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경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경동은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1967년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서 태어났다. 2001년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노동자와 소외된 이들의 권리를 위한 시를 써왔다. 기륭전자 노동자 파업, 용산 참사, 희망버스 시위, 쌍용자동차 점거, 세월호 침몰 사고 등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시위 현장을 기록하며 "행동하는 시인"으로 불린다. 2017년 미당문학상 후보를 거절했으며, 시집 《꿀잠》,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등을 출간했다. 2010년 천상병 시문학상, 2011년 신동엽창작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김종길
김종길은 유한한 존재의 아름다움, 자아와 세계의 긴장, 절제의 미학을 다룬 명료한 이미지의 시를 통해 삶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영문학자이다.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오탁번
오탁번은 1960년대 후반 등단하여 독특한 시 세계로 주목받고 한국 현대시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 대학교수로, '철이와 아버지' 등의 대표작을 남기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 신동엽창작상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창작상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송경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송경동 |
출생일 | 1967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
학력 정보 | |
모교 | 알 수 없음 |
창작 활동 | |
장르 | 시 |
등단 시기 | 2001년 |
주요 작품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관련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생애
1967년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서 태어난 송경동은 2001년 ‘내일을 여는 작가’와 ‘실천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구로노동자문학회에서 활동했고, 용산참사 때 구속된 철거민들의 억울한 사정을 호소했으며, 희망버스를 기획한 혐의로 2011년 구속 수감되기도 했다. 그는 시위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쓰고, 그 시를 시위대와 공유하여 "행동하는 시인", "현장의 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성장 배경
1967년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산과 들, 바다로 둘러싸인 곳에서 자랐으며, 이는 훗날 그의 시에서 인간 본성의 아름다움과 정직한 삶의 가치를 노래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중학교 시절 담임 선생님이 봄비에 대해 쓴 그의 시를 칭찬하면서 시인을 꿈꾸기 시작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특별시와 고향을 오가며 목공, 용접, 배관 등 다양한 육체 노동을 했다.[5] 1991년 서울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일하던 중 잊고 지냈던 꿈을 떠올리고 구로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인회를 찾아갔다. 그곳에서 김남주, 이시영, 정희성 시인에게 프롤레타리아 시를 배웠다.[6] 이후 산업 재해로 삶이 파괴된 노동자와 한국 신자유주의 사회의 심화되는 모순에 대해 시를 쓰기 시작했다.2. 2. 문단 데뷔 및 노동 운동
2001년 ‘내일을 여는 작가’와 ‘실천문학’에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16]구로노동자문학회에서 활동했다. 용산참사 때 구속된 철거민들의 억울한 사정을 호소했다. 희망버스를 기획한 혐의로 진보신당 비정규노동실장 정진우와 2011년 11월 15일 대한민국 행정부에 구속 수감되었다.[16]
2017년 미당문학상 후보에 자신을 포함시키려 한다는 주최쪽 중앙일보사의 연락을 받고 “적절치 않은 상”이라며 거절했다.[17]
송경동은 노동자와 다른 소외된 집단의 권리를 위해 싸우고 글을 썼으며, 특히 [http://www.industriall-union.org/archive/imf/police-raid-strike-at-kiryung-electronics 기륭전자 노동자 파업], 용산 참사[7] (2009년 도시 재개발 사업을 둘러싸고 용산 주민과 진압 경찰 간의 폭력적인 충돌로 6명이 사망[8]), 희망버스 시위, [https://www.nytimes.com/2009/08/07/world/asia/07seoul.html 쌍용자동차 점거], 세월호 침몰 사고 등을 다루었다.[9] 시위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쓰고, 그 시를 시위대와 공유하여 "행동하는 시인"[10], "현장의 시인"[11]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2. 3. 사회 참여 및 주요 사건
2001년 ‘내일을 여는 작가’와 ‘실천문학’에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구로노동자문학회에서 활동했다. 용산참사 때 구속된 철거민들의 억울한 사정을 호소했다.
