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의 정부수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의 정부수반은 소련의 정치 체제 변화에 따라 인민위원평의회 의장, 각료평의회 의장, 총리, 국가평의회 의장 등으로 불렸다.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즈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이반 실라예프 등이 역임했다. 이들은 소련의 주요 정책 결정 및 국가 운영을 담당했으며, 스탈린 시대의 동구권 형성, 흐루쇼프 시대의 쿠바 미사일 위기, 브레즈네프 시대의 경제 개혁 등 굵직한 사건들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정부수반 - 이반 실라예프
    이반 스테파노비치 실라예프는 소련의 정치가로, 항공 산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소련 부총리,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총리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소련 경제 재건을 시도했으나 소련 붕괴로 실패한 후 유럽 연합 주재 러시아 상임대표 등을 역임했다.
  • 소련의 정부수반 - 발렌틴 파블로프
    발렌틴 파블로프는 소련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총리를 역임했으며 시장화를 지지했으나 통화정책 실패와 8월 쿠데타 가담으로 체포된 후 사망하여, 그의 행보는 소련 붕괴 과정에서 보수 강경파의 역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소련의 정부수반
개요
직책 명칭소비에트 연방 정부 수반
로마자 표기Glava Pravitel'stva SSSR
국가소비에트 연방
종류정부 수반
관례 호칭각하
임명권자최고 소비에트
위치크렘린, 모스크바
임기규정 없음
(사실상 공산당의 신임에 달려 있었음)
설립일1923년 7월 6일
폐지일1991년 12월 26일
후신러시아 총리
첫 번째블라디미르 레닌
마지막이반 실라예프
부총리제1 부총리
부총리
이미지
알렉세이 코시긴
최장 재임 총리 알렉세이 코시긴(1964년 10월 15일 ~ 1980년 10월 23일)
소비에트 연방 국장
소비에트 연방 국장
관련 정보
전신(해당 사항 없음)
보고 대상최고 소비에트

2. 역대 소련 정부수반

소련 정부수반의 역사는 소련의 정치 체제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소련의 정부수반들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직함을 가졌으며, 그 권한과 역할도 변화했다.

번호초상화이름취임퇴임재임 기간선거구내각
1--블라디미르 레닌1923년 7월 6일1924년 1월 21일레닌 1차–2차
2
알렉세이 리코프1924년 2월 2일1930년 12월 19일1924년, 1925년, 1927년, 1929년리코프 1차
3--뱌체슬라프 몰로토프1930년 12월 19일1941년 5월 6일1931년, 1935년, 1936년, 1937년몰로토프 1차
4
이오시프 스탈린1941년 5월 6일1953년 3월 5일1946년, 1950년스탈린 1차–2차
5--게오르기 말렌코프1953년 3월 6일1955년 2월 8일1954년말렌코프 1차–2차
6--니콜라이 불가닌1955년 2월 8일1958년 3월 27일1958년불가닌
7--니키타 흐루쇼프1958년 3월 27일1964년 10월 15일1962년흐루쇼프 1차–2차
8--알렉세이 코시긴1964년 10월 15일1980년 10월 23일1966년, 1970년, 1974년, 1979년코시긴 1차
9
니콜라이 티호노프1980년 10월 23일1985년 9월 27일1984년티호노프 1차–2차
10--니콜라이 리주코프1985년 9월 27일1991년 1월 14일1989년리주코프 1차–2차
11--발렌틴 파블로프1991년 1월 14일1991년 8월 28일파블로프
12--이반 실라예프1991년 8월 28일1991년 12월 25일실라예프


  • 인민위원평의회 의장 (1922년–1946년): 1917년 10월 혁명 직후,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РСФСР)을 건설하고 인민위원평의회를 설치했다.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인민위원평의회는 소련의 행정부 역할을 수행했다.
  • 소련 각료평의회 의장 (1946년–1991년): 1946년 3월, 인민위원평의회는 각료평의회로 개칭되었고, 정부수반의 직함도 각료평의회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 소비에트 연방 총리 (1991년): 1991년 각료평의회가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정부수반의 직함이 총리로 변경되었다.
  • 소련 국가평의회 의장 – 경제공동체 총리 (1991년): 8월 쿠데타 이후 소비에트 정부는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에 행사할 수 있는 권력 대부분을 잃었고, 이반 실라예프는 소련의 연방 체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나 결국 소련은 붕괴한다.


1977년 소련 헌법에 따르면 정부 수반은 국가의 최고 행정 및 행정 기관의 지도자였다. 정부 수반은 최고 소비에트 (및 그 간부회)에 의해 임명되고 책임을 졌다.[2] 정부 수반은 국가 경제를 관리하고,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사회 문화적 발전을 보장했다.[3]

블라디미르 레닌이오시프 스탈린은 재임 중 사망했고,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이반 실라예프는 사임했다. 레닌, 스탈린, 흐루쇼프공산당 서기장과 정부 수반을 겸임했다. 이반 실라예프는 119일로 가장 짧은 기간 동안 재임했고, 알렉세이 코시긴은 16년으로 가장 긴 기간 동안 재임했다.

