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준기는 수평 또는 수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17세기 중반에 알코올 기포관을 사용한 수준기가 발명되었으며,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기포관 수준기는 액체와 기포가 들어있는 유리관을 사용하여 수평을 확인하고, 레이저 수준기는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여 수평을 측정한다. 한국에서는 나무 도랑에 물을 부어 수평을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기포관 수준기가 널리 사용된다. 현대에는 스마트폰의 가속도계를 이용한 수준기 기능도 제공되며, 디지털 수준기가 건설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측기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계측기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준기
개요
수평계의 모습
수평계의 모습
유형측정 도구
용도표면의 수평 또는 수직 여부 확인
상세 정보
작동 원리액체 방울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수직 판단
역사1660년대 프랑스, 멜키세데크 테브노가 발명
종류기포 수준기
전자 수준기
레이저 수준기
측정 단위각도 (일반적으로 도 단위)
정확도제품 및 모델에 따라 다름
사용법측정면에 수평계를 놓고 기포가 중앙에 오도록 조정
응용 분야건축
토목 공학
목공
측량
사진 촬영
추가 정보
관련 도구수직추
각도기
수평대
참고 자료위키백과: Spirit level (영어)
관련 서적 및 자료
주의 사항극한의 온도나 직사광선을 피하십시오.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정기적으로 정확도를 확인하십시오.

2. 역사

1661년 2월 2일 이전에 프랑스 과학자 멜키세덱 테브노가 유리 원통에 알코올과 기포를 넣어 밀봉한 알코올 기포관을 사용한 수준기를 발명했다.[1] 이 날짜는 테브노와 과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서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발명가는 1년 안에 런던로버트 훅피렌체의 빈첸초 비비아니 등에게 자신의 발명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전파했다. 아드리앵 오주는 1666년 마다가스카르 원정에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가 "테브노식 수준기"를 가져갈 것을 권장한 기록이 있어, 18세기 초까지 이러한 "수포식 수준기"가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1730년 독일, A자 수준기


고대 로마의 목수들이 사용한 도구들은 모두 고대 이집트에서 발명되었다. 리베라(Livella)라고 불리는 A자형 수준기는 나무틀 꼭대기에서 추가 실로 매달려 있고, 아래쪽에 새겨진 시준구(視準溝)와 늘어뜨린 실이 겹쳐 보이는 상태에서 바닥이 수평이 되는 구조이다. 이 A자 수준기는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

1939년, 윌리엄 B. 펠은 x-y 축의 기울기를 동시에 보여주는 펠 올웨이 정밀 수준기를 발명했다.[2] 이 수준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출이 제한될 정도로 높은 정확도를 자랑했다. 1피트당 0.0005인치의 해상도(1피트당 5만분의 5 또는 5초 각도 기울기)라는 새로운 기준을 설정했으며, 생산은 1970년경 중단되었다가 1980년대에 다시 시작되었지만, 1990년대 중반에 종료되었다.

2. 1. 한국의 수준기 역사

한국에서는 가마쿠라 시대 일본의 그림 두루마리 春日権現験記(카스가곤겐겐키)에 묘사된 것처럼, 나무 도랑에 물을 부어 수평을 측정하는 "수준"(みずばかり) 또는 "수모리대"(みずもりだい) 방식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후지와라 미쓰히로(藤原光弘)의 저택 "치쿠린덴"(竹林殿) 건설 공사(1309년)에도 사용되었으며, 현대의 기포관 수준기가 보급되기 전까지 널리 쓰였다.[7]

3. 종류

수준기에는 용도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수용 수준기 (목재, 알루미늄 또는 복합 재료)
  • 석공용 수준기
  • 어뢰 수준기
    어뢰 수준기
  • 기둥 수준기
  • 선 수준기
  • 토목기사용 정밀 수준기
  • 전자 수준기
  • 경사계
  • 미끄럼 또는 미끄러짐 표시기
  • 벌집 수준기

수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수준기


일반적으로 수준기는 콤비네이션 스퀘어의 머리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3. 1. 기포관 수준기

기포관 수준기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기로,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케이스(프레임) 내부에 기포관이 장착되어 있다. 기포관은 알코올이나 에테르 등의 액체와 하나의 기포가 밀폐된 유리 용기이다. 기포관에는 여러 개의 표선(기준선)이 있으며, 물체의 일정한 면에 프레임을 대었을 때 기포관 내부의 기포 위치가 가장 안쪽 표선 사이의 중앙에 있으면 그 면은 수평 또는 수직에 대해 평행하다.

