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노페트라 수도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13세기에 아토스 산의 시몬에 의해 설립된 동방 정교회 수도원이다. 전설에 따르면 시몬은 성모 마리아의 지시를 받아 바위 꼭대기에 수도원을 건설했다. 1364년에는 세르비아의 요반 우글리에샤가, 1581년 화재 이후에는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이 재건 자금을 지원했다. 수도원은 여러 차례 화재를 겪고 재건되었으며, 20세기 중반 수사 수가 감소했으나 1973년 메테오라의 수도사들이 정착하면서 다시 활성화되었다.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비잔틴 음악 성가대로도 유명하며, 다수의 음반을 발매했다.
13세기에 시몬 아토니테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는 후에 동방정교회에 의해 시몬 밀로호블레테스라는 이름의 오시오스로 시성되었다. 성전(聖傳)에 의하면, 근처 동굴에 기거하던 시몬의 꿈속에서 테오토코스가 나타나 그와 수도원을 보호하고 부양할 것을 약속하며 바위 꼭대기에 수도원을 건축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본래의 수도원은 시몬에 의해 신 베들레헴(그리스어: Νέα Βηθλεέμ)이라고 불렸고 지금까지도 예수의 탄생에 봉헌된다.
이 수도원은 여러 층으로 된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이 되는 것은 창설자 시몬에 의해 건설된 최초의 건물이 위치한 곳이다. 이 중심 건물은 "반도에서 가장 기묘한 건축물"로 묘사되고 있다.[7]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승려들은 대대로 층수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세는 전통이 있어, 수도원의 층수는 최상층이 1층이고 최하층이 최종 층이다. 수도원은 그 아래 기초를 이루는 거대한 바위의 꼭대기에 세워졌으며, 아래층에서는 바위가 통과하고 있다.
2. 역사
1364년에, 세르비아인 데스포트 조반 우글례사는 수도원의 보수와 보수에 자금을 댔다.[2] 1581년에, 시모노페트라는 화제로 파괴되었고, 그 때에 상당수의 수사들이 죽었다. 이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인 에베니오스는 수도원 재건축 자금의 증가를 희망하는 다누비아의 공국들을 방문했다. 가장 중요한 기증자는 왈라키아의 왕자인 용감한 미카엘로, 그는 수도원에 돈 뿐만아니라 큰 넓이의 토지도 기부했다. 후년에 가서, 1626년에도 화재가 발생 했고, 1891년에는 마지막 대화재가 발생했다. 그 이후에 이 수도원은 현재의 형태로 재건축되었다.
최근 몇 세기 동안에, 이 수도원의 수사들은 소아시아에 있는 이오니아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20세기 중엽 동안에, 새로운 수사들의 유입이 대거 감소함으로 인하여 수사단의 인원도 매우 적었다. 1973년에 아토니테 공동체가 버려진 대부분의 수도원들에 다시 사람이 거주하게 하겠다고 결정하였으므로, 현재의 번영하는 수사단은 메테오라에 있는 대 메테오라의 성 수도원에서 비롯된다.
2. 1. 설립과 초기 역사
13세기에 아토스 산의 성 시몬이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을 설립했다.[2] 성 시몬은 훗날 동방정교회에서 몰약 운반자 성 시몬으로 시성되었다. 전승에 따르면, 인근 동굴에서 은둔 생활을 하던 시몬은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바위 꼭대기에 수도원을 건설하라고 지시하는 꿈을 꾸었다. 성모 마리아는 그와 수도원을 보호하고 부양할 것을 약속했다. 시몬은 원래 수도원을 "새로운 베들레헴(Νέα Βηθλεέμel: 네아 비슬레엠)"이라 불렀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헌정되고 있다.
1364년, 세르비아의 전제 군주 요반 우글리에샤가 수도원의 개축과 확장에 자금을 지원했다.[2] 1581년 화재로 수도원이 파괴되고 많은 수도사들이 사망했다. 수도원장 에브게니오스는 다뉴브 공국으로 가서 재건 기금을 모금했고, 왈라키아의 군주 미하이 용감공이 가장 큰 기부자로 토지와 재정을 지원했다. 1626년과 1891년에도 화재가 발생하여 수도원은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수 세기 동안 수도사들은 전통적으로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출신이었다. 20세기 중반 수도사 수가 감소했으나, 1973년 메테오라의 대 메테오론 수도원에서 온 수도사들이 정착하면서 다시 활성화되었다.