2. 1. 인민위원평의회 의장 (1922년–1946년)

1917년 10월 혁명 직후,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РСФСР)을 건설하고 인민위원평의회를 설치했다.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인민위원평의회는 소련의 행정부 역할을 수행했다.

초대 인민위원평의회 의장은 블라디미르 레닌이었다.[6] 레닌의 뒤를 이어 알렉세이 리코프가 의장직을 맡았으나, 볼셰비키 내부 온건파였던 그는 당에 대한 "실수"를 자아비판해야 했고, 1930년 실각했다.

이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가 의장직에 올랐다. 몰로토프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측근으로, 농업 집단화, 제1차 5개년 계획, 소련산업화, 대숙청 실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지만, 몰로토프 내각은 농업 집단화와 중공업 산업화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1941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직접 인민위원평의회 의장직을 맡았다. 스탈린은 독소전쟁에서 소련을 승리로 이끌고, 전후 국가 재건을 주도했다.

인민위원평의회 의장
이름재임 기간부의장(굵은 글씨는 제1부의장)당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1923년 7월 6일 - 1924년 1월 21일레프 카메네프, 알렉세이 리코프, 알렉산드르 추루파, 블라스 추바르, 마미야 오라헬라슈빌리이오시프 스탈린 (서기장)
알렉세이 리코프1924년 2월 2일 - 1930년 12월 19일레프 카메네프( - 1926년 1월 16일), 알렉산드르 추루파( - 1928년 5월 8일),
뱌체슬라프 몰로토프1930년 12월 19일 - 1941년 5월 6일얀 루주타크( - 1937년 5월 25일),
이오시프 스탈린1941년 5월 6일 - 1946년 3월 15일니콜라이 보즈네센스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1942년 8월 16일 - ), 아나스타스 미코얀,


2. 1. 1. 블라디미르 레닌 (1922년 12월 30일 – 1924년 1월 21일)

'''블라디미르 레닌'''(1870년-1924년)은 러시아 혁명(2월 혁명10월 혁명)을 이끈 지도자이며,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고 소련을 설립한 인물이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을 이끌었으며,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РСФСР) 및 소련을 설립하였다. 1923년 7월 6일부터 1924년 1월 21일 사망할 때까지 소련의 정부수반 직을 맡았으며, 재임 기간 동안 레닌 1차 내각과 레닌 2차 내각을 이끌었다.

2. 1. 2. 알렉세이 리코프 (1924년 2월 2일 – 1930년 12월 19일)



알렉세이 리코프볼셰비키 내 온건파에 속했으며,[1] 1924년 2월 2일부터 1930년 12월 19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 리코프는 재임 기간 동안 1924년, 1925년, 1927년, 1929년 총선거를 치렀다. 그는 자신의 "실수"를 공개적으로 비판해야 했으며, 결국 1930년에 권좌에서 물러났다.[1]

알렉세이 리코프 재임 기간
선거
1924년
1925년
1927년
1929년


2. 1. 3.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1930년 12월 19일 – 1941년 5월 6일)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이오시프 스탈린의 측근으로서 농업 집단화, 제1차 5개년 계획, 소련산업화, 대숙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 1930년 12월 19일부터 1941년 5월 6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 직을 맡았다.[2]

몰로토프는 1931년, 1935년, 1936년, 1937년 총선거를 통해 권력을 유지했으며, 그의 내각은 몰로토프 1차–2차–3차–4차로 이어진다.[2]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소련에서는 농업 집단화와 중공업 산업화가 진행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막대한 수의 희생자가 발생했다.[2]

2. 1. 4. 이오시프 스탈린 (1941년 5월 6일 – 1946년 3월 15일)



'''이오시프 스탈린'''(1878년 ~ 1953년)은 1941년 5월 6일부터 1946년 3월 15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 스탈린은 독소전쟁에서 소련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전후 국가 재건 시기를 이끌었다.

스탈린의 재임 기간은 1941년 5월 6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였으나, 주어진 섹션의 기간은 1946년 3월 15일까지이므로, 해당 기간 동안의 내용만 포함한다.

스탈린은 1946년 소련 최고 소비에트 선거를 통해 권력을 재확인받았다. 그의 내각은 제1차 스탈린 내각으로 불렸다. 스탈린 재임 기간 중 인민위원평의회는 각료평의회로 개칭되었다.

