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과 아프가니스탄의 공산 정권, 그리고 이에 대항한 무자헤딘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1973년 쿠데타 이후 친소 좌익 세력이 부상하는 가운데 1978년 공산주의 정권 수립에 반발한 무장 항쟁이 시작되었고, 소련은 군사 고문단 파견에 이어 1979년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미국 등 서방 세계는 소련의 침공을 규탄하며 제재를 가했고, 아프가니스탄 내전은 격화되었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등장과 함께 소련은 철군을 결정, 1988년 제네바 협정을 통해 철군을 약속하고 1989년 완전 철수했다. 이 전쟁은 아프가니스탄에 막대한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사회·경제적 파괴를 가져왔으며, 소련 붕괴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제 사회의 개입과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 테러리즘 증가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배경

1973년 쿠데타로 왕정(王政)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이래 아프가니스탄은 쿠데타의 연속으로 정권이 교체되는 가운데 친소좌익(親蘇左翼)이 부상하고 있었다. 1978년 5월 쿠데타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자, 1979년 초부터 이란의 '이슬람 혁명'에 영향을 받은 저항 세력을 중심으로 '무신(無神)의 공산주의'에 반대하여 정권 타도를 위한 무장 항쟁이 시작되었다.

종족별로 정권에 대한 '지하드(聖戰)' 선포로 시작된 반정부 투쟁은 모든 이슬람 종파가 가담하는 내전 상태로 확대되었고, 궁지에 몰리기 시작한 좌익정권에서는 내부적 권력 투쟁이 발생, 강경 세력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산정권은 권력 유지를 위해 소련의 지원을 요청했고, 이슬람 저항 세력을 진압하기 위한 소련의 군사고문단이 대거 투입되었다.

2. 1. 1973년 쿠데타와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수립

1973년 쿠데타로 왕정(王政)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이래 아프가니스탄은 쿠데타가 계속되며 정권이 교체되었고, 그 과정에서 친소좌익(親蘇左翼) 세력이 부상하고 있었다. 1978년 5월 쿠데타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자, 1979년 초부터 이란의 '이슬람 혁명'에 영향을 받은 저항 세력을 중심으로 '무신(無神)의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무장 항쟁이 시작되었다.

1973년, 소련에서 훈련받은 아프가니스탄 육군 장교들과 아프가니스탄 특공대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은 무함마드 다우드는 무혈 쿠데타를 통해 왕정을 무너뜨리고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공화국을 수립했다.[39] 권력을 되찾은 다우드는 파슈툰족 정책을 부활시키고, 반(反) 파키스탄 단체를 지원하며 대리전을 시작했다.[40] 소련은 미국과 중국의 동맹국인 파키스탄을 약화시키고자 다우드의 이러한 군사 행동을 지지했다.[40] 그러나 다른 이슬람 국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공개적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다우드에게 의존하여 파키스탄을 약화시키려 했다.[43]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과 같은 친소련 아프가니스탄인들은 파키스탄과의 갈등이 아프가니스탄이 소련으로부터 원조를 구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다우드의 이러한 행위를 지지했다.[44]

이에 대응하여, 파키스탄은 다우드의 정책을 비판하는 아프가니스탄인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줄피카르 알리 부토는 MI의 나시룰라 바바르 소장에게 비밀 작전을 승인했다.[45] 1974년, 카불에서 또 다른 비밀 작전이 승인되었는데, 국가정보국 (ISI)과 파키스탄 공군 정보국 (AI)는 부르하누딘 라바니, 굴부딘 헤크마티야르, 아흐마드 샤 마수드를 페샤와르로 망명시켰다.[45] 파키스탄의 목표는 다우드 정권을 전복하고 그 자리에 이슬람 신정국가를 세우는 것이었다.[46] 1975년에는 자미아트-에 이슬라미 당의 무장 세력을 지원하여 판지시르 계곡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42][44]

이 반란은 실패했지만, 다우드는 파키스탄과의 우호 관계가 필요함을 깨달았다.[47][44] 1976년과 1978년에 파키스탄을 국빈 방문했고, 1978년 방문 중에는 반 파키스탄 무장 세력 지원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1975년, 다우드는 자신의 정당인 아프가니스탄 국민혁명당을 창당하고 다른 정당을 불법화했다. 그는 정부 요직에서 파르참 분파의 구성원들을 제거하고, 소련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아프가니스탄과 소련의 관계는 악화되었다.[40]

2. 2. 1978년 사우르 혁명과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수립

1973년 쿠데타로 왕정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이래 아프가니스탄은 쿠데타가 계속되며 친소 좌익 세력이 부상했다.[49] 1978년 5월, 쿠데타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자 1979년 초부터 이란의 이슬람 혁명에 영향을 받은 저항 세력을 중심으로 '무신(無神)의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무장 항쟁이 시작되었다.[53] 이는 종족별로 정권에 대한 지하드 선포로 이어져 내전 상태로 확대되었고, 궁지에 몰린 좌익 정권은 소련의 지원을 요청하여 소련의 군사고문단이 대거 투입되었다.[356]

마르크스주의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PDPA)은 1967년 누르 무하마드 타라키의 할크 파와 바브라크 카르말의 파르참 파로 분열되었다.[48] 할크 파는 급진적인 반면, 파르참 파는 더 온건한 접근 방식을 선호했다.[48] 1971년 카불의 미국 대사관은 인민민주당이 "국내 좌익 단체 중 가장 불만을 품고 조직적인 단체"라고 보고했다.[49]

1979년 우표로, "위대한 사우르 혁명은 계급 투쟁의 열매이다"라는 문구와 함께 아르그를 묘사하고 있다.


인민민주당 파벌 간의 격렬한 반대는 미르 악바르 카이베르의 죽음으로 촉발되었다.[50] 카이베르의 죽음에 얽힌 의문의 정황은 카불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촉발했고, 이로 인해 여러 인민민주당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51] 1978년 4월 27일, 아프가니스탄 육군은 다우드와 그의 가족을 전복하고 처형했다.[52] 이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DRA)이 수립되었고, 타라키는 혁명 평의회 의장과 각료 회의 의장이 되었다.[46] 1978년 12월 5일, 소련과 아프가니스탄 간의 우호 조약이 체결되었다.[53]

혁명 이후, 타라키는 PDPA의 지도자, 총리, 사무총장직을 맡았다. 정부는 파벌 노선에 따라 분열되었으며, 칼크 파벌의 타라키와 하피줄라 아민은 파르참 지도자들과 대립했다. 새로운 정권은 즉시 소련과 동맹을 맺었지만, 많은 소련 외교관들은 아프가니스탄을 변화시키려는 칼크의 계획이 사회적,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일반 대중의 반란을 촉발할 것이라고 믿었다.[56] 칼크 국가는 소련의 개입 전에 주로 풀-에-차르키 교도소에서 10,000명에서 27,000명을 처형했다.[57]

PDPA는 통치 초 18개월 동안 소련식의 현대화 개혁 프로그램을 적용했는데, 많은 보수주의자들은 이를 이슬람에 반하는 것으로 간주했다.[60] 결혼 풍습과 토지 개혁의 변화를 규정하는 법령은 전통과 이슬람에 깊이 몰두한 인구, 특히 고리대금 폐지와 농부의 부채 취소로 인해 경제적으로 피해를 입은 지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 1978년 중반, 반란이 시작되었고, 반군은 아프가니스탄 동부 누리스탄 지역의 지역 군사 수비대를 공격했고, 곧 내전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1979년 9월, 하피줄라 아민은 권력을 장악하여 타라키를 체포하고 살해했다.

1919년 독립 이후 아프가니스탄은 왕국이었으며, 1933년 이후에는 자히르 샤가 국왕으로 통치했다. 1973년, 무함마드 다우드는 혁명을 일으켜 아프가니스탄 공화국을 성립시켰다.

1978년 4월 27일 다우드는 압둘 카디르 대령에게 암살당했다. 공산주의 정당 아프가니스탄 인민 민주당이 정권을 장악했고, 4월 30일 혁명 평의회 포고 제1호에 의해 국명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DRA)으로 했다. 5월 1일에 발족한 정권의 수반은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혁명 평의회 의장 겸 총리였고, 바브라크 카르말이 부의장 겸 부총리, 하피줄라 아민이 부총리 겸 외상이 되었다[350]

혁명 정부는 1978년 12월 2일 혁명 평의회 포고 제8호에 의해 봉건적 토지 소유를 해체하는 토지 개혁을 실시할 방침을 내세웠다. 토지 개혁은 1979년 1월부터 실시되었다.[351]。부족 지도자의 물적 이익을 직격하는 토지 개혁은 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지만, 정부는 군대를 파견하고 농민에게 무기를 나눠주며 개혁을 실시했다[352]。또한 정부가 남녀 평등 정책을 추진한 것도 종교 의식을 거스르는 것이었다[353]

외교적으로는 비동맹·중립을 표방했지만[354], 소련에 기울어진 자세는 일찍부터 분명해졌고, 5월 15일에 소비에트 연방과 공동 성명을 발표해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을 약속했으며, 12월 5일에는 선린 우호 조약을 맺었다[355]

2. 3. 이슬람 세력의 반발과 무장 저항

1978년 5월 쿠데타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된 이후, 1979년 초부터 이란의 '이슬람 혁명'에 영향을 받은 저항 세력을 중심으로 '무신(無神)의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무장 항쟁이 시작되었다. 종족별로 정권에 대한 '지하드(聖戰)' 선포로 시작된 반정부 투쟁은 모든 이슬람 종파가 가담하는 내전 상태로 확대되었다.

1973년 쿠데타로 왕정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아프가니스탄은 쿠데타가 계속되며 친소좌익 세력이 부상하고 있었다. 1978년 타라키 정부는 아프간 사회의 "봉건제"를 근절하기 위해 전통적인 이슬람 민법, 특히 결혼법을 급진적으로 현대화하는 개혁을 시작했다.[69] 토지개혁[351]과 남녀 평등 정책[353]은 부족 지도자들과 종교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정부는 개혁에 반대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고, 불안에 폭력으로 대응했다.[56] 1978년 4월부터 1979년 12월 소련 개입 사이에는 악명 높은[57] 풀-에-차르키 교도소에서 수천 명의 수감자가 처형되었는데, 여기에는 많은 마을 물라들과 촌장들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누리스탄 부족을 시작으로[71] 여러 민족 집단 사이에서 반란이 확산되었다.[71] 1979년 봄까지 28개 주 중 24개 주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했으며,[71] 3월에는 헤라트에서 이스마일 칸이 이끄는 반군이 반란을 일으켜 3,000명에서 5,000명이 사망 또는 부상당하고, 약 100명의 소련 시민과 그 가족이 사망했다.[72] 반란이 확산되면서 아프간 군대가 붕괴되었고,[74] 아프간 군대의 수는 1978년 110,000명에서 1980년에는 25,000명으로 감소했다.[75]

궁지에 몰린 좌익정권은 내부 권력 투쟁을 겪으며 강경 세력이 부각되기 시작했고, 소련의 지원을 요청하여 소련의 군사고문단이 대거 투입되었다.

무자헤딘을 생포한 후의 소련군


훈련을 실시하는 소련군

3. 소련의 군사 개입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무너뜨리고 바브락 카르말을 수반으로 하는 친소 정부를 수립했다. 소련은 소·아프간 우호선린협력조약에 근거한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따른 군사 개입이라고 주장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는 이를 침공으로 규정하고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 연기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다.

1979년 3월 17일 헤라트에서 아프간 정부군이 붕괴되자, 소련 공산당 정치국은 아프간 정세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361]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국방상과 유리 안드로포프 KGB 의장은 군사 개입을 주장했지만,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361]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상은 "어떤 경우에도 아프간을 잃을 수는 없다"면서도 군사 개입에는 신중한 입장이었다.[362] 3월 18일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은 소련군 파병을 요청했지만, 코시긴은 소련이 비난받을 것이라며 거부했다.[363]

그러나 9월 타라키가 아민의 쿠데타로 제거되면서 소련 지도부는 아민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363] 12월 12일 아프간 문제는 그로미코, 안드로포프, 우스티노프 3인에게 일임되었고, 군사 개입 결정이 내려졌다.[364] 12월 26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별장에서 최종 확인이 이루어졌고,[365] 다음 날인 12월 27일 소련군은 본격적인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365]

소련의 개입 결정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아민의 정치적 노선이 소련의 이익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365] 미국의 군사 지원, 이란 혁명으로 인한 이슬람 근본주의 확산에 대한 경계심,[365] 미국의 외교 정책 변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은 소련에게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아프간의 상실은 소련의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1. 소련의 개입 결정 과정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무너뜨리고 바브락 카르말을 수반으로 하는 친소 정부를 수립했다. 소련은 소·아프간 우호선린협력조약에 근거한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따른 군사 개입이라고 주장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는 이를 침공으로 규정하고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 연기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다.

1979년 3월 17일 헤라트에서 아프간 정부군이 붕괴되자, 소련 공산당 정치국은 아프간 정세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361]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국방상과 유리 안드로포프 KGB 의장은 군사 개입을 주장했지만,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361]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상은 "어떤 경우에도 아프간을 잃을 수는 없다"면서도 군사 개입에는 신중한 입장이었다.[362] 3월 18일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은 소련군 파병을 요청했지만, 코시긴은 소련이 비난받을 것이라며 거부했다.[363]

그러나 9월 타라키가 아민의 쿠데타로 제거되면서 소련 지도부는 아민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363] 12월 12일 아프간 문제는 그로미코, 안드로포프, 우스티노프 3인에게 일임되었고, 군사 개입 결정이 내려졌다.[364] 12월 26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별장에서 최종 확인이 이루어졌고,[365] 다음 날인 12월 27일 소련군은 본격적인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365]

소련의 개입 결정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아민의 정치적 노선이 소련의 이익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365] 미국의 군사 지원, 이란 혁명으로 인한 이슬람 근본주의 확산에 대한 경계심,[365] 미국의 외교 정책 변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은 소련에게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아프간의 상실은 소련의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2. 소련의 군사 작전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에 침공하여 아민 정부군을 제압하고 바브락 카르말 친소 정부를 수립했다.[93] 소련은 이 군사 행동이 소·아프간 우호선린협력조약에 근거한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94]

소련 침공 지도, 1979년 12월


국제적으로는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 세계의 대소 제재와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등이 이어졌고, 유엔에서의 대소 결의안 채택이 계속되었다.[97] 아프가니스탄 내부적으로는 이슬람 저항 세력이 소련군과 친소정부군에 대한 무장항전을 전개했다.

