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리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말갈과 발해의 영토였으며, 여진족과 청나라의 지배를 거쳐 1866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98년 니콜리스크 우수리스크 시로 명명되었으며, 1935년 보로실로프 시로 개칭되었다가 1957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독립운동가 최재형이 거주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했던 곳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시베리아 억류 일본인들이 수용되기도 했다. 주요 산업은 농산물 가공, 금속 공업, 교역이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주요 역이 위치해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수리스크 - 우수리스크역
우수리스크역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 상에 있는 러시아 철도역으로, 1893년 개업하여 일부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섬식 및 단선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향후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을 통해 한반도에서 출발한 열차가 유럽으로 운행될 가능성이 있다. - 우수리스크 - M60 간선도로
M60 간선도로는 소련 시기에 군사적, 자원 수송 목적으로 건설된 러시아의 주요 간선도로로, 현대화 및 안전 시설 개선을 거쳐 현재는 주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남북 관계 개선 가능성도 있는 왕복 4차선 도로이지만, 안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합니다. - 러시아의 민족 집단거주지구 - 유대인 자치주
유대인 자치주는 1934년 소련의 스탈린에 의해 유대인 인구에게 이디시 문화 계승을 위한 영토를 제공하기 위해 성립되었으나, 현재는 러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유대인 문화 부흥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러시아의 유일한 자치주이다. - 러시아의 민족 집단거주지구 - 파르티잔스크
파르티잔스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도시로, 과거 쑤청 또는 쑤창으로 불렸으며 1972년 중국식 지명 변경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농민 정착 및 독립운동가들의 활동 무대였으나 소련 한인 강제 이주로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목재 생산 및 경공업이 주요 산업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도시 - 나홋카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항구 도시인 나홋카는 1859년 러시아 함선에 의해 발견되어 명명되었고, 소련 시대 항구 건설과 함께 도시로 발전했으며, 자유경제지역 지정 폐지 후 경제 다각화를 추구하고, 과거 강제 수용소가 운영되기도 했던 복잡한 역사를 지닌 곳이다.
우수리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러시아어 표기 | Уссурийск |
위치 | 프리모르스키 지방 |
도시 유형 | 도시 |
설립일 | 1866년 |
현재 지위 획득 | 1898년 |
행정 구역 | |
연방 주체 | 프리모르스키 지방 |
행정 구역 종류 | 지방 관할 도시 |
도시 관할 구역 | 우수리스크 도시 округ |
행정 중심지 | 우수리스크 도시 округ |
자치 구역 | |
도시 округ 종류 | 우수리스키 도시 округ |
자치 행정 중심지 | 우수리스키 도시 округ |
지리 | |
면적 | 173 제곱킬로미터 |
좌표 | 43°48′ 북위 131°58′ 동경 |
인구 | |
전체 인구 (2023년) | 179,862명 |
인구 순위 | 111위 (2010년) |
2010년 인구 조사 | 158,004명 |
정치 | |
수장 | (정보 없음) |
대표 기관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692500–692503, 692506, 692508–692512, 692515, 692519, 692522–692530, 692548–692554, 692558, 692559 |
지역 번호 | 4234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극동의 교역 도시 가운데 하나로, 중국이나 북한과의 국경 밀무역, 일본제 자동차 밀수, 매춘 알선 등을 주도하는 마피아 활동이 왕성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2004년에는 우수리스크를 근거지로 하던 마피아 간부가 자신의 무용담, 범죄, 투옥 경력을 직접 재현한 실화 드라마를 지방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영하기도 했다.
2. 1. 고대 및 중세
연해주는 과거 말갈의 땅이었고, 고구려 유민이 중심이 되어 발해가 세워지자 발해의 영토에 편입되었다. 발해의 15부 가운데 하나인 솔빈부가 우수리스크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발해가 멸망한 뒤에는 여진족이 이곳에 살았다. 12세기 여진족의 금(金) 왕조는 이곳에 휼품로를 설치해 상경로의 속로로 두었고, 17세기 만주족의 청(淸) 왕조가 수립되자 청 왕조의 영토로써 주루호톤() 또는 푸르단호톤()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 우수리스크 지역에는 율루 말갈 부족이 정착했다. 9세기 중반부터 발해의 솔빈부가 되었다. 이후에는 동해 여진이 거주하며 요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이 도시는 금나라의 속빈로(速頻路)의 수도가 되었다. 그 후 각각 원, 명, 청나라의 지배를 받았으며 라고 불렸다.