2. 2. 소련 각료평의회 의장 (1946년–1991년)

1946년 3월, 인민위원평의회는 각료평의회로 개칭되었고, 정부수반의 직함도 각료평의회 의장으로 변경되었다.[6]

#성명
(생몰연도)
재임기간총선거내각
1이오시프 스탈린
(1878년–1953년)
1946년 3월 15일 – 1953년 3월 5일1950년제2차 스탈린
독소전쟁 승리 이후 동유럽 대부분의 나라들에 공산주의 괴뢰정부를 수립하여 동구권을 형성하였다.[6] 철의 장막 뒤에 숨은 소련의 동유럽 지배는 소련과 서방세계 사이에 오랜 기간의 적대관계를 형성시켰으며 이를 냉전이라 한다.[6]
2게오르기 말렌코프
(1902년–1988년)
1953년 3월 6일 – 1955년 2월 8일1954년제1차–제2차 말렌코프
스탈린 사후 의장 직을 맡았으나 니키타 흐루쇼프와의 권력투쟁에 패하여 실각했다. 이후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 운동을 시작하자 흐루쇼프에 의해 니콜라이 불가닌으로 교체된다.
3니콜라이 불가닌
(1895년–1975년)
1955년 2월 8일 – 1958년 3월 27일1958년제1차 불가닌
스탈린 격하 운동 초기 흐루쇼프의 지지자였으나, 점차 그의 급진적 정책에 의구심을 품고 반당집단으로 몰려 실각했다. 이후 흐루쇼프가 의장 직을 겸임한다.
4니키타 흐루쇼프
(1894년–1971년)
1958년 3월 27일 – 1964년 10월 14일1962년제1차–제2차 흐루쇼프
쿠바 미사일 위기를 헤쳐나갔고 1961년 화폐개혁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계속되는 돌출행동에 노멘클라투라는 흐루쇼프를 각료평의회 의장 직과 공산당 서기장직에서 모두 실각시킨다.
5알렉세이 코시긴
(1904년–1980년)
1964년 10월 15일 – 1980년 10월 23일1966년, 1970년, 1974년, 1979년제1차–제5차 코시긴
흐루쇼프 실각 이후 코시긴레오니트 브레즈네프, 니콜라이 포드고르니와 함께 집단지도체제를 꾸렸다. 이 시기는 정체의 시대라고 불린다. 코시긴은 세 차례의 경제개혁(1965년, 1973년–1974년, 1979년)을 시도했다. 1980년 10월 사임했고 2개월 뒤 사망했다.
6니콜라이 티호노프
(1905–1997)
1980년 10월 23일 – 1985년 9월 27일1984년제1차–제2차 티호노프
코시긴 사임 후 티호노프가 차기 의장이 되었다. 티호노프 내각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서기장 재임기 마지막과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짧은 임기,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재임기 초기에 걸쳐 있다.
7니콜라이 리즈코프
(1929년– )
1985년 9월 27일 – 1991년 1월 14일1989년제1차–제2차
리즈코프는 고르바초프의 계획경제 분권화 및 신기술 도입 등 경제 재편 개혁을 지지했다. 그러나 소련 경제에 시장경제 도입 시도에는 저항했다. 각료평의회 의장 직 폐지로 리즈코프는 사임했다.


2. 2. 1. 이오시프 스탈린 (1946년 3월 15일 – 1953년 3월 5일)



이오시프 스탈린은 독소전쟁 승리 이후 동유럽 대부분의 나라들에 공산주의 괴뢰정부를 수립하여 동구권을 형성하였다. 재임 기간은 1941년 5월 6일부터 1953년 3월 5일 †까지였다. 1946년 및 1950년 총선거에서 선출되었으며, 스탈린 1차, 2차, 3차 내각을 이끌었다. 철의 장막 뒤에 숨은 소련의 동유럽 지배는 소련과 서방세계 사이에 오랜 기간의 적대관계를 형성시켰으며, 이를 냉전이라 한다.

2. 2. 2. 게오르기 말렌코프 (1953년 3월 6일 – 1955년 2월 8일)

게오르기 말렌코프는 1953년 3월 6일부터 1955년 2월 8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 그는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권력을 잡았으나, 니키타 흐루쇼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실각했다. 1954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제1차 및 제2차 내각을 이끌었다. 이후 흐루쇼프가 스탈린 격하 운동을 시작하면서 흐루쇼프의 명령에 의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4]

2. 2. 3. 니콜라이 불가닌 (1955년 2월 8일 – 1958년 3월 27일)

니콜라이 불가닌은 1955년 2월 8일부터 1958년 3월 27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 불가닌은 초기에는 니키타 흐루쇼프의 지지자였으나, 흐루쇼프의 급진적인 정책에 의구심을 품게 되었다. 결국 불가닌은 반당집단으로 몰려 실각하게 되었고, 이후 흐루쇼프가 직접 정부수반 직을 겸임하게 되었다. 불가닌의 재임 기간 중 1958년 총선이 치러졌으며, 제1차 불가닌 내각이 구성되었다.[6]

