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 통근 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톡홀름 통근 열차는 스웨덴 스톡홀름 지역에서 운행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철도 개통 이후 스웨덴 국영 철도에서 운영하다가 1968년 스톡홀름 주에 위탁되었다. 현재는 SJ AB가 운영하며, 3개의 주요 노선과 53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2017년 시티 선 개통으로 도심 구간 운행이 개선되었으며, 2022년 기준 평일 34만 2천 명이 이용한다. 운행 차량은 X1, X10, X60 등이 있으며, X60은 시티 선 스크린도어에 맞춰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톡홀름의 교통 - 스톡홀름 브롬마 국제공항
스톡홀름 브롬마 국제공항은 1936년 개항한 유럽 최초의 포장 활주로 공항으로, 한때 국제선과 국내선을 모두 담당했으나 현재는 국내선 위주로 기능이 축소되었고, 상업적 쇠퇴와 정치적 논쟁으로 공항 폐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스웨덴의 철도 - SJ AB
SJ AB는 1856년 스웨덴 국유 철도의 전신으로 설립된 스웨덴의 국영 철도 운영 회사로, 간선 고속열차 및 지역 열차 운영에 집중하며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연결하는 국제 노선도 운영하고 향후 고속열차 도입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 스웨덴의 철도 - 알란다 익스프레스
알란다 익스프레스는 스톡홀름 중앙역과 알란다 공항을 잇는 고속철도로, A-Train AB가 운영하며 알스톰 X3 차량을 사용하고 1999년 개통 이후 적자를 겪기도 했지만 2005년부터 흑자로 전환되었다.
스톡홀름 통근 열차 | |
---|---|
개요 | |
![]() | |
명칭 | 스톡홀름 통근 열차 (Stockholms pendeltåg) |
위치 | 스톡홀름 주, 쇠데르만란드 주, 웁살라 주, 스웨덴 |
교통 유형 | 광역 철도 |
개통일 | 1968년 4월 22일 |
노선 길이 | 241 km |
노선 수 | 7 |
역 수 | 53 |
일일 승객 수 | 342,000명 (2022년 평일 기준) |
연간 승객 수 | 1억 2천만 명 (2019년) |
열차 길이 | 107 - 214 m |
운행 간격 | 3-4분 (중앙 구간)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력 | 가공 전차선으로부터 15 kV AC |
운영자 | SJ AB |
소유자 | 스토르스톡홀름스 로칼트라피크 / 스웨덴 교통청 |
최고 속도 | 160 km/h |
평균 속도 | 60 km/h |
![]() | |
![]() |
2. 역사
스톡홀름에 철도가 개통된 것은 19세기 후반이며, 지역 열차는 SJ에서 오랫동안 운행하였다. 1968년 스톡홀름 주에 운영을 위탁받아 스톡홀름 시내 교통과 동일 요금제를 적용하였다.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고 역을 개선하여 도시 철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스톡홀름 주변 철도 교통이 개선되었다. 단선 노선은 복선으로, 일부 복선은 복복선으로 개선되어 선로 용량이 증가하였다. 2001년부터는 대부분 역의 주간 배차 간격을 15분까지 줄였다.
