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정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정공주는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의 딸로, 1646년에 태어나 1668년에 사망했다. 1652년에 숙정공주로 봉해졌으며, 1657년 정재륜과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다. 언니 숙안공주와 함께 백성들의 토지를 불법으로 갈취하여 원성을 사기도 했다. 현종은 숙정공주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조시를 정지하고, 대군의 예에 준하여 장례를 치렀다. 숙정공주 사후 남편 정재륜은 재혼하려 했으나 숙종에 의해 허락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효종의 자녀 - 현종 (조선)
    현종은 효종의 아들이자 조선의 제18대 왕으로, 재위 기간 중 예송 논쟁, 대동법 실시, 경신대기근, 안추원 사건 등을 겪었으며 34세에 사망하여 숭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효종의 자녀 - 숙휘공주
    숙휘공주는 조선 효종과 인선왕후의 넷째 딸로, 정제현에게 하가하여 1남 1녀를 두었으며, 설매 사건, 도방군 동원 문제 등 논란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을 받았고, 한글 편지를 모은 《숙휘신한첩》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 1646년 출생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 1646년 출생 - 앙투안 갈랑
    프랑스의 동양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앙투안 갈랑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배우고 중동 지역을 탐험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왕립 도서관에서 동양어 사본 목록 작성에 참여하고 『동방 도서관』 집필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천일야화』를 최초로 프랑스어 및 유럽어로 번역하여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68년 사망 - 윌리엄 월러
    윌리엄 월러는 잉글랜드 내전 시기 의회파의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하고 장로파 지도자로 정치 활동을 이어간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 1668년 사망 - 쇼시쓰왕
    쇼시쓰왕은 류큐국의 왕족으로 쇼호왕의 아들이며 쇼테이왕의 아버지이고, 여러 부인과 첩 사이에서 7남 5녀를 두어 그의 자녀들은 여러 고텐의 시조가 되거나 왕족 가문과 혼인하였다.
숙정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숙정공주
한자 표기淑靜公主
출생일1646년 11월 7일 (음력)
사망일1668년 5월 5일 (음력)
능묘정재륜 · 숙정공주묘 경기도 군포시 대야동 산1-13
가족 관계
부친효종
모친인선왕후 장씨
배우자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
자녀1남 1녀 (정효선, 김도연의 처 정씨)
작위
작위조선 효종의 공주

2. 생애

1646년(인조 24년) 효종과 인선왕후의 다섯째 딸로 태어났다. 맏언니 숙신공주가 요절하여 대부분 넷째 딸로 기록되어 있다. 1652년(효종 3년) '''숙정공주'''(淑靜公主)에 봉해졌다.[1]

1656년(효종 6년) 영의정 정태화의 아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 혼인, 1657년(효종 7년) 가례를 올렸다. 혼례 후 4년간 궁중에서 지내다가 1661년(현종 2년) 출합하였다.

1662년(현종 3년) 언니 숙안공주황해도 신천, 재령, 평산 등지 백성들의 토지를 불법으로 빼앗아 원성을 샀다.[2]숙정 · 숙안 두 공주가 계하(啓下, 왕의 허가를 받음)된 공사(公事)라는 핑계를 대고
신천(信川) · 재령(載寧) · 평산(平山) 등지의 민전(民田)을 불법으로 탈취했는데,
평산 부사 윤겸(尹㻩)이 공갈 협박하는 말에 겁먹은 나머지
아첨할 목적으로 꾀를 내어 허다한 민전을 모조리 궁가의 소속으로 만들었으므로
백성들이 생업을 잃고 원망하는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숙정 · 숙안 두 공주가 왕의 허가를 받은 공사라는 핑계로 신천, 재령, 평산 등지의 백성들의 토지를 불법으로 빼앗았는데, 평산 부사 윤겸이 공갈 협박하는 말에 겁을 먹고 아첨하기 위해 많은 백성들의 토지를 모두 궁가의 소속으로 만들어 백성들이 생업을 잃고 원망하는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중국어