2. 2. 4. 니키타 흐루쇼프 (1958년 3월 27일 – 1964년 10월 14일)

니키타 흐루쇼프쿠바 미사일 위기를 헤쳐나갔으며, 1961년 화폐개혁을 비롯한 다양한 개혁과 정책 혁신을 도입했다.[2] 노멘클라투라는 흐루쇼프를 각료평의회 의장직과 공산당 서기장직에서 모두 실각시켰다.[2]

재임 기간1958년 3월 27일 – 1964년 10월 14일
총선거1962년
내각제1차 – 제2차


2. 2. 5. 알렉세이 코시긴 (1964년 10월 15일 – 1980년 10월 23일)

알렉세이 코시긴은 1964년 10월 15일부터 1980년 10월 23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 코시긴은 브레즈네프, 포드고르니와 함께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했다. 이 시기는 정체의 시대라고 불린다.

코시긴은 재임 기간 동안 1966년, 1970년, 1974년, 1979년을 통해 선출되었으며, 제1차부터 제5차까지 내각을 이끌었다.

코시긴은 세 차례의 대규모 경제개혁(1965년, 1973년–1974년, 1979년)을 시도했다.

2. 2. 6. 니콜라이 티호노프 (1980년 10월 23일 – 1985년 9월 27일)

알렉세이 코시긴이 사임한 후, 니콜라이 티호노프가 의장 직을 맡았다. 티호노프의 재임 기간은 1980년 10월 23일부터 1985년 9월 27일까지였다. 이 기간 동안 1984년 총선이 치러졌으며, 제1차 및 제2차 티호노프 내각이 구성되었다. 티호노프 내각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재임 기간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재임 초기까지 존속했다.

2. 2. 7. 니콜라이 리즈코프 (1985년 9월 27일 – 1991년 1월 14일)

니콜라이 리즈코프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경제 재편(페레스트로이카) 개혁을 지지했지만, 시장경제 도입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4] 그는 1985년 9월 27일부터 1991년 1월 14일까지 소련 각료평의회 의장직을 맡았으며, 1989년 총선을 통해 제1차 및 제2차 내각을 이끌었다.[4] 소련 각료평의회 의장직 자체가 폐지되면서 리즈코프는 강제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4]

2. 3. 소비에트 연방 총리 (1991년)

1991년 각료평의회가 내각으로 개편되면서 정부수반의 직함이 총리로 변경되었다.[10] 발렌틴 파블로프는 새로 설치된 총리직의 초대 총리가 되었다. 그는 화폐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국가비상사태위원회에 참여하여 8월 쿠데타를 일으켜 고르바초프를 실각시키려 했다.

2. 3. 1. 발렌틴 파블로프 (1991년 1월 14일 – 1991년 8월 22일)

발렌틴 파블로프는 1937년에 태어나 2003년에 사망했다. 1991년 1월 14일부터 1991년 8월 22일까지 소련의 정부수반을 역임했다.[4] 제1차 파블로프 내각을 이끌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화폐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8월 쿠데타에 가담하여 고르바초프를 실각시키려 했다.

2. 4. 소련 국가평의회 의장 – 경제공동체 총리 (1991년)

8월 쿠데타 이후 소비에트 정부는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에 행사할 수 있는 권력 대부분을 잃었다. 이반 실라예프미하일 고르바초프와 함께 소련의 연방 체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나 모두 헛되었고 결국 소련은 붕괴한다.[11]

2. 4. 1. 이반 실라예프 (1991년 9월 6일 – 1991년 12월 26일)

8월 쿠데타 이후 소비에트 정부는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에 행사할 수 있는 권력 대부분을 잃었다.[5] 이반 실라예프는 소련의 연방 체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나, 소련은 결국 붕괴했다.[5] 실라예프의 재임 기간은 1991년 8월 28일부터 1991년 12월 25일까지였다. 그의 내각은 실라예프 내각이었다.

3.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웹사이트 http://www.hrono.ru/[...] Hrono 2010-12-06
[5] 웹사이트 http://www.hrono.ru/[...] Hrono 2010-12-06
[6] 웹인용 http://hrono.info/so[...] Hrono.info 2010-09-24
[7] 웹인용 The First Steps Towards a New Era http://www.guardian.[...] 2010-09-04
[8] 웹인용 30 лет назад умер Алексей Косыгин http://newsland.ru/n[...] 2011-01-03
[9] 웹인용 http://www.pseudolog[...] pseudology.org 2010-09-04
[10] 웹인용 http://www.hrono.ru/[...] Hrono 2010-12-06
[11] 웹인용 http://www.hrono.ru/[...] Hrono 2010-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