희망버스를 기획한 혐의로 진보신당 비정규노동실장 정진우와 2011년 11월 15일 대한민국 행정부에 구속 수감되었다.[16]
2017년 미당문학상 후보에 자신을 포함시키려 한다는 주최 측 중앙일보사의 연락을 받고 “적절치 않은 상”이라며 거절했다.[17]
송경동은 노동자와 다른 소외된 집단의 권리를 위해 싸우고 글을 썼으며, 특히 [http://www.industriall-union.org/archive/imf/police-raid-strike-at-kiryung-electronics 기륭전자 노동자 파업], 용산 참사(2009년 도시 재개발 사업을 둘러싸고 용산 주민과 진압 경찰 간의 폭력적인 충돌로 6명이 사망)[7][8], 희망버스 시위, [https://www.nytimes.com/2009/08/07/world/asia/07seoul.html 쌍용자동차 점거], 세월호 침몰 사고 등을 다루었다.[9] 그는 시위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쓰고, 그 시를 시위대와 공유하여 "행동하는 시인"[10], "현장의 시인"[11]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2. 4. 미당문학상 후보 거절
2017년 미당문학상 후보에 자신을 포함시키려 한다는 주최 측 중앙일보사의 연락을 받고 “적절치 않은 상”이라며 거절했다.[17]3. 작품 세계
송경동의 시는 혁명 정신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노동자들의 현실과 저항을 노래한다. 임시직 노동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시위에 직접 참여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시에 담아냈다.[12] 그의 작품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분노와 함께 노동 해방을 향한 희망을 표현하며, 서정적 저항 시로 평가받는다.[13]
송경동은 억압받는 이들의 고통을 과감한 언어로 표현하면서도, 절망 속에서 피어나는 연대의식을 강조한다. 그의 시는 단순한 복수심을 넘어, 노동을 통해 존엄한 삶을 되찾고자 하는 열망을 담고 있다. "눈물은 거리의 흙과 먼지에 섞인 공장의 금속 가루 위에 떨어지고, 거기서 꽃이 핀다"라는 시구처럼, 그의 작품은 시대의 아픔을 어루만지며 아름다운 세상을 향한 희망을 제시한다.[15]
3. 1. 주제 의식
송경동의 시는 혁명 정신으로 특징지어지며, 자본주의의 억압에 대한 노동자들의 반대와 신자유주의 체제 하에서 그들의 증가하는 자기 소외를 반영한다.[12] 그는 임시직 노동자 및 기타 소외된 집단과 함께 시위에 참여하고, 그들의 경험을 시로 옮긴다.[12] 그는 왜 그들이 그러한 억압과 소외에 시달려야 하는지를 질문하며, 굶주린 사람이 음식을 훔치는 것을 금지하는 자본주의적 윤리를 비판한다. 그의 작품은 사회적 불의에 대한 분노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이 착취로부터 해방된 세상을 향한 희망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서정적 저항 시로 묘사될 수 있다.[13] 송경동은 억압받는 자들의 고통과 분노를 전달하기 위해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지만, 억압자에 대한 노골적인 적대감이나 증오를 드러내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작품에서 지배적인 정서는 절망과 본질적인 외로움에 대한 공감이다.[14] 그의 시는 고독한 개인이 집단적 정체성과 화해하는 세상을 그린다. 그것들은 억압자에 대한 복수심에 찬 공격이라기보다는 노동을 통해 획득되는 존엄한 삶을 위한 선언이다. 이 주제는 그의 시 중 한 구절에 잘 나타나 있다. "눈물은 거리의 흙과 먼지에 섞인 공장의 금속 가루 위에 떨어지고, 거기서 꽃이 핀다." 송경동의 작품은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갈망을 드러낸다.[15]3. 2. 언어와 표현 방식
송경동의 시는 혁명 정신으로 특징지어지며, 자본주의의 억압에 대한 노동자들의 반대와 신자유주의 체제 하에서 그들의 증가하는 자기 소외를 반영한다.[12] 그는 임시직 노동자 및 기타 소외된 집단과 함께 시위에 참여하고, 그들의 경험을 시로 옮긴다.[12] 왜 그들이 그러한 억압과 소외에 시달려야 하는지를 질문하며, 굶주린 사람이 음식을 훔치는 것을 금지하는 자본주의적 윤리를 비판한다. 그의 작품은 사회적 불의에 대한 분노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이 착취로부터 해방된 세상을 향한 희망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서정적 저항 시로 묘사될 수 있다.[13] 송경동은 억압받는 자들의 고통과 분노를 전달하기 위해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지만, 억압자에 대한 노골적인 적대감이나 증오를 드러내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작품에서 지배적인 정서는 절망과 본질적인 외로움에 대한 공감이다.[14] 그의 시는 고독한 개인이 집단적 정체성과 화해하는 세상을 그린다. 그것들은 억압자에 대한 복수심에 찬 공격이라기보다는 노동을 통해 획득되는 존엄한 삶을 위한 선언이다. "눈물은 거리의 흙과 먼지에 섞인 공장의 금속 가루 위에 떨어지고, 거기서 꽃이 핀다."라는 시구절에 이 주제가 잘 나타나 있다. 송경동의 작품은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갈망을 드러낸다.[15]4. 작품 목록
