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나트라 독트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나트라 독트린은 1989년 소련 외무부 대변인 겐나디 게라시모프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프랭크 시나트라의 노래 "My Way"에서 유래되었다. 이 독트린은 소련이 동유럽 국가들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각자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정책을 의미했다. 이는 과거 브레즈네프 독트린과 대조되는 변화로, 1980년대 소련의 경제적 어려움과 개혁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나타났다. 시나트라 독트린은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을 촉진하여, 폴란드,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에서 공산주의 정권 붕괴를 가져왔고,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 2020년대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유럽 연합의 독자적인 노선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다시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 정책 - 동북아 균형자론
    동북아 균형자론은 대한민국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이론으로, 정부는 논란을 잠재우려 했으나 한미동맹 와해 우려와 개념 모호성으로 비판도 존재한다.
  • 외교 정책 - 신남방정책
    신남방정책은 문재인 정부가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 심화를 위해 2017년 발표한 정책으로, 수출 증대, 경제 협력 기회 확보 등을 목표로 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폐기되었다.
  • 소련의 대외 관계 -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안보를 위해 결성된 군사 동맹으로, 회원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며, 냉전 시기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고 동유럽으로 확장하여 영향력을 넓혀왔다.
  • 소련의 대외 관계 - 테헤란 회담
    테헤란 회담은 1943년 11월에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총서기가 모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의 협력 강화 및 전후 세계 질서 구축을 논의한 회담으로, 오버로드 작전 개시 결정, 소련의 대일전 참전 약속, 국제연합 설립 기반 마련 등의 결과를 낳았으나 폴란드 국경 문제, 독일 암살 계획설 등의 논란도 있었다.
  • 외교 독트린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외교 독트린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나트라 독트린
개요
배경
내용
영향
평가 및 논란
관련 사건
기타

2. 배경

브레즈네프 서기장.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창시했다.


1970년대부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천명한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소련이 사회주의 국가들의 민주화 요구에 군사적으로 강경하게 대응하는 배경이 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은 체제 내부의 구조적 결함, 경제 문제 심화, 반공산주의 정서 고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더 이상 이웃 국가에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기 어려워졌다.[1]

이러한 상황에서 1989년 10월 25일, 소련 외무부 대변인 겐나디 게라시모프는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외무장관의 연설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나트라 독트린"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그는 프랭크 시나트라의 노래 'My Way'를 언급하며, 각 국가가 스스로의 길을 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소련이 동맹국들의 미래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허용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었다.[1]

시나트라 독트린이 발표되기 한 달 전, 폴란드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비공산주의 정부를 선출했다. 헝가리는 1989년 봄,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서 철의 장막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8월의 범유럽 피크닉에서 동유럽 국민들은 소련이 국경 개방을 막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헝가리는 동독인들이 서방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지 않아 동독 정부의 불만을 샀다.[2][3]

이러한 상황은 에리히 호네커와 같은 동독의 강경 공산주의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는 라이프치히 등 동독 도시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직면하며 국내 위기에 처했다. 셰바르드나제의 연설과 게라시모프의 시나트라 독트린 발표는 호네커의 기대와 달리, 소련이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였다.

2. 1. 브레즈네프 독트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공산당 서기장이 1970년대부터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천명한 이후, 소련은 사회주의 국가들 내에서 발생하는 민주화 요구 시위에 대해 군대를 투입하는 매우 강경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헝가리, 동독일,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발생한 반 사회주의 운동 및 시위에 대한 군사적 개입 정책으로 이뤄졌다.[1]

시나트라 독트린은 모스크바가 위성국가의 내정을 엄격하게 통제했던 이전의 브레즈네프 독트린에서 벗어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79년 비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인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 체제의 구조적 결함, 심화되는 경제 문제, 반공산주의 정서 부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소련이 이웃 국가에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는 것은 점점 더 비현실적이 되었다.

