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조선인민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조선인민위원회는 1946년 2월 8일, 소련 군정의 지원 아래 북조선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설립된 임시 정부 기구이다. 김일성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에서 1947년 북조선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다. 북조선인민위원회는 토지 개혁, 주요 산업 국유화, 남녀평등권 법령 발표 등 사회주의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함께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최고인민회의
    최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주권 기관으로, 입법권을 행사하며 예산 심의, 주요 기관 선출, 법안 심의 확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5년에 한 번 대의원 선거를 실시한다.
  • 1948년 폐지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48년 폐지 - 남조선국방경비대
    남조선국방경비대는 1946년 미군정 군사국에 의해 창설되어 조선 국군 창설을 목표로 각 도별 연대를 창설했으며, 이후 조선경비대로 개칭되어 대한민국 육군으로 개편되었다.
  • 소련-한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소련-한국 관계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북조선인민위원회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 명칭북조선 인민위원회
존속 기간1947년 – 1948년
지위소비에트 민정청 산하 임시 정부
전신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후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치북한 지역
수도평양
국가애국가
정치
정치 체제단일 마르크스-레닌주의 임시 정부
수반 직함위원장
역대 수반김일성
임기1947년 – 1948년
입법부북조선인민회의
언어 및 종교
공용어한국어
종교국가 무신론
경제
통화조선 원 (1947년)
붉은 군대 사령부 원 (1947년)
북한 원 (1947년–1948년)
역사
주요 사건설립
날짜1947년 2월 22일
주요 사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포
날짜1948년 9월 9일
상징
북조선 인민위원회 깃발
국기
북조선 인민위원회 인장
인장
지도
북한 지역 위치
북한 지역 위치

2. 연혁

1946년 2월 9일, 김일성이 이끄는 조선로동당에 의해 38선 이북 소군정 지역에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가 수립되었다.[20] 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서기장 강량욱 외에 여러 부서의 국장을 두어 사실상의 정부 조직이었다.[21][22][23][24][25][26]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3월 8일부터 무상 몰수, 무상 분배하는 토지개혁과 전 산업의 당소유화 등을 단행했다. 이후 남북한 간의 상호 접촉은 두절되었고, 각각의 사회 내에서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세력을 확장했다. 또한, 미국소련 간에는 냉전으로 불리는 전 세계적인 체제 경쟁이 시작되었다.

북조선인민위원회 당시 김일성 사진과 태극기


1947년 2월 22일 '''북조선인민위원회'''로 개칭되었다.[27]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입법 조직과 행정 조직이 병존하여 정부로서 미흡한 점이 있었다. 이에 1946년 11월 3일 입법부 의원 선출을 위한 총선거를 실시하고, 1947년 2월 20일 입법 조직인 북조선인민회의를 신설했다. 동시에 임시인민위원회의 행정 조직은 행정부인 "북조선인민위원회"로 재편성되어 정식적인 정부 체제가 발족되었다.

1947년 10월 20일, 조선의 신탁 통치를 둘러싼 미소공동위원회가 최종 결렬되자, 인민위원회는 11월 18일 제3차 회의를 개최하고 "헌법 제정 위원회"를 수립하여 북조선 독자적인 헌법 제정에 착수했다. 1948년 5월 10일 남조선 단독 총선거가 강행되자, 북조선인민위원회는 남측 단독 정부 수립에 대항하는 별도의 정부 수립을 서둘렀다. 8월 25일 남북 조선을 대상으로 한 대의원 선거[16][17]를 실시하여 최고인민회의를 설립하고, 9월 3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을 공식 채택, 9월 8일에는 기존의 태극기를 대신하는 새 국기를 제정하고,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맞이했다. 건국과 함께 "북조선인민위원회"는 김일성을 수반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오늘날의 북한 정부)가 되어 발전적으로 소멸했다.