카불에서 BMD-1에 탑승한 소련 공수부대원


1979년 12월 27일, KGB와 GRU 특수부대는 타지베그 궁전 공격을 통해 아민을 암살했다.[95][96] 소련군은 카불 라디오를 통해 아프가니스탄이 아민의 통치로부터 "해방"되었다고 발표했다.

세르게이 소콜로프 원수의 지휘하에 소련 지상군은 12월 27일 북쪽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진입했다. 초기 소련군은 약 1,800대의 탱크, 80,000명의 병사, 2,000대의 장갑차로 구성되었다.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전투를 수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전술을 사용했다.

  • 소련 제40군 (10만 명 이상의 지상 부대로 구성)의 전개.
  • 화학 무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다.(화학 무기 사용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 2천만 개 이상의 대인지뢰가 소련군에 의해 살포되었다. PFM-1과 같은 대인 지뢰는 어린이가 사상하는 사건이 자주 발생하여 "인형 폭탄"이라고 불렸다.
  • 헬리콥터로 기동하는 치안 작전, 소탕 작전이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많이 실시되었다.
  • 대 게릴라 전용으로 전투 헬리콥터 Mi-24가 다수 투입되었으나, FIM-92 스팅어 등의 휴대용 방공 미사일 시스템의 제공으로 인해 그 위협은 제한되었다.[368][369]


|thumb|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된 소련군의 부대 (1984년)]]

소련의 점령은 아프가니스탄 국민들 사이에서 큰 공포와 불안을 야기했으며, 전국적인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칸다하르 등 주요 도시에서 민간인 봉기가 발생했고, 3 후트 봉기와 1980년 카불 학생 시위 등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다.[127][283][128]

3. 3. 바브락 카르말 정권의 수립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에 침공하여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무너뜨리고 바브락 카르말을 새로운 지도자로 옹립했다.[97] 소련체코슬로바키아 주재 대사였던 카르말을 통해 친소 정부를 수립함으로써 아프가니스탄을 소련의 위성국으로 만들었다.[97]

소련은 이슬람권과 미국 등 서방 세계의 강력한 비판에 대해, 소련군의 군사 행동은 침공이 아니라 소·아프간 우호선린협력조약에 근거한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97] 그러나 국제사회는 미국을 중심으로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미·소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 연기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다.[97]

KGB와 GRU 특수부대 소속 알파 그룹 및 제니트 그룹을 포함한 700명의 소련군은 1979년 12월 27일, 타지베그 궁전 공격을 통해 아민을 암살하고 주요 정부, 군사, 미디어 건물을 점령했다. 소련 공산당 정치국은 아민이 아프간 혁명 중앙 위원회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발표하고, 카르말을 정부 수반으로 임명했다.[97]

소련 지상군은 1979년 12월 27일 북쪽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진입했다. 제103근위 '비테브스크' 공수 사단이 바그람 공항에 착륙했고, 제40군을 비롯한 여러 부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초기 소련군은 약 1,800대의 탱크, 80,000명의 병사, 2,000대의 장갑차로 구성되었으며, 2주 동안 소련 항공기는 카불로 총 4,000회 비행했다.[99]

아프가니스탄 내부적으로 카불에서는 상점 철시·학생 시위 형태의 국민적 항전이 거세졌고, 이슬람 저항 세력은 '''아프가니스탄 해방 이슬람 연맹'''을 결성하여 소련군과 친소정부군에 대한 조직적인 무장항전을 전개했다.

바브락 카르말은 침공 이후, 축출된 전임자들이 소외시킨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개혁을 약속했다. 1980년 4월에는 임시 헌법인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기본 원칙이 채택되었다. 겉으로는 "자유로운 표현의 권리"를 포함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반하는 고문, 박해, 처벌"을 금지하는 민주주의 헌법이었다. 카르말 정부는 그의 동료 파르참 당원들과 (타라키 지지) 할크 당원들, 그리고 다양한 부처에 있는 여러 명의 알려진 비공산주의자/좌파들로 구성되었다.[283] 카르말은 자신의 정권을 "영광스러운 4월 혁명의 새로운 진화적 단계"라고 불렀지만, PDPA를 통합하는 데 실패했다. 많은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 그는 여전히 소련의 "꼭두각시"로 여겨졌다.[283][145][146]

4. 전개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무너뜨리고 친소 바브락 카르말 정권을 수립했다.[130] 이에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무자헤딘의 저항이 시작되었다. 소련은 이슬람권과 미국 등 서방 세계의 비판에 대해, 군사 행동은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357]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 세계는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 연기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으며, 유엔에서도 대소, 대아프간 결의안 채택이 계속되어 미국소련의 관계는 악화되었다.[357]

아프가니스탄 내부적으로는 이슬람 저항 세력 6개 파가 소련군과 친소 정부군에 대한 무장 항전을 전개했다.[357] 이들은 1980년 1월 '''아프가니스탄 해방 이슬람 연맹'''을 결성하고, 이슬람 형제국의 지원을 받았다. 아민 정권 당시 정부군 중 상당수가 이슬람 저항 세력에 합세했고, 많은 국민들이 파키스탄이란으로 탈출하여 난민이 되었다.[357]

무자헤딘 전사가 쿤라르에서 통신 수신기를 사용하고 있다.


전쟁은 소련군이 도시와 주요 교통 축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이 산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130] 국토의 80%가 정부 통제를 벗어났으며,[130] 소련군은 판지시르 계곡에 9차례의 공세를 펼쳤으나, 이 지역의 정부 통제는 개선되지 않았다.[132] 헤라트칸다하르를 제외한 서부와 남부에서는 전투가 산발적으로 벌어졌다.[134]

1984년 자지에서 포획한 야전포 2문을 가진 무자헤딘


소련군은 반군 진압을 위해 위협, 전복, 군사 급습 등 세 가지 전략을 따랐다.[136] 위협 전략은 공중 공격과 지상 공격으로 마을, 가축, 작물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전복 전략은 스파이를 침투시키거나 뇌물을 주는 것이었다. 군사 급습은 밀 Mi-24 공격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수색 및 파괴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136] 소련군은 마을을 점령하면 주민들을 심문하고 고문하거나 살해했다.[136]

소련군은 KHAD (아프가니스탄 비밀 경찰)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무자헤딘에 침투하고,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부족 민병대에 뇌물을 주어 싸우게 했다.[138] 사란도이는 내무부의 통제를 받는 준군사 조직이었으며,[141] 전쟁에서 엇갈린 성공을 거두었다.[142][143]

1985년, 소련군 규모는 108,800명으로 증가했고, 전국적으로 전투가 격화되면서 1985년은 전쟁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해가 되었다.

소련 스페츠나츠(특수 작전) 그룹이 1988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임무를 준비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미국,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이집트,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지원을 받은 아프가니스탄 저항 운동은 모스크바의 군사비 지출과 국제 관계 악화에 기여했다.[147] 미국은 사이클론 작전을 통해 반소련 세력을 지원했다.[147]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는 아프가니스탄 저항군의 기지가 되었고,[148] 다룰 울룸 하카니아는 반소련 아프간 전사들을 위한 주요 조직 및 네트워크 기지가 되었다.[148] 오사마 빈 라덴을 포함한 "아프간 아랍인"으로 알려진 수천 명의 자원병이 지하드를 수행하기 위해 왔다.[149][150] 알 카에다는 오사마 빈 라덴의 아랍 그룹에서 발전했다.[149][150]

마오주의 게릴라 단체도 활동했으며, 주목할 만한 단체는 아프가니스탄 인민 해방 기구(SAMA)였다.[156]

1985년 서로 다른 무자헤딘 세력이 활동했던 지역


아프가니스탄의 저항 운동은 지역 군벌들에 의해 벌어졌으며,[157] 전쟁이 정교해짐에 따라 외부 지원과 지역 조정이 증가했다. 무자헤딘 조직과 행동의 기본 단위는 아프간 사회의 분열된 특성을 반영했다.[157]

1982년 다룰아만 궁전, 아프간군의 일반 본부


올리비에 로이는 무자헤딘 부대가 활동하는 기지가 최소 4,000개는 있었다고 추정한다. 이들 대부분은 파키스탄에 본부를 둔 7개의 국외 거주 정당과 관련되어 있었다.[157]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타지크가 지배하는 지역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북부 감독 위원회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역으로 확장했다.[157]

1985년 아스마르에 있는 세 명의 무자헤딘


무자헤딘 동원은 파슈툰족 지역에서는 부족 구조와 연결되었고,[158] 파슈툰족이 아닌 지역에서는 종교 지도자들의 사회적 지도력과 연결되었다.[157]

무자헤딘은 사보타주 작전을 선호했다. 송전선, 파이프라인 수송 파이프라인, 라디오 방송국, 정부 사무실 건물, 공항 터미널, 호텔, 영화관 등을 폭파했다.[160][161] 파키스탄과의 국경 지역에서 무자헤딘은 하루에 800발의 로켓을 발사하곤 했다. 무자헤딘은 지뢰를 많이 사용했다.[160][161]

1987년 슐탄 계곡에서 기도하는 무자헤딘


그들은 민간인과 군사 목표에 집중하여 다리를 파괴하고, 주요 도로를 폐쇄하고, 호송대를 공격하고, 전력 시스템과 산업 생산을 방해하고, 경찰서와 소련 군사 시설 및 공군 기지를 공격했다. 그들은 정부 관리와 PDPA 당원을 암살하고, 작은 시골 전초 기지를 포위했다.

1985년 5월, 7개의 주요 반군 조직은 7개 정당 무자헤딘 연합을 결성했다. 1985년 말, 이 단체들은 카불과 그 주변에서 활동하며 로켓 공격을 가하고 공산 정부에 대한 작전을 수행했다.

전쟁에 대한 국제 언론의 인식은 다양했다. 미국의 주요 텔레비전 언론인들은 무자헤딘에게 동정적이었다.[162] 댄 래더는 무자헤딘과 함께 ''60분'' 리포트를 위해 종군했다.[163] ''리더스 다이제스트''(Reader's Digest)는 무자헤딘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다.[167]

알렉산더 콕번은 아프가니스탄을 비판하며 동정심을 보이지 않았지만,[168] 로버트 D. 캐플런은 무자헤딘을 "야만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생각했다.[168]

4. 1. 무자헤딘의 저항

1979년 12월 27일 소련군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여 하피줄라 아민 정권을 무너뜨리고 친소 바브락 카르말 정권을 수립하자,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무자헤딘의 저항이 시작되었다.[130] 소련은 이슬람권과 미국 등 서방 세계의 비판에 대해, 군사 행동은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357]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 세계는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 연기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으며, 유엔에서도 대소, 대아프간 결의안 채택이 계속되어 미국소련의 관계는 악화되었다.[357]

아프가니스탄 내부적으로는 이슬람 저항 세력 6개 파가 소련군과 친소 정부군에 대한 무장 항전을 전개했다.[357] 이들은 1980년 1월 '''아프가니스탄 해방 이슬람 연맹'''을 결성하고, 이슬람 형제국의 지원을 받았다. 아민 정권 당시 정부군 중 상당수가 이슬람 저항 세력에 합세했고, 많은 국민들이 파키스탄이란으로 탈출하여 난민이 되었다.[357]

전쟁은 소련군이 도시와 주요 교통 축을 점령하고,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이 산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130] 국토의 80%가 정부 통제를 벗어났으며,[130] 소련군은 판지시르 계곡에 9차례의 공세를 펼쳤으나, 이 지역의 정부 통제는 개선되지 않았다.[132] 헤라트칸다하르를 제외한 서부와 남부에서는 전투가 산발적으로 벌어졌다.[134]

소련군은 반군 진압을 위해 위협, 전복, 군사 급습 등 세 가지 전략을 따랐다.[136] 위협 전략은 공중 공격과 지상 공격으로 마을, 가축, 작물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전복 전략은 스파이를 침투시키거나 뇌물을 주는 것이었다. 군사 급습은 밀 Mi-24 공격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수색 및 파괴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었다.[136] 소련군은 마을을 점령하면 주민들을 심문하고 고문하거나 살해했다.[136]

소련군은 KHAD (아프가니스탄 비밀 경찰)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무자헤딘에 침투하고,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부족 민병대에 뇌물을 주어 싸우게 했다.[138] 사란도이는 내무부의 통제를 받는 준군사 조직이었으며,[141] 전쟁에서 엇갈린 성공을 거두었다.[142][143]

1985년, 소련군 규모는 108,800명으로 증가했고, 전국적으로 전투가 격화되면서 1985년은 전쟁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해가 되었다.

1980년대 중반, 미국,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이집트,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지원을 받은 아프가니스탄 저항 운동은 모스크바의 군사비 지출과 국제 관계 악화에 기여했다.[147] 미국은 사이클론 작전을 통해 반소련 세력을 지원했다.[147]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는 아프가니스탄 저항군의 기지가 되었고,[148] 다룰 울룸 하카니아는 반소련 아프간 전사들을 위한 주요 조직 및 네트워크 기지가 되었다.[148] 오사마 빈 라덴을 포함한 "아프간 아랍인"으로 알려진 수천 명의 자원병이 지하드를 수행하기 위해 왔다.[149][150] 알 카에다는 오사마 빈 라덴의 아랍 그룹에서 발전했다.[149][150]

마오주의 게릴라 단체도 활동했으며, 주목할 만한 단체는 아프가니스탄 인민 해방 기구(SAMA)였다.[156]

아프가니스탄의 저항 운동은 지역 군벌들에 의해 벌어졌으며,[157] 전쟁이 정교해짐에 따라 외부 지원과 지역 조정이 증가했다. 무자헤딘 조직과 행동의 기본 단위는 아프간 사회의 분열된 특성을 반영했다.[157]

올리비에 로이는 무자헤딘 부대가 활동하는 기지가 최소 4,000개는 있었다고 추정한다. 이들 대부분은 파키스탄에 본부를 둔 7개의 국외 거주 정당과 관련되어 있었다.[157] 아흐마드 샤 마수드는 타지크가 지배하는 지역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북부 감독 위원회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지역으로 확장했다.[157]

무자헤딘 동원은 파슈툰족 지역에서는 부족 구조와 연결되었고,[158] 파슈툰족이 아닌 지역에서는 종교 지도자들의 사회적 지도력과 연결되었다.[157]

무자헤딘은 사보타주 작전을 선호했다. 송전선, 파이프라인 수송 파이프라인, 라디오 방송국, 정부 사무실 건물, 공항 터미널, 호텔, 영화관 등을 폭파했다.[160][161] 파키스탄과의 국경 지역에서 무자헤딘은 하루에 800발의 로켓을 발사하곤 했다. 무자헤딘은 지뢰를 많이 사용했다.[160][161]

그들은 민간인과 군사 목표에 집중하여 다리를 파괴하고, 주요 도로를 폐쇄하고, 호송대를 공격하고, 전력 시스템과 산업 생산을 방해하고, 경찰서와 소련 군사 시설 및 공군 기지를 공격했다. 그들은 정부 관리와 PDPA 당원을 암살하고, 작은 시골 전초 기지를 포위했다.