프레임에 장착된 기포관의 각도에 따라 측정 가능한 각도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수평과 수직 2개, 또는 수평과 수직에 45°를 더한 3개의 기포관을 갖춘 것이 많다. 토목 공사용으로는 수평과 수직에 30°, 45°, 60°의 기포관을 갖춘 5개의 기포관을 가진 것도 있으며, 지붕 공사용으로는 기포관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슬랜트 기능이 있는 것도 시판되고 있다. 기포관의 곡률을 크게 하여 여러 개의 표선을 붙여 완만한 경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정확도는 낮다.

3. 2. 원형 수준기

원형 수준기는 얇고 투명한 원판 안에 석유 또는 알코올과 같은 액체와 하나의 기포가 들어 있는 형태이다. 주로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다.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기울기를 한 번에 측정할 수 있다. 유리 원통형 기포관에 비해 감도와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얇고 작으며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밀도가 필요하지 않고 대략적인 수평 또는 수직을 유지해야 하는 기구나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며, 다음과 같은 기기나 장비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예가 많다.

  • 측량 기구의 정준 상판
  • 폴이나 표척
  • 측거 프리즘
  • 저울(질량계)
  • 영사기
  • 프로젝터
  • 촬영용 삼각대나 운대
  • 방위 자석나침반
  • 접이식 작업대
  • 스포츠 용구

3. 3. 비접촉식 수준기

레이저 레벨


레이저 수준기는 각통형 수준기(수준계)에 레이저 포인터를 내장한 것이다. 가시광선 레이저 광선을 방출하여 수준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대상물에 조사함으로써 눈으로 수평 및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수준기(망원경 레벨)이나 먹줄기와 비교하여 정확도는 낮다.

핸드레벨(Hand Level)은 간편한 측량기구이다. 보측으로 하는 지질도루트맵 작성이나 정밀 측량에 앞선 현지 답사(사전 조사), 논밭 정비나 조경 공사에서의 수준 관측, 풀이나 농작물의 성장 정도(수고) 관측, 산림 산악 지대의 간이 측량 등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수준 관측이나 경사 관측에 사용된다.

핸드레벨은 기본적으로 상부에 기포관 수준기를 부착한 3배에서 5배 정도의 저배율 망원경 또는 단순한 조준 통으로, 내부에 설치한 거울로 기포의 위치와 시준 대상을 동시에 보는 것으로 망원경 또는 조준 통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측점을 시준한다. 기포관이 고정된 수평 전용 타입 외에, 상부에 기포관 부착 고도 분도기를 갖추고 경사각을 읽을 수 있는 타입도 시판되고 있다.

수평계(水盛管)는 고무관(고무호스)의 양쪽 끝에 수십 센티미터 정도 길이의 투명 유리관을 연결한 것 또는 전체가 투명한 비닐호스를 U자형으로 유지하고 물을 채운 것이다. 중간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물을 채우면 양쪽 끝의 액면은 반드시 수평이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두 지점 사이의 수준(고저차)을 구하거나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고무관이나 유리관이 시판되기 시작한 메이지 시대 중기 무렵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사용에는 호스의 끝을 잡고 액면을 시준하기 위해 두 사람이 필요하지만, 한쪽에 세로로 긴 양동이 또는 액면 일치를 부저로 알리는 전자식 수면계를 부착한 제품도 판매되고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면 1인 작업도 가능하다. 구조는 호스가 주이며 저렴하고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정확도가 높다.

현대에는 정밀한 수준기 또는 수준측량기(망원경 레벨)가 보급되어 있지만, 측점이 수 미터 이상 떨어져 있거나 측점이 평면이 아닌 경우에는 수준기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측점 사이의 시계가 다른 물체에 의해 차단되어 있거나 측량 기계용 삼각대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면 수준측량기를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평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4. 기타 수준기

목수용 수준기(목재, 알루미늄 또는 복합 재료), 석공용 수준기, 어뢰 수준기, 기둥 수준기, 선 수준기, 토목기사용 정밀 수준기, 전자 수준기, 경사계, 미끄럼 또는 미끄러짐 표시기, 벌집 수준기 등 다양한 종류의 수준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준기는 콤비네이션 스퀘어의 머리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수준기를 광학 망원경과 결합하면 *경사 수준기* 또는 *덤피 레벨*이 된다.[5] 이러한 수준측량 기기는 측량에서 더 먼 거리에 걸쳐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측량사의 수준측량 기기는 십자선이 있는 망원경(아마도 30배율)에 수준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망원경 자체는 삼각대에 장착되어 있다. 관측자는 눈금이 새겨진 두 개의 수직 막대(하나는 '뒤'에, 하나는 '앞'에)에서 높이 값을 읽어 막대가 놓여 있는 지면 지점 사이의 높이 차이를 얻는다. 알려진 표고가 있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지형을 가로질러 (연속적인 지점은 아마도 100m 간격으로) 높이 차이를 장거리에 걸쳐 누적적으로 측정하고 표고를 계산할 수 있다. 정밀 수준 측량은 1km 떨어진 두 지점 사이의 표고 차이를 몇 밀리미터 이내의 정확도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 중인 최신 자동 수준기

4. 구성 및 원리

초기 관형 수준기는 약간 곡선이 진 유리 을 사용했으며, 이 병은 착색된 알코올 또는 알코올과 같은 액체로 불완전하게 채워져 관에 기포가 남도록 설계되었다.[1] 약간 기울어지면 기포가 표시된 중앙 위치에서 멀어진다. 수준기를 거꾸로 또는 옆으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곡선형 일정 직경 관 대신 중앙이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진 곡선이 없는 원통형 관으로 대체된다.

