이드(small amplitude Cepheids)"라는 별개의 그룹으로 정의된다. 변광성 종합 목록(GCVS)에서는 머리글자를 따서 DCEPS로 분류된다. 변광 주기는 일반적으로 7일 이하이지만, 정확한 경계는 아직 논의되고 있다. 사인파 형태의 광도곡선을 가진 단주기 소진폭 세페이드 중에서 제1배진동의 맥동성으로 여겨지는 것은 s-세페이드라고 불린다. s-세페이드는 HR도 상의 불안정대의 저온 쪽 끝에서 볼 수 있다.
소진폭 세페이드에는 폴라리스(작은곰자리 α별, 현재의 북극성)나 독수리자리 FF도 포함되지만, 두 별 모두 기본 모드로 맥동하고 있다. 제1배진동 맥동성으로 처음 확인된 별에는 남십자자리 BG나 컴파스자리 BP 등이 있다.
3. 2. 언덕 형태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곡선은 최대 밝기까지 빠르게 증가했다가, 천천히 어두워지는 비대칭적인 형태를 띤다. 이는 지름과 온도의 변화가 서로 어긋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에서 가장 흔한 형태인 고유진동 맥동체의 특징이다.일부 세페이드 변광성은 사인파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지만, 밝기가 감소하는 속도가 줄어들거나 잠시 밝아지는 '언덕'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고유진동과 첫 번째 배음(진동)이 공명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언덕'은 독수리자리 에타처럼 주기가 6일 정도인 별에서 밝기가 감소할 때 자주 관측된다. 주기가 길어지면 언덕의 위치는 가장 밝은 지점 쪽으로 이동하며, 메크부다처럼 주기가 10일 정도 되면 밝기가 두 번 나타나거나, 가장 밝은 지점과 합쳐지기도 한다. 백조자리 X처럼 주기가 더 길면 밝기가 증가할 때 언덕이 나타나며,[69] 주기가 20일 이상이 되면 언덕은 사라진다.
소수의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은 거의 대칭적인 사인파 형태의 광도곡선을 가진다. 이러한 별들을 s형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부르며, 진폭이 작고 주기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 궁수자리 X 등 대부분은 첫 번째 배음 이상으로 진동하지만, 여우자리 S처럼 매우 드물게 고유진동 상태에서도 이러한 광도곡선을 나타내기도 한다. 우리 은하 내에서 첫 번째 배음으로 진동하는 변광성은 주기가 짧은 형태만 존재하지만, 마젤란 은하처럼 금속 함량이 낮은 곳에서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마젤란 은하에는 배음이 높거나 둘 이상인 변광성도 여럿 존재하며, 이러한 항성은 진폭이 작고, 광도곡선이 불규칙하다.[70][71]
4. 주기-광도 관계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는 그 변광 주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맥동 주기가 길수록 별의 광도는 더 크다.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는 1908년 헨리에타 스완 레빗이 마젤란 은하의 수천 개 변광성을 연구하면서 발견하였고,[76] 1912년 추가 증거와 함께 발표했다.[77]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알면 광도를 알아낼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을 측정하여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을 시작으로 20세기 내내 많은 천문학자들이 주기-광도 관계를 보정하려 시도했지만, [78]쉽게 정립되지 않았다. 그러다 2007년 허블 우주 망원경을 사용하여 변광성 10개의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은하 단위에서의 질량-광도 관계가 정립되었고,[79] 2008년에는 ESO 천문학자들이 세페이드 고물자리 RS가 박혀 있는 성운의 빛 메아리를 이용하여 세페이드까지의 거리를 1% 이내의 정밀도로 추정했다.[80] 그러나 이 측정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81]
4. 1. 관계식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는 그 변광 주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주기가 길수록 광도가 더 크다.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는 1908년 마젤란 은하의 변광성을 연구하던 헨리에타 스완 레빗이 발견하였고,[76] 1912년 추가적인 증명을 첨부해 발표하였다.[77]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알면 광도를 알아낼 수 있으며, 겉보기등급을 측정하여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20세기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을 필두로 주기-광도 관계를 정립하려는 시도가 여럿 있었으나,[78] 쉽게 정립되지 않다가, 2007년 허블 우주망원경을 사용하여 변광성 10개의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은하 단위에서의 질량-광도 단계가 정립되었고,[79] 2008년에는 유럽 남방 천문대에서 빛 메아리를 이용해 고물자리 RS까지의 거리를 1% 정확도로 측정하였으나,[80] 이 측정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81]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정립한,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에서의 주기 ''P'' (단위는 일)와 절대등급 ''M''v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79]
다음 관계식은 거리 ''d'' (단위는 파섹)를 구하는 상황에서 이용한다.