2. 2. 러시아 제국 편입과 근대
1866년, 오늘날 우수리스크 지역에 성 니콜라스의 이름을 따서 '''니콜스코예'''(러시아어: Нико́льское) 정착지가 세워졌다. 교통 요충지에 위치한 덕분에 이 마을은 1870년대에 급속도로 성장하여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하바롭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현재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일부)를 연결하는 철도가 건설되면서 그 역할이 더욱 커졌고, 1898년에는 도시 지위를 얻어 '''니콜스크-우수리스키'''(러시아어: Нико́льск-Уссури́йский)로 개칭되었다.20세기 초, 이 도시의 인구는 총 15,000명에 달했고, 무역 기업의 연간 거래액은 300만러시아 루블에 달했다. 러일 전쟁 (1904-1905) 이후, 니콜스크-우수리스키는 러시아 극동 지역의 가장 중요한 상업 및 경제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913년, 이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 블라고베셴스크, 하바롭스크에 이어 인구 기준으로 4위를 기록했다.
제분소, 낙농장, 비누 공장, 가죽 태닝 공장과 같은 농산물 가공 기업뿐만 아니라 마카로니 및 소시지 공장, 그리고 양조장이 설립되었다. 벽돌 공장, 채석장, 제재소도 건설되었다.
도시의 중심부는 2~3층짜리 조적조 건물로 건설되기 시작했다. 1914년, 니콜스크-우수리스키에는 14개의 교육 기관, 극장, 서커스, 그리고 3개의 영화관이 있었다.
1935년에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이 '''보로실로프'''로 변경되었다.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으면서 1957년에는 도시 이름이 140 km 이상 떨어진 우스리 강을 따서 ''우수리스크''로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최재형은 함경도 노비 출신으로 연해주로 이주, 군수업으로 재산을 모아 연해주로 망명한 한국 의병들에게 소총을 지급하고 러시아 내 항일 의병 세력을 모아 무장단체 '동의회'를 결성했다. 동의회는 러시아 국경의 일본군 초소와 소규모 부대들을 격파하는 등 독립투쟁을 펼쳤으나, 1920년 일본군에게 최재형이 체포되어 총살되었다. 최재형이 일본군에게 체포되기 전 거주했던 집이 우수리스크에 현재까지 남아 있다.
2. 3. 소련 시대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도시의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다. 이 도시는 농산물 가공을 전문으로 했다. 1935년에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이 '''보로실로프'''로 변경되었다.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으면서 1957년에는 도시 이름이 140 km 이상 떨어진 우스리 강을 따서 '우수리스크'로 변경되었다.[10]제2차 세계 대전 후, 시베리아 억류된 일본인들이 우수리스크로 보내졌다. 우수리스크의 억류자들은 극장 건설 작업 등에 종사하다 200여 명이 사망했다. 유해는 교외의 묘지에 매장되었다. 1997년에는 일본 정부에 의한 유골 수집 사업이 진행되었고, 억류자 단체가 매장지 주변에 위령비를 건립했다.[10]
1988년, 러시아 연방 정부 결정에 의해, 시는 역사 도시로 편입되었다.
2. 4. 대한민국과의 관계
1920년 4월 참변 당시 연해주로 온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총살된 독립운동가 최재형이 이곳에 머물렀으며, 일본군에게 체포되기 전 거주했던 집이 현재까지 남아있다.[13][14]라즈돌나야강 근교에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상설이 "독립된 조국이 아니면 그곳에 내 시신도 들여놓지 않겠다"며 사후 유해를 화장해 이 강에 뿌려줄 것을 유언한 데서 기인한다.
