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네스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네스티아는 천문학에서 거대 충돌 후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회전하는 기체 덩어리를 의미한다. 시네스티아는 공공전 지역, 전이 지역, 도넛 지역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거대충돌 가설에 따르면, 지구와 달은 시네스티아 상태에서 형성되었으며, 시네스티아의 냉각과 진화를 통해 지구와 달이 생성되었고, 이 이론은 두 천체의 동위원소비가 유사하고 달에 휘발성 물질이 더 많이 남아있는 현상을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태양계 천체 - 테이아 (천체)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 이름을 딴 가상의 천체로, 지구와 충돌하여 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가설상의 태양계 천체 - 수성의 위성
    수성의 위성은 수성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 탐구와 관련된 내용으로, 과거 위성 존재 논란이 있었지만 탐사 결과 실제 위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 회전 - 돌림힘
    돌림힘은 물체를 회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는 벡터량으로, 힘과 거리 벡터의 외적으로 정의되며, 각운동량 변화율과 관련되어 회전 운동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회전 - 회전 초밥
    회전 초밥은 컨베이어 벨트로 초밥을 제공하는 음식점 형태로, 인력 부족 해결을 위해 고안되어 대중화되었으나, 최근 위생 및 인건비 문제로 풀 오더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다.
  • 행성의 종류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 행성의 종류 - 목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은 크고 무거우며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진 행성으로, 태양계의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내부는 유체 상태이고 많은 위성과 고리를 가지며, 혜성 침입을 막아 지구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네스티아
개요
명칭시네스티아 (Synestia)
유형가설적 천체
특징도넛 모양의 고온, 부분적으로 증발한 암석으로 구성된 천체 구조
존속 시간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 (행성으로 진화하거나 원반으로 붕괴)
이론적 배경
제안 시기2017년
제안자사이먼 록 (Simon J. Lock), 사라 T. 스튜어트 (Sarah T. Stewart)
관련 연구행성 충돌 연구
형성 과정
주요 원인거대한 충돌체의 충돌 (각 행성의 질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충돌)
충돌 조건높은 각운동량, 격렬한 충돌
결과행성 물질의 증발 및 혼합
도넛 모양의 구조 형성
구조 및 특징
형태거대한 회전하는 도넛 또는 토러스 형태
온도섭씨 수천 도 (암석이 녹고 증발할 정도)
구성 물질녹은 암석, 증발된 물질 (일부 액체 상태 유지)
표면명확한 표면이 존재하지 않음 (내부와 외부가 점진적으로 연결)
자전매우 빠른 자전 (하루가 몇 시간 정도로 짧음)
진화
주요 경로행성으로의 진화: 냉각 및 수축을 통해 구형 행성 형성
원반으로의 붕괴: 각운동량 손실로 인해 원반 모양의 구조 형성 (위성 형성 가능)
존속 시간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수백 년에서 수천 년)
시네스티아와 달의 기원
달 형성 가설원시 지구와 테이아 (Theia)의 충돌 시 시네스티아 형성 후 달이 생성
특징달의 구성 성분 설명에 유리 (지구와 달의 유사한 동위원소 구성 설명)
추가 정보
중요성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공, 특히 거대 충돌의 역할 강조
연구 과제시네스티아의 안정성, 진화 과정, 그리고 행성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2. 구성

시네스티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최내곽의 공공전 지역, 중간의 전이 지역, 최외곽의 도넛 지역.[11][4]

2. 1. 공공전 지역

공공전 지역은 고체처럼 함께 자전하는 영역이며, 시네스티아의 주요 특징으로는 뜨겁고, 엔트로피가 크며, 각속도 또한 높다는 것이 있다.[11][4]

2. 2. 전이 지역

전이 지역은 시네스티아 안쪽의 공공전 지역과 바깥쪽의 도넛 지역을 점진적으로 연결하는 영역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는 거리(반지름)에 따라 속력과 온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11][4] 안쪽의 뜨거운 암석 기체가 바깥쪽의 차갑고 응고된 물질과 섞이며 온도가 점차 낮아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암석 기체 형태로 평형을 이룬다.[11] 초기 각운동량, 질량, 엔트로피에 따라 전이 지역의 모습은 크게 달라진다.[11][4]

2. 3. 도넛 지역

시네스티아의 가장 바깥쪽 영역으로, 고리 형태를 띤다.[11] 디스크형 영역이라고도 한다.[4]

3. 거대충돌 가설과 시네스티아

일부 연구에 따르면, 지구이 형성될 때 거대충돌 가설에 따른 초기 단계에서 시네스티아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 모델에서 시네스티아는 높은 에너지와 높은 각운동량을 가진 물체와의 충돌 후에 형성되었다. 시네스티아의 표면 온도는 암석의 기화점인 약 2,300,000로 제한된다.[6]