1985년 5월, 7개의 주요 반군 조직은 7개 정당 무자헤딘 연합을 결성했다. 1985년 말, 이 단체들은 카불과 그 주변에서 활동하며 로켓 공격을 가하고 공산 정부에 대한 작전을 수행했다.

전쟁에 대한 국제 언론의 인식은 다양했다. 미국의 주요 텔레비전 언론인들은 무자헤딘에게 동정적이었다.[162] 댄 래더는 무자헤딘과 함께 ''60분'' 리포트를 위해 종군했다.[163] ''리더스 다이제스트''(Reader's Digest)는 무자헤딘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보였다.[167]

알렉산더 콕번은 아프가니스탄을 비판하며 동정심을 보이지 않았지만,[168] 로버트 D. 캐플런은 무자헤딘을 "야만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생각했다.[168]

4. 2. 미국의 지원과 사이클론 작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소련군에 대항하는 무자헤딘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은 '사이클론 작전'을 펼쳤다.[223] 이는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미국은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등과 함께 무자헤딘을 지원했다.[118][223] 특히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가장 많은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221][224][225]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초기, 지미 카터 대통령은 파키스탄과의 관계 회복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78] 로버트 게이츠에 따르면, 카터 행정부는 1979년 중반부터 제3세계에서 소련과 쿠바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보국(CIA)에 의존했다.[79] 미국은 1979년 5월부터 비밀리에 반군 지도자들과 접촉했고,[49] 7월에는 CIA가 비군사적 지원에 695,000달러를 지출하도록 허용하는 결정이 내려졌다.[81]

무기 공급은 여러 국가를 통해 이루어졌다. 미국은 이스라엘이 노획한 소련 무기를 구매하여 전달했고, 이집트는 구형 무기를, 튀르키예제2차 세계 대전 비축 물량을 제공했다.[117] 영국스위스는 각각 블로우파이프 미사일과 욀리콘 대공포를 제공했으며, 중국은 자체적인 게릴라전 경험을 바탕으로 무기를 제공했다.[117]

1986년 최초의 스팅어 미사일 격추 그림


1986년 스팅어 지대공 미사일 도입은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194] 일부 군사 분석가들은 스팅어가 70%의 킬 비율을 기록했으며, 전쟁의 마지막 2년 동안 격추된 소련 및 아프간 정부 항공기, 헬리콥터의 대부분이 스팅어 때문이라고 평가한다.[194][195] 찰리 윌슨은 스팅어 도입 이전에는 무자헤딘이 정규전에서 승리한 적이 없었지만, 도입 이후에는 패배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96]

그러나 소련 측 자료는 미국의 주장을 반박한다. 소련 자료에 따르면 1987-1988년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해 단 35대의 항공기와 63대의 헬리콥터만 파괴되었다.[197]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스팅어 도입 1년 전에 이미 철수를 결정했으며, 군사적 손실보다는 미국의 제재가 철수 결정의 주된 동기였다고 주장했다.[199][201] 스팅어는 초기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곧 대응책이 마련되었고, 무자헤딘은 1988년까지 스팅어 발사를 거의 중단했다.[199]

아프간 무자헤딘에 대한 지원은 이슬람 세계의 개인 기부자와 종교 자선 단체를 통해서도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기여는 어떤 외국 정부보다 훨씬 컸다.[226][227][228] 제이슨 버크는 아프간 지하드를 위한 자금의 25% 정도만이 국가에 의해 직접 공급되었다고 언급했다.[228] 사우디 아라비아는 공공 자금에서 미국의 기부금과 1대1로 매칭했으며, 개인 기부로도 막대한 자금을 모았다.[229]

4. 3. 국제 사회의 지원

소련아프가니스탄 침공은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 유엔에서의 대소·대아프간 결의안 채택 등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미국은 전략무기 제한협정(SALT Ⅱ) 비준을 연기하고, 파키스탄에 대한 군사·경제 원조를 재개하는 등 대소 보복 조치를 취했다.

아프가니스탄 내부적으로는 이슬람 저항 세력들이 '''아프가니스탄 해방 이슬람 연맹'''을 결성하여 소련군과 친소 정부에 맞서 무장 항전을 전개했다. 이들은 이슬람 형제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았으며, 아민 정권 당시 정부군 일부와 많은 국민들이 합세하여 전투력이 강화되었다.

파키스탄 정보 관리들은 이슬람 반군에 대한 물자 지원을 미국 및 동맹국에 비공개적으로 로비했다.[78]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파키스탄 대통령은 지미 카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지만,[78] 카터는 이란 혁명을 고려하여 파키스탄과의 관계 회복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78] 1979년 3월, 미국 국가 안보 회의에서 아프간 반군 지원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79] 1979년 5월부터 미국 관리들은 파키스탄 정부 연락망을 통해 반군 지도자들과 비밀리에 만나기 시작했다.[49] 이후 카터는 CIA의 비군사적 지원을 허용하는 결정을 승인했다.[81]

무기 공급은 여러 국가를 통해 이루어졌다. 미국은 이스라엘이 노획한 소련 무기를 무자헤딘에게 전달했고, 이집트는 구형 무기를, 튀르키예제2차 세계 대전 비축 물량을 판매했다.[117] 영국스위스는 각각 블로우파이프 미사일과 욀리콘 대공포를 제공했다.[117] 중국은 자체적인 게릴라전 경험을 바탕으로 무기를 제공하고 모든 선적 기록을 유지했다.[117] 미국, 사우디, 중국의 지원은 총 60억 달러에서 120억 달러에 달했다.[118]

아프간 무자헤딘은 주로 파키스탄, 미국, 사우디 아라비아,[219][179][180][220][221][222] 영국의 지원을 받아 냉전 시대의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223] 특히 미국과 사우디 아라비아가 가장 많은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221][224][225] 이슬람 세계의 개인 기부자와 종교 자선 단체도 상당한 자금을 지원했으며,[226][227] 사우디 아라비아는 공공 자금 외에도 개인 기부로 막대한 자금을 모았다.[229] 이집트, 중국, 이스라엘도 무자헤딘을 지원했다.[230][231] 반면 이란은 시아파 무자헤딘을 제한적으로 지원했으며, 이란의 지원은 통일된 무자헤딘 전선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했다.[232][233]

4. 4. 외인부대 '아프간 지하드' 참전

소련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무신론 공산주의자들에 맞서 지하드를 수행하기 위해 아프간 아랍인으로 알려진 수천 명의 자원병들이 여러 이슬람 국가에서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에 합류했다.[149][150] 이들 중에는 알 카에다로 발전한 아랍 그룹을 이끈 젊은 사우디 출신 오사마 빈 라덴이 있었다.[149][150]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는 아프가니스탄 저항군의 기지가 되었고, 이 지역의 데오반디 율라마는 아프가니스탄 '지하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48] 다룰 울룸 하카니아는 반소련 아프간 전사들을 위한 주요 조직 및 네트워크 기지 역할을 했다.[148]

|섬네일|소련 스페츠나츠(특수 작전) 그룹이 1988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임무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외인부대의 기여는 "진정한 전투의 기묘한 부수적 사건"이라고 불리며,[151][152] 약 25만 명의 아프간 전사와 12만 5천 명의 소련군에 비해 "한 번에" 약 2,000명만이 전투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된다.[154]

아프간 무자헤딘은 파키스탄, 미국, 사우디 아라비아,[219][179][180][220][221][222] 영국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는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만들었다.[223] 이슬람 세계, 특히 페르시아만을 중심으로 한 개인 기부자와 종교 자선 단체가 어떤 외국 정부보다 아프간 반군을 위해 훨씬 더 많은 자금을 모금했다.[226][227] 제이슨 버크는 "아프간 지하드를 위한 자금의 25% 정도만이 실제로 국가에 의해 직접 공급되었다"고 말한다.[228]

5. 종결

박격포를 방렬 중인 아프간 전사들 (1987년)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취임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대서방 외교를 추진하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부분적 철군 의사를 언급하는 등 대서방 협상을 제의했다.

카불 정권 내부에서도 권력 투쟁이 일어나 카르말이 실각하고 비밀경찰 총책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전권을 장악했다. 나지불라는 이슬람 측을 포함한 범국민적 민족통일 정부 구성을 제의하는 동시에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는 무자헤딘의 공격을 약화시키려는 미봉책에 불과했고, 무자헤딘은 이를 거부하며 소련군의 즉시 완전 철수를 요구하였다.

1988년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의 중재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사이의 간접평화회담이 개최되었고,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이 회담에서 양측이 합의에 이르면 소련군을 철수시킬 것을 약속했다. 1988년 4월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정(제네바 협정 (1988년))이 조인되었다. 1988년 5월 소련군의 철수가 시작되어 1989년 2월 15일 침공 10년 만에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 철수했다.

5. 1. 고르바초프의 등장과 정책 변화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취임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대서방 외교를 추진하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부분적 철군 의사를 언급하는 등 대서방 협상을 제의했다.

카불 정권 내부에서도 권력 투쟁이 일어나 카르말이 실각하고 비밀경찰 총책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전권을 장악했다. 나지불라는 이슬람 측을 포함한 범국민적 민족통일 정부 구성을 제의하는 동시에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는 무자헤딘의 공격을 약화시키려는 미봉책에 불과했고, 무자헤딘은 이를 거부하며 소련군의 즉시 완전 철수를 요구하였다.

1988년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의 중재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사이의 간접평화회담이 개최되었고,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이 회담에서 양측이 합의에 이르면 소련군을 철수시킬 것을 약속했다. 1988년 4월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정이 조인되었다. 1988년 5월 소련군의 철수가 시작되어 1989년 2월 15일 침공 10년 만에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 철수했다.

5. 2. 제네바 협정과 소련군 철수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취임은 아프간 전쟁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49] 고르바초프는 대서방 외교를 추진하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부분적 철군 의사를 언급하는 등 대서방 협상을 제의했다.[49] 카불 정권 내부에서도 권력 투쟁이 일어나 카르말이 실각하고 비밀경찰 총책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전권을 장악했다.[49] 나지불라는 이슬람 측을 포함한 범국민적 민족통일 정부 구성을 제의하는 동시에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하였다.[49] 그러나 무자헤딘은 이를 거부하고 소련군의 즉각적인 완전 철수를 요구하였다.[49]

1983년부터 파키스탄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할 수 있도록 소련과 협력했으며, 이러한 노력은 야쿱 알리 칸과 쿠르시드 카수리가 주도했다.[169] 1984~85년, 야쿱 알리 칸은 중국, 사우디 아라비아, 소련, 프랑스, 미국, 영국을 국빈 방문하여 철수 관련 틀을 마련했다.[169]

1988년 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의 중재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사이의 간접평화회담이 개최되었고,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양측 합의 시 소련군 철수를 약속했다.[49] 1988년 4월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정(제네바 협정 (1988년))이 조인되었다.[49] 오랜 협상 끝에 제네바 협정이 1988년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간에 체결되었다. 이 협정에는 상호 영토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간섭도 자제하고 파키스탄에 있는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의 자발적 귀환을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49] 또한, 두 초강대국은 소련의 철수를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49]

유엔은 이 과정을 감독하기 위해 특별 사절단을 설치했다.[49] 제네바 협정은 미국과 소련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내정 불간섭과 소련의 완전한 철수 일정을 명시했다.[177]

1987년 7월 20일, 소련군의 철수가 발표되었다.[169] 1988년 5월 소련군의 철수가 시작되어, 1989년 2월 15일 침공 10년 만에 소련군은 아프간에서 완전 철수했다.[49][177] 소련 병력의 절반은 1988년 5월 15일부터 8월 16일까지 철수했고, 나머지 절반은 1989년 11월 15일부터 2월 15일까지 철수했다.[183]

|thumb|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는 소련 T-62M 주력 전차]]

|thumb|left|대장 제40군 보리스 그로모프가 소련 병력의 철수를 발표하고 있다]]

소련의 철수 전략의 첫 번째 단계는 무자헤딘과의 전투 부담을 아프가니스탄군으로 이전하여 소련의 지원 없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었다.[170] 이 단계에서 소련군은 포병 지원, 항공 지원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DRA군을 지원하는 데 제한되었지만, 일부 대규모 작전은 여전히 소련군에 의해 수행되었다.[170] 1987년 5월, DRA군은 아르간다브 구역에서 잘 구축된 무자헤딘 진지를 공격했지만, 무자헤딘은 진지를 지켜냈고, 공격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170] 한편, 무자헤딘은 미국, 영국, 사우디 아라비아, 파키스탄 및 기타 무슬림 다수 국가로부터 확대된 외국 군사 지원을 받았다.[171][172][173]

1987년 중반까지 소련은 군대 철수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182] 시브가툴라 모자데디는 모스크바가 지원하는 카불 정권에 맞서 정당성을 재확립하려는 시도로 아프가니스탄 임시 이슬람 국가의 수장으로 선정되었다.[182] 1988년 9월, 소련 MiG-23 전투기는 아프간 영공을 침범한 이란 AH-1J 코브라 헬리콥터 2대를 격추했다.[181] 마기스트랄 작전은 소련이 수행한 마지막 공격 작전 중 하나로, 가르데즈와 호스트 마을 사이의 도로를 청소하는 데 성공했다.[182]

소련 국방부 장관 야조프 장군은 판지시르 계곡에서 대규모 병력을 지휘했던 아흐마드 샤 마수드와의 협정을 위반하고 그의 느슨하고 노출된 병력을 공격하라고 제40군에 명령했다.[184] 제40군 사령관 그로모프 장군은 이 작전에 반대했지만 마지못해 명령에 복종했다.[184] "태풍" 작전은 1월 23일에 시작되어 3일 동안 지속되었다.[184] 소련군은 자국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접 전투를 자제했다.[184] 대신 장거리 포병, 지대지 및 공대지 미사일을 사용했다.[184]

5. 3. 나지불라 정권의 붕괴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취임 이후, 카불 정권 내부의 권력 투쟁으로 모하마드 나지불라가 전권을 장악했다.[283] 나지불라는 이슬람 측을 포함한 범국민적 민족통일 정부 구성을 제의하고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했으나, 무자헤딘은 이를 거부하고 소련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다.[283] 1988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의 중재로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정이 조인되었고, 1989년 2월 15일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히 철수했다.[174]

소련 BTR 장갑차 부대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는 모습


모하마드 나지불라는 1987년 초 "국가 화해"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국가 통합과 전쟁 종식을 목표로 했다.[283] 그는 무자헤딘과의 협상 의사를 표명하고, 다른 정당의 활동을 허용하며, 망명 중인 자히르 샤 국왕의 참여를 시사했다.[283] 1987년 11월에는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켜 대통령제를 수립하고 이슬람을 국교로 선포했다.[283] 1988년에는 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PDPA와 KHAD에 대한 불신과 나지불라의 모스크바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283]

|thumb|1990년, 나지불라는 대부분 PDPA 구성원과 다우드 칸의 아프가니스탄 전국 혁명당 구성원으로 구성된 "와탄당"을 결성했다.

