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페우스자리 델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1784년 존 굿리케에 의해 변광성으로 발견된 별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으로, 밝기가 3.5등급에서 4.3등급 사이에서 5.36627일 주기로 변한다. 광도와 주기의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헨리에타 스완 리빗의 광도-주기 관계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강한 항성풍을 생성하며, 주위에는 별 주위 물질과 보우 쇼크가 존재한다. 또한, 6년 주기로 공전하는 분광 동반성과 중력으로 묶여 있는 동반 천체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주기-광도 관계
    맥동 변광성의 광도와 맥동 주기 사이의 관계인 주기-광도 관계는 다양한 유형의 변광성에서 나타나며, 천문학자들이 멀리 떨어진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우주의 구조와 규모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G형 초거성 - 고물자리 RS
    고물자리에 위치한 고물자리 RS는 41.5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빛의 반향을 통해 지구로부터 약 6,230광년에서 6,500광년 떨어진 초거성이다.
  • G형 초거성 - 궁수자리 감마1
    궁수자리 감마1은 주성 Aa(궁수자리 W별), 반성 Ab(분광쌍성), 반성 B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며, 주성 Aa는 7.59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 F형 초거성 - 카노푸스
    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 태양보다 1만 배 이상 밝은 F형 초거성이며, 고대부터 항해와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온 중요한 천체이다.
  • F형 초거성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세페우스자리 델타
위치 정보
케페우스자리 별자리 지도
δ별의 위치 (원으로 표시)
명칭
이름케페우스자리 델타
기타 명칭케페우스자리 27
BD +57 2548
FK5 847
HD 213306
HIP 110991
HR 8571
SAO 34508
관측 정보
기원J2000.0
별자리케페우스자리
겉보기 등급 (δ Cep A)4.07 (3.48–4.37) / 7.5
겉보기 등급 (δ Cep C)6.3
특징
분광형F5Ib-G1Ib + B7-8
B-V 색 지수0.60
U-B 색 지수0.36
변광성 유형세페이드
시선 속도
시선 속도 (δ Cep A)-16.8 km/s
시선 속도 (HD 213307)-21.60 km/s
고유 운동
적경 방향 고유 운동+15.35 밀리초/년
적위 방향 고유 운동+3.52 밀리초/년
연주 시차 및 거리
연주 시차3.66 ± 0.09 밀리초각
거리 (광년)887 ± 26
거리 (파섹)272 ± 8
절대 등급
절대 등급 (V)-3.47 ± 0.10 (-3.94 - -3.05)
항성 세부 정보 (δ Cep A)
질량5.26 ± 1.26 M☉
반지름46.1 ± 1.9 R☉
표면 중력1.65
광도1,949 L☉
표면 온도5905 K
금속 함량+0.08
자전 속도9 km/s
항성 세부 정보 (δ Cep B)
질량0.72 ± 0.11 M☉
항성 세부 정보 (δ Cep C)
광도500 L☉
표면 온도8,800 K
궤도 요소 (δ Cep B)
주성δ Cep A
공전 주기9.32 ± 0.03 년
궤도 이심률0.71 ± 0.02
시선 속도 진폭1.509 ± 0.2 km/s
궤도 장반축0.029 ± 0.002 각초
궤도 경사124 ± 17 도
근점 인수230 ± 4 도
승교점 경도78 ± 56 도
근성점 통과 시기1982.294 년
기타 명칭 (HD 213307)
기타 명칭BD +57 2547
HIP 110988
SAO 34506
NSV 25915
물리적 특징 (HD 213307)
분광형A0 V + F0 V
광도160 L
표면 온도12,500 K
B-V 색 지수-0.02
U-B 색 지수-0.33
궤도 정보 (HD 213307 A)
평균 거리 대상케페우스자리 델타별 A
평균 거리5.82 AU
근점 거리1.89 AU
이심률0.647
공전 주기6.03 년
중성 정보
주성케페우스자리 델타별
주기 (2012.849)191.2°
각거리40.61″
궤도 정보
평균 거리 대상케페우스자리 델타별
평균 거리10,200 AU
공전 주기3.4 년
궤도 정보 (HD 213307 A)
평균 거리1.9 AU
이심률0.35
공전 주기1.07 년
궤도 경사각36°

2. 관측 역사

이후 델타별과 유사한 밝기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변광성들이 계속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변광성들은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이름을 따서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1835년, 프리드리히 폰 슈트루베는 세페우스자리 델타별이 이중성임을 발견했다. 지구에서 보았을 때 41의 각거리를 가진 6.3등급 별인 상대별은 '''HD 213307'''로 알려져 있다. 그 후 세페우스자리 델타별과 HD 213307이 같은 고유 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연성계로 여겨지게 되었다.