물 대신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이 사용되는 이유는 낮은 점도와 표면 장력 때문이다. 이는 기포가 관을 빠르게 이동하고 유리 표면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정확하게 안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알코올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며, 얼음 팽창으로 인한 유리병 파손을 방지한다. 기포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플루오레세인(일반적으로 노란색 또는 녹색)과 같은 착색제를 추가하기도 한다.[1]

선형 수준기의 변형으로 버블 레벨이 있는데, 이는 중앙에 원이 있는 약간 볼록한 유리 표면 아래에 액체가 있는 원형 평평한 바닥 장치이다. 이것은 평면 전체에 표면의 수평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반면, 관형 수준기는 관 방향으로만 수평을 맞춘다.

수준기의 민감도는 장치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민감도는 기포를 단위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각도 또는 기울기의 변화로 나타낸다. 기포관에 눈금이 있는 경우, 민감도는 기포를 한 눈금만큼 이동시키는 각도 또는 기울기 변화이다. 일반적인 눈금 간격은 2mm(약 3/64인치)이다. 측량용 수준기의 경우, 바이알이 약 0.005도 기울어지면 기포가 2mm 이동한다. 2mm 눈금 간격을 가진 정밀 기계 수준기의 경우, 바이알이 한 눈금 기울어지면 회전축으로부터 1미터 떨어진 곳에서 수평이 0.04mm(약 0.0016인치) 변한다.[3][4]

5. 보정

목수용 수준기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완벽하게 수평인 표면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수준기를 평평하고 대략 수평인 표면에 놓고 기포관의 눈금을 확인한다. 이 눈금은 이 단계에서는 정확도를 알 수 없는 수준기에 따라 표면이 수평면과 평행한 정도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수평면에서 수준기를 180도 회전시키고 다른 눈금을 확인한다. 수준기가 정확하다면 수평면에 대한 동일한 방향을 나타낼 것이다. 차이가 있다는 것은 수준기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준기의 조정은 수준기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고 하우징 내에서 기포관을 이동시켜 오차의 약 절반을 보정하여 수준기를 뒤집었을 때 눈금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반복한다.

광학 수준기나 세오돌라이트와 같은 측량사의 더 정교한 기기에도 유사한 절차가 적용되며, 기기를 설치할 때마다 당연한 절차이다. 후자의 경우, 수준기와 함께 기기의 회전면도 수평을 맞춘다. 이는 두 개의 수평 직각 방향으로 수행된다.

6. 현대적 활용

현대에는 건축, 토목, 측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준기가 활용된다. 특히 건설 현장에서는 철골 구조물의 정렬 및 수평 작업에 디지털 수준기가 널리 사용된다. 디지털 수준기는 0.1°~0.05°의 정확도로 360° 이내의 정밀한 숫자 각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선명하게 읽을 수 있다. 또한, 철골 프레임을 필요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정렬하고 수평을 맞추는 데 사용되어 철골 구조물의 안정성,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수준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앱은 다양한 기능과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6] 웹사이트에서 기기의 방향을 얻을 수 있는 표준도 마련되어 있다.

7. 관련 용어

수준기를 광학 망원경과 결합하면 ''경사 수준기'' 또는 ''덤피 레벨''이 된다.[5] 이러한 수준측량 기기는 측량에서 더 먼 거리에 걸쳐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Scientific American https://books.google[...] Munn & Company 1887-08-27
[2] 웹사이트 Machinist's precision level (US2316777A) https://patents.goog[...] Google Patents 1940-08-01
[3] 웹사이트 Beginner's Guide to Reading Machine Shop Numbers & Values https://www.machinis[...] 2021-11-24
[4] 웹사이트 Sensitivity & Accuracy of Spirit Level Vials https://www.thediyen[...] 2022-12-13
[5] 웹사이트 Equipment Database Menu https://web.archive.[...] Sli.unimelb.edu.au 1998-10-19
[6] 웹사이트 How do I access the spirit level? https://www.iphonefa[...] iPhoneFAQ 2018-08-02
[7] 서적 ねじとねじ回し 株式会社早川書房 200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