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영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영은 1949년 8월 6일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와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하고,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수(繡)'가, '월간문학' 신인상에 시 '채탄(採炭)'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민중적 현실에 기반한 현실 비판적인 시를 주로 창작했으며, 1970년대에는 현실 저항적인 시를, 1980년대 이후에는 짧은 서정시를 통해 민중의 희망을 노래했다. 창작과비평사 편집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정지용 문학상, 만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만월》, 《바람 속으로》 등이 있으며, 산문집 《시 읽기의 즐거움》을 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구례군 출신 - 현영민
현영민은 K리그와 러시아 리그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국가대표 출신으로, 현재는 현대고등학교의 축구 감독을 맡고 있다. - 구례군 출신 - 송만갑
송만갑은 3대째 동편제 가문에서 태어나 7세부터 소리를 시작하여 전국을 돌며 활동했고, 조선성악연구회를 설립하여 제자를 양성했으며, 유성기 음반에 판소리를 녹음한 명창이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이시영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시영 |
출생일 | 1950년 8월 6일 |
출생지 | 전라남도 구례군 |
직업 | 시인, 출판인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
활동 기간 | 1969년 - 현재 |
장르 | 시 |
작품 활동 | |
데뷔 작품 | 수(繡) |
2. 생애
1949년 8월 6일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태어났다.[7]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와 고려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수한국어(繡)'가, 《월간문학》 제3회 신인작품 공모에 시 '채탄한국어(採炭)'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7]
이시영의 시는 민중적 현실에 기반하여 현실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1970년대의 폭압적인 정치 상황에 저항한 민중의 생활과 사상을 서사적인 이야기로 풀어내 독특한 리얼리즘 시를 보여주었다. 1980년 이후에는 짧은 서정시를 통해 민중의 희망을 노래했으며, 선불교의 선시처럼 고도로 압축된 형식 속에 깊은 상징성을 가진 시를 발표했다.
정지용 문학상, 동서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지훈상, 백석문학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오랫동안 창작과비평한국어 출판사의 부사장을 지냈으며, 단국대학교 문예창작센터 소장,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이시영의 시는 민중적 현실에 기반한 현실 비판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1970년대의 폭압적인 정치 상황에 저항한 민중의 생활과 사상을 서사적 골격의 이야기하는 듯한 시로 표현함으로써 독특한 리얼리즘 시를 보여주었다. 1980년 이후에는 짧은 서정시를 통해 민중의 희망을 노래했으며, 불교의 선시처럼 고도로 압축된 형식 속에서 깊은 상징성을 가진 시를 발표했다.
3. 작품 세계
3. 1. 초기 (1970년대 ~ 1980년대)
이시영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박정희 군사 독재 하의 암울한 일상을 평범한 사람들의 관점에서 묘사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이 주제를 깊은 애정과 공감으로 탐구했으며, 이는 그의 시에서 단순한 자기 고백적 해방 이상을 추구하려는 열망으로 나타났다. 이시영은 그의 예술을 고통받는 대중을 위한 노래로 변모시키고자 했다. 그의 초기 시들은 길고 산문적이기까지 하며,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동시에 역경 속에서도 인간성을 지키려는 굳은 결의를 담고 있다.[3]
3. 2. 후기 (1990년대 이후)