1948년 10월 12일, 소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 승인하였고, 소련에 의한 군정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2. 1.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년)

1945년 8월 15일 일본 항복 이후, 한반도에서는 조선인이 주도하는 행정 기구들이 자발적으로 조직되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는 전국 각지에 지부를 설치하며 조직적으로 활동했고, 9월 6일에는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 그러나 미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고, 북위 38도선 이남 지역의 인민위원회를 해산시켰다.[8]

한편, 소련군은 38도선 이북 지역(북조선)에서 인민위원회를 지원하며 점령 행정을 펼쳤다. 소련군은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들을 중앙집권화하기 위해 소비에트 민정청과 "북조선 오도 인민위원회 연합회"를 설치했다.[8] 1945년 11월 19일에는 10개의 국으로 구성된 "행정국"("행정 10국")이 설치되었고,[8][9][10] 11월 28일에는 조만식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 오도 행정국"으로 발전했다.[8][11][12]

소련군은 인민위원회의 중앙집권화와 함께 공산주의 계열 독립운동 조직을 통합하고, 친일파나 비협조적인 민족주의자들을 숙청했다. 신탁 통치에 반대하던 조만식은 1946년 1월 5일부터 연금되었고, 북조선 오도 행정국에서 민족주의자들이 배제되었다. 소련은 동유럽 위성국에 대한 정책과 유사하게, 소련에서 활동했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에게 권력을 부여하는 방침을 따랐다. 이에 따라 소련 군정은 1930년대 소련으로 망명했던 김일성과 그가 이끌던 동북항일연군 출신(후의 만주파)을 중용했고, 다른 공산주의 분파(국내파, 중국파)들을 조선 공산당(후의 조선로동당) 아래로 통합시켰다.[14]

1946년2월 8일, "북조선 각 정당, 사회 단체, 각 행정국, 및 각 도, 시, 군, 인민위원회 대표 확대 협의회"에서 북조선 전체를 통괄하는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가 수립되었다.[15] 소비에트 민정청의 업무를 계승한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의 위원장에는 소련 군의 의향에 따라 만주파김일성이 취임했다.
1946년2월 8일 평양에서 열린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성립 경축 대회. 태극기와 함께 소련 외 연합국 국기 (사진에는 영국중화민국 국기가 게양됨)도 게양되었고, 김일성의 초상화 위에 걸린 현수막에는 한자 혼용 조선어로 "(임시 인민 위원)회는 우리의 정부다"라고 적혀 있었다.
이후, 인민위원회는 토지 개혁, 중요 산업의 국유화, 남녀 평등 추진 등 사회주의 체제로의 이행을 본격적으로 진행했다.

2. 2. 북조선인민위원회로의 개편 (1947년)

1946년 11월 3일, 북조선에서는 입법부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1947년 2월 20일, 입법 조직인 북조선인민회의가 신설되었다.[15] 이와 동시에, 기존의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행정부 기능을 담당하는 '''북조선인민위원회'''로 개편되어, 보다 체계적인 정부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947년 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열린 제1차 북조선인민회의에서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권한을 북조선인민위원회로 이양하는 안건이 가결되었다.[15]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최용건의 제안에 따라 김일성이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김일성에게는 인민위원회를 조직할 권한이 부여되었다.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위원장 김일성을 필두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5]

북조선인민위원회 구성 (1947년 2월)
직책이름소속 정당
위원장김일성조선로동당
부위원장김책조선로동당
홍기주조선민주당
서기장한평옥조선로동당
계획국장정준택조선로동당
공업국장리문환무소속
내무국장박일우조선로동당
외무국장리강국남조선로동당
재정국장리봉수조선로동당
교통국장허남희무소속
농림국장리순근조선로동당
체신국장주황섭천도교청우당
상업국장장시우조선로동당
보건국장리동영조선민주당
교육국장한설야조선로동당
노동국장오기섭조선로동당
사법국장최용달조선로동당
인민검열국장최창익조선로동당
사무국장장정식조선로동당
선전국장허정숙조선로동당
식량행정국장송봉욱조선로동당
총무국장김정주천도교청우당


2.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년)

1947년 10월 20일, 조선의 신탁 통치를 둘러싼 미소공동위원회가 최종적으로 결렬되자, 북조선인민위원회는 11월 18일에 제3차 회의를 열고 '헌법 제정 위원회'를 조직하여 북한 독자적인 헌법 제정에 착수했다.[8]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에서 남한 단독 총선거가 실시되자, 북조선인민위원회는 남측 단독 정부 수립에 대응하여 별도의 정부 수립을 서둘렀다.

