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오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니아는 소아시아 서부 해안 지역으로, 고대 그리스 문명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북쪽으로는 헤르무스 강 하구부터 남쪽으로는 마이안드로스 강 하구까지 뻗어 있었으며, 비옥한 평야와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도시들을 포함했다. 이오니아라는 명칭은 그리스 신화 속 인물 이온의 후손인 이오니아인에서 유래되었으며, 지리적으로는 키오스 섬과 사모스 섬도 포함했다.

이 지역은 기원전 18세기부터 히타이트 제국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11세기경 그리스인에 의해 정착되었다. 특히 밀레토스는 중요한 도시였으며, 이오니아는 기원전 7세기부터 리디아의 지배를 받다가 기원전 547년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다. 이후 이오니아는 이오니아 반란과 페르시아 전쟁을 거치며 아테네, 스파르타 등의 지배를 받았고,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이오니아는 철학, 문학, 예술의 중심지로서, 밀레토스 학파와 같은 철학 학파를 배출했으며, 호메로스를 비롯한 많은 문인과 예술가를 배출했다. 또한 12개의 도시 국가가 종교적, 문화적 목적으로 결성한 이오니아 동맹이 존재했다. 현대에는 그리스-터키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이 이주하면서 이오니아 정체성은 난민 공동체에서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톨리아 - 아시아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아시아는 이아페토스의 아내이자 아틀라스 등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으나, 헤시오도스의 기록에서는 클리메네가 어머니로 언급되기도 하며, 대륙 아시아의 이름은 프로메테우스 아내 또는 아시에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아나톨리아 - 테슙
    테슙은 후르리 종교의 날씨 신이자 신들의 왕으로, 천둥, 번개, 비를 다스리며, 아내 헤파트, 자녀들과 함께 숭배되었고, 시리아-메소포타미아의 아다드, 아나톨리아의 타르훈나와 동일시되었다.
  • 이오니아 - 이오니아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는 기원전 11세기경 이오니아인들이 소아시아와 에게해 제도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그리스어 방언으로, 아티카 방언과 관련이 깊고 호메로스와 헤로도토스를 비롯한 작가들이 사용했으며 표준 그리스 알파벳과 코이네 그리스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이오니아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아나톨리아의 역사적 지역 - 킬리키아
    킬리키아는 터키 남동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터키의 여러 주에 해당한다.
  • 아나톨리아의 역사적 지역 - 폰토스
    폰토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 북동부 지역을 부르던 지명으로, 폰토스 왕국이 세워진 후 로마 공화정과 세 차례의 전쟁 끝에 멸망하고 비티니아 폰토스 속주가 되었다.
이오니아
지역 정보
일반 정보
지리

2. 지리

이오니아는 소아시아 서부 해안의 좁은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헤르무스 강(현 게디즈 강) 하구의 포카이아(현 포차)부터 남쪽으로는 메안데르 강(현 멘데레스 강) 하구의 밀레토스까지 이어졌다. 동쪽으로는 리디아, 남쪽으로는 카리아와 경계를 접했다.[3] 해안선이 복잡하고 산이 많은 지형이었지만, 헤르무스 강, 카이스터 강(현 퀴취크멘데레스 강), 마이안드로스 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 덕분에 농업이 발달했다.[3] 키오스 섬과 사모스 섬도 이오니아에 속했다.[3] 헤로도토스는 이오니아의 기후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기록했다.[5]

이오니아 지방은 남북 150km, 동서 60km 에서 90km로 좁은 지역이었다.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여 해안을 따라 항해하는 거리는 직선 거리의 거의 4배였다.[3]

소아시아에서 가장 큰 세 개의 강이 흘러 형성된 세 개의 비옥한 계곡이 이 지역에 있었다. 북쪽의 헤르무스 강은 스미르나 만으로 흘러 들어갔지만, 그 이름의 도시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카이스터 강은 에페소스를 지나 흘렀고, 마이안드로스 강은 고대에는 프리에네밀레토스 사이의 깊은 만으로 물을 흘려보냈지만, 이 강의 퇴적물로 점차 채워졌다.