2001년 쿵셍엔-볼스타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6년 트베르 선과 연결을 위하여 오르스타베리 역이 개업하였다. 2012년 12월 9일부터 스톡홀름 광역 철도 열차가 스톡홀름 알란다 공항에 정차하기 시작했다.[4][5]
스톡홀름 시티 라인은 스톡홀름 시내를 관통하는 철도 터널로, 2008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7년 7월 10일에 개통되었다.[7] 이 터널은 통근 열차 전용으로 사용되며, 시내를 통과할 때 통근 열차를 장거리 열차와 별도의 선로로 분리하여 철도 시스템의 혼잡 문제를 완화한다. 스톡홀름 시티 역과 스톡홀름 오덴플란 역이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스톡홀름 하닝게 시에 위치한 뉘나스 선의 베가는 2019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세기 후반 ~ 1960년대)
스톡홀름에 철도가 개통된 것은 19세기 후반이며, 지역 열차는 SJ에서 오랫동안 운행하였다. 1968년 스톡홀름 주에서 운영을 위탁받아 스톡홀름 시내 교통과 동일 요금제를 적용하였다.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고 역을 개선하여 도시 철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원래 이 시스템은 ''SL förortståg'' (SL 교외 열차영어)로, 나중에는 ''SL lokaltåg'' (SL 지역/광역 열차영어)로 브랜드화되었다. 1980년대에 와서야 이 시스템은 공식적으로 ''스톡홀름 펜델토그''로 알려지게 되었다.[8]운행 첫 해에는 쇠데르텔리에 쇠드라(Södertälje södra) (현재 쇠데르텔리에 함)에서 쿵스엥엔까지 스톡홀름 중앙역을 경유하는 단일 노선만 있었다. 1969년 6월 1일, 시스템은 칼베리 역 (sv) 이후 분기를 통해 마르스타까지 확장되었고, 쿵스엥엔 지선의 열차가 스톡홀름 C에서 종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만들어졌다. 1975년에는 베스테르하닝에로 가는 또 다른 지선이 개통되었고, 뉘네스함까지 단선 셔틀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쿵스엥엔 지선의 열차는 이제 스톡홀름 C 대신 베스테르하닝에에서 종착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35번 노선의 일부를 형성한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스톡홀름 주변 철도에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단선 구간은 복선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일부 복선 구간은 4선으로 업그레이드되어 광역 철도 열차가 다른 철도 서비스의 간섭을 덜 받으며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운행 빈도는 점차 증가했으며, 2001년부터 네트워크의 대부분의 역은 러시아워 시간대에 추가 열차를 포함하여 정기적으로 15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2. 2. 발전과 확장 (1970년대 ~ 2000년대)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스톡홀름 주변 철도에는 중요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단선 구간은 복선으로, 일부 복선 구간은 복복선으로 개선되어 선로 용량이 증가하였다. 운행 빈도는 점차 증가했으며, 2001년부터 네트워크의 대부분 역에서 러시아워 시간대에 추가 열차를 포함하여 정기적으로 15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2001년에는 네트워크의 북서쪽 노선이 쿵스엥엔에서 볼스타까지 연장되었다. 트바르바난 노면 전차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해 2006년에는 오르스타베리에 남쪽 충전역이 개통되었다. 2008년 8월 18일에는 남동쪽 베스테르하닝에-뉘네스함 셔틀에 그뢴달스비켄에 새로운 역이 개통되었다.
SL은 2000년부터 운영을 외부에 위탁하였고, 현재 운영사는 SJ AB이다.[11]
2. 3. 운영 주체 변경 (2000년대 ~ 현재)
SL은 2000년부터 운영을 외부에 위탁하였다.[8] 스톡홀름 통근 열차 노선의 운영은 2000년부터 민간 기업에 위탁되었다. 첫 번째 계약은 시티펜델른 (sv)이 맡았으며, 이 회사는 2000년부터 2006년 6월 17일까지 스톡홀름 통근 열차를 운영했다. 2006년 6월 18일부터 2016년 12월 10일까지는 스톡홀름스토그 (sv)(스웨덴 국영 철도 회사인 SJ AB의 자회사)가 네트워크를 운영했다.2016년 12월 11일, MTR 노르딕이 10년 계약을 체결하고 추가로 4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으로 운영권을 인수했다.[8] 2023년 5월, SL은 서비스 제공 문제로 인해 2026년 이후 MTR 노르딕의 스톡홀름 통근 열차 운영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10] 2023년 11월 1일, SL은 SJ AB에 비상 계약을 체결하여 2024년 3월부터 운영을 인수하도록 했다.[11]
2. 4. 시티 선 개통과 현대화 (2010년대 ~ 현재)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스톡홀름 주변 철도는 중요한 개선을 거쳤다. 단선 구간은 복선으로, 일부 복선 구간은 4선으로 확장되어 광역 철도 열차가 다른 열차의 간섭을 덜 받으며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운행 빈도는 점차 증가했으며, 2001년부터는 네트워크 대부분의 역에서 러시아워 시간대에 추가 열차를 포함하여 정기적으로 15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2001년에는 네트워크의 북서쪽 노선이 쿵스엥엔에서 볼스타까지 연장되었다. 트바르바난 노면 전차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해 2006년에는 오르스타베리에 남쪽 충전역이 개통되었다. 2008년 8월 18일에는 남동쪽 베스테르하닝에-뉘네스함 셔틀에 그뢴달스비켄에 새로운 역이 개통되었다.