2. 2. 중세 시대
1364년, 세르비아인 데스포트 요반 우글례사가 수도원의 보수와 보수에 자금을 댔다.[2] 15세기 말, 러시아 순례자 이사야는 수도원이 불가리아 소유였다고 기록했다.[3] 1567년에는 왈라키아 귀족의 지원을 받아 시모노페트라의 ''아르사나스''(항만 건물)가 완공되었다.[4]
2. 3. 화재와 재건
1364년, 세르비아의 전제 군주 요반 우글리에샤가 수도원의 개축과 확장에 자금을 제공했다.[2] 그러나 1581년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대부분의 수도사가 희생된 대화재로 소실되었다. 수도원의 원장을 맡고 있던 에브게니오스는, 수도원 재건을 위한 자금 조달을 원하여 도나우 공국으로 여행을 떠난 후, 출자가 결정되었다. 가장 중요한 자금 제공자에는, 대부분의 토지와 함께 수도원에 대한 비용도 기증한 왈라키아의 대공 미하이 용감공의 이름도 언급되고 있다. 수도원 후기에도, 1626년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었고 1891년에도 큰 화재가 발생하여, 그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2. 4. 근현대
20세기 중반,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새로운 수도사들의 유입이 크게 줄어들어 수도사 수가 감소하였다.[5][6] 1973년, 메테오라의 대 메테오론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시모노페트라의 아밀리아노스[5]의 인솔하에 시모노페트라로 이주하면서 수도원은 부흥을 맞이하게 되었다. 아밀리아노스는 1974년부터 2000년까지 시모노페트라의 수도원장으로 봉사했다.[5] 20세기에 시모노페트라와 관련된 성인으로는 시모노페트라의 이에로니모스(1957년 사망)가 있다.[6]
3. 건축
시몬이 건설한 최초의 건물의 확장과 조형은 과거에 일어난 수도원의 대화재 이후 거의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1580년의 화재와 에브게니오스 수도원장의 모금 자금을 이어받아 서쪽 건물이 건설되었다. 동쪽 건물은 1891년의 화재에 이어 러시아로부터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건설되었다.
3. 1. 건물 구조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몇 채의 다층 건물들과, 시몬에 의해 건축된 최초 건조물의 자리에 있는 본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본건물은 "이 반도에서 가장 대담한 건조물"로 설명된다.[10] 시모노페트라의 수사들은 전통적으로 층수를 맨 윗층에서 맨 아랫층의 순으로 센다. 그러므로, 꼭대기 층이 첫 번째 층이고 맨 아랫 층이 마지막 층이다. 수도원은 밑에 있는 거대한 바위 꼭대기에 건축되었고 그 바위는 아래의 층들로 통한다.
시몬의 최초 건조물의 확장과 개발은 거의 항상 수도원의 대화재들 다음에 한 차례씩 있었다. 1580년 화재 이후에 대수도원장 에브게니오스에 의해 모아진 자금으로 서쪽 건물이 건립됐다. 동쪽 건물은 1891년 화재 이후에 대개 러시아에서 늘어난 자금으로 건축되었다.[7][10]
3. 2. 건축 자재
이 수도원은 밑에 있는 거대한 바위 꼭대기에 건축되었고 그 바위는 아래의 층들로 통한다.[10] 시모노페트라의 수사들은 전통적으로 층수를 맨 윗층에서 맨 아랫층의 순으로 센다. 그러므로, 꼭대기 층이 첫 번째 층이고 맨 아랫 층이 마지막 층이다.[7]
3. 3. 주요 건축 시기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은 여러 층의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건물은 시몬이 건설한 최초 건조물이 있던 자리에 있다. 본건물은 "이 반도에서 가장 대담한 건조물"로 설명된다.[10] 수도원의 층수는 맨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세기 때문에, 꼭대기 층이 1층이고 맨 아랫층이 마지막 층이다. 수도원은 거대한 바위 꼭대기에 건축되었고 그 바위는 아래의 층들로 통한다.