결과적으로 시네스티아가 우주로 열을 방출하면서 냉각됨에 따라, 용융된 물질의 방울들이 외부 층에서 형성된 다음 수십 년에 걸쳐 안쪽으로 쏟아져 들어오면서 시네스티아가 수축했다.[6] 로슈 한계 밖에 남아있는 질량은 달 조각으로 뭉쳐졌고, 이후 합쳐져 달을 형성했다. 지구는 시네스티아가 회전 동기 한계 내로 떨어질 만큼 충분히 냉각된 후에 다시 형성되었다.[7]

3. 1. 시네스티아 형성

거대충돌 가설에 따르면 지구이 생길 때 이 두 천체의 초기 형태는 시네스티아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네스티아 이론에 따르면, 각운동량과 에너지가 큰 천체가 원시 지구와 충돌한 직후 시네스티아가 형성되었으며, 이 때의 온도는 암석의 기화 온도인 2,300,000 가량이었다.[13] 시네스티아의 열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며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바깥쪽에서 마그마 방울이 생겨 안쪽으로 내리며 시네스티아가 수축하였다.[13] 공공전 지역의 로슈 한계 바깥쪽에 있는 물질은 작은 위성체를 형성해, 달을 형성하였다. 그 이후 시네스티아 전체가 공공전 지역으로 내려올 만큼 냉각된 이후 지구가 다시 형성되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달이 지구의 기화된 암석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두 천체의 동위원소비가 비슷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구가 더 나중에 형성되었으므로 달에 휘발성 물질이 더 많이 남아있는 점 또한 설명할 수 있다.[14]

3. 2. 시네스티아 냉각 및 진화

거대충돌 가설에 따르면 지구이 생길 때 이 두 천체의 초기 형태는 시네스티아였다는 연구가 있다. 시네스티아 이론에 따르면, 각운동량과 에너지가 큰 천체가 원시 지구와 충돌한 직후 시네스티아가 형성되었으며, 이때의 온도는 암석의 기화 온도인 2,300,000 가량이었다.[13] 시네스티아의 열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며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바깥쪽에서 마그마 방울이 생겨 안쪽으로 내려가며 시네스티아가 수축하였다.[13] 공공전 지역의 로슈 한계 바깥쪽에 있는 물질은 작은 위성체를 형성해, 달을 형성하였다. 그 이후 시네스티아 전체가 공공전 지역으로 내려올 만큼 냉각된 이후 지구가 다시 형성되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달이 지구의 기화된 암석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두 천체의 동위원소비가 비슷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구가 더 나중에 형성되었으므로 달에 휘발성 물질이 더 많이 남아있는 점 또한 설명할 수 있다.[14]

3. 3. 지구-달 동위원소 구성 비율의 유사성 설명

이 이론에 따르면 달이 지구의 기화된 암석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두 천체의 동위원소 비율이 비슷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구가 더 나중에 형성되었으므로 달에 휘발성 물질이 더 많이 남아있는 점 또한 설명할 수 있다.[14] 달의 동위원소 비율이 지구와 유사한 이유는 달이 지구에서 기원한 증기 구름 내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시네스티아가 냉각된 후 지구가 형성되면서 달보다 더 많은 휘발성 원소를 축적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Where did the Moon come from? A new theory | Sarah T. Stewart https://www.youtube.[...]
[2] 간행물 Huge impact could have smashed early Earth into a doughnut shape https://www.newscien[...] 2017-06-23
[3] 웹사이트 Scientists propose a new kind of planet: A smashed-up torus of hot, vaporized rock https://www.universe[...] 2017-05-24
[4] 논문 The structure of terrestrial bodies: Impact heating, corotation limits and synestias
[5] 학위논문 The Formation, Structure and Evolution of Terrestrial Planets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6] 간행물 When Earth and the Moon were one https://www.scientif[...] 2019-07-03
[7] 논문 The origin of the Moon within a terrestrial synestia
[8] 웹인용 Where did the Moon come from? A new theory | Sarah T. Stewart https://www.youtube.[...]
[9] 잡지 Huge impact could have smashed early Earth into a doughnut shape https://www.newscien[...] 2017-06-23
[10] 웹인용 Scientists propose a new kind of planet: A smashed-up torus of hot, vaporized rock https://www.universe[...] 2017-06-07
[11] 저널 The structure of terrestrial bodies: Impact heating, corotation limits and synestias
[12] 학위논문 The Formation, Structure and Evolution of Terrestrial Planets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13] 잡지 When Earth and the Moon were one https://www.scientif[...] 2019-07-03
[14] 저널 The origin of the Moon within a terrestrial synest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