자히르 샤 전 국왕은 여전히 대다수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 인기 있는 인물이었고, 유엔은 그를 전쟁의 정치적 해결에 중요한 인물로 인식했다.[49] 그러나 파키스탄은 무하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과 군부의 지지자들은 카불에 보수적인 이슬람 동맹국을 집권시키려 했기 때문에 전 국왕에게 무자헤딘과의 잠재적 협상을 위한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49]

소련군 철수 이후에도 나지불라 정부는 1992년까지 권력을 유지했다.[192] 소련은 고르바초프나지불라와 협력하여 휴전과 평화 협상을 제안했지만, 조지 H.W. 부시 행정부는 이를 거부했다.[294][295] 소련 철수 직후, 파키스탄 군 정보국(ISI)의 주도로 무자헤딘이 잘랄라바드를 공격했으나, 아프간군은 소련군 없이도 이들을 격퇴했다.[296]

중국이란은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지지했지만, 미국과 파키스탄은 군사적 해결책에 전념했다.[294] 1990년 12월, 미국과 소련은 내전 양측에 대한 무기 공급 중단에 합의하려 했으나, 날짜에 합의하지 못했다.[298] 1991년 3월, 게릴라는 처음으로 코스트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300][301] 그러나 1991년 8월 쿠데타 이후 러시아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석유 제품 판매를 거부하면서 나지불라 정부는 붕괴되었다.[302]

1992년 4월, 나지불라는 사임하고 인도로 망명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카불의 유엔 단지에 피신했다.[192] 이후 권력 투쟁 끝에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하고, 1996년 9월 26일 나지불라를 고문하고 살해했다.[192] 1979년부터 1992년까지 통일된 지휘 체계가 없었던 전 무자헤딘 게릴라는 1992년에 통일 정부를 수립하는 데 실패하면서 내전이 계속되었고, 이는 탈레반 통치로 이어졌다.[303]

2002년 바그램 공군 기지 근처 들판에 녹슨 채 버려진 옛 아프간군 소속 소련 T-55 전차 2대


이후 경위에 대해서는 아프가니스탄 분쟁 (1989년-2001년)을 참조하십시오.

6. 영향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아프가니스탄, 소련, 그리고 국제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 아프가니스탄에 미친 영향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아프가니스탄은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다.[245] 민간인 사망자는 56만 2천 명에서 최대 200만 명[246]으로 추정되며, 500만 명의 난민이 파키스탄이란으로 피난하여 전쟁 전 인구의 1/3이 감소했다.[248] 국내에서도 200만 명이 이주하여 역사상 가장 큰 난민 위기 중 하나가 발생했다.[247] 1980년대에는 전 세계 난민의 절반이 아프간인이었다.[254]

1984년 기준, 목적지별 아프간 난민 추정 수[273]
파키스탄3,200,000
이란1,800,000
인도40,000
유럽15,000
미국 & 캐나다10,000
기타 지역5,000



유엔 특별 보고관 펠릭스 에르마코라는 1985년 첫 9개월 동안 32,75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834채의 주택과 74개 마을이 파괴되었으며, 3,308마리의 동물이 살해되었다고 보고했다.[247] 정치적 살해 분석가 루돌프 럼멜은 소련군이 25만 명, 소련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17만 8천 명의 대량학살을 저질렀다고 추정했다.[249]

전쟁으로 인해 120만 명의 아프간인이 장애를 입었고, 300만 명이 불구 또는 부상을 입었다.[260] 특히 지뢰로 인한 피해가 심각했는데, 전쟁 중 25,000명의 아프간인이 지뢰로 사망했고, 1,000만~1,500만 개의 지뢰가 시골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262]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1994년에 아프가니스탄의 모든 소련 지뢰를 제거하는 데 4,300년이 걸릴 것이라고 추정했다.[263] 지뢰는 어린이들에게 특히 치명적이었으며,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간 인구의 3~4%가 지뢰로 인해 장애를 입었다.[264]



1978년 이전 아프가니스탄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였으나, 장기적인 분쟁으로 인해 더욱 피폐해졌다.[268] 아프가니스탄 제2의 도시 칸다하르는 융단 폭격과 불도저 작전으로 인구가 전쟁 전 20만 명에서 2만 5천 명 이하로 감소했다.[268]

전쟁은 아프가니스탄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소련군과 아프간 정부군은 아프간 문화의 중심인 이슬람을 억압하고 소련식 생활 방식을 강요했으며, 국가를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분열시켰다.[266] 전쟁은 또한 총기, 마약, 테러 문화를 확산시켰고, 전통적인 권력 구조를 무너뜨렸다.[283]

1988년 제네바 협정으로 소련군이 철수했지만,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붕괴되었고, 내전은 계속되었다.[267]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재건에 소극적이었고, 대신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에 국가의 이익을 넘겼다.[269] 파키스탄은 군벌 및 탈레반과 관계를 맺으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전쟁 이후 10년 동안 삼림 벌채, 야생 피스타치오 나무 제거, 아편 재배 등 생태적, 농업적 파괴가 심각했다.[269]

전쟁 중 소련군 군인이었던 타를란 에이바조프 대위는 아프간 아이들의 미래가 전쟁으로 정해졌다고 말했다.[270] 그의 말처럼, 탈레반 운동은 소련군에 의해 집에서 쫓겨난 고아나 난민 아이들로 구성되어 발전했다.[270][265] 1996년 탈레반의 급속한 권력 장악은 소련군 철수 후 아프가니스탄의 법과 질서가 무너진 결과였다.[270][265]

''CIA 월드 팩트 북''에 따르면 2004년 아프가니스탄은 러시아에 80억 달러의 양자 부채를 지고 있었으나, 2007년 러시아는 부채 대부분을 탕감하기로 합의했다.[271][272]

전쟁은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간 권력 균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파슈툰족이 역사적으로 정치적 지배적이었지만, 조직화된 친무자헤딘 또는 친정부 그룹의 다수는 타지크족, 우즈벡족, 하자라족으로 구성되었다.[102]

=== 소련에 미친 영향 ===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끝나지 않는 소모전에 끊임없이 자원을 투입해야 했고, 이는 소련 정부의 큰 부담이 되었다.[240] CIA 추정에 따르면, 소련은 매년 군사비 지출의 약 2.5%를 이 전쟁에 소모했다.[288] 1987년 CIA 보고서에 따르면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180억 루블을 지출했으며, 이는 500억 미국 달러(2019년 기준 1,150억 달러)에 해당한다.[241][242] 1980년부터 1989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군대에 대한 군사 원조는 총 91억 2,400만 루블에 달했다.[243]

1979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2월 15일까지 총 62만 명의 병사가 아프가니스탄 주둔 부대에서 복무했다.[240] 소련군, 국경, 내부 보안 부대의 공식 사망자 수는 총 14,453명이었다.[240] 다른 추산에 따르면 소련군 사망자는 26,000명에 달했다.[9] 파견된 병력 중 53,753명이 부상을 입었고, 415,932명이 질병에 걸렸다.[239] 특히 간염(115,308건), 장티푸스(31,080건) 등 급성 감염병 발병률이 높았다.[239]

물적 손실 또한 상당했다. 451대의 항공기(333대의 헬리콥터 포함), 147대의 전차, 1,314대의 보병전투차/장갑수송차, 433문의 포 및 박격포, 11,369대의 화물 및 연료 유조 트럭이 손실되었다.[240]

1985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에 반대하는 시위


소련군 병사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귀환, 1986년 10월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군 철수 20주년 기념, 벨라루스 우표, 2009


1990년 아프가니스탄 참전 러시아 재향군인들의 모임


우크라이나 콜로미야에 위치한 군인 기념비


이 전쟁은 소련 사회에 베트남 전쟁과 비견될 만큼 큰 충격을 주었으며, '아프간츠'(Afgantsy)라 불리는 참전 용사들의 새로운 시민 단체 형성을 통해 공산당의 정치적 헤게모니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286] 또한 글라스노스트 정책 하에서 언론과 미디어의 변화를 촉발했다.[286]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소련과 소련 붕괴 이후에 오랜 유산을 남겼다.[333] 특히, 소련 전역에 신체적 장애와 광범위한 약물 중독을 가져왔다.[333] 귀국한 전직 병사들은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사회 문제로 발전했다.

아프가니스탄과 기타 국제적으로 사망한 소련 군인들을 기리는 행사가 매년 2월 15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 거행된다.[325] 2009년 12월, 러시아 연방 국가 두마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행사를 가졌다.[326]

===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냉전 시대의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과 테러리즘 증가에 기여했다.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끝나지 않는 소모전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했고, 이는 소련 정부에 큰 부담이 되었다. CIA 추정에 따르면, 소련은 연간 군사비 지출의 약 2.5%를 이 전쟁에 소모했다. 1985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는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전쟁은 파괴 전략은 이 나라를 암흑 시대로 되돌려 보냈고, 생존자들을 급진화하여 탈레반 운동에 합류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소련 철수 후, 오사마 빈 라덴의 알 카에다를 포함한 일부 외국인 지원자들과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및 해외에서 폭력적인 지하드를 계속했다. 아프가니스탄을 떠난 수천 명의 아프가니스탄 아랍인들은 알제리, 이집트, 보스니아, 체첸 등에서 반군 또는 테러리스트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유능한 지도자, 종교적 이데올로그, 군 지휘관이 되었다.[305]

32년 전 침공 당시 소련군이 사용했던 경로인 살랑 협곡을 조사하는 2011년 미군


1982년부터 1992년 사이에 35,000명에 달하는 아프가니스탄인이 아닌 무슬림 전사들이 아프가니스탄으로 갔으며, 수천 명이 더 와서 싸우지는 않았지만 전직 및 미래의 전사들과 함께 학교에 다녔다. 이들은 소련에 대한 지하드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소련이 떠난 후 다른 국가에서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306] 훈련은 계속되었고 약 40개국에서 수만 명이 투쟁을 본국으로 가져오기 위해 무장 봉기를 준비하기 위해 왔다.[306]

무슬림 형제단 성직자 압둘라 아잠은 국제적인 지원을 창출하고, 지하드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가도록 지원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307] 그는 무슬림 세계와 미국을 순회하면서, 무자헤딘이 소련군을 물리치고, 천사들이 전투에 참여하고, 새들이 폭탄을 가로채는 등 기적적인 이야기에 젊은 무슬림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307] 아잠은 지하드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타협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308][309] 아프가니스탄은 시작일 뿐이며, 지하드는 팔레스타인, 부하라, 레바논, 차드,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필리핀, 버마, 남예멘, 타슈켄트, 안달루시아 등 모든 과거의 무슬림 국가가 재정복될 때까지 무슬림에게 개인적인 의무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련 붕괴 직후, 지원자들은 오사마 빈 라덴의 말을 빌려 소련의 붕괴에 대한 공로는 하나님과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돌아가고 미국은 언급할 만한 역할이 없었다고 믿으며 기뻐했다.[310] 그들은 다른 국가에서 지하드를 반복하기를 열망했다.

보스니아에서 살라피 지하디스트 아프간 아랍인들은 보스니아계 세르브인 및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 민병대와 싸웠지만 살라피 국가를 세우는 데 실패했다.[311] 알제리에서 살라피 지하디스트들은 GIA를 이끌고 싸우는 것을 도왔으며, 의도적으로 수천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316] 이집트에서 알-가마 아알-이슬라미야는 1990년부터 1997년 사이에 1,000명 이상을 살해했지만, 정부를 전복하는 데 실패했다.[316]

파키스탄 군인들이 2015년경 북와지리스탄 미랄리에서 정화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파키스탄에는 약 300만 명의 아프간 난민이 있었는데, 그 중 수천 명의 아이들이 미국과 걸프 군주국의 지원을 받아 마드라사 기숙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312] 이 학교들은 히즈브-에-이슬라미 정당 및 파키스탄 데오반디 네트워크의 일부였다.[312] 마드라사 학생들은 데오반디 교리를 실천하도록 교육받았으며, 아프간 학생들이 성인이 되면서, 그들은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 파키스탄의 반 시아파 시파-에-사하바 수니파 테러 단체의 주요 지지 세력을 형성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수천 명의 시아파가 수니파 극단주의자들에게 살해되었다.[315]

=== 한국에 미친 영향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한국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국제 사회의 대소련 압박에 동참하는 등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6. 1. 아프가니스탄에 미친 영향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은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다.[245] 민간인 사망자는 56만 2천 명에서 최대 200만 명[246]으로 추정되며, 500만 명의 난민이 파키스탄과 이란으로 피난하여 전쟁 전 인구의 1/3이 감소했다.[248] 국내에서도 200만 명이 이주하여 역사상 가장 큰 난민 위기 중 하나가 발생했다.[247] 1980년대에는 전 세계 난민의 절반이 아프간인이었다.[254] 1984년 기준, 아프간 난민의 수는 파키스탄에 320만 명, 이란에 180만 명, 인도에 4만 명, 유럽에 1만 5천 명, 미국과 캐나다에 1만 명, 기타 지역에 5천 명으로 추산된다.[273]

1984년 기준, 목적지별 아프간 난민 추정 수[273]
3,200,000
1,800,000
40,000
15,000
& 10,000
Elsewhere5,000