시몬의 최초 건조물 확장과 개발은 수도원의 대화재들 이후에 한 차례씩 있었다. 1580년 화재 이후 대수도원장 에브게니오스가 모금한 자금으로 서쪽 건물이 건립되었다.[7] 동쪽 건물은 1891년 화재 이후 러시아에서 늘어난 자금으로 건축되었다.[7]
4. 성가대
최근 몇 년 새,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성가대는 비잔티움 음악 전문가들과 애호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커져 왔다.[8] 이 수도원은 성가대에 의해 녹음된 일련의 성직자 비잔티움 성가집 음반들을 발매해 왔다. 그것들 중에 아그니 파르테네가 가장 인기있고 그 성가대와 이 수도원의 광범위한 인정을 얻게 했다.[8]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성가대는 비잔틴 음악 전문가와 애호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아졌다. 수도원은 성가대의 교회 비잔틴 성가 모음집을 여러 권 출판했다. 이 중 ''아그니 파르테네''(Agni Parthene)가 가장 인기가 많으며, 성가대와 수도원이 널리 알려지는 데 기여했다.[8]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8]
- ''시편 찬송가'' (1990)
- ''오 순결한 동정녀''(Agni Parthene) (1990)
- ''신성한 전례''(1999)
- ''대 만과''(1999)
- ''파라클레시스''(1999)
- ''성 시몬 봉사'' (1999)
- ''주간 아침기도''(Orthros) (1999)
- ''아토스 산의 성 실루안 봉사'' (2004)
4. 1. 비잔틴 성가
최근 몇 년 새, 시모노페트라의 성가대는 비잔티움 음악 전문가들과 애호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커져 왔다.[8] 수도원은 성가대에 의해 녹음된 일련의 성직자 비잔티움 성가집 음반들을 발매해 왔는데, 그 중 아그니 파르테네(Agni Parthene)가 가장 인기있고 그 성가대와 이 수도원의 광범위한 인정을 얻게 했다.[8] 음반 목록으로는 ''시편 찬송가''(1990), ''오 순결한 동정녀(Agni Parthene)''(1990), ''신성한 전례''(1999), ''대 만과''(1999), ''파라클레시스''(1999), ''성 시몬 봉사''(1999), ''주간 아침기도''(Orthros) (1999), ''아토스 산의 성 실루안 봉사''(2004) 등이 있다.[8]4. 2. 음반 목록
시모노페트라 수도원의 성가대는 비잔틴 음악 전문가와 애호가들 사이에서 명성이 높다.[8] 수도원은 성가대의 교회 비잔틴 성가 모음집을 여러 권 출판했는데, 이 중 ''순결하신 동정녀시여(Agni Parthene)''가 가장 인기가 많으며, 성가대와 수도원이 널리 알려지는 데 기여했다.[8]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8]
- 시편의 찬미가(Hymns from the Psalter) (1990)
- 순결하신 동정녀시여(O Pure Virgin (Agni Parthene)) (1990)
- 성찬전례(Divine Liturgy) (1999)
- 위대한 저녁 기도(Great Vespers) (1999)
- 파라클레시스(Paraklesis) (1999)
- 성 시몬의 봉사(Service of Saint Simon) (1999)
- 일요일 아침 기도(오르트로스)(Sunday Matins (Orthros)) (1999)
- 성 실루안 아토니테의 봉사(Service of St. Silouan the Athonite) (2004)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mountathos.gr
http://www.mountatho[...]
2007-01-08
[2]
서적
Mount Athos: renewal in paradise
Denise Harvey
2014
[3]
서적
History of Macedonia, 1354-1833. [By] A.E. Vacalopoulos
https://books.google[...]
[4]
서적
Mount Athos: renewal in paradise
Denise Harvey
2014
[5]
학위논문
Hesychasm, the Jesus Prayer and the contemporary spiritual revival of Mount Athos
https://theses.ubn.r[...]
Radboud University
2017-08-28
[6]
뉴스
Elder Joseph the Hesychast, Three Other 20th-Century Athonite Elders Canonized
https://orthochristi[...]
Orthodox Christianity
2019-10-21
[7]
웹사이트
Greek Ministry of Culture
http://www.culture.g[...]
2006-10-29
[8]
웹사이트
Χορός Σιμωνόπετρας / Choir of Simonopetra
https://www.youtube.[...]
2022-06-12
[9]
웹인용
mountathos.gr
http://www.mountatho[...]
2006-10-21
[10]
웹인용
그리스 문화부
http://www.culture.g[...]
2006-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