wikitext
종류 |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
시집 | 꿀잠 | 삶이보이는창 | 2006년 |
시집 |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 창비 | 2009년 |
산문집 | 꿈꾸는 자 잡혀간다 | 실천문학사 | 2011년 |
시집 |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 창비 | 2016년 |
시집 |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 | 창비 | 2022년 |
4. 1. 시집
- 2006년 시집 《꿀잠》(삶이보이는창)
- 2009년 시집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창비)
- 2016년 시집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창비)
- 2022년 시집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창비)
4. 2. 산문집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2009년 | 거창 평화인권문학상 |
2010년 | 제12회 천상병 시문학상 |
2011년 | 제6회 김진균상 |
제29회 신동엽창작상 (시집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 |
구본주예술상 | |
민주언론상 특별상 | |
2012년 | 5.18 들불상 |
2016년 | 제16회 고산문학대상 (윤선도 문학상) |
아름다운 작가상 |
참조
[1]
웹사이트
송경동 (SONG Kyung Dong)
http://cordite.org.a[...]
2018-08-17
[2]
뉴스
노동자가 '꿀잠' 잘 수 있는 세상을 위해 - 단비뉴스
http://www.danbinews[...]
2018-08-17
[3]
뉴스
"[news300.kr] 송경동 시인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출판기념마당"
http://www.news300.k[...]
2018-08-17
[4]
웹사이트
송경동 소개 & 대표작 {{!}}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18-08-17
[5]
뉴스
참세상 :: 특수강도범? 시인?? ... 꿀잠!
http://www.newscham.[...]
2018-08-17
[6]
뉴스
"[원희복의 인물탐구]박근혜 퇴진 예술행동위 송경동… 한국의 체게바라 꿈꾸는 행동하는 시인"
http://weekly.khan.c[...]
2018-08-17
[7]
웹사이트
Yongsan Tragedy, a wake-up call on human rights
http://www.humanrigh[...]
[8]
뉴스
White paper on 2009 Yongsan Disaster out
https://www.koreatim[...]
2018-08-17
[9]
뉴스
송경동, 시를 짓느니 죄를 짓겠다
http://www.hani.co.k[...]
2018-08-17
[10]
웹사이트
감동과동감사이 - '反블랙리스트' 광화문 캠핑촌장 송경동 "시인은 혁명가"
http://www.soseul.pe[...]
2018-08-17
[11]
웹사이트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 창비 – Changbi Publishers
http://www.changbi.c[...]
2018-08-17
[12]
뉴스
송경동, 시를 짓느니 죄를 짓겠다
http://www.hani.co.k[...]
2018-08-17
[13]
뉴스
피어린 현실을 시로 받아 적다
http://www.redian.or[...]
2018-08-17
[14]
뉴스
시인 송경동
http://m.khan.co.kr/[...]
2018-08-17
[15]
뉴스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송경동)-천상병 시상 수상작"
http://www.nocutnews[...]
2018-08-17
[16]
뉴스
송경동·정진우 ‘수감 50일’ 뒷이야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2-09
[17]
뉴스
송경동 시인 “미당문학상 거부한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12-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헌재 엉뚱한 결정 내린다면 2차 쿠데타에 준하는 일”
연대의 시동 ‘희망버스’…이소선 어머니 영정도 그 버스 탔다
송경동 시인도 곡기 끊는다…문화예술인, ‘윤석열 탄핵 인용 때까지’ 단식
‘작가회의’ 새 사무총장에 송경동…“윤 파면 선고하라” 결의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