유엔 특별 보고관 펠릭스 에르마코라는 1985년 첫 9개월 동안 32,75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834채의 주택과 74개 마을이 파괴되었으며, 3,308마리의 동물이 살해되었다고 보고했다.[247] 정치적 살해 분석가 루돌프 럼멜은 소련군이 25만 명, 소련 지원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17만 8천 명의 대량학살을 저질렀다고 추정했다.[249]

전쟁으로 인해 120만 명의 아프간인이 장애를 입었고, 300만 명이 불구 또는 부상을 입었다.[260] 특히 지뢰로 인한 피해가 심각했는데, 전쟁 중 25,000명의 아프간인이 지뢰로 사망했고, 1,000만~1,500만 개의 지뢰가 시골 전역에 흩어져 있었다.[262]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1994년에 아프가니스탄의 모든 소련 지뢰를 제거하는 데 4,300년이 걸릴 것이라고 추정했다.[263] 지뢰는 어린이들에게 특히 치명적이었으며,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간 인구의 3~4%가 지뢰로 인해 장애를 입었다.[264]

전쟁 전 아프가니스탄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였으나, 장기적인 분쟁으로 인해 더욱 피폐해졌다.[268] 아프가니스탄 제2의 도시 칸다하르는 융단 폭격과 불도저 작전으로 인구가 전쟁 전 20만 명에서 2만 5천 명 이하로 감소했다.[268]

전쟁은 아프가니스탄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소련군과 아프간 정부군은 아프간 문화의 중심인 이슬람을 억압하고 소련식 생활 방식을 강요했으며, 국가를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분열시켰다.[266] 전쟁은 또한 총기, 마약, 테러 문화를 확산시켰고, 전통적인 권력 구조를 무너뜨렸다.[283]

1988년 제네바 협정으로 소련군이 철수했지만,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붕괴되었고, 내전은 계속되었다.[267]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재건에 소극적이었고, 대신 사우디아라비아와 파키스탄에 국가의 이익을 넘겼다.[269] 파키스탄은 군벌 및 탈레반과 관계를 맺으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전쟁 이후 10년 동안 삼림 벌채, 야생 피스타치오 나무 제거, 아편 재배 등 생태적, 농업적 파괴가 심각했다.[269]

전쟁 중 소련군 군인이었던 타를란 에이바조프 대위는 아프간 아이들의 미래가 전쟁으로 정해졌다고 말했다.[270] 그의 말처럼, 탈레반 운동은 소련군에 의해 집에서 쫓겨난 고아나 난민 아이들로 구성되어 발전했다.[270][265] 1996년 탈레반의 급속한 권력 장악은 소련군 철수 후 아프가니스탄의 법과 질서가 무너진 결과였다.[270][265]

''CIA 월드 팩트 북''에 따르면 2004년 아프가니스탄은 러시아에 80억 달러의 양자 부채를 지고 있었으나, 2007년 러시아는 부채 대부분을 탕감하기로 합의했다.[271][272]

전쟁은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간 권력 균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파슈툰족이 역사적으로 정치적 지배적이었지만, 조직화된 친무자헤딘 또는 친정부 그룹의 다수는 타지크족, 우즈벡족, 하자라족으로 구성되었다.[102]

6. 2. 소련에 미친 영향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끝나지 않는 소모전에 끊임없이 자원을 투입해야 했고, 이는 소련 정부의 큰 부담이 되었다.[240] CIA 추정에 따르면, 소련은 매년 군사비 지출의 약 2.5%를 이 전쟁에 소모했다.[288] 1987년 CIA 보고서에 따르면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180억 루블을 지출했으며, 이는 500억 미국 달러(2019년 기준 1,150억 달러)에 해당한다.[241][242] 1980년부터 1989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군대에 대한 군사 원조는 총 91억 2,400만 루블에 달했다.[243]

1979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2월 15일까지 총 62만 명의 병사가 아프가니스탄 주둔 부대에서 복무했다.[240] 소련군, 국경, 내부 보안 부대의 공식 사망자 수는 총 14,453명이었다.[240] 다른 추산에 따르면 소련군 사망자는 26,000명에 달했다.[9] 파견된 병력 중 53,753명이 부상을 입었고, 415,932명이 질병에 걸렸다.[239] 특히 간염(115,308건), 장티푸스(31,080건) 등 급성 감염병 발병률이 높았다.[239]

물적 손실 또한 상당했다. 451대의 항공기(333대의 헬리콥터 포함), 147대의 전차, 1,314대의 보병전투차/장갑수송차, 433문의 포 및 박격포, 11,369대의 화물 및 연료 유조 트럭이 손실되었다.[240]

이 전쟁은 소련 사회에 베트남 전쟁과 비견될 만큼 큰 충격을 주었으며, '아프간츠'(Afgantsy)라 불리는 참전 용사들의 새로운 시민 단체 형성을 통해 공산당의 정치적 헤게모니를 약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286] 또한 글라스노스트 정책 하에서 언론과 미디어의 변화를 촉발했다.[286]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소련과 소련 붕괴 이후에 오랜 유산을 남겼다.[333] 특히, 소련 전역에 신체적 장애와 광범위한 약물 중독을 가져왔다.[333] 귀국한 전직 병사들은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사회 문제로 발전했다.

아프가니스탄과 기타 국제적으로 사망한 소련 군인들을 기리는 행사가 매년 2월 15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 거행된다.[325] 2009년 12월, 러시아 연방 국가 두마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행사를 가졌다.[326]

6. 3.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냉전 시대의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슬람 극단주의 확산과 테러리즘 증가에 기여했다.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끝나지 않는 소모전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했고, 이는 소련 정부에 큰 부담이 되었다. CIA 추정에 따르면, 소련은 연간 군사비 지출의 약 2.5%를 이 전쟁에 소모했다. 1985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는 아프가니스탄 주둔 소련군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전쟁은 파괴 전략은 이 나라를 암흑 시대로 되돌려 보냈고, 생존자들을 급진화하여 탈레반 운동에 합류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소련 철수 후, 오사마 빈 라덴의 알 카에다를 포함한 일부 외국인 지원자들과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및 해외에서 폭력적인 지하드를 계속했다. 아프가니스탄을 떠난 수천 명의 아프가니스탄 아랍인들은 알제리, 이집트, 보스니아, 체첸 등에서 반군 또는 테러리스트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유능한 지도자, 종교적 이데올로그, 군 지휘관이 되었다.[305]

1982년부터 1992년 사이에 35,000명에 달하는 아프가니스탄인이 아닌 무슬림 전사들이 아프가니스탄으로 갔으며, 수천 명이 더 와서 싸우지는 않았지만 전직 및 미래의 전사들과 함께 학교에 다녔다. 이들은 소련에 대한 지하드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소련이 떠난 후 다른 국가에서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306] 훈련은 계속되었고 약 40개국에서 수만 명이 투쟁을 본국으로 가져오기 위해 무장 봉기를 준비하기 위해 왔다.[306]

무슬림 형제단 성직자 압둘라 아잠은 국제적인 지원을 창출하고, 지하드를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가도록 지원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307] 그는 무슬림 세계와 미국을 순회하면서, 무자헤딘이 소련군을 물리치고, 천사들이 전투에 참여하고, 새들이 폭탄을 가로채는 등 기적적인 이야기에 젊은 무슬림들에게 영감을 불어넣었다.[307] 아잠은 지하드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타협하지 말 것을 강조했다.[308][309] 아프가니스탄은 시작일 뿐이며, 지하드는 팔레스타인, 부하라, 레바논, 차드, 에리트레아, 소말리아, 필리핀, 버마, 남예멘, 타슈켄트, 안달루시아 등 모든 과거의 무슬림 국가가 재정복될 때까지 무슬림에게 개인적인 의무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련 붕괴 직후, 지원자들은 오사마 빈 라덴의 말을 빌려 소련의 붕괴에 대한 공로는 하나님과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에게 돌아가고 미국은 언급할 만한 역할이 없었다고 믿으며 기뻐했다.[310] 그들은 다른 국가에서 지하드를 반복하기를 열망했다.

보스니아에서 살라피 지하디스트 아프간 아랍인들은 보스니아계 세르브인 및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 민병대와 싸웠지만 살라피 국가를 세우는 데 실패했다.[311] 알제리에서 살라피 지하디스트들은 GIA를 이끌고 싸우는 것을 도왔으며, 의도적으로 수천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316] 이집트에서 알-가마 아알-이슬라미야는 1990년부터 1997년 사이에 1,000명 이상을 살해했지만, 정부를 전복하는 데 실패했다.[316]

파키스탄에는 약 300만 명의 아프간 난민이 있었는데, 그 중 수천 명의 아이들이 미국과 걸프 군주국의 지원을 받아 마드라사 기숙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312] 이 학교들은 히즈브-에-이슬라미 정당 및 파키스탄 데오반디 네트워크의 일부였다.[312] 마드라사 학생들은 데오반디 교리를 실천하도록 교육받았으며, 아프간 학생들이 성인이 되면서, 그들은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 파키스탄의 반 시아파 시파-에-사하바 수니파 테러 단체의 주요 지지 세력을 형성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수천 명의 시아파가 수니파 극단주의자들에게 살해되었다.[315]

6. 4. 한국에 미친 영향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한국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국제 사회의 대소련 압박에 동참하는 등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7. 논란

7. 1. 전쟁의 성격 논란

7. 2. 소련의 개입 명분 논란

7. 3. 미국의 역할 논란

오사마 빈 라덴에 대한 CIA 지원 의혹과 2001-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의 무자헤딘 지원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았다. 이는 반작용으로, 1993년 세계 무역 센터 폭탄 테러와 9.11 테러로 미국에 닥쳤다고 한다.[316] 1993년 폭탄 테러 참가자 전원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했거나 아프간 지하드 기금 모금 기관과 연계되어 있었는데, 이 기관은 나중에 "알카에다의 사실상 미국 본부"로 밝혀졌다.[316]

2001년 공격 주모자인 오사마 빈 라덴과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317]는 모두 아프가니스탄에서 싸웠으며, 빈 라덴은 압둘라 아잠의 부하였다. 그의 단체인 알카에다는 수단에서 추방된 후 탈레반과 함께 피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갔다.[316] 9.11 테러 전에 알카에다는 1998년 아프리카에서 두 곳의 미국 대사관을 폭파했으며, 2000년에는 예멘에서 USS ''콜''을 거의 침몰시킬 뻔했다.[316] 그러나 빈 라덴이나 그의 계열사에 대한 미국의 직접적인 지원은 결코 확정되지 않았다.[318]

친 무자헤딘 아프간인들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미국의 지원을 자신들의 대의를 돕는 주요 세력으로 여겼다. 그러나 1989년 소련의 철수 이후, 점점 더 많은 아프간인들이 미국을 고통의 원인으로 비난하기 시작했다. 이는 소련 친화적인 카불 정부에 대항하는 반군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무장 및 자금 지원의 결과로 인용되었다. 1989년과 1990년 동안 수많은 반군 로켓 공격이 군사 목표와는 전혀 관련 없는 지역에 가해져 수십 명의 아프간 민간인이 사망했다.[323] 또한 많은 아프간인들은 미국이 1992년 이후 파키스탄에 국가를 방치한 채 반군에게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탈레반의 부상을 초래했다고 느꼈다고 보고되었다. 카불 주재 미국 대사관과 관련이 있었던 한 아프간 전 포로가 2001년 ''시카고 트리뷴''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프간 사람들은 미국인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침공 당시 모든 사람이 미국이 러시아를 몰아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붕괴되자 그들은 더 이상 관심이 없어 우리를 홀로 남겨두었습니다[324]

7. 3. 1. 미국의 무자헤딘 지원에 대한 비판적 시각

오사마 빈 라덴에 대한 CIA 지원 의혹과 2001-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의 무자헤딘 지원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았다. 이는 반작용으로, 1993년 세계 무역 센터 폭탄 테러와 9.11 테러로 미국에 닥쳤다고 한다.[316] 1993년 폭탄 테러 참가자 전원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했거나 아프간 지하드 기금 모금 기관과 연계되어 있었는데, 이 기관은 나중에 "알카에다의 사실상 미국 본부"로 밝혀졌다.[316]

2001년 공격 주모자인 오사마 빈 라덴과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317]는 모두 아프가니스탄에서 싸웠으며, 빈 라덴은 압둘라 아잠의 부하였다. 그의 단체인 알카에다는 수단에서 추방된 후 탈레반과 함께 피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갔다.[316] 9.11 테러 전에 알카에다는 1998년 아프리카에서 두 곳의 미국 대사관을 폭파했으며, 2000년에는 예멘에서 USS ''콜''을 거의 침몰시킬 뻔했다.[316] 그러나 빈 라덴이나 그의 계열사에 대한 미국의 직접적인 지원은 결코 확정되지 않았다.[318]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미국의 지원이 장기적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정세 불안을 심화시키고,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발호를 도왔다는 비판을 낳게 하였다.

7. 4. 전쟁 범죄 논란

휴먼 라이츠 워치는 소련 붉은 군대와 아프가니스탄 군대가 아프가니스탄에서 민간인과 민간 지역을 고의적으로 공격하고, 포로를 살해 및 고문하는 등 전쟁 범죄와 반인도적 범죄를 저질렀다고 결론 내렸다.[202] 일부 역사학자와 학자들은 소련이 아프간인들을 대상으로 집단 학살을 자행했다고 주장한다.[204] 루이스 듀프리는 아프간인들이 소련군에 의해 실행된 "이동적 집단 학살"의 희생자였다고 언급했다.[105]

소련군은 아프가니스탄 저항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다수의 아프가니스탄 민간인을 살해했다.[204] 1980년대 소련군이 칸다하르에서 대상 습격 후 아프간 무자헤딘을 살해한 사건은 그 예시 중 하나이다.