1878년에는 셔번 버넘이 지구에서 보았을 때 20.9초의 각거리를 가진 13등급 별을 발견했다. 1966년 찰스 왈리는 이 별이 연성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2. 1. 초기 관측

18세기 말까지 과학계에 알려진 변광성은 고작 여섯 개에 불과했다. 당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피곳은 친구 존 구드릭과 함께 숨겨진 변광성들을 찾는 작업에 착수했다.[28] 1784년 구드릭은 알골독수리자리 에타가 변광성의 성질을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 한 달 뒤 9월 그는 세페우스자리의 델타별이 변광성임을 최초로 발견했다.[28]

중심에 있는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이미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1784년 존 굿리케에 의해 변광성으로 발견되었다. 그는 1784년 10월 19일에 첫 관측을 기술했으며, 이후 12월 28일까지 거의 매일 밤 규칙적인 일련의 관측을 했다. 1785년 상반기 동안 추가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변동성은 1785년 6월 28일자 서한에 기술되었고, 1786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것은 이 유형의 두 번째 변광성으로, 독수리자리 에타는 불과 몇 주 전인 1784년 9월 10일에 발견되었다.

2. 2. 광도-주기 관계 발견

18세기 말까지 과학계에 알려진 변광성은 고작 여섯 개에 불과했다. 당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피곳은 자신의 친구 존 구드릭과 함께 숨겨진 변광성들을 찾는 작업에 착수했다.[28] 1784년 구드릭은 알골독수리자리 에타가 변광성의 성질을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 한 달 뒤인 9월 그는 세페우스자리 델타별이 변광성임을 최초로 발견했다.[28] 이후 델타별과 유사한 밝기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변광성들이 계속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변광성들은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이름을 따서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1912년 헨리에타 스완 리빗은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변광 주기와 광도 사이에 매우 정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고 이를 광도-주기 관계로 정리했다. 이 발견은 우주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있어 획기적인 전기가 되었으며, 광도와 주기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통해 세페이드 변광성은 아주 멀리 떨어진 천체의 거리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길잡이로 자리매김했다.[28]

3. 물리적 특징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으로, 다음과 같은 물리적 특징을 갖는다.


  • 변광: 5.36627일 주기로 겉보기 밝기가 +3.5등급에서 +4.3등급 사이에서 변한다. 밝기는 급격히 상승했다가 완만하게 감소한다.[28][30][31]
  • 광도-주기 관계: 세페이드 변광성은 광도가 높을수록 변광 주기가 길어지는 특징이 있어, 이를 통해 별까지의 거리를 잴 수 있다.[28]
  • 크기: 시직경으로 계산한 델타의 실제 크기는 연구마다 약간씩 다르다. 태양 반경의 약 42배 정도이다. (레이니(1995): 41.5배, 기렌(1999): 43.8배, Caccin(1981): 42.4배)[32]
  • 별주위외피층(CSE): 별주위외피층이 존재한다.[33]
  • 동반 천체: 밝은 주성 외에 어두운 동반 천체 델타 B, C가 있다. 델타 B는 주성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지만,[34] 델타 C는 주성과 중력으로 묶여 있는 분광쌍성으로 추정된다.[35]

3. 1. 변광 메커니즘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매우 규칙적인 변광 주기를 갖는다. 겉보기 밝기는 5.36627일 주기로 +3.5등급에서 +4.3등급 사이에서 변하며, 밝기가 증가하는 속도가 감소하는 속도보다 빠르다.[28][30][31] 이러한 변광은 별의 외층에서 일어나는 규칙적인 팽창과 수축 때문에 발생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광도가 높을수록 변광 주기가 길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변광 주기를 알면 별의 광도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겉보기 등급만으로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28]

헤르메스 시선 속도 곡선(Radial Velocity Curve) of Delta Cephei A. 동일한 색상의 점들 사이의 오프셋은 분광 동반성, 세페우스자리 델타 B 때문이다.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태양에 가장 가까운 세페이드 변광성 중 하나이며, 주기-광도 관계의 보정자로서 매우 중요하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 데이터 덕분에 세페우스자리 델타까지의 거리는 매우 정확하게 알려져 있다.

