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에노 요시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에노 요시지는 일본의 무술가로, 극진 가라테를 수련했으며 킥복싱 선수로도 활동했다. 그는 극진 가라테를 배우기 시작하여, 1969년 월드 킥복싱에 출전하여 킥복싱 경력을 시작했으나, 뇌파 이상으로 은퇴했다. 극진 가라테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과 3위, 5위를 기록했으며, 1980년 극진회관에서 제명된 후 신 격투술 시도칸을 설립했다. 또한 프로레슬러들에게 격투 기술을 가르치고, 마이클 잭슨과 친분을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공수도 선수 - 치바 신이치
    치바 신이치는 일본의 배우이자 무술가, 액션 감독으로, 기계체조 선수에서 배우로 전향하여 1959년 데뷔 후 재팬 액션 클럽을 설립하고 《스트리트 파이터》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하다 2021년 사망했다.
  • 일본의 공수도 선수 - 구로사와 히로키 (공수도인)
    1970년대 극진 가라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맹렬한 공격 스타일로 '일본 늑대'라는 별명을 얻은 구로사와 히로키는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에서 활약하고 K-1 이적 후 PRIDE.1에 출전했으며, 도장을 설립하여 지도하다가 2017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일본의 공수도 선수이다.
  • 일본의 남자 킥복싱 선수 - 아케보노 다로
    아케보노 다로는 하와이 출신으로 일본 스모계에서 요코즈나에 등극하여 11차례 우승을 차지한 전 스모 선수이자, 은퇴 후에는 격투기 선수와 프로레슬러로 활동하며 여러 타이틀을 획득한 인물이다.
  • 일본의 남자 킥복싱 선수 - 니시지마 요스케
    니시지마 요스케는 복싱, 종합격투기, 킥복싱 등 다양한 격투 종목에서 활동하며 WBO NABO, OPBF, WBF 크루저급 타이틀을 획득하고 PRIDE, 밥 샙과의 은퇴 경기 등에서 활약한 일본의 격투기 선수이다.
소에노 요시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이름조사이의 호랑이
국적일본인
출생일1947년 9월 29일
출생지사이타마현도코로자와시
활동 근거지도쿄도이케부쿠로
신장1.74 미터
체중70 킬로그램
체급웰터급
스타일사도관 가라테 (창시자)
극진, 유도, 와도류, 고주류, 쇼토칸, 킥복싱, 무에타이
자세정통
소속팀극진 도장
사도관 가라테 9단
활동 기간1969년 – 1970년
직업총장
제자미우라 미유키, 마쓰모토 야스노리, 우에하라 마코토
대학교조사이 대학
웹사이트사도관 본부 공식 웹사이트
킥복싱 기록
총 경기 수9
승리6
패배3
KO 패0
무승부0
무효 경기0

2. 배경 및 초기 생애

소에노 요시지는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 출신으로, 어린 시절에는 유도를 수련하며 무술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 처음에는 가라테가 유도에 비해 강하지 않다고 생각했으나, 점차 가라테의 강력함에 매료되었다. 그는 잠시 와도류 가라테-주짓수를 배우기도 했다.

1964년 9월 1일, 소에노는 도쿄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극진회관 본부(혼부)에 입문하여 창시자 오야마 마스타츠로부터 직접 극진 가라테를 배우기 시작했다.[6] 당시 본부에는 오야마 도장 시절부터의 선배들이 다수 있었으며, 소에노는 이들과 함께 수련하며 기량을 닦았다. 조사이 대학에 진학한 후에는 대학 내에 공수도부를 창설하고 이를 극진회관 산하로 편입시켜 직접 지도하는 등 초기부터 가라테 보급과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는 1967년 4월 15일에 초단 (검은띠) 자격을 취득했다.[2][7]

2. 1. 출생 및 유년 시절

소에노 요시지는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무술에 큰 관심을 보여 유도를 수련했다.[1] 처음에는 가라테가 유도에 비해 강하지 않다고 생각했으나, 이후 가라테가 발전하며 훨씬 강력해졌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잠시 와도류 가라테-주짓수를 배우기도 했다.