두 개의 동서 산맥이 이 지역을 나누고 에게 해로 뻗어 반도를 형성한다. 첫 번째는 헤르무스 강과 카이스터 강 계곡 사이에 있는 시필루스 산에서 시작하여 에리트라이 반도로 이어지며, 이는 키오스 섬을 마주보고 있다. 두 번째는 카이스터 강과 마이안드로스 강 사이의 메소기스 산맥으로, 미칼레 반도가 되어 사모스 섬으로 뻗어 있다. 이 산맥 중 어느 곳도 1200m를 넘지 않는다.

그리스 식민지 서부 소아시아, 이오니아 지역은 녹색으로 표시됨.


에페소스의 고대 극장

3. 명칭

이오니아라는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온의 후손인 이오니아인(Ίωνες)에서 유래했다.[6] '이오니아인'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확실하며, 그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었다. 프리스크는 이 단어가 *''Ia''-라는 알려지지 않은 어근에서 유래했으며, *''ya''-로 발음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대안적인 가설이 있다.


  • 이 단어는 서로 돕기 위해 달려가는 사람들의 외침을 전달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의성어 어근 *'''' 또는 *''''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포코르니가 제시한 또 다른 가설은 가 아폴론을 숭배할 때 외치는 소리 에 근거하여 "아폴론의 숭배자"를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신은 또한 라고 불리기도 했다.[7]
  • 이 단어는 동지중해 섬에 거주하는 알려지지 않은 민족과 관련된 초기 이름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이 인구는 고대 이집트에서 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초기 이름의 정확한 특성과 Ἴωνεςgrc라는 용어와의 관련성은 불확실하다.[8]
  •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는 "힘"을 의미한다.[9]


Ἰᾱ́ϝoνεςgrc()라는 용어는 근동의 많은 언어에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예를 들어 아람어 𐡉𐡅𐡍𐡉𐡍arc(*), 히브리어 יָוָןhe (), 아랍어 يُونَانar (), 민중 이집트어 (/wəjˈniːn/) 및 콥트어 ⲟⲩⲁⲓⲛⲓⲛcop ()가 있다.

4. 역사

이오니아는 기원전 18세기부터 히타이트 제국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12세기 히타이트 제국이 멸망한 후, 기원전 11세기경 그리스인들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뱀을 든 고르곤, 이오니아, 기원전 575-550년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오니아인들이 이온의 후손이며, 신화 시대에 그리스에서 소아시아로 이주했다고 믿었다.[10]

이오니아 지방은 북쪽으로 헤르무스 강(현 게디즈 강) 하구 근처의 포카이아(현 포차)부터 남쪽으로 메안데르 강(현 멘데레스 강) 하구 근처의 밀레토스까지 좁은 해안과 히오스 섬, 사모스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원전 7세기 킴메르인이 리디아 등 소아시아 대부분을 침략하여 마그네시아를 약탈했지만, 에페소스 공략에는 실패했다. 기원전 700년경 리디아의 퀴게스 왕이 스미르나밀레토스 일대를 침략했고, 그의 아들 아르디스는 프리에네를 함락시켰다.

기원전 547년, 크로이소스를 물리친 키루스 2세가 이오니아를 지배하면서 페르시아의 속령이 되었다. 이오니아는 자치를 허용받았지만, 통치자는 페르시아의 하수인이었다.

200년경의 밀레토스 시장과 그 주변을 재현한 1/300 모델. 1968년, H. Schleif & K. Stephanowitz 작.


기원전 500년경, 히스티아이오스아리스타고라스의 선동으로 이오니아 반란이 일어났다. 이들은 사르디스를 불태웠지만, 라데 해전에서 패배하고 밀레토스가 함락되면서 다시 페르시아에 정복되었다.

미칼레 전투 (기원전 479년)에서 페르시아 군이 패배하면서 이오니아는 자유를 얻고 델로스 동맹에 가입했다. 기원전 387년 안탈키다스의 평화로 다시 페르시아 지배를 받았지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공 때까지 상당한 자유를 유지했다.