3. 변화

1980년대 후반, 소련은 체제 내부의 구조적 결함, 심화되는 경제 문제, 반공산주의 정서 확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이웃 국가에 대한 영향력 행사가 점차 어려워졌다.

게라시모프 외무부 대변인은 1989년 10월 25일,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외무장관의 연설을 설명하면서 "시나트라 독트린"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셰바르드나제는 모든 국가, 특히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의 선택의 자유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게라시모프는 기자회견에서 "이제 우리는 프랭크 시나트라 독트린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My Way'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는 스스로 어떤 길을 선택할지 결정합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소련 블록 내 공산당의 거부 수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물론입니다… 정치 구조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결정해야 합니다."라고 답하며, 각국의 자율적 결정을 존중할 것임을 시사했다.

시나트라 독트린은 동맹국들의 자율적 결정을 허용하는 정책이었지만, 이미 소련의 동맹국들은 상당한 행동의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게라시모프의 발표 한 달 전, 폴란드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비공산주의 정부를 선출했고, 헝가리는 1989년 봄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 설치된 철의 장막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8월 범유럽 피크닉에서 동유럽 국민들은 소련이 국경 개방을 막지 않을 것임을 인지했고, 헝가리는 동독인들의 서방 탈출을 막지 않았다.[2][3]

이는 에리히 호네커 동독 서기장과 같은 강경 공산주의자들에게 큰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호네커는 "사회주의적 통일"의 종말을 비난하며 헝가리 제어를 위해 소련의 개입을 요청했지만, 시나트라 독트린 발표는 소련이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결국 몇 달 안에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전복되면서 냉전은 종식되었다.

3. 1.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고르바초프 서기장


1980년대 소련은 생산성 및 경제성장률 저하, 유류 파동,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미국과의 군비 경쟁 등으로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 또한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에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브레즈네프와 체르넨코의 뒤를 이어 등장한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를 표방하며 실질적인 변화를 추구했다. 고르바초프는 정치와 경제 개혁개방이 소련 생존의 유일한 길이라 여겼고, 이는 기존 소련 외교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22]

4. 내용

시나트라 독트린은 위성국가의 내정을 엄격하게 통제했던 이전의 브레즈네프 독트린에서 벗어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의 진압,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그리고 1979년 비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인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소련 체제 내부의 구조적 결함, 심화되는 경제 문제, 반공산주의 정서의 부상, 그리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소련이 이웃 국가에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는 것은 점점 더 비현실적이 되었다.

시나트라 독트린은 소급 적용되는 정책이었으며, 소련의 동맹국들은 이미 발표 이전에 더 큰 행동의 자유를 확보했다. 겐나디 게라시모프의 발표 한 달 전, 폴란드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비공산주의 정부를 선출했다. 헝가리 정부는 1989년 봄에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서 철의 장막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8월의 범유럽 피크닉에서 언론을 통해 정보를 얻은 동유럽 국민들에게 소련이 국경 개방을 막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한편, 동유럽 정부는 분열되었다. 헝가리는 동독인들이 여행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기 때문에 수천 명이 그곳으로 여행하여 새로 개방된 국경을 넘어 서방으로 탈출했다. 동독 정부는 헝가리가 탈출을 막는 것을 거부한것에 대해 불쾌감을 느꼈다.[2][3]

이러한 전개는 에리히 호네커와 같은 강경 공산주의자들을 크게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는 소련 블록의 전통적인 "사회주의적 통일"의 종말을 비난하고 헝가리인들을 제어하도록 모스크바에 호소했다. 호네커는 라이프치히와 다른 동독 도시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벌어지면서 국내에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의 연설과 게라시모프의 새로운 정책에 대한 설명은 호네커의 호소와 모순되었다.

시나트라 독트린 선포는 소련 블록 전체에 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궁지에 몰린 동독 정부는 동독과 다른 곳에서 공산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소련의 개입을 기대했다. 그러나 시나트라 독트린 발표는 소련이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였다. 몇 달 안에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모두 전복되었고, 이는 냉전의 종식을 가져왔다.