무자헤딘을 지역 주민으로부터 분리하고 지원을 없애기 위해 소련군은 초토화 전술을 사용했다.[204] 이들은 부비 트랩, 지뢰, 화학 물질을 사용했으며, 전투원과 비전투원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살해했다.[204] 낭가르하르, 가즈니, 라그만, 쿠나르, 자불, 칸다하르, 바다흐샨, 로가르, 팍티아, 팍티카 주 등에서 소련군의 인구 감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203]

소련군은 헬리콥터를 이용해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을 납치하기도 했다.[208][209][210] 1980년 11월, 라그만과 카마 등 여러 지역에서 이러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KHAD 요원들도 카불 시 등에서 젊은 여성들을 납치하여 강간했다.[211] 소련군에게 납치되어 강간당한 여성들은 가족들에게 '수치스러운' 존재로 여겨졌다.[212] 1984년 소련군 탈영병들은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강간 등 잔혹 행위를 보고했다.[213]

소련군에 의해 파괴된 아프가니스탄 마을


소련 공군은 융단 폭격과 무차별 폭격으로 도시와 마을을 파괴하는 초토화 작전을 시행했다. 수백만 개의 지뢰가 아프가니스탄 전역에 매설되었으며, 이 중에는 어린이 장난감으로 위장된 것도 있었다.[105] 건조 기후에서 농업에 필수적인 관개 시설은 전략 폭격과 기관총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고문을 광범위하게 자행했으며, 소련은 이러한 고문을 감독한 혐의를 받는다고 발표했다.[215][216] 또한, 소련 군인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사망자들의 약탈을 자행했으며, 역사적 보물들을 소련으로 반출하기도 했다.[217][218]

8. 평가와 교훈

8. 1. 역사적 의미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 논쟁적인 유산을 남겼다.[319] 무자헤딘 승리의 날은 아프가니스탄에서 4월 28일에 기념하는 연례 공휴일이지만,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는 논란이 있는 행사이다.[320] 일부 아프가니스탄인들은 강대국을 물리치기 위해 무자헤딘이 보여준 투쟁과 희생을 기리지만, 다른 이들은 이 승리를 정치적, 민족적으로 국가를 분열시킨 잔혹한 1990년대 내전의 전주곡으로 본다.[320]

카불에서 무자헤딘 승리의 날을 기념하는 아프가니스탄인 (2007)


많은 아프가니스탄인들은 전쟁에서의 승리를 자긍심의 원천으로 여긴다.[321] 전 무자헤딘 사령관 아타 무하마드 누르는 이 전쟁이 아프가니스탄인뿐만 아니라 모스크바에 의해 억압받던 사람들과 국가에 "자유"를 가져다준 구 소련 블록의 승리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다른 아프가니스탄인들은 그 이후의 내분과 탈레반의 부상이 전쟁에서의 승리를 훼손했다고 본다.[322]