1964년 9월 1일, 소에노는 창시자 오야마 마스타츠가 직접 가르치던 도쿄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극진회관 본부(혼부)에서 극진 가라테 수련을 시작했다. 당시 그는 미국의 월드 오야마 가라테 소속인 오야마 시게루(소슈)와 오야마 야스히코(사이코 시한), 나카무라 타다시, 그리고 아시하라 히데유키 등과 함께 훈련했다.

조사이 대학에 입학한 후, 소에노는 직접 가라테 클럽을 창설하여 가라테를 지도했다. 미우라 미유키는 이 클럽에서 그의 2년 후배였다. 소에노는 1967년 4월 15일에 초단(1급 검은띠) 자격을 취득했다.[2]

2. 2. 극진 가라테 입문

소에노 요시지는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무술에 관심이 많아 유도를 수련했다.[1] 처음에는 가라테가 유도보다 약하다고 생각했지만, 가라테가 발전하면서 훨씬 강력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때 와도류 가라테-주짓수를 잠시 배우기도 했다.

1964년9월 1일, 소에노는 도쿄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극진회관 본부(혼부)에 입문하여 창시자 오야마 마스타츠로부터 직접 극진 가라테를 배우기 시작했다.[6] 당시 본부에는 관장 오야마 마스타츠를 필두로, 오야마 도장 시절부터 지도해 온 사범대인 이시바시 마사시, 쿠로사키 켄지 등이 있었고, 선배로는 오야마 시게루, 오야마 야스히코, 치바 신이치, 고다 유조, 나카무라 타다시, 카토 시게오, 후지히라 아키오, 아시하라 히데유키 등이 있었다. 소에노는 이들과 함께 수련했다.

1966년 조사이 대학에 진학한 소에노는 대학 내 가라테 클럽(공수도부)을 창설하고 이를 극진회관 산하로 편입시켜 직접 지도했다. 클럽의 후배로는 2기생 타카기 카오루, 3기생 미우라 미유키와 요시오카 유키오, 6기생 하나자와 아키라 등이 있었다. 소에노는 1967년4월 15일에 초단 (검은띠) 자격을 취득했다.[2][7]

2. 3. 대학 시절

1966년 조사이 대학에 입학한 소에노는 대학 내에 공수도부를 창설하고 이를 극진회관 산하로 편입시켰다. 당시 공수도부에는 2년 후배인 미우라 미유키를 비롯하여, 2기생 타카기 카오루, 3기생 요시오카 유키오, 6기생 하나자와 아키라 등이 있었다.[2] 소에노는 1967년 4월 15일에 검은 띠 (초단)를 취득했다.[2][7]

1969년 4월, TV 아사히(당시 NET)는 '월드 킥복싱'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로 결정하고, 무에타이 선수 및 다양한 공수도 유파 선수들을 섭외했다. 극진회관에도 같은 해 2월 선수 파견을 요청했고, 오야마 마스타츠는 야마자키 테루아키, 소에노 요시지, 오이카와 히로시를 '극진 짐' 소속으로 출전시켰다. 이들은 '극진 삼총사'로 불리며 주목받았다.[8] 소에노는 4월 15일 데뷔전에서 사와무라 타다시의 연승을 저지했던 무에타이 강자 칸난파이 손톤에게 아쉽게 패배했지만, 경기 내용 면에서 "사와무라보다 강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9] 그의 킥복싱 전적에 대해서는 본인이 11전 9승 2패 9KO라고 주장하지만[10], 당시 '월간 곤'에서는 6승 3패로 소개하기도 했다.[9] 후배 타카기 카오루는 "소에노 선배의 대련은 자신도 맞으면서 상대를 힘으로 밀어붙이는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시합이 끝나면 1~2주 정도는 앓아눕는 일이 잦았다[11]"고 회상했다. 이러한 격렬한 경기 스타일 탓인지 소에노는 시합 후 검진에서 뇌파 이상 진단을 받고 킥복싱에서 은퇴했다.[10]

같은 해 9월 20일 열린 극진회관 주최 제1회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 리그전에서 하세가와 카즈유키에게 승리했으나 야마자키 테루아키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같은 해 소에노는 극진회관 사이타마 지부장으로 임명되었고, 킥복싱 '소에노 짐'도 개설했다.