그라니코스 강 전투 이후 대부분 도시가 정복되었고, 밀레토스는 오랜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 (기원전 334년). 이후 이오니아는 마케도니아 왕국, 안티고노스 왕조, 로마 공화정의 지배를 받으며 번영했다.

4. 1. 초기 정착

이오니아는 기원전 11세기경 그리스인들에 의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 시대의 붕괴 이후 그리스 본토에서 소아시아로 이주가 가속화되었지만, 당시 자료가 부족하여 정확한 사건의 전개는 불분명하다.[10]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오니아인들이 신화 속 인물인 이온의 후손이며, 신화 시대에 그리스에서 소아시아로 이주했다고 믿었다.[10] 헤로도토스는 이오니아인들이 펠로폰네소스 북부의 이오니아 지역에서 유지했던 12개 도시로의 분할을 아시아에서도 유지했다고 언급했다.[11]

스트라보와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이오니아인들은 펠로폰네소스에서 아카이아인에게 추방되어 아테네에서 피난처를 찾았다.[10] 이후 아테네 왕 코드로스의 아들들이 이오니아인들을 이끌고 소아시아로 이주했다. 이들은 밀레토스, 에페소스, 포카이아 등 12개의 도시를 건설하고 이오니아 동맹을 결성했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코드로스의 아들들과 그들이 건설한 도시는 다음과 같다.

지도자도시내용
네일레우스밀레투스크레타인으로부터 정복.[12] 파우사니아스와 대부분의 다른 자료들은 네일레우스를 이오니아인의 전체 지도자로 제시한다.
안드로클루스에페소스레레게스와 리디아인으로부터 정복하고, 사모스를 정복했으며, 카리아인으로부터 프리에네를 방어하다 죽었다.[13] 스트라보는 안드로클루스가 이오니아인의 지도자이자 코드로스의 유일한 적자라고 말한다.
키아레투스뮈우스카리아인으로부터 정복.[14]
다마시크톤과 프로메투스콜로폰테베의 테르산데르의 후손과 함께 정착. 나중에 프로메투스는 형제를 죽이고 낙소스로 도망.[15]
안드라이몬레베두스카리아인으로부터 정복.[16]
다마수스와 나오클루스테오스게레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인들과 함께 정착. 이 도시는 이미 미니안인에 의해 정착.[17]
클레오푸스에리트라이모든 이오니아 도시에서 같은 수의 집단을 모아 정착. 그곳에는 이미 크레타인, 리키아인, 카리아인, 팜필리아인이 있었다.[18]



파우사니아스는 다른 도시들이 나중에 건설되었거나 이오니아인이 되었다고 보고한다.

도시내용
프리에네네일레우스의 아들 아이깁투스와 필로타스가 이오니아인과 테베인의 공동 정착지로 건설.[14]
클라조메나이코드로스의 후손인 파르포루스를 콜로폰에서 창시자로 받아들인 이오니아인 집단에 의해 건설.[19]
포카이아델포이 근처의 포키아인 집단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아테네의 필로게네스와 다몬이 이끌었고, 이오니아인으로 인정받기 위해 코드로스의 후손을 왕으로 받았다.[20]
사모스에피다우로스의 피티레우스의 아들 프로클레스는 이온의 후손으로, 아르고스에 의해 추방되어 사모스를 정복. 그의 아들 레오고루스 아래에서 에페소스인들은 안드로클루스 아래에서 섬을 정복했고, 사미안인들은 도망갔지만, 이후 사모스를 재정복.[21]
키오스오이노피온 아래의 크레타인에 의해, 그리고 카리아인과 에우보이아에서 온 아반테스에 의해 정착. 오이노피온의 손자 헥토르는 그들을 몰아냈고, 이오니아인으로부터 삼각대와 파니오니온에서 제물을 바칠 권리를 받았다.[22]
스미르나아이올리아인에 의해 정복되었지만, 나중에 콜로폰인에 의해 정복.[23]



기원전 620년~600년에 에페소스에서 주조된 초기 엘렉트럼 동전 중 하나. 앞면: 사슴의 앞부분. 뒷면: 사각형의 움푹 들어간 펀치


고대 시대에 "이오니아의 폴리스는 그리스 세계의 문화적, 지적, 정치적 지도자였다."