2020년대에 들어서 미중 패권 경쟁이 진행되는 가운데 유럽 연합이 설 자리가 점차 줄어들게 되자, 유럽연합 내에서도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유럽 연합이 스스로 이익과 가치를 수호하고, 누군가에게 의존하기 보다 스스로 갈 길을 정해야 한다는 요구와 함께 시나트라 독트린이 다시 언급되고 있다.[30][31][32]

4. 1. 'My Way' 독트린

시나트라 독트린을 처음 주장한 겐나디 게라시모프


시나트라 독트린의 '시나트라'는 당시 유명한 재즈 가수였던 프랭크 시나트라의 이름에서 따왔다. 특히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겠다는 내용을 가진 노래 My Way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당시 핀란드를 방문한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사절단에 있었던 소련의 외무부 대변인이었던 겐나디 게라시모프가 한 인터뷰 발언에서 나왔다.[23][24]

겐나디 게라시모프는 1989년 10월 25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기자들과 인터뷰를 가졌는데, 이틀 전 소련 외무장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의 연설에 대한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이제 우리는 프랭크 시나트라 독트린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My Way'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는 스스로 어떤 길을 선택할지 결정합니다."[1] 이는 곧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이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해서 소련의 개입 및 도움 없이 각자 알아서 행동해야 한다는 의미로, 동구권 국가들에게 굉장한 파장을 낳았다.[25][26]

이것이 소련 블록 내 공산당의 거부를 받아들이는 것을 포함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물론입니다… 정치 구조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결정해야 합니다."라고 답했다. 시나트라 독트린은 모스크바가 동맹국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도록 허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4. 2.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변화



시나트라 독트린은 당시 유명한 재즈 가수였던 프랭크 시나트라의 이름에서 따왔다. 특히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겠다는 내용을 가진 노래 My Way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당시 핀란드를 방문한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사절단에 있었던 소련의 외무부 대변인이었던 겐나디 게라시모프가 한 인터뷰 발언에서 나왔다.[23][24]

We now have the Frank Sinatra doctrine. He has a song, I Did It My Way. So every country decides on its own which road to take.|이제 소련은 프랭크 시나트라 독트린을 선언합니다. 프랭크 시나트라는 그의 노래에서 나는 내 방식대로 갈 것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하여, 모든 국가는 각자 스스로의 방식을 정해서 가야 합니다.영어

이는 게라시모프 대변인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기자들과 인터뷰 도중에 한 말이었는데, 곧 동구권 국가들에게 굉장한 파장을 낳게 되었다.[25]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은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해서 소련의 개입 및 도움 없이 각자 알아서 행동해야 한다는 의미였다.[26] 고르바초프는 이러한 독트린을 통해서 소련의 문제에 대해서만 집중하게 되었고,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은 내부적 문제에 대해서 스스로 해결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소련이 동유럽에 관여를 포기함에 따라 동유럽 국가들의 분위기는 조금씩 변화하게 된다. 이후 동유럽에서 폴란드, 헝가리, 체코 등지에서 반정부 시위가 대규모로 발생하였고, 동유럽 국가들의 사회주의 정권은 종말을 고하게 된다.[27][28][29] 이는 사회주의 블록의 공식적인 종료를 뜻하기도 하였다.

5. 영향

시나트라 독트린은 소련이 동유럽 위성국가들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고 각국의 자율성을 존중하겠다는 선언으로,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 혁명과 냉전 종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독트린은 모스크바가 위성국가의 내정을 엄격하게 통제했던 이전의 브레즈네프 독트린에서 벗어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등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소련은 체제 내부의 구조적 결함, 심화되는 경제 문제, 반공산주의 정서의 부상, 그리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더 이상 이웃 국가에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기 어려워졌다.