8. 2. 교훈

참조

[1] 논문 The top leader is believed to be Maulvi Mohammad Umar Amir, who was born in the village of Nodeh in Kandhar, and is now settled in Singesar. He was wounded four times in the battles against the Soviets and his right eye was permanently damaged. He took part in the "Jehad" under the late Hizb-e-Islami Khalis Commander Nek Mohammad.
[2] 문서 Krivosheev
[3] 서적 Afghanistan: A Country Study http://www.gl.iit.ed[...]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January 1986
[4] 서적 Putin's War in Syria I. B. Tauris
[5] 웹사이트 Middle East Policy Council | Lessons of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 http://www.mepc.org/[...] Mepc.org 2011-07-28
[6] 웹사이트 Al Qa'ida's American Connection http://www.global-po[...] Global-Politics.co.uk 2011-07-28
[7] 웹사이트 Soviet or the USA the strongest http://translate.goo[...] Translate.google.no 2011-07-28
[8] 웹사이트 Afghanistan hits Soviet milestone – Army News http://www.armytimes[...] Armytimes.com 2012-02-15
[9] 뉴스 Same old mistakes in new Afghan war https://www.theguard[...] 2009-10-18
[10] 뉴스 Hot Sky of Afghanistan: Part IX Aviation and Time
[11] 뉴스 AFGHANS DOWN A PAKISTANI F-16, SAYING FIGHTER JET CROSSED BORDER https://www.nytimes.[...] 2014-10-02
[12] 웹사이트 Air Power in Afghanistan 1979-2001 https://www.thefulda[...] 2019-12-28
[13] 논문 Parallels with the Past – How the Soviets Lost in Afghanistan, How the Americans are Losing
[14] 서적 US–Pakistan relationship: Soviet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shgate Publishing Co. 2005
[15] 웹사이트 "Клятва тридцати девяти". http://www.rsva.ru/b[...] Krasnaya Zvezda 1988-10-29
[16] 웹사이트 "Афганистан: бой у высоты 3234". http://www.rsva.ru/b[...]
[17] 서적 The Making of Terrorism in Pakistan: Historical and Social Roots of Extrem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논문 The Stinger missile and U.S. intervention in Afghanistan http://apps.dtic.mil[...] 2018-04-26
[19] 문서 1 to 3 million deaths divided by 13.5 million people see death estimates in infobox
[20] 웹사이트 7 things you probably didn't know about the Soviet war in Afghanistan https://www.rbth.com[...] 2019-03-03
[21] 웹사이트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www.historyl[...] 2019-03-03
[22] 웹사이트 Afghanistan: Making Human Rights the Agenda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21-04-16
[23] 웹사이트 "Афган": война, о которой не принято говорить | Вне востока и запада https://hromadske.ua[...] 2020-02-11
[24]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Yale University Press 1995
[25] 학위논문 Soviet foreign policy toward Afghanistan 1919–1988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ontana 1988
[26] 서적 Soviet Russia and Tibet: The Debarcle of Secret Diplomacy, 1918-1930s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27] 서적 Moscow's Muslim Challenge: Soviet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0
[28] 웹사이트 Basmachi Revolt https://www.britanni[...] 2021-11-13
[29] 뉴스 Tips for Soviet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2009-02-13
[30] 논문 Assessment of oil and gas resources of northern Afghanistan and their impact on energy security in the country 2020-12-12
[31] 뉴스 Soviets grab Afghan resources, saving their own https://www.csmonito[...] 2021-07-08
[32] 서적 To Run the World: The Kremlin's Cold War Bid for Global Pow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
[33] 웹사이트 The Durand Line: A British Legacy Plaguing Afghan-Pakistani Relations https://www.mei.edu/[...]
[34] 서적 The Middle East in World Politics (Routledge Reviv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5] 서적 The Middle East in World Politics (Routledge Reviv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6] 서적 Afghanistan's Two-Party Communism: Parcham and Khalq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Stanford University
[37]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 CLIO 2014-04-17
[38]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Yale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Wars of Afghanistan:Messianic Terrorism, Tribal Conflict, and the Failures of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2013
[40] 서적 A Brief History of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7
[41] 서적 Humanitarian Cris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1959–2013 https://books.google[...] Bentham Science Publishers 2014-03-12
[42] 간행물 Pakistan's Support of Afghan Islamists, 1975–79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7-02-04
[43] 서적 Afghanistan: The Soviet Invasion i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1985 1985-06
[44] 서적 Dynamics of Political Development in Afghanistan: The British, Russian, and American Invas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0-18
[45] 웹사이트 Remembering our Warriors: Major-General Baber and Bhutto's Operation Cyclone. http://www.defencejo[...] Pakistan Defence Journal
[46] 논문 Afghanistan
[47] 서적 Faith, Unity, Discipline: The Inter-Service-Intelligence (ISI)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1-15
[48] 서적 Afghanistan: A Cultural and Political History (Princeton Studies in Muslim Politic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49] 웹사이트 Afghanistan: Lessons from the Last War https://nsarchive2.g[...]
[50] 서적 Afghanistan and the Soviet Union Duke Press Policy Studies
[51] 논문 The Soviet Penetration into Afghanistan and the Marxist Coup
[52] 서적 Détente and Confronta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53] 서적 From the Shadows: The Ultimate Insider's Story of Five Presidents and How They Won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07
[54] 서적 The Widening Circle of Genocide: Genocide – A Critical Bibliographic Review Volume 3 Routledge
[55] 웹사이트 From Communism to Nationalism? The Trajectory of "Post-Communist" Ideology in Afghanistan https://www.psa.ac.u[...] 2021-11-12
[56] 간행물 The April 1978 Coup d'état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Afghanista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7-02-04
[57] 뉴스 Kabul's prison of death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2-27
[58] 서적 Islam and Resistance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9] 웹사이트 The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the Fall of Detente: A Chronology https://nsarchive2.g[...] 2021-11-12
[60] 웹사이트 Afghanistan Marxist Coup 1978 https://www.onwar.co[...] Onwar.com 2011-07-28
[61] 서적 The Soviet Afghan-War: How a Superpower Fought and Lo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62] 서적 The Cold War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Fourth Estate
[63] 웹사이트 Afghanistan: Lessons from the Last War https://nsarchive2.g[...]
[64] 서적 Afghanistan: Political Frailty and External Interference Taylor & Francis
[65] 서적 Lenin's Brain and Other Tales from the Secret Soviet Archives Hoover Press
[66] 서적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I.B.Tauris
[67] 웹사이트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68] 뉴스 The Afghan President (To Be) Who Lived A Secret Life In A Czechoslovak Forest https://www.rferl.or[...] 2019-12-09
[69] 간행물 A bitter harvest: Soviet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its effects on Afghan political movements https://web.archive.[...] 2007-02-04
[70] 웹사이트 U.S. Library of Congress – "The April 1912 Coup d'etat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Afghanistan"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1-07-28
[7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aliba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72] 서적 Afghanistan: A Military History from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09
[73] 서적 Keesing's Record of World Events https://web.stanford[...] Keesing's Worldwide, LLC 1979-10
[74]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State Formation and Collaps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
[75]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05
[76] 웹사이트 The Assassination of Ambassador Spike Dubs — Kabul, 1979 https://adst.org/201[...]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 Training 2013-01
[77] 서적 Revolution Unending. Afghanistan: 1979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Hurst & Company 2005
[78] 서적 What We Won: America's Secret War in Afghanistan, 1979–1989 Brookings Institution
[79] 서적 From the Shadows: The Ultimate Insider's Story of Five Presidents and How They Won the Cold War Simon & Schuster
[80] 웹사이트 The Strategic Mind of Zbigniew Brzezinski: How a Native Pole Used Afghanistan to Protect His Homeland http://digitalcommon[...] 2012-05
[81] 간행물 The Myth of the "Afghan Trap": Zbigniew Brzezinski and Afghanistan, 1978–1979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4
[82] 서적 Out of Afghanistan: the Inside Story of the Soviet Withdrawal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The Cold War – A History Stoddart
[84] 서적 Becoming Enemies: U.S.-Iran Relations and the Iran-Iraq War, 1979-1988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85] 서적 In the Graveyard of Empires: America's War in Afghanistan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86] 문서
[87] 웹사이트 Генерал-майор Василий Заплатин __ ДО ШТУРМА ДВОРЦА АМИНА http://zavtra.ru/cgi[...] 2000-10-21
[88] 서적 Unholy Wars Pluto Press
[89] 웹사이트 Documents on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e-Dossier No. 4. https://www.wilsonc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01-11
[90] 서적 A Failed Empire: The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from Stalin to Gorbachev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9
[91] 웹사이트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1979: Not Trump's Terrorists, Nor Zbig's Warm Water Ports Narional Security Archive 2019-01-29
[92]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https://apps.dtic.mi[...] National Defense University 1986
[93] 서적 Afgantsy: The Russians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94] 서적 The Great Gamble: The Soviet War in Afghanistan https://www.amazon.c[...] HarperCollins e-books 2009-01-06
[95] 서적 Détente and Confronta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96] 서적 Afghanistan's Two-Party Communism: Parcham and Khalq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97] 웹사이트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in 1979: Failure of Intelligence or of the Policy Process? http://www12.georget[...]
[98] 문서
[99] 서적 The Great War for Civilisation: the Conquest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Alfred Knopf
[100] 서적 Elite Forces of India and Pakistan http://archive.org/d[...] 1992
[101] 웹사이트 THE AFGHAN ARMY: THE SOVIET MILITARY'S POOR STUDENT https://www.cia.gov/[...] 2024-05-04
[102] 간행물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Government of Afghanistan Under Professor Burhanuddin Rabbani (Afghanistan from Geneva Accords to the rise of Taliban (1988–96)) http://prr.hec.gov.p[...] University of Peshawar 2007-12
[103] 웹사이트 Carter withdraws SALT II accord, Jan. 2, 1980 http://politi.co/2qe[...] 2018-01
[104] 뉴스 U.S. Ambassador to Moscow Recalled https://www.washingt[...] 1980-01-03
[105] 서적 Putin's War in Syria I. B. Tauris
[106] 서적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07] 뉴스 U.N. General Assembly Votes to Protest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news.google.[...] 1980-01-15
[108] 간행물 India-Afghanistan Relations: What Choices does India have in the Emerging Context? https://www.rgics.or[...] 2021-07
[109] 뉴스 Moslems Condemn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post-gazette[...] 1980-01-29
[110] 웹사이트 The Soviet Grain Embargo https://www.policyar[...] The Heritage Foundation - "Backgrounder" 1981-01-12
[111] 웹사이트 The Olympic Boycott, 1980 http://history.state[...] U.S. Department of State 2015-12-07
[112] 웹사이트 Address to the Nation on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s://www.presiden[...]
[113] 웹사이트 Afghanistan: Soviet Invasion and U.S. Response Issue Brief Number IB80006 https://www.everycrs[...] Library of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980-01-10
[114] 서적 Putin's War in Syria I. B. Tauris
[115] 서적 Détente and Confrontation: American-Soviet Relations from Nixon to Reaga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4
[116] 서적 Out of Afghanistan: The Inside Story of the Soviet Withdraw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17] 문서 Unholy Alliances Lester Publishing 1992
[118] 서적 Ghost Wars. The Secret History of the CIA, Afghanistan, and bin Laden, from the Soviet Invasion to September 10, 2001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05
[119]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Iran Contra Affairs http://www.brown.edu[...] 2014-06-04
[120] 서적 From Prague to Kabul: The Soviet Style of Invasion
[121] 서적 Soviet Military Intervention in Afghanistan: Roots & Causes
[122] 웹사이트 Расходы на оборону и численность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СССР https://su90.ru/defe[...]
[123] 간행물 Oil Fueled?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2013-01-01
[124] 서적 Islam and resistance in Afghanist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문서 The Soviet-Afghan War
[126] 웹사이트 The Soviet-Afghan war: a superpower mired in the mountains http://leav-www.army[...]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Publications 2004-03
[127] 웹사이트 3rd Hoot uprising; a millstone in Afghanistan's freedom-fighting history against invaders http://thekabultimes[...] 2015-02-21
[128] 서적 Afghanistan: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 1995
[129] 웹사이트 KGB Active Measures in Southwest Asia in 1980-82 https://digitalarchi[...]
[130] 문서 The Russian Elite
[131] 문서 The Great Gamble
[132] 문서 The Soviet-Afghan War
[133] 서적 Afghanistan, the bear trap: the defeat of a superpower Casemate
[134] 서적 Islam and resistance in Afghanistan
[135] 서적 Afghanistan: The Great Game Revisited Freedom House
[136] 웹사이트 Report from Afghanistan http://www.paulbogda[...]
[137] 잡지 Coups and Killings in Kabul https://www.cia.gov/[...] 1982-11-22
[138] 서적 War in Afghanistan St. Martin's Press
[139] 서적 Afghanistan: The Soviet War St. Martin's Press
[140] 서적 Afghanistan: The Soviet War St. Martin's Press
[141] 서적 Afghanistan at War: From the 18th-Century Durrani Dynasty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7-02-16
[142] PDF https://www.rand.org[...] 2024-08
[143] 서적 How we missed the story http://archive.org/d[...] US Inst Peace Pr 2008
[144] 서적 Afghanistan: a country study https://catalog.hath[...] The Studies : For sale by the Supt. of Docs., U.S. G.P.O. 1986
[145] 간행물 The Soviet–Afghan War: A Superpower Mired in the Mountains 2004-03-01
[146] 웹사이트 Afghanistan: The Soviet Union's Vietnam https://www.aljazeer[...]
[147] 웹사이트 1986–1992: CIA and British Recruit and Train Militants Worldwide to Help Fight Afghan War http://www.historyco[...] History Commons 2007-01-09
[148] 간행물 The Rise of Deobandi Islam in the North-West Frontier Province and Its Implications in Colonial India and Pakistan 1914–1996
[149] 웹사이트 Did the U.S. "Create" Osama bin Laden?(2005-01-14) http://usinfo.state.[...] US Department of State 2007-03-28
[150] 뉴스 Terror 'blowback' burns CIA (November 1, 1998) https://www.independ[...] 1998-11-01
[151] 뉴스 Western Fighters Answer Mideast Extremists' Clarion Call https://www.npr.org/[...] 2014-10-05
[152] 문서 Taliban: Militant Islam, Oil and Fundamentalism in Central Asia
[153] 문서 Looming Tower: Al Qaeda and the Road to 9/11
[154] 문서 interview with Arab Afghan fighter Abullah Anas and Afghan CIA station chief Milt Berden
[155] 문서 Histoire de la Guerre d'Afghanistan
[156] 웹사이트 Six Days That Shook Kabul: The '3 Hut uprising', first urban protest against the Soviet occupation https://www.afghanis[...] 2015-02-22
[157] 웹사이트 The Path to Victory and Chaos: 1979–92 –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http://lcweb2.loc.go[...]
[158] 문서 The siege was ended only in November 1987 through the conduct of Operation Magistal'
[159] 간행물 The Limits of Soviet Airpower: The Failure of Military Coercion in Afghanistan, 1979–89 https://journals.lib[...] 2015-10-03
[160] 문서 Night Letters Inside Wartime Afghanistan
[161] 문서 Holy War, Inc.
[162] 간행물 Dan Rather: more Soviet killing looms in Afghanistan https://www.csmonito[...] 2019-03-03
[163] 뉴스 Gunga Dan https://www.washingt[...] 1980-04-07
[164] 뉴스 Cameraman, CBS Deny Afghanistan Scenes Were Faked https://www.latimes.[...] 2019-03-03
[165] 뉴스 The Soviet War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www.theatlan[...] 2015-10-03
[166] 뉴스 Mines Put Afghans in Peril on Return https://www.nytimes.[...] 2015-07-15
[167] 서적 Condensing the Cold War: Reader's Digest and American Ident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68] 뉴스 Radical writer Alexander Cockburn dead at 71 http://www.aljazeera[...] 2012-07-23
[169]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State Formation and Collaps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2
[170] 문서 War in Afghanistan
[171] 웹사이트 "Winning the Endgame in Afghanistan," by James A. Phillips, Heritage Foundation Backgrounder No. 181, May 18, 1992 http://www.heritage.[...] Heritage.org 2012-02-15
[172] 웹사이트 Charlie Wilson's War Was Really America's War http://michaeljohnso[...] Michaeljohnsonfreedomandprosperity.blogspot.com 2011-07-28
[173] 웹사이트 "Think tank fosters bloodshed, terrorism," ''The Daily Cougar'', August 25, 2008 http://thedailycouga[...] thedailycougar.com 2008-08-22
[174] 서적 Afghanistan: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175] 뉴스 Afghan Interim Rule: Rocky Road https://www.csmonito[...] 2023-09-02
[176] PDF https://www.cia.gov/[...] 2024-08
[177] 뉴스 Last Soviet Troops Leave Afghanistan intervention ends 1989-02-16
[178] 서적 War in Afghanistan St. Martin's Press
[179] 웹사이트 Afghanistan War | History, Combatants, Facts, & Timeline https://www.britanni[...] 2023-06-07
[180] 웹사이트 Afghan War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5-24
[181] 간행물 The Aviation History 2012
[182] 문서 War in a Distant Country
[183] 문서 War in Afghanistan
[184] 웹사이트 Breaking contact without leaving chaos: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 http://fmso.leavenwo[...]
[185] 웹사이트 The Army of Afghanistan https://www.hurstpub[...] 2024-04-11
[186] 웹사이트 "Пожарная команда" Кабула https://warspot.ru/2[...] 2024-04-11
[187] 웹사이트 A Tale of Two Afghan Armies https://smallwarsjou[...] 2024-04-11
[188] 웹사이트 What happened in the battle of Jalalabad? https://www.rebellio[...] 2024-04-11
[189] 문서
[190] 서적 The Soviet–Afghan War 1979–89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2
[191] 서적 The Bear Went Over the Mountain: Soviet Combat Tactics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6
[192] 뉴스 Explained: As Ashraf Ghani escapes, remembering Mohammed Najibullah, who couldn't https://indianexpres[...] The Indian Express 2021-08-24
[193] 웹사이트 Pakistan's F-16s Battled Soviet Jets – and Shot Down the Future Vice President of Russia https://nationalinte[...] 2019-12-20
[194] 뉴스 "Launching the Missile That Made History," by Michael M. Phillips, Wall Street Journal, October 1, 2011 https://www.wsj.com/[...] wsj.com 2011-10-01
[195] 웹사이트 "Stop Panicking About the Stingers," by Matthew Schroeder, Foreign Policy, July 28, 2010 https://foreignpolic[...] foreignpolicy.com 2012-02-15
[196] 서적 Imagining Afghanistan: The History and Politics of Imperi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97] 서적 Die Grenzen des Militärischen https://books.google[...] Hartmann, Miles-Verl
[198] 학술지 The Stinger missile and U.S. intervention in Afghanistan http://apps.dtic.mil[...] 2018-04-26