4. 2. 고졸기

이오니아의 도시들은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였다. 특히 밀레토스는 초기 시대에 그리스의 가장 중요한 상업 도시 중 하나였으며, 흑해마르마라해 해안에 아비도스, 키지코스에서 트라페주스와 판티카파이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식민지를 건설했다.[3] 포카이아는 서부 지중해 연안을 탐험한 최초의 그리스 도시 중 하나였다.[3]

기원전 7세기경, 리디아의 첫 번째 메르므나드 왕인 기게스스미르나와 밀레투스의 영토를 침략했으며, 콜로폰을 점령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아들 아르디스는 프리에네를 정복했다. 기원전 6세기 중반 크로이소스 (기원전 560–545년)의 통치 기간에 이르러서야 이오니아의 도시들은 완전히 리디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리디아를 멸망시킨 키루스 2세가 이끄는 아케메네스 왕조(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4. 3. 페르시아 지배와 이오니아 반란

아케메네스 제국 군대의 이오니아 병사, 기원전 480년경.


기원전 547년, 크로이소스키루스 2세에게 패배한 후 모든 이오니아 도시가 정복되었다.[26] 이 도시들은 다른 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과 함께 페르시아 왕국에 복속되어 리디아의 사트라피를 형성했다. 이오니아 도시들은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지만, 페르시아 왕에게 충성하는 지역 독재자(참주)의 지배를 받았다.

페르시아인들은 모든 그리스인을 통칭하는 용어로 "야우나"(Ionian)를 사용했으며, 소아시아의 "본토의 야우나", 에게해 섬의 "바다 근처에 사는 야우나", 그리스 본토의 "바다 건너에 사는 야우나", 마케도니아의 "머리에 방패를 쓴 야우나"로 구분했다.

기원전 500년경, 밀레투스의 참주 히스티아이오스의 선동으로 주요 도시들이 이오니아 반란을 일으켜 페르시아에 대항했다. 이오니아 도시들은 처음에는 아테네와 에레트리아의 지원을 받아 내륙으로 진격하여 사르디스를 불태웠는데, 이 사건은 결국 그리스에 대한 페르시아 침공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오니아 함대는 라데 섬 근해에서 패배했고, 오랜 포위 끝에 밀레투스가 파괴된 후, 섬과 대륙의 모든 아시아 그리스가 재정복되었다.

4. 4. 그리스-페르시아 전쟁과 델로스 동맹

그리스 군대가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에서 승리하고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이오니아를 페르시아 제국으로부터 해방시키면서, 에게해 건너편의 그리스인들도 자유를 얻게 되었다.[10] 특히 미칼레 해전 (기원전 479년)은 페르시아 군대의 패배에 이오니아인들이 큰 기여를 한 전투로, 이들의 해방을 확정지었다.[10] 이후 이오니아 도시들은 델로스 동맹에 가입하여 아테네의 종속적인 동맹국이 되었다.[10] 아테네 공물 목록에서 이오니아는 북쪽의 아이올리스미시아를 포함하는 '이오니코스 포로스' 지역으로 분류되었다.[10] 처음에는 카리아가 별도의 지역이었으나, 기원전 438년에 이오니코스 포로스에 통합되었다.[10]

아테네는 이오니아 정체성을 넓게 정의하여, 자신들의 지배하에 있는 대부분의 공동체를 포함시키고 아테네와의 공통 조상을 강조했다.[10] 이는 이 지역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의도로 보이며, 이오니아 동맹이 유지했던 제한적인 이오니아 정체성과는 충돌했다.[10]

4. 5.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난 후, 스파르타는 아테네 제국을 해체했다. 스파르타는 각 도시에 하르모스트(총독)를 임명했지만, 이오니아와 아시아의 다른 그리스 공동체에 대한 약속을 페르시아인들에게 지키기 위해 이들을 철수시켜야 했다.[29][30] 기원전 401년, 이오니아 도시들과 스파르타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에게서 왕위를 찬탈하려던 소아시아의 페르시아 지배자 키루스 2세를 지원했지만 실패했다.[31] 아르타크세르크세스는 리디아카리아사트라프티사페르네스에게 이오니아 도시들을 되찾도록 지시했고, 스파르타는 이에 반대했다.[32]

기원전 396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이오니아 도시들을 방어하고 페르시아를 공격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대를 이끌고 소아시아로 가서 에페소스에 상륙했다. 그는 프리기아와 리디아를 침공하여 기원전 395년에 사르디스를 약탈했다. 그러나 코린토스 전쟁이 발발하여 같은 해에 철수해야 했다.