같은 해 8월 25일, 남북한을 대상으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16][17]를 실시하여 최고인민회의를 구성하고, 9월 3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을 공식 채택했다. 9월 8일에는 기존의 태극기를 대신하는 새 국기를 제정했으며,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선포하였다. 이로써 북조선인민위원회는 김일성을 수상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오늘날의 북한 정부)로 발전적으로 해체되었다.

3. 조직

인민위원회는 중앙의 중앙인민위원회와 지방의 지역인민위원회로 구성되었다. 지역인민위원회는 각 도, 시, 군, 구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의 행정 활동을 감사, 감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47년 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열린 제1차 북조선인민회의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권한을 이양받아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최용건의 제안에 따라 김일성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18]

3. 1.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1946년)

1946년 2월 9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가 수립되었다.[20] 부위원장은 김두봉이, 서기장은 강량욱이 맡았으며, 각 부서의 국장을 두어 사실상의 정부조직이었다.[21][22][23][24][25][26]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3월 8일부터 무상 몰수, 무상 분배를 원칙으로 하는 토지개혁과 주요 산업의 당 소유화를 단행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위원장김일성
부위원장김두봉
서기장강량욱
산업국장이문환
교통국장허남희
농림국장이순근
재정국장이봉주
체신국장조영렬
상업국장장시우
교육국장장종식
보건국장윤기녕
사법국장최용달
보안국장박일우
기획국장박성규
노동국장오기변
선전부장이청원
총무부장김영손
량정부장문회표
간부부장김영손


3. 2. 북조선인민위원회 (1947년)

1947년 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열린 제1차 북조선인민회의에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권한을 이양받아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최용건의 제안에 따라 김일성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18] 인민회의는 김일성에게 인민위원회를 조직할 권한을 부여했다.[18]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인민회의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위원회의 각 국 부장은 인민위원회의 정의에 따라 인민회의에서 결정되었다.[18]

북조선인민위원회 (1947년)
직책이름소속
위원장김일성조선로동당
부위원장김책조선로동당
홍기주사회민주당
서기장한평옥조선로동당
계획국정준택조선로동당
공업국리문환무소속
내무국박일우조선로동당
외무국리강국남조선로동당
재정국리봉수조선로동당
교통국호남희무소속
농림국리순근조선로동당
우편국주황섭천도교청우당
상업국장시우조선로동당
보건국리동영사회민주당
교육국한설야조선로동당
노동국오기섭조선로동당
사법국최용달조선로동당
공공검열국최창익조선로동당
집행국장정식조선로동당
선전국허정숙조선로동당
식량정책국송봉욱조선로동당
총무국김정주천도교청우당


4. 주요 정책 및 사업

김일성이 이끄는 조선로동당에 의해 1946년 2월 9일 38도선 이북 소군정 지역에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가 건설되었다.[20] 임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2월 9일에 조직되어 약 1년 동안 활동하였다. 위원장 김일성(金日成), 부위원장 김두봉(金枓奉), 서기장 강양욱(姜良煜) 외에 여러 부서의 국장을 두어 사실상의 정부조직이었다.[21][22][23][24][25][26]

1946년 3월 8일부터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토지개혁과 산업 당소유화 등을 단행했다. 이후 남북한 지역 간에는 상호 접촉이 두절되었고, 각각의 사회 내에서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미국, 소련 간에는 냉전으로 불리는 전세계적인 체제 경쟁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47년 2월 22일에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로 개칭되었다.[27]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와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추진한 주요 정책 및 사업은 다음과 같다.

시행일내용
1946년 2월 8일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년 3월 8일북조선 토지개혁 (무상 몰수, 무상 분배)
1946년 7월 30일북조선남녀평등권법령 발표
1946년 8월 10일전 산업 당소유화 법령 발표
1946년 11월 3일인민위원회 선거
1947년 2월 22일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8년 8월 25일조선최고인민회의 총선거
1948년 9월 9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김일성을 수상으로 함.