2012년 12월 9일부터 스톡홀름 광역 철도 열차가 스톡홀름 알란다 공항에 정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알란다 C역에서 스톡홀름 C까지는 38분, 알란다 C에서 웁살라 C까지는 18분이 소요된다.[4][5]

스톡홀름 시내를 관통하는 철도 터널(시티 선, Citybanan)은 2008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7년 7월 10일에 개통되었다.[16] 이 터널은 통근 열차 전용으로 사용되며, 시내를 통과할 때 통근 열차를 장거리 열차와 별도의 선로로 분리한다. 이는 철도 시스템의 혼잡 문제를 완화하고 더 빈번한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른 열차의 운행 빈도를 높여 스웨덴 철도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을 증가시킨다. 스톡홀름 시티 역 ( T-센트랄렌 아래에 위치, 두 역 모두 스톡홀름 중앙역과 연결) 및 오덴플란 지하철역 아래에 위치한 스톡홀름 오덴플란 역 ( 칼베리 역을 대체)의 두 개의 새로운 지하역이 Citybanan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7]
스톡홀름 하닝게 시에 위치한 뉘나스 선의 베가라는 새로운 역은 스코고스역과 한덴역 사이에 위치하며, 거의 4년간의 건설 끝에 2019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다.
스톡홀름 광역 철도 노선의 운영은 2000년부터 민간 기업에 위탁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 6월 17일까지 시티펜델른(sv)이 운영하였고, 2006년 6월 18일부터 2016년 12월 10일까지는 스톡홀름스토그(sv) (스웨덴 국영 철도 회사인 SJ AB의 자회사)가 네트워크를 운영했다. 2016년 12월 11일, MTR 노르딕이 10년 계약을 체결하고 추가로 4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으로 프랜차이즈를 인수했다.[8] 2023년 5월, 서비스 문제로 인해 2026년 이후 MTR 노르딕의 운영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9][10] 2023년 11월 1일, SJ AB에 비상 계약을 체결하여 2024년 3월부터 운영을 인수했다.[11]
3. 노선
스톡홀름 통근 열차는 여러 노선을 통해 스톡홀름과 주변 지역을 연결한다. 이 노선들은 크게 2017년 12월 이전의 J35, J36, J37 노선 체계와 이후의 40번대 노선 체계로 나눌 수 있다.
2017년 12월 이전에는 J35, J36, J37 세 가지 노선이 운행되었다. J35 노선은 볼스타에서 베스테르하닝에를 거쳐 뉘네스함까지, J36 노선은 메르스타에서 쇠데르텔리에 C까지, J37 노선은 쇠데르텔리에 C에서 그네스타까지 운행했다.
운행 계통 | 구간 | 시간 | 거리 | 역 수 |
---|---|---|---|---|
J35 | 볼스타 - 베스테르하닝에 - 뉘네스함 | 1:44 | 107km | 27 |
J36 | 메르스타 - 쇠데르텔리에 C | 1:21 | 74km | 24 |
J37 | 쇠데르텔리에 C - 그네스타 | 0:31 | 30km | 6 |
합계 | 200km | 50 |
2017년 12월 이후, 노선 번호가 40번대로 변경되었고, 일부 열차는 특정 역을 건너뛰는 급행(42X, 43X 등)으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40번 노선은 웁살라 C에서 아를란다 C를 경유하여 쇠데르텔리에 센트룸까지 운행하며, 41번 노선은 마르스타에서 스톡홀름 시티를 경유하여 쇠데르텔리에 센트룸까지 운행한다. 48번 노선은 쇠데르텔리에 센트룸에서 그네스타까지 운행하는 짧은 노선이다.
노선 | 구간 | 소요 시간 | 길이 | 역 수 |
---|---|---|---|---|
40 | 웁살라 C – 아를란다 C – 스톡홀름 시티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1:45 | 25 | |
41 | 마르스타 – 스톡홀름 시티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1:24 | 74km | 24 |
42X | 마르스타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35 | 26 | |
43 | 볼스타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49 | 105km | 29 |
43X | 칼셸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25 | 84km | 21 |
44 | 칼셸 – 스톡홀름 시티 – 툼바 | 0:52 | 15 | |
48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그네스타 | 0:24 | 30km | 6 |
전체 통근 열차 시스템[12] | 241km | 54 |
3. 1. 운행 시간 및 배차 간격
스톡홀름 통근 열차는 총 3개의 운행 계통을 가지고 있다. J35/J36호선은 스톡홀름 도심을 중심으로 서북부 볼스타와 남동부 그네스타, 북부 메르스타와 남서부 쇠데르텔리에를 각각 연결한다. J37호선은 쇠데르텔리에와 그네스타를 잇는다. 총 운행 거리는 200km이다.베스테르하닝에 이남 구간은 승강장 길이와 단선 회차선의 제약으로 인해 베스테르하닝에 역에서 환승이 필요하다. 열차는 매일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운행하며, 야간에는 30분, 주간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출퇴근 시간에는 배차 간격이 7분 30초까지 줄어들며, 도심 구간에서는 4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J35호선의 베스테르하닝에 이남 구간과 J37호선은 배차 간격이 길어 주말에는 최대 2시간까지 늘어난다.