기원전 390년경, 이 지역은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당시 페르시아 사트라프는 밀레투스와 뮈우스 사이의 경계 분쟁을 중재했다. 기원전 387년, 안탈키다스 평화 조약에서 스파르타, 아테네 및 기타 그리스 본토 국가들은 이오니아와 소아시아의 다른 그리스 도시들에 대한 페르시아의 소유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33][34][35] 이 기간 동안 이오니아는 리디아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사트라피를 이루었는데, 이는 이 지역 역사상 행정 구역을 형성한 유일한 시기였다. 이오니아 도시들은 기원전 335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소아시아 정복 이전까지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3]

4. 6.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왕조(페르시아)를 정복하면서 이오니아는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기원전 334년 그라니코스 강 전투 이후 대부분의 이오니아 도시들은 알렉산드로스에게 항복했지만, 밀레토스는 오랜 포위 공격 후에야 함락되었다.[23]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침공을 아시아 그리스인들의 해방으로 제시했고, 이오니아인들에게 자유, 자치, 면세 혜택을 관대하게 부여했다.

아테나 폴리아스 신전의 비문 (프리에네),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신전의 기증자로 밝히고 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기원전 323년에 시작되어 헬레니즘 시대 동안 이어진 알렉산드로스의 계승자들 사이의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이오니아는 안티고노스 왕조, 셀레우코스 제국,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로 분할된 분쟁 지역이었다.[23] 도시들은 정기적으로 한 군주에서 다른 군주로 충성을 바꿔야 했지만, 더 나은 조건을 얻기 위해 서로 왕들을 이용할 수도 있었다.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오니아 동맹은 그 기간 동안 계속 운영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주요 극단체의 하나는 기원전 250년경에 설립되었으며 테오스, 에페소스, 미오네소스, 레베두스를 차례로 본부로 둔 이오니아와 헬레스폰토스의 디오니소스 예술가 회의였다.

4. 7. 로마 시대

기원전 133년, 이오니아는 로마 공화정에 편입되어 아시아 속주(Asia (Roman province))의 일부가 되었다.[37] 이오니아는 로마의 속주 행정에서 공식적인 위치를 갖지 못했으며, 속주는 이 지역의 전통적인 민족 구획과는 완전히 다른 conventus 지구로 나뉘었다. 그러나 이오니아 동맹은 이 시기에도 계속 기능했다. 이오니아 도시들은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도 번영을 누렸으며, 에페소스는 아시아 속주의 주도가 되었다.[37]

270px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이오니아를 북쪽의 헤르무스 강에서 남쪽의 메안데르 강까지의 좁은 해안 지역으로 간주한다(하지만 다른 권위자들은 강 남쪽 평원을 포함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에페소스를 가장 중요한 도시로 취급하고 고대 철학자부터 자신의 시대까지 이어지는 이 지역의 끊임없는 지적 문화 전통을 제시하며, 과거의 것으로 제시하는 그리스 본토의 지적 생활과 대조를 이룬다. 다른 저자들은 때때로 "이오니아"를 아시아 속주 전체를 가리키는 환유로 사용하기도 한다.