1990년대에 이시영의 시는 길이 면에서 급격히 짧아졌다. 두세 줄 이내로 구성된 그의 시는 최소한의 언어 사용과 압축된 형식을 통해 심오한 의미와 상징적 울림을 담아내는 점에서 선불교 시와 유사하게 되었다. 이 시기의 이시영의 시는, 그가 매우 제한된 형식을 특징으로 하는 시조로 문학에 데뷔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4]
이처럼 이시영의 시적 방식이 변화한 것은, 그의 초기 작품에서 나타났던 절박함과 뒤틀린 감정이 심리적 평온함과 사색적 여유로 대체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시영은 그의 시가 독자들에게 그의 마음을 전달하고 사라지기 전 “낙엽처럼 잠시 그들의 발치에 부딪히는” 작은 "파문"에 불과하더라도 괜찮다고 인정했다. 이시영은 이제 과잉의 시대에 그의 시가 그러한 작은 파문으로 남기를 희망한다. 이시영의 시는 지나치게 감정적인 시인들에 대한 부드러운 질책이자 동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그의 예술에 충실했던 늙은 시인의 겸허한 고백이다.[5]
4. 수상 경력
정지용 문학상(1996년), 동서문학상(1998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2007년), 박재삼 문학상(2012년), 만해문학상(2012년)을 수상했다.[7]
5. 작품 목록
wikitext
종류 |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
시집 | 만월 | 창비 | 1976 |
시집 | 바람 속으로 | 창비 | 1986 |
시집 | 길은 멀다 친구여 | 실천문학사 | 1988 |
시집 | 무늬 | 문학과지성사 | 1994 |
시집 | 사이 | 창비 | 1996 |
시집 | 조용한 푸른하늘 | 솔출판사 | 1997 |
시집 | 조용한 푸른하늘 | 책만드는집 | 2015 |
시집 | 은빛 호각 | 창비 | 2003 |
시집 | 바다 호수 | 문학동네 | 2004 |
시집 | 아르갈의 향기 | 큰나 | 2005 |
시집 | 우리의 죽은 자들을 위해 | 창비 | 2007 |
시선집 | 긴 노래, 짧은 시 | 창비 | 2009 |
시집 |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 창비 | 2012 |
시집 | 호야네 말 | 창비 | 2014 |
시집 | 하동 | 창비 | 2017 |
산문집 | 곧 수풀은 베어지리라 | 한양출판 | 1995 |
산문집 | 시 읽기의 즐거움 | 창비 | 2016 |
번역 | 변주곡: 세 명의 한국 시인 | 코넬 대학교 동아시아 프로그램 | 2002 |
번역 | 패턴 | 그린 인티저 | 2014 |
번역 | 그 사이: 시 (사이|사이한국어에서 발췌, 안드레아스 쉬르머 번역) | 에디션 페퍼콘 | 2012 |
5. 1. 시집
- 만월 (창비, 1976)
- 바람 속으로 (창비, 1986)
- 길은 멀다 친구여 (실천문학사, 1988)
- 무늬 (문학과지성사, 1994)
- 사이 (창비, 1996)
- 조용한 푸른하늘 (솔출판사, 1997), 재출간 (책만드는집, 2015)
- 은빛 호각 (창비, 2003)
- 바다 호수 (문학동네, 2004)
- 아르갈의 향기 (큰나, 2005)
- 우리의 죽은 자들을 위해 (창비, 2007)
- 시선집 긴 노래, 짧은 시 (창비, 2009)
-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창비, 2012)
- 호야네 말 (창비, 2014)
- 하동 (창비, 2017)
5. 2. 산문집
- 《곧 수풀은 베어지리라》(한양출판, 1995)
- 《시 읽기의 즐거움》(창비, 2016)
5. 3. 번역 작품
- 《변주곡: 세 명의 한국 시인》 (코넬 대학교 동아시아 프로그램, 2002)
- 《패턴》 (그린 인티저, 2014)
- 《그 사이: 시》 (사이|사이한국어에서 발췌, 안드레아스 쉬르머 번역, 에디션 페퍼콘, 2012)
참조
[1]
웹사이트
"이시영" biographical PDF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2]
서적
Lee Si Young
LTI Korea
[3]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4]
웹사이트
"Seo Jeongju"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or online at
http://klti.or.kr/ke[...]
2013-09-21
[5]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6]
뉴스
Little Lost in Translation
2014-12-13
[7]
웹사이트
NAVER
http://people.search[...]
[8]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klti.or.k[...]
2014-02-10
[9]
웹사이트
NAVER(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10]
웹사이트
NAVER(Doosan百科)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