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기베르투스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기베르투스 4세는 다고베르트 2세와 기셀라 드 라제의 아들로, 671년에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679년 부왕 다고베르트 2세가 암살된 후 누이에 의해 구출되어 라제 백작가의 영지로 피신했으며, 이후 랑그도크에 정착하여 라제 공작과 레대 백작 지위를 승계했다. 그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렌느 샤토 마을의 전설과 소설 다빈치 코드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시기베르투스 4세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후손이라는 설도 있으나 근거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58년 사망 - 오도현 (화가)
    오도현은 당나라 시대의 화가로, 산수화, 인물화, 사찰 벽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당대 최고의 화가로 평가받았다.
  • 671년 출생 - 바즈라보디
    바즈라보디는 8세기 중국 밀교, 특히 진언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도 출신 승려로, 산스크리트어 경전 번역과 밀교 의식 전파, 그리고 《사르바타타가타타트바사가라하》 부분 번역을 통해 중국 진언종과 일본 신곤종, 천태종 밀교 분파의 기초를 다졌다.
  • 671년 출생 - 최식 (징란)
    최식은 당나라 중기의 문인이자 재상 최인사의 손자이며, 뇌물 수수와 부적절한 인사로 비판받았고 태평공주와 결탁하여 권력을 얻었으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자살했다.
  • 프랑크인 관료 - 피피누스 1세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서 클로타르 2세, 다고베르트 1세, 지게베르트 3세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하고 슬라브족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보호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추서되었다.
  • 프랑크인 관료 - 피피누스 2세
    피피누스 2세는 7세기 후반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이자 프랑크 왕국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네우스트리아와의 전투 승리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카롤링거 왕조의 기반을 다졌으며, 사후 후계 분쟁은 카를 마르텔의 권력 장악으로 이어졌다.
시기베르투스 4세
인물 정보
렌 시의 문장
렌 시의 문장
이름시기베르투스 4세
다른 이름시게베르트 4세
로마자 표기Sigebeurteu 4se
출생676년
사망758년
아버지다고베르트 2세
어머니웨섹스의 마틸드
배우자구드 드 렌
자녀시게베르트 5세
마틸드
종교기독교
기타 정보
관련 단체시옹 수도회

2. 생애

지게베르트는 다고베르트 2세와 그의 두 번째 아내인 서고트 왕국 출신 기셀라 드 라제의 아들이었다.[8] 성혈과 성배의 저자 마이클베이전트, 리처드레이, 헨리링컨 등에 의하면 671년 아들을 기다리던 다고베르트 2세의 아들로 어렵사리 태어났다[8] 고 한다.

679년 12월 부왕 다고베르트 2세가 로렌의 스테네이 평원에서 사냥 도중, 프랑크 왕국 네우스트리아 분국의 궁재 에브로인 또는 아우스트라시아 분국의 궁재 피핀 헤르스탈이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되자,[9][10][11] 지게베르트는 누이에 의해 구출되어 왕국의 남부으로 달아나 서고트 족의 공주[11]였던 모후의 친정인 라제 백작가의 영지로 피신하였다.[11] 어머니 기셀라는 서고트의 왕 왐바의 여동생 서고트의 기셀라의 딸이었다.

681년 랑그도크에 도착하여 라제 공작과 레대 백작 지위를 승계했다고 한다.[11] 그는 교회와 반대파들의 공격을 피해 은밀히 혈통을 이어 나갔다.[9][10] 지게베르트가 정착하고 그의 후손들이 뿌리내린 랑그도크와 프로방스 등지에서는 13세기 카타리파, 알비파 등 가톨릭에 대항하는 반대파 교단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지게베르트가 어떻게 살다가 죽었는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은신했다는 프랑스 서남부 렌느 샤토 마을의 전설을 근거로 그가 그곳에서 세계를 이어갔다고 한다. 이는 소설 다빈치 코드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게베르트가 스스로 예수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는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718년 렌느 샤토 근처에 아내 막달라와 함께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9][11] 이후로는 그에 대한 행적이 나타나지 않는다.[9][11] 뒤에 예루살렘 성지를 탈환하는 고드프루아 드 부용[10][11] 과 보두앵 2세 형제가 그의 후손이라 한다.

2. 1. 어린 시절

679년 12월 부왕 다고베르트 2세가 로렌의 스테네이 평원에서 사냥 도중, 프랑크 왕국 네우스트리아 분국의 궁재 에브로인 또는 아우스트라시아 분국의 궁재 피핀 헤르스탈이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되자,[9][10][11] 지게베르트는 누이에 의해 구출되어 왕국의 남부로 달아나 서고트 족의 공주였던[11] 모후의 친정인 라제 백작가의 영지로 피신하였다.[11] 어머니 기셀라 드 라제는 서고트의 왕 왐바의 여동생 서고트의 기셀라의 딸이었다. 지게베르트는 다고베르트 2세와 그의 두 번째 아내인 서고트 왕국 출신 기셀라 드 라제의 아들이었다.[8] 성혈과 성배의 저자 마이클베이전트, 리처드레이, 헨리링컨 등에 의하면 671년 아들을 기다리던 다고베르트 2세의 아들로 어렵사리 태어났다[8] 고 한다.

