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비에트 민정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민정청은 1945년 10월, 소련이 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통해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한 후, 북한 지역의 행정 및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되었다. 소련 민정청은 북한의 주요 정책 결정 및 집행을 주도했으며, 김일성을 비롯한 친소련 인사들이 주요 직책을 맡았다. 북한 통치는 소련 최고사령부, 연해주군관구 사령부, 평양의 제25군, 소련 민정청,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명령 계통으로 진행되었으며, 1946년 2월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수립되고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소련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소련 민정청은 친일파 숙청, 권력 구조 재편, 산업 시설 복구 등을 추진했지만, 소련군의 재산 약탈과 여성 강간 등 만행으로 북한 주민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외 관계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 소련 정치와 정부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 소련-한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소련-한국 관계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소비에트 민정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한반도 내 소련 민정청 위치
한반도 내 소련 민정청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소비에트 민정청
러시아어 명칭Советская гражданская администрация
한국어 명칭소비에트 민정청
로마자 표기Sobieteu Minjeongcheong
존속 기간1945년 – 1948년
정치 체제마르크스-레닌주의 임시 정부
수도평양
공용어러시아어, 한국어
통화
국가소비에트 연방 찬가 (1946년 – 1947년)
이전 국가조선
다음 국가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현재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정치
최고 책임자테렌티 시티코프
민정청장안드레이 알렉세예비치 로마넨코 (1945년–1947년)
민정청장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레베데프 (1947년–1948년)
인민위원회 의장김일성 (1946년–1948년)
역사
주요 사건일본의 항복 (1945년 8월 15일)
주요 사건소련군 평양 주둔 (1945년 8월 24일)
주요 사건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년 2월 8일)
주요 사건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년 2월 22일)
주요 사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포 (1948년 9월 9일)
기타
소련 국기
소련 국기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국기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국기
북한 휘장 (1948년 7월 ~ 9월)
북한 휘장 (1948년 7월 ~ 9월)

2. 소련의 북한 점령과 상륙 작전

소련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 후 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통해 한반도 북부 지역으로 진입하였다. 소련군은 경흥군 웅기를 거쳐 청진시를 공격하였고, 이후 남하하여 38선 이북을 완전히 점령하였다.

소련은 조만식과 협력하려 했으나, 김일성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세워 6개월간 소련 군정을 실시했다. 1946년 2월 16일부터는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설립되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시까지 존속되었다.

김일성은 해방 직전 5년간 소련군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소련의 대리인이었고, 북한의 중요 사안은 소련 민정청에서 결정, 실행하였다.[11][12][13] 당시 북한 통치는 "스탈린을 수반으로 하는 소련최고사령부 → 보로실로프의 연해주군관구 사령부 → 평양의 제25군 → 소련 민정청 → 김일성을 수반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명령 계통으로 진행되었다.[11]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소련 사할린 행정부는 사할린에서 일본의 카라후토 및 쿠릴 열도 철수를 예상하여, 섬에서 일본 민간인과 함께 철수하려는 사할린 어업에 사용할 값싼 한국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비에트 민정청(SCA)과 관계를 맺었다고 주장된다.[1] 1950년까지 사할린 섬에만 한국인 노동자 1만 명이 증가했다.[1]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소련군은 일본인한국인 여성 모두를 강간했다.[3][4] 소련군은 또한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한국인의 재산을 약탈했다.[3] 소련은 북한의 일본 기업을 장악하고 귀중한 자재와 산업 설비를 가져갔다.[3]

2. 1. 웅기·청진 상륙 작전

소련은 1945년 8월 8일에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곧바로 8월 9일 자정을 시작으로 만주국웅기에 상륙을 시도하였다. 경흥군, 웅기군 등은 8.15 광복 이전에 이미 최초로 점령된 장소가 되었고, 소비에트 연방은 8월 12일에 나진시를 거쳐 8월 13일 청진시를 공격하였다. 청진 상륙 작전은 3~5일 정도 걸렸으며, 소련군 3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1] 반면 일본 제국의 나남사단 등은 500명이 전사하고 2500명이 포로로 잡혔다.[1] 그 후, 소련은 남진을 계속하여 원산을 점령한 후, 8월 24일에는 평양을 점령하였다.

2. 2. 38선 이북 점령

소련군은 1945년 8월 8일에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곧바로 8월 9일 자정을 시작으로 만주국웅기군 상륙을 시도하였다. 경흥군, 웅기군 등은 이미 8.15광복 이전부터 최초로 점령된 장소가 되었고 소비에트 연방은 곧바로 8월 12일에 나진시를 거쳐 8월 13일 청진시를 공격하였는데 이곳은 3~5일 정도 걸렸으며 소련군 300명이 목숨을 잃었다. 반면 일본 제국의 나남사단 등은 500명이 죽고 2500명은 포로로 잡혀나갔다. 그 후, 소련은 남진을 계속하였으며 원산을 점령한 후, 8월 24일에는 평양을 점령하였다. 소련은 북한에는 사회주의를 도입할 단계가 아니며 그 전단계라고 불리던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건설하자는 목표였다.