:[79]
또는
:[82]
''I''와 ''V''는 각각 적외선과 가시광선 대역에서의 겉보기 평균 등급을 가리킨다.
4. 2. 거리 측정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와 광도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간단히 말하면 주기가 길수록 밝기가 더 크다. 이러한 주기-광도 관계는 1908년 마젤란 은하의 변광성을 연구하던 헨리에타 스완 레빗이 발견하였고,[76] 1912년 추가적인 증거와 함께 발표되었다.[77] 주기-광도 관계를 이용하면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를 통해 광도를 알 수 있고, 겉보기 등급을 측정하여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20세기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을 필두로 여러 천문학자들이 주기-광도 관계를 정립하려 노력했지만,[78] 쉽지 않았다. 그러다 2007년 허블 우주망원경을 사용하여 변광성 10개의 연주시차를 측정하여 은하 단위에서의 질량-광도 관계가 정립되었고,[79] 2008년에는 유럽 남방 천문대에서 빛 메아리를 이용해 고물자리 RS까지의 거리를 1% 정확도로 측정하였다.[80] 하지만 이 측정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81]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정립한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 ''P''와 절대등급 ''M''v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79]
여기서 ''P''의 단위는 일(日)이다.
다음 관계식은 거리 ''d''(단위는 파섹)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 [79]
또는
: [82]
''I''와 ''V''는 각각 적외선과 가시광선 대역에서의 겉보기 평균 등급을 의미한다.
5. 거리 측정의 불확정성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한 거리 측정에는 몇 가지 불확정성 요인이 존재한다. 주기-광도 관계가 관측 파장 대역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 별의 금속함량 차이가 주기-광도 관계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 그리고 성간 소광으로 인해 거리에 따른 밝기 변화가 발생한다는 점 등이 주요 원인이다.[88][89][64][90][91][92][93][94][95][96][97][98]
이러한 불확정성 때문에 허블 상수 측정값은 60 km/s/Mpc에서 80 km/s/Mpc 사이로 차이가 난다.[59][88][58][89][99] 허블 상수는 우주의 팽창 속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이므로, 우주의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리 측정의 불확정성을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58][99]
특히, 다양한 통과대에서 주기-광도 관계의 특성, 금속함량이 주기-광도 관계의 영점과 기울기에 미치는 영향, 광도 오염(혼합)과 흡광 법칙이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 거리에 미치는 영향 등이 중요한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힌다.[32][33][8][34][35][36][37][38][39][40][41][42]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허블 상수는 60 km/s/Mpc에서 80 km/s/Mpc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2][2][33][43] 허블 상수의 정확한 값은 우주론적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것은 천문학계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2][43]
6. 발견
1784년 9월 10일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피고트가 독수리자리 에타의 변광 현상을 관측한 것이 최초의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관측이었다. 하지만 세페이드 변광성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세페우스자리 델타로, 바로 다음 달 존 구드릭이 발견하였다.[72]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특히 성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특징과,[73][74] 허블 우주망원경 및 히파르코스의 정밀한 시차 측정을 통해,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 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75]