우수리스크의 한인이주 140주년 기념관 앞에는 2015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옮겨온 안중근 의사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안중근에게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도록 제의한 것은 최재형이었으며, 안중근이 뤼순에서 사형된 뒤 최재형은 안중근의 유가족을 돌봐주었다. 블라디보스토크 주립 의과대 앞에 세워져 있었던 해당 비석은 2012년 말 의과대에서 일방적으로 철거, 시청 창고로 옮겨졌던 것을 2014년 8월에야 우수리스크로 옮겨 현재의 위치에 세워지게 되었다.
고려인 문화센터(한인이주 140주년 기념관) 및 최재형 선생의 우수리스크 생가가 소재하고있다.[13][14]
우수리스크는 창원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3. 행정 구역 및 인구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우수리스크는 37개의 농촌 정착지와 함께 크라이 관할 도시로 통합되어,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2] 지방 자치 단체로서, 우수리스크 크라이 관할 도시는 '''우수리스크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3]
2010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4]
4. 산업 및 경제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극동의 교역 도시 가운데 하나로, 중국이나 북한과의 국경 밀무역, 일본제 자동차 밀수, 매춘 알선 등을 주도하는 마피아 활동이 왕성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1] 2004년에는 우수리스크를 근거지로 하던 마피아 간부가 자신의 무용담, 범죄, 투옥 경력을 직접 재현한 실화 드라마를 지방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방영하기도 하였다.[1]
1913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 블라고베셴스크, 하바롭스크에 이어 인구 기준으로 4위를 기록했다.[1] 제분소, 낙농장, 비누 공장, 가죽 태닝 공장과 같은 농산물 가공 기업뿐만 아니라 마카로니 및 소시지 공장, 양조장이 설립되었다.[1] 벽돌 공장, 채석장, 제재소도 건설되었다.[1]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도시의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으며, 농산물 가공을 전문으로 했다.[1]
우수리스크의 산업은 28개의 기업으로 대표되며, 식품 산업 12개, 경공업 2개, 금속 산업 6개, 건설 산업 4개가 있다.[1] 우수리스크는 소비재 생산을 전문으로 해왔다.[1]
주요 경공업 기업은 다음과 같다.
기업명 | 주요 생산 품목 | 기타 |
---|---|---|
프리모르스키 사하르 | 설탕 (연간 160,000 톤) | 러시아 극동 지역에 공급 |
달소야 | 식물성 기름, 마가린, 비누 | |
우수리스크 발삼 | 리큐어 및 보드카 24종, 허브 혼합 발삼 | 5개 제품은 전 러시아 주류 제품 경쟁에서 1, 2등급 디플로마 획득 |
이 외에도 연간 최대 60만 켤레의 신발을 생산하는 ''그라도'' 회사와 기관차 수리 공장이 있다.[1] 우수리스크의 연간 산업 생산량은 연해주 생산량의 8%에 해당한다.[1] 또한, 이 도시는 지방의 모든 주요 고속도로 및 철도의 교차점이기도 하다.[1]
우수리스크의 또 다른 경제적 특징은 도매 무역이다.[1] 약 30개의 전문 및 다목적 무역 기지가 있다.[1]
5. 교통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만주 횡단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1893년 블라디보스토크와 우수리스크를 잇는 철도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5. 1. 철도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블라디보스토크 역 위쪽에 위치한 우수리스크 역은 하바롭스크 역으로 가는 본선과 만주 횡단 철도로 이어지는 포그라니치니(그라데코보) 역으로 분기하는 환승역이다. 1893년 블라디보스토크 역 - 우수리스크 역 구간이 우수리 철도로 개통되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구 노선인 동청 철도와의 접속역이기도 하며, 2013년까지 하얼빈에서 당역을 경유하여 하바롭스크 및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하는 국제 열차가 존재했다.[11][12]5. 2. 항공
우수리스크에서 약 70km 떨어진 아르툠에 있는 블라디보스토크 국제공항은 철도, 버스, 택시, 아에로익스프레스 등의 교통편으로 접근할 수 있다.[15]6. 명소
- 1988년 소련 정부의 결정으로 우수리스크는 역사도시로 편입되었다.