1970년 9월 26일 제2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에서는 다시 결승 리그에 진출했지만 야마자키, 하세가와에게 연달아 패하며 3위를 기록했다. 1972년 10월 22일, 2년 만에 출전한 제4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 B블록 결승에서는 사토 토시카즈[12]와 맞붙었다. 경기 중 오른쪽 중단 앞차기로 와자아리를 빼앗긴 소에노는 필사적으로 반격하며 안면에 펀치를 날리는 등[13][14]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나[5], 결국 오른쪽 무릎차기를 복부에 허용하고 한판으로 패배하여 5위에 그쳤다.[5]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소에노는 선수권 대회에서 은퇴했다.

3. 격투 경력

1960년대 후반 일본에서 킥복싱이 큰 인기를 얻자, 극진회관최영의1969년 TV 아사히의 요청에 따라 소에노 요시지와 야마자키 테루토모를 킥복싱 대회에 출전시켰다. 이를 위해 최영의는 '극진 체육관'을 설립하여 킥복싱 훈련을 지원했으며, 소에노는 웰터급 선수로 활동했다.

같은 해 9월, 극진 가라테는 도쿄 메트로폴리탄 체육관에서 제1회 전일본 풀 컨택트 가라테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다양한 무술가들이 참가하는 이종 격투기 성격을 띠었으며[3][4], 소에노는 결승에서 야마자키에게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대학 졸업 후, 소에노는 '소에노 도장'과 '소에노 체육관'을 열어 가라테와 킥복싱을 지도했다. 또한 방콕에서 무에타이를, 미국에서 가라테를 수련하며 실력을 연마했다.[1] 1981년에는 세계 가라테도 연맹 시도칸과 일본 격투 협회 뉴 파이팅 시도칸을 설립하여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3. 1. 킥복싱 진출

1965년부터 1975년까지 킥복싱은 TBS, 니혼 TV, TV 아사히, TV 도쿄 등 4개의 주요 TV 방송국을 통해 일본 전역에 방송되면서 큰 인기를 끌었다.

1969년 2월, NET는 '월드 킥복싱'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로 결정하고 극진회관에 선수 파견을 요청했다. 이에 최영의는 당시의 고제자들 중에서 야마자키 테루아키, '''소에노 요시지''', 오이카와 히로시를 선발하여 출전시키기로 했다. 이들은 '극진 짐' 소속으로 활동하며 "극진 삼우(極真三羽)"[8]라고 소개되었다. 최영의는 킥복싱 대회 출전 약 2개월 전인 1969년 4월 이전에 이들의 훈련을 위해 '극진 체육관'(극진 짐)이라는 킥복싱 체육관을 설립했다. 소에노는 웰터급 선수로 킥복싱 무대에 나섰다.

1969년 4월 15일, 소에노는 킥복싱 데뷔전에서 무에타이 강자 칸난파이 손톤과 맞붙었다. 칸난파이는 당시 사와무라 타다시의 연승 행진을 멈추게 한 선수였다. 소에노는 이 경기에서 아쉽게 패배했지만, 경기 내용으로 "사와무라보다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 등 큰 주목을 받았다[9].

소에노 본인은 자신의 킥복싱 전적을 11전 9승 2패 9KO라고 주장하지만[10], 당시 격투기 잡지 월간 곤에서는 6승 3패로 소개하기도 했다[9]. 그의 후배인 타카기 카오루는 소에노의 킥복싱 스타일에 대해 "자신도 치지만 적에게도 치게 하는, 이른바 파워로 밀어붙이는 스타일의 대련이었기 때문에, 시합이 끝나면 1~2주 정도는 앓아눕는 날이 시합마다 계속되었다[11]"고 말하는 것처럼, 소에노는 "맞게 해주고 치는 스타일"이었다.