7. 저진폭 세페이드 변광성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중 등급 변동이 0.5 등급 이하이고, 광도곡선이 거의 대칭으로 나타나며, 주기가 짧은 별은 저진폭 세페이드 변광성(small amplitude Cepheids영어, 식별 부호 DECPS)으로 구별하여 부른다. 주기는 보통 7일 이하이며, 정확한 전환점의 위치는 아직도 논란 중이다.[83][27] 저진폭 세페이드 변광성 중 광도곡선이 사인파와 유사하면 s형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부르며, 첫 번째 배음에 속하고, 불안정띠의 적색 경계선 근처에 분포한다.[84][85][28][29]
저진폭 세페이드 변광성의 대표적인 예시는 폴라리스와 독수리자리 FF가 있는데, 이 둘은 고유진동 상태에 있다. 첫 번째 배음에 속한 변광성으로는 대표적으로 남십자자리 BG와 컴퍼스자리 BP가 있다.[86][87][30][31]
8. 주요 세페이드 변광성 목록
명칭 | 별자리 | 발견 | 최대 겉보기등급 (mV)[100] | 최소 겉보기등급 (mV)[100] | 주기 (일)[100] | 분광형 | 비고 |
---|---|---|---|---|---|---|---|
독수리자리 에타 | 독수리자리 | 에드워드 피고트, 1784년 | 3m.48 | 4m.39 | 7.17664 | F6 Ibv | |
독수리자리 FF | 독수리자리 | 찰스 모스 허퍼, 1927년 | 5m.18 | 5m.68 | 4.47 | F5Ia-F8Ia | |
독수리자리 TT | 독수리자리 | 6m.46 | 7m.7 | 13.7546 | F6-G5 | ||
독수리자리 U | 독수리자리 | 6m.08 | 6m.86 | 7.02393 | F5I-II-G1 | ||
공기펌프자리 T | 공기펌프자리 | 5m.00 | 5m.82 | 5.898 | G5 | 과거 II형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여겨짐. 발견되지 않은 동반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101] | |
마차부자리 RT | 마차부자리 | 5m.00 | 5m.82 | 3.73 | F8Ibv | ||
HD 84810 | 용골자리 | 3m.28 | 4m.18 | 35.53584 | G5 Iab/Ib | ||
세페우스자리 델타 | 세페우스자리 | 존 구드릭, 1784년 | 3m.48 | 4m.37 | 5.36634 | F5Ib-G2Ib | 이중성. 쌍안경으로 관측 가능. |
컴퍼스자리 AX | 컴퍼스자리 | 5m.65 | 6m.09 | 5.273268 | F2-G2II | 분광형 B6인 동반성이 있음. | |
컴퍼스자리 BP | 컴퍼스자리 | 7m.31 | 7m.71 | 2.39810 | F2/3II-F6 | 분광형 B6인 동반성이 있음. | |
남십자자리 BG | 남십자자리 | 5m.34 | 5m.58 | 3.3428 | F5Ib-G0p | ||
남십자자리 R | 남십자자리 | 6m.40 | 7m.23 | 5.82575 | F7Ib/II | ||
남십자자리 S | 남십자자리 | 6m.22 | 6m.92 | 4.68997 | F6-G1Ib-II | ||
남십자자리 T | 남십자자리 | 6m.32 | 6m.83 | 6.73331 | F6-G2Ib | ||
백조자리 X | 백조자리 | 5m.85 | 6m.91 | 16.38633 | G8Ib[102] | ||
백조자리 SU | 백조자리 | 6m.44 | 7m.22 | 3.84555 | F2-G0I-II[103] | ||
황새치자리 베타 | 황새치자리 | 3m.46 | 4m.08 | 9.8426 | F4-G4Ia-II | ||
쌍둥이자리 제타 | 쌍둥이자리 | 요한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슈미트, 1825년 | 3m.62 | 4m.18 | 10.15073 | F7Ib to G3Ib | |
거문고자리 V473 | 거문고자리 | 5m.99 | 6m.35 | 1.49078 | F6Ib-II | ||
파리자리 R | 파리자리 | 5m.93 | 6m.73 | 7.51 | F7Ib-G2 | ||
파리자리 S | 파리자리 | 5m.89 | 6m.49 | 9.66007 | F6Ib-G0 | ||
직각자자리 S | 직각자자리 | 6m.12 | 6m.77 | 9.75411 | F8-G0Ib | 산개성단 NGC 6087에 소속, 성단에서 제일 밝은 별. | |
직각자자리 QZ | 직각자자리 | 8m.71 | 9m.03 | 3.786008 | F6I | 산개성단 NGC 6067에 소속. | |
직각자자리 V340 | 직각자자리 | 8m.26 | 8m.60 | 11.2888 | G0Ib | 산개성단 NGC 6067에 소속. | |
직각자자리 V378 | 직각자자리 | 6m.21 | 6m.23 | 3.5850 | G8Ib | ||
땅꾼자리 BF | 땅꾼자리 | 6m.93 | 7m.71 | 4.06775 | F8-K2[104] | ||
고물자리 RS | 고물자리 | 6m.52 | 7m.67 | 41.3876 | F8Iab | ||
궁수자리 S | 궁수자리 | 존 엘라르드 고레, 1885년 | 5m.24 | 6m.04 | 8.382086[105] | F6Ib-G5Ib | |
궁수자리 U | 궁수자리 (M25) | 6m.28 | 7m.15 | 6.74523 | G1Ib[106] | ||
궁수자리 감마1 | 궁수자리 | 4m.29 | 5m.14 | 7.59503 | F4-G2Ib | 궁수자리 감마2와 겉보기 이중성. | |
궁수자리 X | 궁수자리 | 4m.20 | 4m.90 | 7.01283 | F5-G2II | ||
전갈자리 V636 | 전갈자리 | 6m.40 | 6m.92 | 6.79671 | F7/8Ib/II-G5 | ||