대부분의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일부 역을 통과하는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
2017년 12월 노선 변경 이후, 대부분의 노선은 목적지가 다른 두 개의 노선으로 운행된다. 일부 열차는 42X, 43X처럼 일부 역을 통과하는 급행 열차로 운행된다.
48번 노선은 그네스타와 쇠데르텔리에를 연결하는 짧은 노선이다. 40번 노선은 북쪽의 웁살라 C에서 아를란다 C, 웁플란스 베스비, 스톡홀름 시티역을 거쳐 남서쪽의 쇠데르텔리에를 연결한다. 웁살라 C에서 웁플란스 베스비 구간은 아를란다선과 동해안선의 기존 선로를 활용하여 지역 및 장거리 열차와 선로, 승강장을 공유한다.
베스테르하닝에에서 뉘네스함까지의 구간은 대부분 단선이며 교차 구간이 있다. 이전에는 승강장이 짧고 교차 지점이 제한되어 베스테르하닝에에서 환승이 필요했지만, 2013년 이후 개선되어 현재는 모든 열차가 스톡홀름과 볼스타까지 운행된다.
열차는 매일 오전 5시부터 오전 1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낮 시간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출퇴근 시간에는 추가 열차가 운행되어 많은 역에서 평균 7분 30초 간격, 중심부에서는 4분 30초 간격으로 운행된다. 40, 48번 노선과 뉘네스함행 노선의 외곽 구간(베스테르하닝에부터)은 주말에 최대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2022년 기준, 평일에는 342,000명의 승객이 스톡홀름 통근 열차를 이용한다.[13]
노선 | 구간 | 소요 시간 | 길이 | 역 수 | |
---|---|---|---|---|---|
40 | 웁살라 C – 아를란다 C – 스톡홀름 시티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1:45 | 25 | ||
41 | 마르스타 – 스톡홀름 시티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1:24 | 74km | 24 | |
42X | 마르스타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35 | 26 | ||
43 | 볼스타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49 | 105km | 29 | |
43X | 칼셸 – 스톡홀름 시티 – 뉘네스함 | 1:25 | 84km | 21 | |
44 | 칼셸 – 스톡홀름 시티 – 툼바 | 0:52 | 15 | ||
48 | 쇠데르텔리에 센트룸 – 그네스타 | 0:24 | 30km | 6 | |
전체 통근 열차 시스템[12] | 241km | 54 |
운행 계통 | 구간 | 시간 | 거리 | 역 수 |
---|---|---|---|---|
J35 | 볼스타 - 베스테르하닝에 - 뉘네스함 | 1:44 | 107km | 27 |
J36 | 메르스타 - 쇠데르텔리에 C | 1:21 | 74km | 24 |
J37 | 쇠데르텔리에 C - 그네스타 | 0:31 | 30km | 6 |
합계 | 200km | 50 |
4. 역
스톡홀름 통근 열차는 총 53개 역에서 운행되며, 대부분 역은 지상에 섬식 승강장이 있고 출입구는 1~2곳 정도 있는 형태이며, 개찰구와 유인 매표소가 갖춰져 있다. Västerhaninge와 Södertälje 남쪽의 역은 규모가 작고 매표 시설이 없어, 열차 승무원에게서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4. 1. 주요 역
통근 열차가 운행하는 역은 총 53곳이며, 이 중 4곳은 스톡홀름 주 경계 밖에 있다. 8곳은 장거리 열차로 환승할 수 있고, 3곳은 트베르 선, 4곳은 스톡홀름 지하철과 환승 가능하다. 일부 역은 지역 버스와의 환승 거점이다. 대부분 역은 지상에 섬식 승강장이 있는 형태이며, 출입구 1~2곳, 유인 매표소가 있다. 일부 환승역은 승강장이 여러 곳 있다. Västerhaninge와 Södertälje 남쪽의 역은 더 작으며, 매표소가 없어서 차내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가장 큰 역은 스톡홀름 C 역으로, 1일 통근 이용객 약 5만 4천명이다. 장거리 열차나 도시 철도와의 환승 거점이다. 가장 작은 역은 헴포사 역으로 1일 이용객 약 100명이다.