로마 시대에 그리스 도시들의 정치적 권한이 감소함에 따라, 시민적 위신의 원천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로마 제국 시대에 아시아 속주 도시들 사이에 벌어진 치열한 경쟁에서 이오니아 도시들은 자신들의 이오니아 정체성을 "가장 순수한, '원시적인' 형태의 그리스인"이라고 강조했으며, 반면 경쟁 도시들은 이오니아인들이 오리엔탈 사치에 과도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비난하고 기원전 5세기 말과 4세기 초에 페르시아를 지원했던 것을 상기시켰다. 이오니아 건국 신화를 논하는 대부분의 자료는 이 시대에 속한다. 이오니아 도시들은 지역의 달 이름을 유지했으며, 소아시아의 다른 도시들처럼 연대기를 채택하는 대신 시조 관직에 의해 연도를 계산하는 것을 계속했다. 독특한 이오니아 개인 이름이 여전히 흔하게 사용되었다.

4. 8. 중세와 근대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을 거치면서도 그리스인들은 이오니아에 계속 거주했다.[10] 그러나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과 그리스인 집단 학살로 1922년에 이 지역을 떠나야 했다.[10] 네아 이오니아와 네아 스미르니 교외는 주로 이오니아 출신 난민들이 정착했으며, 여전히 이오니아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5. 문화

이오니아는 저명한 문인과 과학자(이오니아 학파) 및 독특한 예술 학교를 배출했다.[3] 호메로스의 출생지는 이오니아(예: 키오스 섬)라고 한다.

이오니아 양식의 예술 학교는 기원전 700년에서 500년 사이에 번성했다.[3]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테오도로스
사모스의 로이코스
마이안드로스 강변 마그네시아의 바티클레스
키오스의 글라우코스
키오스의 멜라스
키오스의 미키아데스
키오스의 아케르무스
부팔로스와 아테니스



이 학파의 주목할 만한 현존 작품으로는 1885–1887년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된 유명한 고대 여성 조각상, 브랑키다이의 앉아 있는 조각상, 델로스에서 발견된 아케르무스의 니케, 그리고 D. G. 호가스가 에페소스 아르테미시온의 하부 지층에서 발견한 상아와 전금으로 된 물건들이 있다.[3]

밀레토스에서 발견된 남성 토르소. 파로스 섬산 대리석제. 기원전 480년-기원전 470년경.


그 외에도 아펠레스콜로폰 출신이라고 한다.

5. 1. 철학

이오니아는 기원전 6세기경 탈레스를 비롯한 밀레토스 학파(이오니아 학파)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자연 철학의 발상지가 되었다. 이들은 자연 현상을 신화적 설명 대신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설명하려 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 철학과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38]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에 따르면, 이것은 "최초의 위대한 과학 혁명"이자 비판적 사고의 가장 초창기 예시였으며, 이는 그리스 사상, 그리고 그 이후 현대 사상을 정의하게 되었다.[38]

5. 2. 문학과 예술

이오니아는 저명한 문인과 과학자(이오니아 학파)와 독특한 예술 학교를 배출했다.[3] 호메로스의 출생지는 이오니아(예: 키오스 섬)라고 한다.

이오니아 양식의 예술 학교는 기원전 700년에서 500년 사이에 번성했다.[3]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테오도로스
사모스의 로이코스
마이안드로스 강변 마그네시아의 바티클레스
키오스의 글라우코스
키오스의 멜라스
키오스의 미키아데스
키오스의 아케르무스
부팔로스와 아테니스



이 학파의 주목할 만한 현존 작품으로는 1885–1887년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된 유명한 고대 여성 조각상, 브랑키다이의 앉아 있는 조각상, 델로스에서 발견된 아케르무스의 니케, 그리고 D. G. 호가스가 에페소스 아르테미시온의 하부 지층에서 발견한 상아와 전금으로 된 물건들이 있다.[3]

그 외에도 아펠레스콜로폰 출신이라고 한다.

6. 이오니아 동맹

이오니아 동맹은 12개 도시 국가들로 이루어진 연합체였다. 이들은 종교적, 문화적 목적으로 모였으며, 정치적, 군사적 동맹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 동맹의 주요 특징은 미칼레 산 북쪽 경사면에 위치한 파니오니움 신전에서 열리는 파니오니아 축제에 참여하는 것이었다.[3]

이오니아 동맹에 속한 12개 도시는 다음과 같다.