남쪽삼각형자리 R | 남쪽삼각형자리 | 6m.4 | 6m.9 | 3.389 | F7Ib/II[106] | ||
남쪽삼각형자리 S | 남쪽삼각형자리 | 6m.1 | 6m.8 | 6.323 | F6II-G2 | ||
폴라리스 | 작은곰자리 |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 1911년 | 1m.86 | 2m.13 | 3.9696 | F8Ib or F8II | |
돛자리 AH | 돛자리 | 5m.5 | 5m.89 | 4.227171 | F7Ib-II | ||
여우자리 S | 여우자리 | 8m.69 | 9m.42 | 68.464 | G0-K2(M1) | ||
여우자리 T | 여우자리 | 5m.41 | 6m.09 | 4.435462 | F5Ib-G0Ib | ||
여우자리 U | 여우자리 | 6m.73 | 7m.54 | 7.990676 | F6Iab-G2 | ||
여우자리 SV | 여우자리 | 6m.72 | 7m.79 | 44.993 | F7Iab-K0Iab | ||
카시오페이아자리 SU | 카시오페이아자리 | 5m.88 | 6m.30 | 1.9 | F5II |
세페우스자리 델타, 쌍둥이자리 제타, 독수리자리 에타, 황새치자리 베타와 같이 매일 밤 맨눈으로도 밝기 변화를 관측할 수 있는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도 있다. 이 유형의 변광성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것은 폴라리스이며, 밝기 변화는 약 0.05등급이다.[58]
참조
[1]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Cepheids in the Magellanic Clouds. IV. Catalog of Cepheids from the Large Magellanic Cloud
[2]
논문
The Hubble Constant
[3]
논문
Final Resul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Key Project to Measure the Hubble Constant
[4]
논문
Characteristics of the Galaxy according to Cepheids
[5]
논문
Cepheids: Observational properties, binarity and GAIA
[6]
논문
A Cepheid Distance to NGC 4603 in Centaurus
[7]
논문
The Progenitors of Classical Cepheid Variables
[8]
논문
The PL calibration for Milky Way Cepheid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istance scale
[9]
논문
Radius variation and population type of cepheid variables
[10]
논문
On the Pulsation Mode Identification of Short-Period Galactic Cepheids
[11]
논문
On the crossing mode of the long-period Cepheid SV Vulpeculae
[12]
논문
The Secret Lives of Cepheids: Evolutionary Changes and Pulsation-induced Shock Heating in the Prototype Classical Cepheid δ Cep
[13]
논문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 Periods Longer than 10 Days
2005-01-01
[14]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I. Classical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15]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VII. Classical Cepheid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16]
논문
Goodricke, Pigott and the Quest for Variable Stars
[17]
논문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18]
논문
New Evidence Supporting Cluster Membership for the Keystone Calibrator Delta Cephei
[19]
논문
Astrometry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Parallax of the Fundamental Distance Calibrator δ Cephei
[20]
논문
1777 variables in the Magellanic Clouds
[21]
논문
Periods of 25 Variable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22]
논문
Über die räumliche Verteilung der Veränderlichen vom δ Cephei-Typus
[23]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Parallaxes of Galactic Cepheid Variable Stars: Period-Luminosity Relations
[24]
논문
The long-period Galactic Cepheid RS Puppis
https://hal.archives[...]
