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룡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청룡탕은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 처방이다. 임상시험을 통해 재채기, 콧물, 기침 등의 증상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마황, 건강, 감초 등 8가지 약재로 구성되며, 고혈압, 심장애 환자 등 특정 질환자나 임산부, 고령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위알도스테론증, 근병증, 간질성 폐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유사한 처방으로 대청룡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약 - 홍삼
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만든 것으로, 백삼과 구별되며 고려 시대부터 제조 기록이 있고 조선 후기에 제조량이 증가, 대한제국 시기에는 국가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홍삼전매제가 시행되었으며, 광복 이후 민간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체질과 증상에 따라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저장 기간에 따라 품질 변화가 발생할 수 있어 복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한약 - 소시호탕
소시호탕은 시호, 황금 등 여러 약재로 구성된 한약 처방으로, 반표반리 증상에 사용되며 해열, 항염증, 소화 기능 개선 등의 효능이 있지만, 특정 환자군에서는 간질성 폐렴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인터페론 제제 병용이나 간경변, 간암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된다.
| 소청룡탕 | |
|---|---|
| 소청룡탕 | |
![]() | |
| 개요 | |
| 종류 | 한약 |
| 기원 | 상한론 |
| 효능 | 기관지염, 알레르기비염, 기침 등에 사용됨 |
| 구성 약재 | |
| 주요 약재 | 마황 (麻黃) 작약 (芍藥) 오미자 (五味子) 감초 (甘草) 계지 (桂枝) 반하 (半夏) 세신 (細辛) 건강 (생강) (乾薑) |
| 주의사항 | |
| 금기 | 마황 성분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고혈압, 심장질환 환자 |
| 부작용 | 발진, 가려움증 소화불량, 설사 심계항진 |
2. 효과 및 효능
소청룡탕은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콧물, 비염, 묽은 가래를 동반하는 기침 등에 사용한다.[1]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감기에도 효과가 있다.
통년성 코 알레르기 환자 186명(소청룡탕군 92명, 위약군 94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무작위 비교 시험에서, 소청룡탕군은 위약군에 비해 재채기 발작, 콧물, 코 막힘 등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소청룡탕은 마황, 반하, 작약, 세신, 오미자, 계지, 감초, 건강으로 구성된다.[1]
3. 임상시험
묽은 가래, 천명 또는 기침 중 하나를 갖는 경증에서 중등도의 기관지염 환자 200명(소청룡탕군 101명, 위약군 99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무작위 비교 시험에서, 소청룡탕군은 위약군에 비해 기침 횟수, 기침 강도, 객담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4. 조성




4. 1. 처방 해설 (방해, 方解)
마황의 푸른색에서 유래된 청룡은 사신 중 하나로, 동방을 수호하는 신이다. 소청룡탕은 대청룡탕만큼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1] 처방에는 반하, 건강, 감초, 계지, 오미자, 세신, 작약 등이 포함된다.[1]
5. 금기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약사, 한약사와 상의하여야 한다.[1]
- 병후의 쇠약기, 현저하게 체력이 쇠약해진 환자 (이상반응이 쉽게 나타나고 그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고혈압 환자 (질환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고령자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주의할 것.)
- 심장애 환자 (질환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신장애 환자 (질환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부종 환자
- 지금까지 약에 의해 발진·발적, 가려움 등을 일으킨 적이 있는 환자
-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다른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
-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 현저하게 위장이 허약한 환자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땀이 많이 나는 환자 (땀 과다, 전신무력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질환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배뇨장애 환자 (질환 및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식욕부진, 구역, 구토의 증상이 있는 환자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 당뇨병 환자 (마황(에페드린 류)에 의해 글리코겐의 분해가 촉진되어 혈당이 상승할 수 있다.)
- 알도스테론증 환자, 근육병증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
6. 부작용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약사, 한약사와 상의하여야 한다.[1]
- '''위알도스테론증''' : 요량이 감소하거나 얼굴과 손발이 붓고, 눈꺼풀이 무거워지고, 손이 굳어지고, 혈압이 높아지거나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일 최대 복용량이 감초로서 1g 이상인 제제는 장기간 계속하여 복용할 경우 저칼륨혈증, 혈압상승, 나트륨 체액의 저류, 부종, 체중증가 등의 위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청칼륨치를 측정하여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 '''근병증''' : 저칼륨혈증의 결과로서 근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무력감, 사지경련, 마비 등의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 '''피부''' : 발진·발적, 가려움 등
- '''소화기계''' :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등
- '''간장애''' : 전신 권태감, 황달(피부 또는 눈의 흰자위가 황색으로 됨) 등
- '''간질성 폐렴''' : 기침을 수반한 숨참, 호흡곤란, 발열 등
- '''비뇨기계''' : 배뇨장애
- '''자율신경계''' : 불면, 땀 과다, 빠른맥, 잦은 소변, 두근거림, 전신무력감, 정신흥분 등
간질성 폐렴, 가성 알도스테론증, 근병증, 간기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관련 처방
대청룡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