이오니아 동맹 도시
위치도시
카리아밀레토스, 미우스, 프리에네
뤼디아에페소스, 콜로폰, 레베두스, 테오스, 클라조마네, 포케이아
키오스 섬, 에리트래(소아시아), 사모스 섬



이 동맹은 고졸 시대 말기에 형성되었지만,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시기는 이오니아 이주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으로 등장한 때이기도 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시아의 다른 그리스인들과 구별되는 이오니아인들의 독특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오니아 동맹은 정치적 조직이라기보다는 종교적인 성격이 강했다. 이들은 때때로 함께 행동하기도 했지만, 각 도시의 이익과 우선순위가 이오니아 전체의 이익보다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진정한 연합을 형성하지 못했으며, 탈레스가 제안한 정치적 연합 결성도 거부되었다.[3] 당시의 기록들을 보면, 이오니아인들은 스스로를 "이오니아인"이라고 칭하기보다는 출신 도시를 밝히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7. 현대의 이오니아

1922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이후 이오니아 지역에는 튀르키예인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 그리스에는 이오니아 출신 난민들이 정착한 네아 이오니아, 네아 스미르니 등의 도시가 있다.[1] 이오니아 지역은 현재 튀르키예의 주요 관광지이며, 에페소스 등 고대 그리스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참조

[1] 문서 Ancient Greek]]: Ἰωνία Ἰωνία {{IPA-grc|i.ɔː.ní.aː|}}, ''Iōnía'' or Ἰωνίη, ''Iōníē''; Turkish: İyonya
[2] 웹사이트 1.142 https://www.perseus.[...] Herodotus
[3] 간행물 Ionia (Asia Minor)
[4] 웹사이트 1.143 https://www.perseus.[...] Herodotus
[5] 문서 Herodotus 1.142
[6]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7] 웹사이트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indoeurop[...] Leiden University, the IEEE Project
[8] 서적 Origins: A Short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Ionian https://archive.org/[...] Greenwich House
[9] 간행물 Ἰάoνες http://scholar.harva[...] Acta Linguistica Petropolitana 2006
[10] 문서 Pausanias 7.1
[11] 웹사이트 1.145 https://www.perseus.[...] Herodotus
[12] 문서 Pausanias 7.2
[13] 문서 Pausanias 7.2.8-9
[14] 문서 Pausanias 7.2.10-11
[15] 문서 Pausanias 7.3.3
[16] 문서 Pausanias 7.3.5
[17] 문서 Pausanias 7.3.6
[18] 문서 Pausanias 7.3.7
[19] 문서 Pausanias 7.3.8
[20] 문서 Pausanias 7.3.10
[21] 문서 Pausanias 7.4.1-3
[22] 문서 Pausanias 7.4.8-10
[23] 문서 Pausanias 7.5.1
[24] 웹사이트 Pre-Classical (Archaic) Greece (ca. 750-ca. 490 BC) https://scienceworld[...] Wolfram Research 2024-01-15
[25] 문서 Sargon's inscription in A. Fuchs, Die Inschriften Sargons II aus Khorsabad (1994:40) noted in Robin Lane Fox, Travelling Heroes in the Epic Age of Homer, 2008:29f
[2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31
[27] 웹사이트 1.146 https://www.perseus.[...] Herodotus
[28] 웹사이트 1.147 https://www.perseus.[...] Herodotus
[29] 문서 Sparta's Bitter Victories
[30] 문서 Agesilaus
[31] 문서 Sparta's Bitter Victories
[32] 문서 Agesilaus
[33] 서적 Trouble in the West: Egypt and the Persian Empire, 525–332 B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4] 서적 The Greek World in the Fourth Century: From the Fall of the Athenian Empire to the Successors of Alexan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문서 Xenophon, Hellenica 5.1.31
[36] 웹사이트 Celsus Library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7-02-02
[37] 간행물 Ionia John Wiley & Sons, Inc. 2012-10-26
[38] 서적 Anaximander: And the Birth of Science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02-28
[39] 서적 Explorations in Ottom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0] 문서 The /v/ of Hebrew ''yavan'' supports the generally accepted reconstruction of the early form of the name of the Ionians. See: '' Jewish Language Review'', Volume 3,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Jewish Languages, 1983, p. 89.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