1989년 10월 25일, 소련 외무부 대변인 겐나디 게라시모프는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무장관의 연설을 설명하면서 "이제 우리는 프랭크 시나트라 독트린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My Way'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는 스스로 어떤 길을 선택할지 결정합니다."라고 말했다.[1] 이는 각국이 자신의 길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련의 동유럽 불간섭 정책을 공식화한 것이었다.

시나트라 독트린 선포 이후, 동독 정부는 소련의 개입을 기대했지만, 소련은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았다. 결국 몇 달 안에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모두 무너졌고, 이는 냉전 종식으로 이어졌다.

5. 1. 동유럽 혁명 촉발



시나트라 독트린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이 국내 정치 문제에 대해 소련의 개입 없이 각자 알아서 행동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26] 고르바초프는 이 독트린을 통해 소련 문제에 집중하게 되었고,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은 내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소련이 동유럽에 대한 관여를 포기하면서 동유럽 국가들의 분위기는 변화하기 시작했다.[27]

이후 동유럽에서 폴란드, 헝가리, 체코 등지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고, 동유럽 국가들의 사회주의 정권은 종말을 맞이했다.[28][29] 이는 사회주의 블록의 공식적인 종료를 의미하기도 했다.

시나트라 독트린은 모스크바가 동맹국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도록 허용한 것으로,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등을 정당화했던 이전의 브레즈네프 독트린에서 벗어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1989년 10월 25일, 소련 외무부 대변인 겐나디 게라시모프헬싱키에서 소련 외무장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의 연설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제 우리는 프랭크 시나트라 독트린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게는 'My Way'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나라는 스스로 어떤 길을 선택할지 결정합니다."라고 말했다.[1] 소련 블록 내 공산당의 거부를 받아들이는 것을 포함하는지 묻는 질문에 그는 "물론입니다… 정치 구조는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결정해야 합니다."라고 답했다.

게라시모프의 발표 한 달 전, 폴란드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비공산주의 정부를 선출했다. 1989년 봄, 헝가리 정부는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서 철의 장막을 해체하기 시작했다. 8월의 범유럽 피크닉에서 동유럽 국민들은 소련이 국경 개방을 막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헝가리는 동독인들이 여행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기 때문에, 수천 명이 헝가리를 통해 서방으로 탈출했다. 동독 정부는 헝가리가 탈출을 막지 않는 것에 불만을 표출했다.[2][3]

에리히 호네커와 같은 강경 공산주의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불안감을 느꼈다. 그는 소련 블록의 "사회주의적 통일"의 종말을 비난하며 헝가리를 제어하도록 모스크바에 호소했다. 그러나 시나트라 독트린 발표는 소련이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였다. 몇 달 안에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전복되었고, 이는 냉전의 종식을 가져왔다.

5. 2. 냉전 종식 기여

시나트라 독트린은 모스크바가 위성 국가의 내정을 엄격하게 통제했던 이전의 브레즈네프 독트린에서 벗어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는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1968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79년 비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인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 체제 내부의 구조적 결함, 심화되는 경제 문제, 반공산주의 정서의 부상, 그리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영향으로 소련이 이웃 국가에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는 것은 점점 더 비현실적이 되었다.