[25]
논문
On geometric distance determination to the Cepheid RS Puppis from its light echoes
[26]
논문
New Evidence Supporting Membership for TW Nor in Lyngå 6 and the Centaurus Spiral Arm
[27]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28]
논문
The Pulsation Mode and Distance of the Cepheid FF Aquilae
[29]
논문
The separation of S-Cepheids from classical Cepheids and a new definition of the class
[30]
논문
Spectroscopic studies of Cepheids in Circinus (AV Cir, BP Cir) and Triangulum Australe (R TrA, S TrA, U TrA, LR TrA)
[31]
논문
Observations of Cepheids with the MOST satellite: Contrast between pulsation modes
[32]
논문
The expansion field: The value of H 0
[33]
논문
The Hubble Constant from Type Ia Supernovae Calibrated with the Linear and Nonlinear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s
[34]
논문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zero-point from HIPPARCOS trigonometrical parallaxes
[35]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Blending on the Cepheid Distance Scale with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36]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Cepheids in the Galaxy IC1613: No Dependence of the Period-Luminosity Relation on Metallicity
[37]
논문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38]
논문
Cepheids in External Galaxies. I.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the Metallicity Dependence of Period-Luminosity and Period-Wesenheit Relations
[39]
논문
Type II Cepheids as Extragalactic Distance Candles
[40]
논문
Concerning the Slope of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
[41]
논문
The effect of metallicity on Cepheid magnitudes and the distance to M33
[42]
논문
The Cepheids of Centaurus A (NGC 5128) and Implications for H0
[43]
학회자료
The SH0ES Project: Observations of Cepheids in NGC 4258 and Type Ia SN Hosts
[44]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Cepheids in UBV(RI)c (Berdnikov, 2008)
[45]
논문
The nature of the Cepheid T Antliae
[46]
논문
A High-resolution, Multi-epoch Spectral Atlas of Peculiar Stars Including RAVE, GAIA, and HERMES Wavelength Ranges
[47]
논문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I. Periods between 3 and 6 Days
[48]
논문
The Density of Stars of Different Spectral Types. With 1 figure
[49]
웹사이트
S Sagittae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0-01-04
[50]
서적
University of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I. Declinations −90° to −53.0°
[51]
논문
The nature of the Cepheid T Antliae
[52]
논문
A High-resolution, Multi-epoch Spectral Atlas of Peculiar Stars Including RAVE, GAIA, and HERMES Wavelength Ranges
[53]
논문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I. Periods between 3 and 6 Days
[54]
논문
The Density of Stars of Different Spectral Types. With 1 figure
[55]
웹사이트
S Sagittae
https://www.aavso.or[...]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0-01-04
[56]
논문
University of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I. Declinations −90_ to −53_ƒ0
[57]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Cepheids in the Magellanic Clouds. IV. Catalog of Cepheids from the Large Magellanic Cloud
[58]
논문
The Hubble Constant
[59]
논문
Final Results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Key Project to Measure the Hubble Constant
[60]
논문
Characteristics of the Galaxy according to Cepheids
[61]
논문
Cepheids: Observational properties, binarity and GAIA
[62]
논문
A Cepheid Distance to NGC 4603 in Centaurus
[63]
논문
The Progenitors of Classical Cepheid Variables
[64]
논문
The PL calibration for Milky Way Cepheid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istance scale
[65]
논문
Radius variation and population type of cepheid variables
[66]
논문
On the Pulsation Mode Identification of Short-Period Galactic Cepheids
[67]
논문
On the crossing mode of the long-period Cepheid SV Vulpeculae