3. 소련 군정기 (1945년~1948년)

소련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통해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한 후, 1945년 10월부터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전까지 북한에 군정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 소련은 소련 민정청을 설치하여 북한 지역을 통치하였으며,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거쳐 북조선인민위원회를 수립, 행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3. 1. 소련 민정청 설치와 운영

소련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통해 1945년 8월 경흥군 웅기(雄基)를 거쳐 청진시를 공격하고, 계속 남하하여 38선 이북 지역을 점령하였다. 이후 소련은 북한 지역의 행정 및 치안 유지를 위해 1945년 10월 소련 민정청을 설치하였다.[11]

당시 북한 통치 업무는 "스탈린을 수반으로하는 소련최고사령부 → 보로실로프의 연해주군관구 사령부 → 평양의 제25군 → 소련 민정청 → 김일성을 수반으로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명령 계통으로 진행되었다.[11] 김일성이 1946년 2월 8일 임시인민위원장이 된 직후인 1946년 3월 5일 단행된 북한의 토지개혁[14] 등 중요한 사안은 소련 민정청에서 결정, 실행하였다.[11][12] 이 과정에서 김일성을 비롯한 친소련 인사들이 주요 직책을 맡게 되었다.

3.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수립과 김일성

소련만주 전략공세작전을 통해 경흥군 웅기(雄基)를 거쳐 청진시를 공격하였다.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남하하여 38선 북쪽을 완전히 점령하였다. 소련은 조만식과 손을 내밀었지만 꼭두각시였던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맞이하여 6개월간 소련군정을 실시했다. 1946년 2월 16일부터는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설립되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민의와 무관하게 소련군의 도움으로 인민위원장이 된 김일성은 해방 직전 5년간 소련군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소련의 대리인에 불과하였고, 중요한 사안에 대한 결정은 계속 소련군이 내렸다.[11][12][13]

당시의 북한 통치 업무는 "스탈린을 수반으로하는 소련최고사령부 → 보로실로프의 연해주군관구 사령부 → 평양의 제25군 → 소련 민정청 → 김일성을 수반으로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명령 계통으로 진행되었다.[11] 김일성이 1946년 2월 8일 임시인민위원장이 된 직후인 1946년 3월 5일 단행된 북한의 토지개혁[14] 등 중요한 사안은 소련 민정청에서 결정, 실행하였다.[11][12]

3. 3. 북한 주민에 대한 탄압

소련군 점령 기간 동안 소련군은 일본인한국인 여성 모두를 강간했으며,[3][4] 북한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한국인의 재산을 약탈했다.[3] 또한 소련은 북한의 일본 기업을 장악하고 귀중한 자재와 산업 설비를 가져갔다.[3]

4. 전후 복구와 새로운 사회 질서 구축

소련 군정은 일본 제국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사회주의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년)

1948년 9월 9일, 북조선인민위원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결정적인 사건이었으며, 이후 남북 간의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6. 김일성 시대 (1948년~1994년)

북한의 국장


사건기간
한국 전쟁1950년 ~ 1953년
한국 비무장지대 충돌1966년 ~ 1969년
주체 사상1972년
1993~1994년 핵 위기1993년 ~ 1994년
김일성 사망 및 국장1994년


7. 김정일 시대 (1994년~2011년)

김정일은 김일성의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받아 2011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을 통치하였다.

8. 김정은 시대 (2011년~현재)

김정은김정일의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받아 현재까지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Андрей Ланьков: Северокорейские рабочие в СССР и России. Бесправные рабы или рабочая аристократия? https://polit.ru/art[...] 2022-12-11
[2] 서적 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04-15
[3] 서적 Soviet liberations and occupations, 1939–1949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0-00
[4] 웹사이트 The North Wind: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http://faculty.washi[...]
[5] 뉴스 How North Korea became Kim Il Sung's Korea https://www.nknews.o[...] NK News 2015-12-28
[6] 뉴스 Terenti Shtykov: the other ruler of nascent N. Kore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1-25
[7] 뉴스 North Korean History through the Lens of Soviet Power https://www.dailynk.[...] Daily NK 2018-08-11
[8] 웹사이트 North Korean History through the Lens of Soviet Power http://www.dailynk.c[...]
[9] 인물
[10] 인물
[11] 뉴스 (이휘성 어제와 오늘) 1940년대 말 북한 관리했던 소련 간부를 통해 본 北역사왜곡 http://www.dailynk.c[...] 데일리NK 2014-08-05
[12] 뉴스 장진성, 스탈린이 만든 구 소련의 ‘식민지’ 북한 http://www.rfa.org/k[...] 자유아시아방송 (Radio Free Asia) 2013-05-28
[13] 뉴스 (광복 5년사 쟁점 재조명)<1부>⑬소련은 왜 일사불란했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11-14
[14] 뉴스 1946년 北 토지개혁령은 '집단농장'으로 변질됐다 http://www.dailynk.c[...] 데일리NK 2010-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