결국 소에노는 시합 후의 의사 검진에서 뇌파에 이상이 보인다는 진단을 받아 킥복싱에서 은퇴했다[10]. 같은 해 1969년 9월 20일 이후[9] 극진회관 사이타마 지부장에 취임했으며, 아울러 킥복싱 '소에노 짐'을 개설했다.

대학 졸업 후[1], 그는 '소에노 도장'과 '소에노 체육관'을 열어 가라테와 킥복싱을 모두 가르쳤다. 또한 방콕에서 무에타이를, 미국에서 가라테를 수련했다[1].

3. 2. 극진 가라테 대회

극진 가라테는 1969년 9월 도쿄 메트로폴리탄 체육관에서 제1회 전일본 풀 컨택트 가라테 선수권 대회(AJFCKC)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단순한 가라테 챔피언십을 넘어 다양한 무술가들이 참가하는 이종 격투기 성격을 띠었다.[3][4] 주요 참가자로는 100kg이 넘는 이스라엘 유도 선수 기돈 가다리, 미국 출신의 헤비급 복싱 선수 폴 잭슨, 룸피니 복싱 스타디움 랭커인 무에타이 선수 3명(비라혼, 사카오, 사만소) 등이 있었다.[3][4] 규칙은 손이나 팔꿈치를 이용한 안면 공격과 급소 공격이 금지되었으며, 선수들은 어떠한 보호 장비도 착용하지 않고 맨손, 맨무릎, 맨다리로 싸웠다. 소에노는 결승 리그전에서 하세가와 카즈유키에게 승리했으나, 야마자키 테루아키에게 패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0년9월 26일 열린 제2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 리그에 진출했지만, 야마자키와 하세가와에게 패하며 3위를 기록했다.

2년 만인 1972년10월 22일에 출전한 제4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 B 블록 결승에서 사토 토시카즈[12]와 맞붙었다. 경기 중 사토에게 오른쪽 중단 앞차기로 '기술 있음'을 빼앗기자, 소에노는 반격 과정에서 안면에 펀치를 날리는 등[13][14]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하지만 사토의 끊임없는 전진 압박 속에[5], 오른쪽 무릎차기를 복부에 허용하며 한판으로 패배했고[5], 최종 순위는 5위에 머물렀다. 소에노는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선수권 대회에서 은퇴했다.

1979년11월, 제2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전(산페이 케이지 대 윌리 윌리엄스)의 주심을 맡았다. 이 경기에서 윌리 윌리엄스가 거듭된 붙잡기 후 무릎차기를 시도하자, 소에노는 그를 뒤집어 던지기로 제압하고 "실격"을 선언하여 반칙패 처리했다.

4. 시도칸 창설 및 이후 활동

1980년 극진회관에서 제명된 후, 소에노 요시지는 자신의 공수도 유파인 시도칸을 창설하여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극진회관 제명 이후에도 오야마 마스타츠와 개인적인 교류는 이어졌으나, 오야마의 극진회관 복귀 권유는 거절하고 우호 단체로서의 관계를 제안했다. 오야마 사후에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훗날 출간된 서적 "소에노 요시지 극진 진혼가"(코지마 카즈시 저)에서는 오야마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프로레슬러 미사와 미츠하루에게 팔꿈치치기를, 카와다 토시아키에게 발차기 기술을 지도했으며[1][2], 만화 공수도 바보 일대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했다. 또한, 마이클 잭슨과도 교류하며 시도칸 공인 명예 5단을 수여하기도 했다.