이 별은 태양 질량의 3~12배 정도 되는 별들이 주계열성 단계를 지나 핵에서 수소 연소가 끝난 후 겪는 진화 단계에 있다. 별의 외층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이 과정에서 밝기가 변한다.

3. 2. 물리적 제원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매우 규칙적인 변광 주기를 갖는다. 변광 주기는 5.36627일이며, 겉보기 밝기는 3.5등급에서 4.3등급 사이에서 변한다. 밝기는 가파르게 상승했다가 완만한 속도로 어두워지는 특징을 보인다.[31] 세페이드 변광성은 광도가 높을수록 변광 주기가 길어지는 특성이 있어,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28]

시직경을 통해 계산한 델타의 실제 크기는 연구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태양 반경의 약 42배 정도이다. 레이니(1995)는 41.5배, 기렌(1999)은 43.8배, Caccin(1981)은 42.4배로 측정했다.[32]

세페우스자리 델타 주위에는 별주위외피층이 존재한다.[33]

이 별은 밝은 본체 외에 어두운 천체 델타 B, C를 거느리고 있다. 세페우스자리 델타 B는 주성 A와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은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34] 반면, 동반 천체 C는 태양 질량의 4배 정도이며, 주성 A와 중력으로 묶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C는 주성으로부터 약 12,000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밝기는 태양의 500배 정도이다. C는 분광쌍성이지만 식쌍성은 아니다.[35]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북극성 다음으로 태양에 가까운 세페이드 변광성이며, 주기-광도 관계의 보정자로 매우 중요하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히파르코스 위성의 관측으로 거리가 정밀하게 측정되었는데, 2002년 허블 관측으로는 273 파섹(890광년)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히파르코스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 244 ± 10 파섹(약 800 광년)로 더 짧은 거리가 나왔다.

헤르메스로 관측한 시선 속도 곡선을 통해, 세페우스자리 델타 A 주위를 6년 주기로 공전하는 작은 분광 동반성 별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 동반성은 세페우스자리 델타 질량의 약 10분의 1이며, 근점 통과 시 2 천문 단위 이내로 접근한다.

이 별은 태양 질량의 3~12배로 형성되어 주계열성을 B형 별로 통과한 후, 핵에서 수소가 소모되면서 현재 핵 연소의 후기 단계를 거치고 있다. 분광학적으로 결정된 별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5.3배이다. 이 단계에서 별의 외층은 태양 지름의 평균 46배로 팽창했다.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외기권에서 태양 광도의 약 1,900배를 방출하며, 강한 항성풍을 생성하여 매년 질량의 속도로 질량을 방출한다. 이는 약 백만 년마다 태양 질량에 해당한다. 방출된 가스는 세페우스자리 델타를 중심으로 1 파섹 크기의 성운을 형성하며, 0.07–0.21 태양 질량의 중성 수소를 포함한다. 보우 쇼크는 항성풍이 주변의 성간 물질과 충돌하면서 형성된다.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고유 속도는 주변 별에 비해 이다. 이 별은 세페우스자리 OB6 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있으며, 나이는 약 79 백만 년 정도일 수 있다.

4. 동반 천체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밝은 본체 외에 어두운 천체 델타 B와 C를 거느리고 있다. 델타 B는 주성 A 근처에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은, 서로 관계 없는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34] 반면 델타 C는 주성 A와 중력으로 묶여 있는 동반성으로 보인다.

시선 속도 측정에 의해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분광 연성으로, 반성이 6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추정되는 반성의 질량은 주성의 10분의 1 정도이며, 근점 거리는 2 천문 단위 이하이다. 이러한 반성의 존재는 가이아에 의한 연주 시차(거리) 측정 시에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세페우스자리 델타와 실시 연성을 이루는 반성 HD 213307도 분광 관측에 의한 시선 속도 측정 또는 고유 운동의 시간 변화 분석에서 연성으로 여겨지며, 세페우스자리 델타계는 4중 연성계로 보인다.