[199] 학술지 Stinging Rebukes https://www.foreigna[...] 2015-07-16
[200] 학술지 Afghan Ghosts: American Myths http://www.worldaffa[...] 2015-07-16
[201] 서적 Afgantsy: The Russians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02] 학술지 Blood-Stained Hands: Past Atrocities in Kabul and Afghanistan's Legacy of Impunity https://www.hrw.org/[...] 2020-04-11
[203] 웹사이트 Genocide and the Soviet Occupation of Afghanistan http://www.paulbogda[...] 2017-01-07
[204] 문서 Kakar 1997
[205] 학술지 The Continuing Soviet War in Afghanistan
[206] 학술지 Discriminating Genocide from War Crimes: Vietnam and Afghanistan Reexamined https://digitalcommo[...] 1993-01
[207] 학술지 Discriminating Genocide from War Crimes: Vietnam and Afghanistan Reexamined https://digitalcommo[...] 1993-01
[208] 웹사이트 Memories of fighting in Afghanistan | BBC World Service https://www.bbc.co.u[...]
[209] 웹사이트 This Time It Will Be Different | Christs College Cambridge https://www.christs.[...] Christs.cam.ac.uk 2018-01-19
[210] 학술지 Afghan guerrillas' fierce resistance stalemates Soviets and puppet regime https://www.csmonito[...] 2019-03-03
[211] 문서 Kakar 1997
[212] 서적 The War Chronicles: From Flintlocks to Machine Guns Fair Winds
[213] 뉴스 4 Soviet Deserters Tell of Cruel Afghanistan War https://www.nytimes.[...] 1984-08-03
[214] 간행물 Chemical Warfare in Afghanistan: An Independent Assessment 1982-01-01
[215] 뉴스 Soviets Accused of Supervising Afghan Torture https://www.latimes.[...] 1986-11-19
[216] 뉴스 Amnesty Says Soviets Directed Torture in Afghanistan https://apnews.com/a[...] 1986-11-19
[217] 뉴스 Soviet Looting Charged In Afghan Disaster https://www.nytimes.[...] 1982-11-17
[218] 웹사이트 Soviets Looted Afghan Treasures https://www.wsj.com/[...] 2001-03-08
[219] 간행물 The Rise of Muslim Foreign Fighters: Islam and the Globalization of Jihad 2011
[22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r. Zbigniew Brzezinski-(13/6/97). http://www.gwu.edu/~[...] 2014-10-02
[221] 뉴스 Charlie Wilson: Congressman whose support for the mujahideen helped force the Soviet Union out of Afghanistan https://www.independ[...] 2010-02-13
[222] 웹사이트 Saudi Arabia and the Future of Afghanistan http://www.cfr.org/a[...] 2014-10-02
[223] 웹사이트 Eight "Hot Wars" During the Cold War https://world101.cf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3-10-02
[224] 웹사이트 "Reagan Doctrine, 1985," United States State Department https://2001-2009.st[...] State.gov 2011-02-20
[225] 뉴스 Timeline: Soviet war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2009-02-17
[226]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https://books.google[...] M.E. Sharpe
[227] Youtube Milton Bearden https://www.pbs.org/[...]
[228] 서적 Al-Qaeda: Casting a Shadow of Terror I.B. Tauris
[229] 웹사이트 The war against the Soviets in Afghanistan was run by Zia, not by us https://foreignpolic[...] THE SLATE GROUP 2020-03-25
[230] 웹사이트 How Pakistan's President Zia collaborated with Israel's Mossad to defeat Soviet forces in Afghanistan https://www.wionews.[...] 2020-12-30
[231] 웹사이트 How Israel-Pakistan Relations Could Be Established By The End Of 2020? https://eurasiantime[...] 2021-02-07
[232] 문서 Islamists, Leftists – and a Void in the Center. Afghanistan's Political Parties and where they come from (1902–2006) http://www.kas.de/wf[...]
[233] 서적 Persian Dreams: Moscow and Tehran Since the Fall of the Shah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09
[234] 간행물 The Limits of Soviet Airpower: The Failure of Military Coercion in Afghanistan, 1979–89 https://journals.lib[...] 2015-10-03
[235] 웹사이트 Pakistan's F-16s Battled Soviet Jets – and Shot Down the Future Vice President of Russia https://nationalinte[...] 2019-12-20
[236] 웹사이트 RAND_MG1078 https://www.rand.org[...] 2011
[237] 웹사이트 Afghanistan – Security Services in Communist Afghanistan (1978–1992). AGSA, KAM, KhAD and WAD https://www.refworld[...] 2024-03-29
[238] 뉴스 Soviets said to launch attacks in Afghanistan may have entered Iran https://www.washingt[...]
[239] 서적 Combat Losses and Casualties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hill Books
[240] 문서 The Soviet-Afghan War: Breaking the Hammer & Sickle https://web.archive.[...]
[241] 문서 The Costs of Soviet Involvement in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42] 웹사이트 CPI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bls.gov/[...]
[243] 문서 Economic Development in Afghanistan During the Soviet Period, 1979–1989: Lessons Learned from the Soviet Experience in Afghanistan. https://apps.dtic.mi[...]
[244] 문서 Minkov and Smolynec
[245] 서적 Victorious Insurgencies: Four Rebellions that Shaped Our World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46] 뉴스 7 Lessons Russian Strategists Learned From Soviet Intervention in Afghanistan https://www.themosco[...] 2020-01-10
[247] 간행물 Report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Afghanistan / prepared by the Special Rapporteur, Felix Ermacora, in accordance with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1985/38 https://digitallibra[...]
[248]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Afghanistan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22-02-20
[249] 웹사이트 20th Century Democide http://www.hawaii.ed[...] Rudolph Rummel
[250] 뉴스 AP 1980-03-04
[251] 뉴스 AP 1985-03-27
[252] 뉴스 AP 1985-02-26
[253] 논문 Afghanistan: Demographic Consequences of War: 1978–1987 http://www.nonel.pu.[...]
[254] 논문 Afghanistan: Decimation of a People
[255] 논문 Crime and War in Afghanistan: Part I: The Hobbesian Solution http://johnbraithwai[...]
[256]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an Assessment of the Population in Afghanistan
[257] 웹사이트 Afghanistan: Human Cost of Armed Conflict since the Soviet Invasion http://sam.gov.tr/wp[...] 2017-01-05
[258] 뉴스 A Nation Is Dying, Afghanistan Under the Soviets 1979–1987 https://www.latimes.[...] 2021-07-15
[259] 서적 Afghanistan: Agony of a Nation. Bodley Head
[260] 서적 US–Pakistan Relationship: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Ashgate Publishing Co.
[261] 서적 Landmines: Legacy of Conflict: A Manual for Development Worker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Company
[262] 뉴스 Mines Put Afghans in Peril on Return https://www.nytimes.[...] 1988-08-14
[263] 뉴스 Reversing the gun sights: transnational civil society targets land mines http://www.accessmyl[...] 1998-06-22
[264] 웹사이트 Gorbachev, the Iraqi War & Afghan Atrocities http://www.realnews2[...] Realnews247.com 2011-07-28
[265] 논문 Children of war: The real casualties of the Afghan conflict
[266] 서적 Afghanistan and the Soviet Union: Collision and Transformation Westview Press
[267] 서적 Reconstructing War-Torn Societies: Afghanistan Palgrave Macmillan
[268] 서적 Reconstructing War-Torn Societies: Afghanistan Palgrave Macmillan
[269] 웹사이트 Collateral damage and the uncertainty of Afghanistan... http://www.opticalre[...] 2009-08-17
[270] 뉴스 War has ruined Afghan environment http://news.bbc.co.u[...] 2007-11-27
[271] 웹사이트 USSR aid to Afghanistan worth $8 billion https://www.cia.gov/[...] CIA 2012-02-15
[272] 웹사이트 Russia Cancels Afghanistan's Debt https://archive.toda[...] Press-Release 08.08.07 – wayback.archive.org
[273] 서적 The Afghanistan Wars https://books.google[...] Red Globe Press 2021
[274] 뉴스 Pakistan Restricts Afghan Refugees https://www.nytimes.[...] 1988-11-16
[275] 웹사이트 Visa extension to foreigners banned http://nation.com.pk[...] 2012-02-14
[276] 웹사이트 World Refugee Survey 2009: Iran http://www.refugees.[...] 2009
[277] 웹사이트 Pakistan: UN cautions on Afghan refugee camp closures http://www.irinnews.[...] 2015-05-01
[278] 웹사이트 No more visa extensions for foreigners in Pakistan http://www.pakistant[...] 2015-05-01
[279] 웹사이트 Afghan refugee teaches Hindi to tots in India http://www.unhcr.org[...] UNHCR 2012-02-15
[280] 뉴스 Escape from War http://timesofindia.[...]
[281] 웹사이트 Afghan refugees in India become Indian, at last http://www.unhcr.org[...] UNHCR 2012-02-15
[282] 웹사이트 A Thomson Reuters Foundation Service http://www.alertnet.[...] AlertNet 2012-02-15
[283] 웹사이트 Afghanistan: The Soviet Invasion and the Afghan Response, 1979–1982 https://publishing.c[...] 1995
[284] 웹사이트 The Weaponization of Afghanistan and the Effects of Small Arms and Light Weapons on Conflict Dynamics http://prr.hec.gov.p[...]
[285] 웹사이트 The Soviet Failure in Afghanistan | Marine Corps Association https://web.archive.[...] Mca-marines.org 2014-07-25
[286] 논문 The Afghanistan war and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http://faculty.washi[...] 2015-07-15
[287] 서적 Afgantsy: The Russians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88] 서적 What We Won: America's Secret War in Afghanistan, 1979–1989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4
[289] 서적 Before and After the Fall: World Politics and the End of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90] 서적 A Long Goodbye: The Soviet Withdrawal from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291] 서적 End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92] 서적 Armageddon Averted: The Soviet Collapse, 1970–2000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93] 서적 Collapse: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Yale University Press 2021
[294] 뉴스 After Jalalabad's Defense, Kabul Grows Confident https://www.nytimes.[...] 1989-04-30
[295] 서적 Rebuilding Afghanistan in Times of Crisis: A Global Respon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296] 웹사이트 Explained: Why a top Afghan official visited the grave of ex-President Najibullah https://indianexpres[...] 2020-05-30
[297] 논문 Tough Battle Takes Toll on Afghans. Jalalabad: Key to Broader Victory? https://www.csmonito[...] 1989-03-15
[298] 논문 Afghanistan in 1991: A Glimmer of Hope
[299] 웹사이트 Even Guerrillas Surprised when Khost Fell with Graphic https://apnews.com/a[...]
[300] 웹사이트 Mujahideen claim the fall of Khost https://www.upi.com/[...]
[30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11-10
[302] 뉴스 IN AFGHANISTAN, Peace Must Wait https://www.nytimes.[...] 1991-12-29
[303] 간행물 Life under Taliban cuts two ways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1-09-20
[304] 서적 Afghanistan Business Intelligence Report https://books.google[...] Int'l Business Publications 2000-05
[305] 웹사이트 Jihad After Iraq: Lessons from the Arab Afghans Phenomenon https://web.archive.[...] Combating Terrorism Center 2008-03-15
[306] 뉴스 Blowback From the Afghan Battlefieldl https://www.nytimes.[...] 1994-03-13
[307] 문서 examples can be found in "The Signs of ar-Rahmaan in the Jihad of the Afghan," www.Islamicawakening.com/viewarticle.php?articleID=877& accessed 2006, and Abdullah Yusuf Azzam, "Abul-Mundhir ash-Shareef," www.islamicawakening.com/viewarticle.php?articleID=30& accessed 2006
[308] 서적 Through Our Enemies' Eyes: Osama Bin Laden, Radical Islam, and the Future of America https://archive.org/[...] Potomac Books 2002
[309] 논문 "Jihad and the Rifle Alone": 'Abdullah 'Azzam and the Islamist Revolution https://journals.lib[...] 2015-07-07
[310] 문서 Messages to the World 2006
[311] 웹사이트 Arab Veterans of Afghanistan War Lead New Islamic Holy War https://fas.org/irp/[...] Compass 1994-10-28
[312] 서적 The Taliban and the Crisis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313] 서적 The Taliban and the Crisis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314] 서적 The Taliban and the Crisis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315] 웹사이트 Pakistan: Rampant Killings of Shia by Extremist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4-06-30
[316] 논문 Blowback Revisited https://www.foreigna[...] 2005-11
[317] 뉴스 Guantanamo Docket: Khalid Shaikh Mohammed http://projects.nyti[...] 2008-11-03
[318] 서적 The Osama bin Laden I Know: An Oral History of al Qaeda's Leader Simon & Schuster
[319] 간행물 Making sense of Mujahidin Victory Day celebrations in Afghanistan https://www.globalvi[...] Global Village Space 2018-05-02
[320] 간행물 "It's Victory Day, but who's winning?" https://www.pri.org/[...] PRI.org 2011-04-28
[321] 간행물 A war of perception: the struggle for legitimacy, influence and power through media in post-2001 Afghanistan https://www.tandfonl[...]
[322] 간행물 "'The victory was so strong': Afghans celebrate Soviet pullou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9-02-15
[323] 간행물 Afghans: Now They Blame America https://www.nytimes.[...] 1990-02-04
[324] 간행물 Stirring at U.S. Embassy raises hopes of Afghans https://www.chicagot[...] 2001-12-05
[325] 간행물 The return of the 'Afgantsy' https://www.politico[...] 2015-09-28
[326] 뉴스 Russian parliament hails Afghan war vets http://newsok.com/ar[...] 2017-03-01
[327] 웹사이트 Afghanistan: le Parlement russe rend hommage aux anciens combattants http://tempsreel.nou[...]
[328] 웹사이트 Russian parliament hails Afghan war vets http://www.khaleejti[...] 2011-07-28
[329] 간행물 Defying history, Moscow moves to defend Soviet war in Afghanistan https://www.washingt[...] 2018-12-04
[330] 뉴스 "Понад 3 тисячі українських військових загинули в Афганістані – Полторак" https://www.ukrinfor[...] Укрінформ 2019-12-29
[331] 간행물 Millionlar nolasi: Afg'on urushi qanday boshlanib qanday tugagan? https://kun.uz/uz/ne[...]
[332] 간행물 Afg'on urushi va unda jon berganlarni eslaysizmi? https://www.amerikao[...] Voice of America 2016-02-17
[333] 간행물 Afghanistan Veterans in Belarus: Soldiers of Forgotten War https://belarusdiges[...] 2020-12-22
[334] 웹사이트 "В Кишиневе почтили память молдавских военных, погибших в Афганистане" https://newsmaker.md[...] 2020-02-15
[335] 웹사이트 "В Кишиневе отметили 32-летие вывода советских войск из Афганистана" https://www.afgan.md[...] 2021-02-17
[336]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союзе" https://www.afgan.md[...] 2021-02-17
[337] 웹사이트 Președintele Maia Sandu a participat la manifestările consacrate Zilei comemorării celor căzuți în războiul din Afganistan http://president.md/[...] 2021-02-15
[338]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紛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6-07
[339] 웹사이트 (3)アフガニスタン問題 https://www.mofa.go.[...] 外務省 2023-06-07
[340] 웹사이트 ソ連アフガニスタン侵攻 https://www.arabnews[...] アラブニュース 2023-06-07
[341] 웹사이트 ソ連のアフガニスタン侵攻 https://www.y-histor[...] 世界史の窓 2023-06-07
[342] 문서 "The Soviets' Vietnam" Washington Post 1988-04-22
[343] 문서 Afghanistan was Soviets' Vietnam Boca Raton News 1988-04-24
[344] 뉴스 How Soviet troops stormed Kabul pala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2-27
[345] 뉴스 チャーリー・ウィルソン米元議員が死去、ソ連アフガン侵攻でCIAに協力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0-02-11
[346] 문서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M.E. Sharpe 2004-01-01
[347] 뉴스 SADAT SAYS U.S. BUYS SOVIET ARMS IN EGYPT FOR AFGHAN REBELS https://www.nytimes.[...] 2019-07-12
[348] 뉴스 Egypt Says It Trains Afghan Rebels https://www.washingt[...] 2019-07-12
[349] 웹사이트 India Supports Soviets' Afghan Position in U.N. Debate https://www.washingt[...] 2019-05-18
[350] 문서 アフガニスタン革命と土地改革法 https://doi.org/10.1[...]
[351] 서적 아프가니스탄 혁명과 토지개혁법
[352] 간행물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와 투쟁의 전통 / 증전굉일 일본공산당중앙위원회 1980-06-01
[353] 뉴스 아프가니스탄 위기의 구도 세계 1980-03
[354] 간행물 〈아프가니스탄〉민주공화국 정부의 혁명적 임무의 기본노선 일본공산당중앙위원회 1978-09-10
[355] 서적 아프가니스탄 혁명과 토지개혁법
[356] 뉴스 소연전략의 오산 세계 1980-03
[357] 서적 아프가니스탄 혁명과 토지개혁법
[358] 뉴스 아프가니스탄 위기의 구도
[359] 뉴스 소연전략의 오산
[360] 간행물 아프가니스탄 문제의 진상과 자주독립의 입장 / 緒方 靖夫 일본공산당중앙위원회 1980-06-01
[361] 문서
[362] 문서
[363] 문서
[364] 문서
[365] 문서
[366] 뉴스 Afghan President is Ousted and Executed in Kabul Coup, Reportedly with Soviet Help http://partners.nyti[...]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1979-12-28
[367] 서적 알기 쉬운 아프가니스탄 전쟁
[368]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2019-05-17
[369] 문서 Afghan Ghosts: American Myths 2010-01-01
[370] 인터뷰 Interview with Dr. Zbigniew Brzezinski 1997-06-13
[371] 서적 Charlie Wilson's War: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Largest Covert Operation in History Atlantic Monthly Press
[372] 서적 아프간 침공에의 국제적 반발 : 소련의 아시아 정책 https://ir.ide.go.jp[...] 아시아경제연구소 2024-04-08
[373] 웹사이트 아프간에서 행방불명의 구소련 병사, 33년 만에 생존 확인 https://www.cnn.co.j[...] CNN 2018-10-08
[374] 웹사이트 아프가니스탄 국토부흥 비전 시안 https://web.archive.[...] 토목학회 2019-12-30
[375] 웹사이트 구소련군 침공에서 40년 피난 강요되어 미래가 보이지 않는 아프간 난민 UNHCR 국장이 기고 https://mainichi.jp/[...] 매일신문 2019-12-30
[376] 웹사이트 India's Role in Afghanistan: Past Relations and Future Prospects https://www.foreignp[...]
[377] 서적 American Invasions: Canada to Afghanistan, 1775 to 2010
[378] 서적 Afghanistan- Aid, Armies and Empires: Aid, Armies and Empires https://books.google[...] I.B.Tauris
[379] 서적 Afghanistan's Endless War: State Failure, Regional Politics, and the Rise of ... https://books.google[...]
[380] 웹인용 "Reagan Doctrine, 1985," United States State Department http://www.state.gov[...] State.gov 2011-02-20
[381] 인터뷰 Interview with Dr. Zbigniew Brzezinski http://nsarchive.gwu[...] 1997-06-13
[382] 서적 MI6: Life and Death in the British Secret Service https://archive.org/[...] Phoenix
[383] 서적 Shichor. pp157–158 https://books.google[...] 2014-10-02
[384] 서적 Charlie Wilson's War: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Largest Covert Operation in History https://archive.org/[...] Atlantic Monthly Press
[385] 웹인용 Saudi Arabia and the Future of Afghanistan http://www.cfr.org/a[...] 2014-10-02
[386] 뉴스 Operation Sommerregen http://www.welt.de/p[...] Die Welt 2015-06-06
[387] 간행물 Afghanistan: Demographic Consequences of War: 1978-87 http://www.nonel.pu.[...] 1991
[388] 간행물 Afghanistan: The Decimation of a People 1989
[389] 웹사이트 A bitter harvest: Soviet intervention in Afghanistan and its effects on Afghan political movements https://web.archive.[...] 1999
[390] 서적 Jihad: The Trail of Political Islam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5-07-14
[391] 뉴스 Timeline: Soviet war in Afghanist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3-22
[392] 뉴스 How Soviet troops stormed Kabul palace http://news.bbc.co.u[...] BBC 2013-07-01
[393] 뉴스 Moslems Condemn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news.google.[...] 1980-01-29
[394] 뉴스 U.N. General Assembly Votes to Protest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news.google.[...] 1980-01-15
[395] 뉴스 The Oily Americans http://content.time.[...] 2008-07-08
[396] 웹인용 Interview with Dr. Zbigniew Brzezinski-(13/6/97). http://www.gwu.edu/~[...] null 2014-10-02
[397] 뉴스 Charlie Wilson: Congressman whose support for the mujahideen helped force the Soviet Union out of Afghanistan http://www.independe[...] 2014-10-02
[398] 서적 Jihad: The Trail of Political Islam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99] 서적 The Fragmentation of Afghanistan Yale University Press 2002
[400] 웹사이트 Milton Bearden Interview http://www.pbs.org/w[...] PBS Frontline
[401] 서적 Unholy Alliances Lester Publishing 1992
[402] 서적 Afghanistan: The First Five Years of Soviet Occupation NDU Press 1986
[403] 저널 The Limits of Soviet Airpower: The Failure of Military Coercion in Afghanistan, 1979-89 https://journals.lib[...] 2015-10-03
[404] 서적 Soldiers of God : With Islamic Warrior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Vintage Departures 2001
[405] 저널 The Soviet War in Afghanistan, 1979 - 1989 http://www.theatlant[...] 2015-10-03
[406] 뉴스 MINES PUT AFGHANS IN PERIL ON RETURN http://www.nytimes.c[...] 2015-07-15
[407] 서적 Afghanistan, the bear trap: the defeat of a superpower Casemate
[408] 뉴스 The Soviets' Vietnam http://www.highbeam.[...] Washington Post 2011-12-22
[409] 뉴스 Afghanistan was Soviets' Vietnam https://news.google.[...] Boca Raton News 2011-12-22
[410] 저널 The Afghanistan war and the breakdown of the Soviet Union http://faculty.washi[...] 2015-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