4. 1. 극진회관과의 관계

1964년 9월 1일, 극진회관에 입문했다[6]. 당시 관장인 오야마 마스타츠를 비롯해 오야마 도장 시절부터 지도해 온 이시바시 마사시, 쿠로사키 켄지 등에게 지도를 받았다. 선배로는 오야마 시게루, 오야마 야스히코, 치바 신이치, 고다 유조, 나카무라 타다시, 카토 시게오, 후지히라 아키오, 아시하라 히데유키 등이 있었다.

1966년 죠사이 대학에 진학한 후, 대학 공수도부를 극진회관 산하로 변경했다. 후배로는 2기생 타카기 카오루, 3기생 미우라 미유키・요시오카 유키오, 6기생 하나자와 아키라가 있다. 1967년 4월 15일에 검은 띠 (초단)를 받았다[7].

1969년 4월, NET 방송국이 '월드 킥복싱'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오야마 마스타츠는 야마자키 테루아키, 소에노 요시지, 오이카와 히로시를 '극진 삼우'라는 이름으로 킥복싱에 출전시켰다[8]. 소에노는 4월 15일 데뷔전에서 무에타이 선수 칸난파이 손톤에게 패배했으나 경기 내용으로 "사와무라 타다시보다 강하다"는 주목을 받았다[9]. 이후 킥복서로 활동하며, 본인은 전적을 11전 9승(9KO) 2패라고 주장하지만[10], 당시 기록에는 6승 3패로 소개되기도 했다[9]. 상대의 공격을 허용하면서도 밀어붙이는 격렬한 경기 스타일[11] 탓에 뇌파 이상 진단을 받고 킥복싱에서 은퇴했다[10].

같은 해 9월 20일, 극진회관 주최 제1회 오픈 토너먼트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 리그전에서 하세가와 카즈유키에게 승리했으나 야마자키 테루아키에게 패하여 준우승했다. 이후 극진회관 사이타마 지부장에 취임하고, 킥복싱 '소에노 짐'도 개설했다. 1970년 9월 26일 제2회 전일본 선수권에서는 결승 리그에 진출했지만 야마자키와 하세가와에게 패해 3위를 차지했다. 1972년 10월 22일, 2년 만에 출전한 제4회 전일본 선수권에서는 B블록 결승에서 사토 토시카즈[12]와 맞붙었다. 상대에게 오른쪽 중단 앞차기로 '기술 있음(와자아리)'[13][14]을 내주자 안면 펀치로 반격하는 등 치열한 타격전을 벌였으나[5], 결국 오른쪽 무릎차기를 복부에 맞고 한판패하여 5위에 머물렀다[5].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선수권 대회에서 은퇴했다.

1979년 11월, 제2회 오픈 토너먼트 전세계 공수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전 산페이 케이지 대 윌리 윌리엄스의 주심을 맡았다. 경기 중 거듭된 붙잡기와 무릎차기를 시도한 윌리엄스를 뒤집어 던지기로 제압하고 반칙패를 선언했다.

1980년 9월, 소에노는 극진회관에서 제명 처분을 받았다(당시 5단). 공식적인 이유는 '형사 사건 연루'였으나, 소에노는 기소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제명 배경에는 오야마 마스타츠와 카지와라 잇키의 대립[15], 혹은 사이타마현 내 지부 개설 문제를 둘러싼 루야마 하츠오와의 갈등에서 오야마가 루야마의 편을 들었기 때문[15]이라는 등 다른 이유가 있다는 추측이 당시 언론을 통해 제기되었다. 일각에서는 극진회관 측이 소에노를 의도적으로 배제하려 했을 가능성도 거론되었다[15].

극진회관을 떠난 후에도 오야마 마스타츠 개인과는 교류를 지속했으며, 이케부쿠로의 사우나에서 자주 만났다고 전해진다. 오야마는 만날 때마다 소에노에게 "사죄문을 쓰고 (극진회관에) 돌아오라"고 권유했으나, 이미 시도칸을 설립한 소에노는 "우호 단체가 되자"고 답했다고 한다. 오야마가 사망했을 때 소에노는 극진 본부로 달려가 공개적으로 눈물을 보였다. 그러나 훗날 출간된 서적 '소에노 요시지 극진 진혼가'(코지마 카즈시 저)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언론을 의식한 것이었으며, 실제로는 오야마에 대해 분노와 증오 등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저자 코지마는 소에노의 오야마 비판이 단순한 비난이 아니라, 애정과 존경이 뒤섞인 깊은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프로레슬러 미사와 미츠하루에게 팔꿈치치기를, 카와다 토시아키에게 발차기 기술을 지도하기도 했다.