시나트라 독트린 선포는 소련 블록 전체에 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궁지에 몰린 동독 정부는 동독과 다른 곳에서 공산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소련의 개입을 기대했다. 그러나 시나트라 독트린 발표는 소련이 동독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였다. 몇 달 안에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의 공산주의 정부가 모두 전복되었고, 이는 냉전의 종식을 가져왔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inatra Doctrine https://www.national[...] National Review 2021-05-24
[2] 간행물 Paneuropäisches Picknick: Die Generalprobe für den Mauerfall https://www.profil.a[...] 2014-08-09
[3] 뉴스 Der 19. August 1989 war ein Test für Gorbatschows https://www.faz.net/[...] 2009-08-19
[4] 웹사이트 Brezhnev Doctrine Omitted https://www.nytimes.[...] 2023-09-05
[5] 서적 Tipping Points in International Law: Commitment and Critique (ASIL Studies in International Legal Theory) (English E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Sources of the Brezhnev Doctrine of Limited Sovereignty and Interven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12
[7] 웹사이트 The collapse of the GDR and the fall of the Berlin Wall https://www.cvce.eu/[...] 2023-09-06
[8] 웹사이트 The Sinatra Doctrine - “Rampaging hooligans” move history. https://www.national[...] 2023-09-06
[9] 웹사이트 «Я видел, насколько растеряна власть в Кремле» https://versia.ru/kt[...] 2023-09-05
[10] 간행물 Paneuropäisches Picknick: Die Generalprobe für den Mauerfall 2014-08-09
[11] 뉴스 Der 19. August 1989 war ein Test für Gorbatschows 2009-08-19
[12] 웹사이트 Fall of Berlin Wall: How 1989 reshaped the modern world https://www.bbc.com/[...] 2023-09-05
[13] 웹사이트 Soviet Tanks Roll in Lithuania; 11 Dead https://www.nytimes.[...] 2023-09-07
[14] 웹사이트 SOVIET CRACKDOWN: OVERVIEW; Gorbachev Puts Blame for Clash On Lithuanians https://www.nytimes.[...] 2023-09-07
[15] 웹사이트 January 13: the Way We Defended Freedom - Lithuania’s Stance in the Face of the 1991 Soviet Aggression https://www.lrs.lt/s[...] 2023-09-07
[16] 웹사이트 Thirty Years After Soviet Crackdown In Lithuania, Kremlin Accused Of Rewriting History https://www.rferl.or[...] 2023-09-07
[17] 웹사이트 Gorbachev’s Legacy in Lithuania https://verfassungsb[...] 2023-09-07
[18] 웹사이트 While rest of EU mourns, Baltics recall Gorbachev as agent of repression https://www.reuters.[...] 2023-09-07
[19] 웹사이트 Lithuanians slam 'one-sided' reax to Gorbachev death https://www.france24[...] 2023-09-07
[20] 웹사이트 LITHUANIANS SAY GORBACHEV WAS AWARE OF PLANNED MILITARY ACTION IN VILNIUS https://www.washingt[...] 2023-09-07
[21] 웹사이트 Gorbachev’s death cracks open Europe’s Russian divide https://www.politico[...] 2023-09-07
[22] 웹인용 "[다시보는 독일 통일(4)] 동독 창건 40주년 전후의 상황" http://sisa-n.com/Vi[...] 2024-04-28
[23] 뉴스 Gorbachev, in Finland, Disavows Any Right of Regional Intervention https://www.nytimes.[...] 2024-05-01
[24] 웹인용 Poland and NATO - 1999 https://www.nato.int[...] 2024-05-01
[25] 뉴스 Gorbachev, in Finland, Disavows Any Right of Regional Intervention https://www.nytimes.[...] 2024-04-28
[26] 웹인용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 특집 5] 탈냉전 시대의 지구촌" https://www.voakorea[...] 2024-04-28
[27] 웹인용 프라하의 봄: 공산주의 몰락의 신호탄 https://cfe.org/bbs/[...] 2024-04-28
[28] 웹인용 내멋대로 살련다 http://www.sisajourn[...] 2024-04-28
[29] 웹인용 The Sinatra Doctrine https://www.national[...] 2024-06-03
[30] 웹인용 The Sinatra Doctrine. How the EU Should Deal with the US–China Competition {{!}} EEAS https://www.eeas.eur[...] 2024-06-03
[31] 웹인용 The Sinatra Doctrine. How the EU Should Deal with the US–China Competition https://www.iai.it/e[...] 2024-06-03
[32] 뉴스 Europe’s “Sinatra doctrine” on China https://www.economis[...] 2024-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