4. 1. 동반성 B

세페우스자리 델타 B는 주성 A 근처에 있지만, 실제로는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은, 서로 관계 없는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34]

4. 2. 동반성 C

C는 태양의 4배 정도 질량을 지니고 있으며, 주성 델타보다 질량이 작아 진화 속도가 느리다. C는 밤하늘에서 델타로부터 약 41초각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주성으로부터 약 12,000 천문단위 떨어진 거리이다. C와 주성 A는 중력으로 서로 묶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C의 밝기는 태양의 500배 정도이며, 우리 눈에는 7.5등급의 밝기로 보여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C의 분광형은 시리우스베가와 비슷한 A0이다.[28]

1968년 비트리첸코는 C가 주성 A(밝은 초거성)와 중력으로 묶여 있는 계의 구성원임을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C는 시선 속도가 빠른 속도로 요동치고 있었으나, 광전관측 결과 식 현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C는 분광쌍성이지만 식쌍성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C가 A로부터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지만, C의 공전 궤도가 우리의 시선 방향과 평행하게 놓여 있지 않음을 뜻한다.[35]

5. 항성풍과 주변 환경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별주위외피층(CSE)을 가지고 있으며[33], 강한 항성풍을 통해 질량을 방출한다. 이 항성풍은 별의 대기에서 일어나는 팽창 및 충격과 결합하여 빠른 속도로 물질을 방출하며, 이로 인해 별 주위에 성운이 형성된다. 항성풍이 주변 성간 물질과 충돌하면서 보우 쇼크를 형성한다.

5. 1. 항성풍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외기권에서 태양 광도의 약 1,900배를 방출한다. 이는 강한 항성풍을 생성하며, 별의 대기에서의 팽창 및 충격과 결합하여 매년 /yr의 속도로 질량을 방출하는데, 이는 약 백만 년마다 태양 질량에 해당한다. 이 물질은 약 35km/s의 속도로 밖으로 흐르고 있다. 방출된 가스는 세페우스자리 델타를 중심으로 1 파섹 정도 크기의 성운을 형성하며, –의 중성 수소를 포함한다. 보우 쇼크는 항성풍이 주변의 성간 물질과 충돌하면서 형성되고 있다.

5. 2. 주변 성간 물질과의 상호작용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강한 항성풍을 방출하는데, 이 항성풍은 별의 대기에서의 팽창 및 충격과 결합하여 빠른 속도로 질량을 방출한다. 방출되는 물질의 속도는 초당 35km이며, 이로 인해 세페우스자리 델타를 중심으로 지름이 약 1 파섹 정도 되는 성운이 형성된다. 이 성운은 0.07에서 0.21 태양 질량에 해당하는 중성 수소를 포함하고 있다. 항성풍이 주변 성간 물질과 충돌하면서 보우 쇼크를 형성한다.

세페우스자리 델타 주변의 보우 쇼크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고유 속도는 주변 별에 비해 13.5 ± 2.9 km/s로 빠르다. 이 별은 세페우스자리 OB6 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있으며, 성단과 비슷한 나이인 약 7900만 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관측 방법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초심자가 관측하기 쉬운 변광성이다. 맨눈으로도 밝기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광공해가 있는 도심에서도 관측 가능하다. 쌍안경이나 망원경 없이도 관측할 수 있다.[36] 변광 주기가 며칠 정도로 짧아 관측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28] 기준성들이 좁은 시야각 내에 있어 밝기 비교가 쉽고,[28] 북반구 하늘 천정에 가까워 북위 58도[37] 이상에서는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아 관측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근처에 밝은 천체가 없어 관측을 방해받지 않는다.[28][38]

6. 1. 관측 가이드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초심자들이 관측하기 가장 쉬운 변광성이다. 델타를 훌륭한 관측 대상으로 만드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델타는 밝기가 변하는 전 기간 동안의 과정을 전부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밝다. 광공해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 도심지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36]
  • 변광 주기가 짧다. 밝기 변화 주기가 며칠 정도로 짧아서 초심자들이 관측 결과를 신속하게 내놓을 수 있다. 반면 다른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주기가 세페우스자리 델타보다 길기 때문에 초심자들이 관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28]
  • 기준성들이 비교적 좁은 시야각 내에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 한눈에 밝기를 비교, 기록하기 쉽다.[28]
  • 델타는 북반구 하늘에서 천정에 가깝기 때문에 북위 58도[37] 위로 거주하는 관측자 눈으로 볼 때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다. 따라서 관측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 근처에 관측을 방해할 만한 밝은 천체가 없다.[28][38]