2008년 기준 이용객이 많은 역은 다음과 같다.
# | 역 | 이용객 |
---|---|---|
1. | 스톡홀름 C | 53,800명 |
2. | 스톡홀름 쇠드라 | 15,200명 |
3. | 엘브셰 | 11,700명 |
4. | 야콥스베리 | 10,300명 |
5. | 카를베리 | 10,000명 |
6. | 플레밍스베리 | 9,300명 |
7. | 순드뷔베리 | 7,800명 |
8. | 솔렌투나 | 7,200명 |
9. | 툼바 | 6,900명 |
10. | 쇠데르텔리에 C | 6,800명 |
5. 차량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알스톰의 X60 ''코라디아 노르딕'' 열차 한 종류이다. 2017년 7월 10일 스톡홀름 시티 라인(Citybanan) 개통 이후, 시티바난에서 스크린도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14]
과거에는 1967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된 X1,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생산된 X10 차량도 운행되었다. X1과 X10 차량은 편성 길이가 50m이며, 서로 중련 운행이 가능했고, 주로 2-4편성이 중련으로 운행하였다. X60 차량은 편성 길이가 107m이며, 최대 2중련까지 가능하다. X1은 최고 시속 120km, X10은 140km, X60은 160km/h까지 운행할 수 있었다.
X60 발주 당시 일부 X1과 X10 편성의 퇴역으로 인한 차량 부족으로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X20/X23 전동차,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덴마크 DSB에서 대여한 Bn 객차,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도이체 반에서 대여한 X420 전동차를 사용하였다. Bn 객차는 1970년대에 코펜하겐-헬싱외르 간 교통에 사용되었고, 외레순 대교가 개통되고 X31K가 반입되면서 용도가 폐기되어 SL에서 14량을 매입하였다.
총 71대의 X60 열차가 2005년과 2008년 사이에 독일에서 도이치반이 운행하던 중고 X420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인도되었으며, 이는 당시 운영사인 Citypendeln이 펜델토그 네트워크의 용량을 일시적으로 늘리기 위해 스웨덴으로 수입한 것이다. X60 유닛 2개로 구성된 열차의 길이는 214m이다. 2016년에는 1983년과 1993년 사이에 처음 인도된 X10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X60B라고 불리는 새로운 세대의 코라디아 노르딕 열차 46대가 투입되었다.[14] X60 및 X60B 열차의 최고 속도는 160km이다.[15]
참조
[1]
웹사이트
Atlas - Svenska Spårvägssällskapet
https://www.sparvags[...]
[2]
웹사이트
SJ kör pendeltågstrafiken i Stockholmsregionen från den 3 mars 2024
https://www.mynewsde[...]
2023-11-01
[3]
웹사이트
Nytt SL-rekord – över 861 miljoner resor på ett år
http://www.mynewsdes[...]
[4]
웹사이트
Nu startar pendeltågslinjen till Arlanda och Uppsala
http://sl.se/sv/Om-S[...]
Storstockholms Lokaltrafik
[5]
웹사이트
Commuter rail service now available at Stockholm Arlanda
http://www.swedavia.[...]
Swedavia
2012-12-07
[6]
뉴스
SL utreder pendeltåg till Arlanda
http://www.svd.se/st[...]
2008-07-27
[7]
웹사이트
Om Citybanan
http://www.trafikver[...]
Swedish Transport Administration
2017-03-24
[8]
웹사이트
MTR to operate Stockholm Pendeltag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5-12-09
[9]
웹사이트
SL to tender Stockholm commuter train operation
https://www.railjour[...]
2023-05-16
[10]
웹사이트
MTR:s avtal för pendeltåg i Stockholm förlängs inte – glädje från Seko Pendelklubben – Arbetet
https://arbetet.se/2[...]
2023-05-11
[11]
웹사이트
SJ awarded emergency contract for Stockholm commuter network
https://www.railjour[...]
2023-11-01
[12]
웹사이트
Fakta om SL och regionen 2019
https://www.sll.se/g[...]
Storstockholms Lokaltrafik
2021-04-03
[13]
웹사이트
SJ kör pendeltågstrafiken i Stockholmsregionen från den 3 mars 2024
https://www.mynewsde[...]
2023-11-01
[14]
웹사이트
Nya pendeltåg - Sll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Vagnguide - X60
https://www.jarnvag.[...]
2023-02-22
[16]
웹인용
Citybanan i Stockholm
http://www.banverket[...]
Banverket
2008-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