2. 2. 은둔 생활과 랑그도크 정착

679년 12월 부왕 다고베르트 2세가 로렌의 스테네이 평원에서 사냥 도중, 프랑크 왕국 네우스트리아 분국의 궁재 에브로인 또는 아우스트라시아 분국의 궁재 피핀 헤르스탈이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되자,[9][10][11] 지게베르트는 누이에 의해 구출되어 왕국의 남부으로 달아나 서고트 족의 공주[11]였던 모후의 친정인 라제 백작가의 영지로 피신하였다.[11] 어머니 기셀라는 서고트의 왕 왐바의 여동생 서고트의 기셀라의 딸이었다.

681년 랑그도크에 도착하여 라제 공작과 레대 백작 지위를 승계했다고 한다.[11] 그는 교회와 반대파들의 공격을 피해 은밀히 혈통을 이어 나갔다.[9][10] 지게베르트가 정착하고 그의 후손들이 뿌리내린 랑그도크와 프로방스 등지에서는 13세기 카타리파, 알비파 등 가톨릭에 대항하는 반대파 교단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지게베르트가 어떻게 살다가 죽었는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718년 렌느 샤토 근처에 아내 막달라와 함께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9][11] 이후로는 그에 대한 행적이 나타나지 않는다.[9][11] 뒤에 예루살렘 성지를 탈환하는 고드프루아 드 부용[10][11] 과 보두앵 2세 형제가 그의 후손이라 한다.

3. 실존 여부 논란

지게베르트 4세의 존재는 인정되나 그가 유년기에 부왕 다고베르트 2세와 다고베르트 2세의 다른 가족들이 살해될 때 함께 살해됐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일부에서는 그가 실존인물이 아닌 가상인물이라는 의견도 있다. 마이클 베이전트, 리처드 레이, 헨리 링컨 등이 프랑스에서 자료를 확인한 후에 발표한 1983년의 성혈과 성배를 통해 알려졌고, 2004년소설 다빈치 코드에는 그가 예수 그리스도의 혈통을 계승한 것처럼 묘사되고 있다.[10] 그러나 지게베르트 4세가 스스로 예수의 후손임을 주장했다는 기록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예수 후손설에 대한 신빙성은 없다.

4. 가계

성 지게베르트 3세(St. Sigebert III)와 힘네힐데스 혹은 킴네킬드의 손자이자 다고베르트 2세와 마틸다 드 켈트의 아들이었다.[13] 다른 어머니 기셀라 드 라제에게서는 이복 형 후고베르트가 태어났다. 힐데리히 2세와 고모 빌리힐데스가 그의 고모와 고모부 간이었다.[12] 부인은 가스코뉴의 막달레네(Magdalene or Magdala of NARBONNE & Carcasonne)이다. 아들 시기베르투스 5세(Sigebert V, Comte de RAZES)는 696년에 태어나 765년에 사망했다.[12] 손자 베라 3세(Bera III)는 715년에 태어나 770년에 사망했다.

4. 1. 부모

성 지게베르트 3세와 힘네힐데스 혹은 킴네킬드의 손자이자[12] 다고베르트 2세와 마틸다 드 켈트의 아들이었다.[13] 다른 어머니 기셀라 드 라제에게서는 이복 형 후고베르트가 태어났다. 힐데리히 2세와 고모 빌리힐데스가 그의 고모와 고모부 간이었다.[12]

4. 2. 배우자

부인은 가스코뉴의 막달레네(Magdalene or Magdala of NARBONNE & Carcasonne)이다.[12] 아들 시기베르투스 5세(Sigebert V, Comte de RAZES)는 696년에 태어나 765년에 사망했다.[12] 손자 베라 3세(Bera III)는 715년에 태어나 770년에 사망했다.[12]

4. 3. 자녀

부인은 가스코뉴의 막달레네(Magdalene or Magdala of NARBONNE & Carcasonne)이고, 아들은 시기베르투스 5세(Sigebert V, Comte de RAZES, 696년 - 765년)이다.[13] 손자는 베라 3세(Bera III, 715년? - 770년)이다.

4. 4. 후손

성 지게베르트 3세의 손자이자 다고베르트 2세의 아들인[12] 시기베르투스 4세는 가스코뉴의 막달레네와 결혼하여 아들 시기베르투스 5세를 두었다.[13] 시기베르투스 5세는 76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베라 3세는 770년에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 Corgi
[2] 간행물 The Priory of Sion - Shedding Light on the Treasure and Legacy of Rennes-le-Château and the Priory of Sion Avalonia
[3] 웹사이트 "Vaincre – Reprend le titre d'un périodique paru en 1942-1943", Number 1, April 1990 http://jhaldezos.fre[...] 2011-08-18
[4] 간행물 Le trésor du Triangle d'Or Alain Lefeuvre
[5] 기타 Vita Sancti Arbogasti episcopi argentinensis in Germania prima http://gallica.bnf.f[...] Apud Bolland. null
[6] 기타 La Prehistoire des Capetiens
[7] 서적 성혈과성배 자음과모음
[8] 서적 성혈과성배 자음과모음
[9] 서적 다빈치 코드의 진실(사전편) 예문
[10] 서적 다빈치 코드 2 베텔스만 코리아(주)
[11] 서적 성혈과성배 자음과모음
[12] 문서 고모부이면서 그의 당숙이다. 종조부 클로비스 2세의 아들.
[13] 문서 아버지 다고베르트의 본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