[68]
논문
The Secret Lives of Cepheids: Evolutionary Changes and Pulsation-induced Shock Heating in the Prototype Classical Cepheid δ Cep
[69]
논문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 Periods Longer than 10 Days
2005-01
[70]
논문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I. Classical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71]
저널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The OGLE-III Catalog of Variable Stars. VII. Classical Cepheid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72]
저널
Goodricke, Pigott and the Quest for Variable Stars
[73]
저널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74]
저널
New Evidence Supporting Cluster Membership for the Keystone Calibrator Delta Cephei
[75]
저널
Astrometry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Parallax of the Fundamental Distance Calibrator δ Cephei
[76]
저널
1777 variables in the Magellanic Clouds
[77]
저널
Periods of 25 Variable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78]
저널
Über die räumliche Verteilung der Veränderlichen vom δ Cephei-Typus
[79]
저널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Parallaxes of Galactic Cepheid Variable Stars: Period-Luminosity Relations
[80]
저널
The long-period Galactic Cepheid RS Puppis
https://hal.archives[...]
[81]
저널
On geometric distance determination to the Cepheid RS Puppis from its light echoes
[82]
저널
New Evidence Supporting Membership for TW Nor in Lyngå 6 and the Centaurus Spiral Arm
[83]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84]
저널
The Pulsation Mode and Distance of the Cepheid FF Aquilae
[85]
저널
The separation of S-Cepheids from classical Cepheids and a new definition of the class
[86]
저널
Spectroscopic studies of Cepheids in Circinus (AV Cir, BP Cir) and Triangulum Australe (R TrA, S TrA, U TrA, LR TrA)
[87]
저널
Observations of Cepheids with the MOST satellite: Contrast between pulsation modes
[88]
저널
The expansion field: The value of H 0
[89]
저널
The Hubble Constant from Type Ia Supernovae Calibrated with the Linear and Nonlinear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s
[90]
저널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zero-point from HIPPARCOS trigonometrical parallaxes
[91]
Arxiv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Blending on the Cepheid Distance Scale with Cepheid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92]
저널
The Optical Gravitational Lensing Experiment. Cepheids in the Galaxy IC1613: No Dependence of the Period-Luminosity Relation on Metallicity
[93]
저널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94]
저널
Cepheids in External Galaxies. I.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the Metallicity Dependence of Period-Luminosity and Period-Wesenheit Relations
[95]
저널
Type II Cepheids as Extragalactic Distance Candles
[96]
저널
Concerning the Slope of the Cepheid Period-Luminosity Relation
[97]
저널
The effect of metallicity on Cepheid magnitudes and the distance to M33
[98]
저널
The Cepheids of Centaurus A (NGC 5128) and Implications for H0
[99]
콘퍼런스
The SH0ES Project: Observations of Cepheids in NGC 4258 and Type Ia SN Hosts
[100]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Photoelectric observations of Cepheids in UBV(RI)c (Berdnikov, 2008)
[101]
저널
The nature of the Cepheid T Antliae
[102]
저널
A High-resolution, Multi-epoch Spectral Atlas of Peculiar Stars Including RAVE, GAIA, and HERMES Wavelength Ranges
[103]
저널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I. Periods between 3 and 6 Days
[104]
저널
The Density of Stars of Different Spectral Types. With 1 figure
[105]
웹인용
S Sagittae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5-22
[106]
서적
University of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I. Declinations −90° to −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