4. 1. 토지개혁 (1946년 3월)

1946년 3월 8일에 북조선 토지개혁이 시행되었다.[19] 이 토지개혁은 무상몰수, 무상분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북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2. 주요 산업 국유화 (1946년 8월)

1946년 8월 10일,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전 산업 당소유화에 대한 법령을 발표했다.[19] 이는 주요 산업 국유화 조치로, 북한 경제의 사회주의적 전환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조치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및 친일파 소유였던 주요 산업 시설을 몰수하여 국유화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토지개혁 이후 북한은 주요 산업 시설의 국유화를 통해 생산 수단을 국가가 통제하고, 계획 경제 체제를 구축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주요 산업 국유화 조치는 북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생산 수단의 국유화는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공업 중심의 경제 발전을 추진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민간 경제 부문의 위축과 경제 주체들의 자율성 제한은 장기적으로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4. 3. 남녀평등권 법령 발표 (1946년 7월)

1946년 7월 30일,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는 남녀평등권 법령을 발표했다.[19] 이 법령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4. 기타 주요 사업

1946년 7월, 김일성종합대학이 설립되었다.[19]

5. 국기 교체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및 북조선인민위원회 초기에는 태극기가 사용되었으나, 1948년 7월 10일에 인공기로 교체되었다.[1] 이후 애국가도 교체되었다.[1] 한반도 북쪽에서는 더 이상 태극기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태극기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

6. 해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48년 9월 9일에 선포되면서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사실상 해산되었다.[1] 소련군은 같은 해 북한에서 철수했다.[1]

참조

[1] Youtube 인민군대 (People's Army) (1948) https://www.youtube.[...]
[2] Youtube 남북 조선 년석회 (South and North Korea Meeting) (1948) https://www.youtube.[...]
[3] 서적 Economic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agenda for economic integration Korea Development Institute
[4] 웹사이트 Worldstatesmen.org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http://www.worldstat[...]
[5] 문서 Andrei Alekseevich Romanenko, Андрей Алексеевич Романенко
[6] 문서 Nikolai Georgiyevich Lebedev, Николай Георгиевич Лебедев
[7] 문서 ここで言う「五道」とは、当時の行政区画のうち、道庁所在地が北朝鮮(ソ連軍管轄下)にある黄海道、平安南道、平安北道、咸鏡南道、咸鏡北道を指す。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문서 미국, 영국, 및 소련은, 1945년 2월의 야르타 협정에서 세계대전 후의 조선을 미국, 영국, 중화민국, 소련의 신탁통치하에 둘 것을 비공식적으로 결정하고, 같은 해 12월의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를 통해 공표하였다.
[14] 문서 당시, 김일성이 이끄는 항일 게릴라 출신의 일파는 조선의 공산주의자들 중 소수의 세력에 불과했지만, 1945년 귀국 직전 모스크바에서 열린 스탈린과 김일성의 회담에서, 소련이 건설을 생각하고 있던 조선의 공산당 정권의 지도자로 인정되었다고 한다.
[15] 서적
[16] 문서 북조선 공인의 기록 ‘김일성 주석 혁명 활동사’에서는, “민주적 선거가 합법적으로 실시되는 북조선과는 달리, 남조선에서는 지하에서 유권자의 서명을 모으는 방법으로 인민대표를 선출하여, 그들이 북반부 지역에 모여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선출하도록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7] 웹사이트 『金日成主席革命活動史』 http://www.korean-bo[...] 네나라 2020-04-23
[18] 서적
[19] 서적 북조선 현대사 岩波新書
[20] 웹사이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1] 이미지 1946년 2월 16일자 정로(正路, 노동신문의 전신) 특집판의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관련 기사 파일:1946-02-16-정로, 북조[...]
[22] 뉴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 조직, 인민정부 진용 http://db.history.go[...] 자유신문 1946-02-20
[23] 뉴스 北朝鮮 臨時人民委員會 樹立, 委員長 委員二十五人等 部署決定 http://www.nl.go.kr/[...] 중앙신문 1946-02-20
[24] 뉴스 북선위원회진용(北鮮委員會陣容) http://www.nl.go.kr/[...] 공업신문 1946-02-21
[25] 웹사이트 북한연표 해설목록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946-02-09
[26] 논문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북조선인민위원회 연구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994-08-20
[27] 웹사이트 북한연표 해설목록 : 북조선인민위원회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