7. 한국 천문학에서의 연구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여전히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세페우스자리 델타'의 '한국 천문학에서의 연구'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려면 관련 연구 자료를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el Cep -- Classical Cepheid (delta Cep type) https://simbad.u-str[...] CDS 2017-08-01
[2] 문서 輝星星表第5版
[3] 웹사이트 GCVS http://www.sai.msu.s[...] 2017-08-01
[4] 서적 星百科大事典 改訂版 地人書館 1988-02-10
[5] 웹사이트 DELTA CEP http://stars.astro.i[...] 2017-08-01
[6] 웹사이트 HD 213307 -- Star suspected of Variability https://simbad.u-str[...] CDS 2017-07-22
[7] 논문 Revealing δ Cephei's Secret Companion and Intriguing Past 2015-05
[8] 논문 Classical Cepheids with companions. I. Delta Cephei. 1966-03
[9] 논문 A catalog of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evolved stars. V. Southern stars 2014-01
[10] 논문 A HIPPARCOS Census of the Nearby OB Associations 1999-01
[11] 논문 New Evidence Supporting Cluster Membership for the Keystone Calibrator Delta Cephei 2012-03
[12] 논문 Astrometry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A Parallax of the Fundamental Distance Calibrator δ Cephei 2002-09
[13] 논문 Monitoring the Evolution of Cepheid Variables 1998
[14] 논문 New Evidence for Mass Loss from δ Cephei from H I 21 cm Line Observations 2012-01
[15] 논문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2011-01
[16] 논문 On the Enhancement of Mass Loss in Cepheids Due to Radial Pulsation 2008-09
[17] 논문 An Infrared Nebula Associated with δ Cephei: Evidence of Mass Loss? 2010-12
[18]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2009-01
[19] 간행물 The Secret Lives of Cepheids: Evolutionary Changes and Pulsation-induced Shock Heating in the Prototype Classical Cepheid δ Cep 2014-10
[20] 간행물 Binary Cepheids: Separations and Mass Ratios in 5 M Binaries 2013-10
[21] 간행물 A Series of Observations on, and a Discovery of, the Period of the Variation of the Light of the Star Marked δ by Bayer, Near the Head of Cepheus. In a Letter from John Goodricke, Esq. to Nevil Maskelyne, D. D. F. R. S. and Astronomer Royal
[22] 간행물 Astronomers Celebrate Cepheid Bicentenary 1984-12
[23] 웹사이트 宇宙のものさしはあてにならない? ケフェイド変光星の物質放出の証拠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1-01-20
[24] 논문 Pulsation and Evolutionary Masses of Classical Cepheids. I. Milky Way Variables 2005-08
[25] 논문 Phase-dependent Vari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Cepheids. III. Periods between 3 and 6 Days 2005-10
[26] 논문 Speckle Interferometry at the U.S. Naval Observatory. XIX 2013-09
[27]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Snapshot Survey for Resolved Companions of Galactic Cepheids 2016-05
[28] 웹인용 V* del Cep -- Classical Cepheid (delta Cep type) http://simbad.u-stra[...] 2009-03-22
[29] 웹인용 DELTA CEP (Delta Cephei) http://www.astro.uiu[...] 2009-03-15
[30] 저널 인용 The mean angular diameter of δ Cephei measured by optical long-baseline interferometry http://adsabs.harvar[...] 2009-03-15
[31] 웹인용 두산엔싸이버 - 세페이드변광성 http://logencyber.en[...] 2009-03-30
[32] 저널 인용 Diameters of δ Cephei and η Aquilae Measured with the Navy Prototype Optical Interferometer http://adsabs.harvar[...] 2009-03-15
[33] 저널 인용 Extended envelopes around Galactic Cepheids. II. Polaris and δ Cephei from near-infrared interferometry with CHARA/FLUOR http://adsabs.harvar[...] 2009-03-15
[34] 웹인용 Delta Cephei, 27 Cephei http://seds.org/~spi[...] 2009-03-22
[35] 저널 인용 The blue companion of Delta Cephei(Cep C) 2009-03-20
[36] 저널 Observing Delta Cephei as an observing project for the unaided eye 2009-03-19
[37] 웹인용 Variable Star Of The Month: September, 2000: Delta Cephei http://www.aavso.org[...] 2008-06-21
[38] 문서 또 다른 대표적인 [[세페이드 변광성]] [[메크부다]]의 경우 황도 근처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달]]이 종종 가려 세페우스자리 델타만큼 안정적인 관측 시간을 확보할 수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