- 소련 붕괴 이후 많은 수의 러시아 정교회 교회가 재건되었는데, 시내 중심의 생신녀비호성당(Pokrovskaya tserkov)은 1914년에 건설된 이후 1917년 이래 한 번도 손을 대지 않아, 본래 교회의 모습 그대로 사용된 연해주 유일의 교회이다.[13][14]
- 소련스러운 거대한 군중 시위용 광장이 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에 따른 적군 전투 기념비 등이 있다.
- 시의 북쪽에는 동북아시아 최대 규모의 호수로 람사르 조약에도 등록된 철새들의 낙원인 한카호(흥개호)가 있다.
- 시내의 우수리스크 드라마 극장은 1937년에 건립되었으며, 러시아 육군이 보유한 두 개의 극장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모스크바에 있다.)
- 라즈돌나야강 근교에는 발해의 옛 성터와 함께,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상설이 "독립된 조국이 아니면 그곳에 내 시신도 들여놓지 않겠다"며 사후 유해를 화장해 이 강에 뿌려줄 것을 유언한 데서 기인한다.
- 우수리스크의 한인이주 140주년 기념관 앞에는 2015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옮겨온 안중근 의사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생전에 안중근에게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사살하도록 제의한 것도 최재형이었으며, 그를 러시아 법정에서 재판받게 하려는 시도가 불발되고 안중근이 끝내 뤼순에서 사형된 뒤, 최재형은 안중근의 유가족을 돌봐주었다고 한다.[13][14]
증기 기관차 YeL 629, 우수리스크 도시의 주요 중재 교회. 1914년에 지어졌으며, 혁명과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살아남은 이 지역의 몇 안 되는 교회 중 하나이다
7. 스포츠
아이스 하키 경기는 크라스노즈나멘나야 거리 161а에 위치한 레도바야 아레나에서 진행된다. 아이스 하키 팀 프리모리예 우수리스크는 2009년부터 2011년 해체될 때까지 이곳에서 활동했다.[5]
얼음 스피드웨이와 오토바이 스피드웨이 경기는 콤소몰스카야 거리 87A에 위치한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셰브첸코 경기장(다른 이름으로는 파트리오트 경기장 또는 멜리오라토르 경기장)에서 열리며, 레도바야 아레나의 남쪽에 인접해 있다.[6] 블라디보스토크 스피드웨이 팀은 1990년대에 자체 경기장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이 경기장에서 러시아 팀 스피드웨이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7]
8. 자매 도시
우수리스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참고자료
2010Census
[2]
법률
Law #161-KZ
[3]
법률
Law #131-KZ
[4]
웹사이트
4. Население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владению русским языком
https://primstat.gks[...]
2020-09-19
[5]
웹사이트
Primorye Ussuriysk
https://www.eurohock[...]
2024-04-08
[6]
웹사이트
The Story
https://vostok-speed[...]
2024-04-08
[7]
웹사이트
Russian Team Championship
http://www.historysp[...]
2024-04-12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6
[9]
웹사이트
北朝鮮部隊、ロシアの戦争に加わるのか? ウクライナ派遣準備の情報
https://www.bbc.com/[...]
BBC
2024-10-17
[10]
웹사이트
コロナ禍で朽ちゆくシベリア抑留の記憶…ロシア人墓地が日本人埋葬地を侵食
https://www.tokyo-np[...]
読売新聞
2021-08-16
[11]
웹사이트
★国際列車 K7023★ (2013年4月廃止) ★大連発旅行情報発信★ ~By gb-travel~
https://gb-travel.ju[...]
[12]
뉴스
哈尔滨至符拉迪沃斯托克客运线路恢复通车 行车13小时(簡体字中国語)
http://heilongjiang.[...]
2013-03-09
[13]
웹사이트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다
http://pub.chosun.co[...]
조선 미디어 펍
2017-07-25
[14]
웹사이트
고려인 문화센터
http://info.hanatour[...]
하나투어
[15]
웹사이트
러시아 교통수단 정보
https://www.vl.ru/tr[...]
2018-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