4. 2. 프로레슬링과의 관계

그는 프로레슬러 미사와 미츠하루와 카와다 토시아키에게 격투 기술을 지도했다. 특히 미사와에게는 팔꿈치 치기를 전수했고, 카와다에게는 발차기 기술을 가르쳤다.[1][2]

4. 3. 기타 활동

극진회관에서는 제명되었지만, 오야마 마스타츠와 개인적인 교류는 계속되어 이케부쿠로사우나에서 자주 만났다고 한다. 오야마의 부인 토미코 역시 마스타츠와 다툼이 있을 때 소에노의 부인을 자주 찾았다고 전해진다. 말년의 오야마는 소에노를 만날 때마다 "사죄서를 쓰고 (극진회관에) 돌아오라"고 권유했지만, 이미 시도칸을 설립한 소에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우호 단체가 되자"고 답했으며, 오야마는 "빨리 그 편지를 쓰라"고 재촉했다고 한다. 오야마가 사망했을 때 소에노는 극진 본부로 달려가 사람들 앞에서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훗날 출간된 서적 "소에노 요시지 극진 진혼가"(코지마 카즈시 저)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언론을 의식한 행동이었으며 실제 사우나에서는 오야마에게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는 등, 오야마에 대한 분노와 증오 같은 복잡한 속마음을 드러냈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 책의 저자 코지마 카즈시는 소에노의 오야마 비판 근저에는 애정과 존경이 있으며, 이를 단순한 비판으로 보는 것은 피상적인 이해라고 주장했다.

그는 프로레슬러 미사와 미츠하루에게 팔꿈치 기술을, 카와다 토시아키에게 발차기 기술을 가르쳤다. 또한 만화 공수도 바보 일대에서는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했다. 마이클 잭슨과도 교류가 있었으며, 시도칸 공인 명예 5단을 수여하기도 했다.

5. 주요 성적


  • 제1회 오픈 토너먼트 전일본 공수도 선수권 대회 준우승
  • 제2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 3위
  • 제4회 전일본 선수권 대회 5위

6. 출연


  • 싸움 가라테 극진권 (1975년, 도에이)
  • 지상 최강의 가라테 시리즈 - 본인

참조

[1] 간행물 What is [[Masutatsu Ōyama]]? [[Wani Magazine]] Inc. 1996
[2] 학술지 International Karate Organization KYOKUSHINKAIKAN Domestic Black Belt List As of Oct.2000 Aikēōshuppanjigyōkyoku (株式会社I.K.O.出版事務局)
[3] 간행물 Fullcontact KARATE fukushodo (福昌堂) 1995-10
[4] 서적 Wagashi Ōyama Masutatsu: Sennihyakumannin e no michi (わが師大山倍達) Tokuma Shoten
[5] 학술지 新・極真カラテ強豪100人 [[日本スポーツ出版社]] 1997-01-29
[6] 문서
[7] 서적 極真カラテ総鑑 株式会社I.K.O. 出版事務局
[8] 문서 第2章 - 再検証極真ジム ぴいぷる社 1999年
[9] 문서 新・極真カラテ強豪100人
[10] 간행물 特集・青春[[大山道場]] [[福昌堂]] 1997年
[11] 서적 わが師[[大山倍達]] 1200万人への道 [[徳間書店]]
[12] 문서
[13] 학술지 佐藤俊和 — 闘将の軌跡 福昌堂 1995-11-01
[14] 문서
[15] 웹사이트 噂の真相 http://kyokushin-hih[...] 198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