1668년(현종 9년) 현종이 어의 5명을 보내 숙정공주의 유질을 치료했으나, 5월 5일 사망했다. 현종은 숙정공주의 죽음을 슬퍼하여 3일간 조시(朝市)를 정지하게 했다.[3] 장례는 대군(大君)의 장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4] 묘소는 경기도 광주(廣州)에 마련되었으며, 현재는 군포시 대야동이다. 숙정공주는 정재륜과의 사이에서 3남 2녀를 두었으나, 1남 1녀만이 성장하였다.[5]

2. 1. 탄생 및 공주 시절

1646년(인조 24년) 11월 7일 저녁 10시 무렵(亥正)에, 당시 왕세자였던 효종과 세자빈 장씨(인선왕후)의 다섯째 딸로 태어났다. 맏언니인 숙신공주가 요절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료에는 넷째 딸로 기록되어 있다.

1652년(효종 3년) 7살에 '''숙정공주'''(淑靜公主)에 봉해졌다.[1]

1656년(효종 6년), 영의정 정태화의 아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 혼인이 결정되었고, 다음 해인 1657년(효종 7년) 12월에 가례를 올렸다. 혼례 후 4년간 궁중에서 지내다가 1661년(현종 2년) 7월에 출합하였다.

1662년(현종 3년)에는 언니 숙안공주와 함께 황해도 신천, 재령, 평산 등지에 있던 민간인 소유의 땅을 불법으로 갈취하여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2]

숙정 · 숙안 두 공주가 계하(啓下, 왕의 허가를 받음)된 공사(公事)라는 핑계를 대고
신천(信川) · 재령(載寧) · 평산(平山) 등지의 민전(民田)을 불법으로 탈취했는데,
평산 부사 윤겸(尹㻩)이 공갈 협박하는 말에 겁먹은 나머지
아첨할 목적으로 꾀를 내어 허다한 민전을 모조리 궁가의 소속으로 만들었으므로
백성들이 생업을 잃고 원망하는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숙정 · 숙안 두 공주가 왕의 허가를 받은 공사라는 핑계로 신천, 재령, 평산 등지의 백성들의 토지를 불법으로 빼앗았는데, 평산 부사 윤겸이 공갈 협박하는 말에 겁을 먹고 아첨하기 위해 많은 백성들의 토지를 모두 궁가의 소속으로 만들어 백성들이 생업을 잃고 원망하는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중국어

2. 2. 사망

1668년(현종 9년) 현종이 어의 5명을 보내 숙정공주의 유질을 치료하게 했으나, 5월 5일 사망했다.

현종은 숙정공주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3일간 조시(朝市)를 정지하도록 하였다.[3] 장례는 대군(大君)의 장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4] 묘소는 경기도 광주(廣州)에 마련되었으며, 현재 위치는 군포시 대야동이다.

숙정공주는 남편 정재륜과의 사이에서 3남 2녀를 두었으나, 1남 1녀만이 성장하였다.[5]

3. 가족 관계

숙정공주는 동평위(東平尉) 정재륜(1648 ~ 1723)과 혼인하였다. 장남은 정효선(鄭孝先, 1663 ~ 1680)으로 여주 이씨와 혼인하였고, 장녀는 김석주(1634 ~ 1684)의 아들 김도연(金道淵, 1664 ~ 1689)과 혼인하였다.

3. 1. 부모와 형제자매

구 분내용
아버지효종(1619 ~ 1659)
어머니인선왕후 장씨(1618 ~ 1674)
언니숙신공주(1634 ~ 1645)
언니숙안공주(1636 ~ 1697)
언니숙명공주(1640 ~ 1699)
오빠현종(1641 ~ 1674)
언니숙휘공주(1642 ~ 1696)
동생숙경공주(1648 ~ 1671)


3. 2. 배우자와 자녀

구 분내용
아버지효종(1619 ~ 1659)
어머니인선왕후 장씨(1618 ~ 1674)
형제자매
배우자동평위(東平尉) 정재륜(1648 ~ 1723)
자녀


참조

[1] 실록 효종실록
[2] 실록 현종실록
[3] 실록 현종개수실록
[4] 실록 현종개수실록
[5] 웹사이트 《국조인물고》 - 정태화 https://terms.naver.[...]
[6] 실록 숙종실록
[7] 실록 숙종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