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박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박사(市舶司)는 중국에서 외국 선박을 관리하고 무역을 감독하기 위해 설치된 관청이다. 당나라 때 처음 등장하여, 송, 원, 명,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운영되었다. 당나라에서는 광저우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외국 선박의 종류에 따라 남해박, 바라문박, 사자국박, 파사박 등으로 불렸다. 송나라 때는 남해 무역의 발전에 따라 여러 지역에 시박사가 설치되었고, 원나라에서는 시박제거사로 불리며 운영되었다. 명나라 때는 해금 정책과 함께 시박사의 역할이 축소되었으나, 이후 부활과 폐지를 반복했다. 청나라에서는 해관이 설치되면서 시박사의 기능이 해관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2. 당나라

당나라 시대의 시박(市舶)은 호시박(互市舶) 또는 번박(蕃舶)이라고도 불렸으며, 해마다 교역 등의 목적으로 중국 포구를 찾아왔던 외국 상선들을 총칭하였다. 현종 개원(開元) 2년(714년) 광주에 처음으로 시박사가 설치되었다. 시박사는 시박사(市舶使)나 압번박사(押蕃舶使) 등으로 불렸고, 조정의 칙사나 절도사(節度使)가 겸임하였다. 《광주대사기》(廣州大事記)에는 당 고종 현경(顯慶) 6년(661년)에 이미 광주에 시박사가 설치되어 현지 관리가 바닷길을 통한 국가 간 교역을 총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개원 24년(741년)에는 광주성 서쪽에 번방(蕃坊)이 설치되어, 외국 상인들은 번방에 거주하며 번방사(蕃坊司)와 번장(蕃長)의 관리를 받았다.

대종 대력 4년(769년)에 광저우에 온 시박은 모두 4천 척에 이르렀다. 아랍 상인 술라이만 알 타지르가 지은 《중국과 인도 소식》(851년 저)에 따르면, 항저우에 온 외국 상선의 화물들을 중국 관리들이 여섯 달 동안 보관했다가 계절풍을 따라 들어온 선박들의 입항에 맞춰 30%의 관세를 매겨 징수한 뒤 나머지를 물주에게 돌려주었고, 진귀한 물건이 있으면 중국 당국자들이 일단 싸게 사서 경사(京師)에 주었다고 한다.

2. 1. 외국 선박의 종류

시박은 국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렸다.[1]

종류설명
남해박(南海舶)곤륜박(崑崙舶)이라고도 불렸으며, 동남아시아 선박을 가리킨다.
바라문박(婆羅門舶)인도 선박을 가리킨다.
사자국박(獅子國舶)스리랑카 선박을 가리킨다.
파사박(婆娑舶)페르시아 선박을 가리킨다.



이들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것은 파사박이었으며, 인도양을 지나는 중국 상선이 페르시아인을 선장으로 기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당나라 남방에서는 페르시아인(아랍인 포함)을 박주(舶主)라고 부르기도 했다.[1]

2. 2. 시박사의 설치

현종 개원(開元) 2년(714년)에 교역항으로 번영하던 광주에 처음으로 시박사가 설치되었다. 시박사는 시박사(市舶使)나 압번박사(押蕃舶使) 등으로 불렸고, 조정의 칙사나 절도사(節度使)가 겸임하였다. 《광주대사기》(廣州大事記)에는 당 고종 현경(顯慶) 6년(661년)에 이미 광주에 시박사가 설치되어 현지 관리가 바닷길을 통한 국가 간 교역을 총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개원 24년(741년)에는 광주성 서쪽에 번방(蕃坊)이 설치되어, 무역을 위해 온 외국 상인들은 번방에 거주하며 번방사(蕃坊司)와 번장(蕃長)의 관리를 받았다.

2. 3. 파사박

시박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것은 파사박(페르시아 선박)이었다. 인도양을 지나는 중국 상선이 페르시아인을 선장으로 기용해 항해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당대 중국 남방에서는 페르시아인(아랍인 포함)을 박주(舶主)라고 부르기도 했다.

2. 4. 당나라 시박사의 운영

대종 대력 4년(769년)에 광저우에 온 시박은 모두 4천 척에 이르렀다고 한다. 아랍 상인 술라이만 알 타지르가 지은 《중국과 인도 소식》(851년 저)에 따르면, 항저우에 온 외국 상선의 화물들을 중국의 관리들이 여섯 달 동안 보관했다가 계절풍을 따라 들어온 선박들의 입항에 맞춰 30%의 관세를 매겨 징수한 뒤 나머지를 물주에게 돌려주었고, 진귀한 물건이 있으면 중국 당국자들이 일단 싸게 사서 경사(京師)에 주었다고 한다.

3. 송나라

송나라 시대에는 남해 무역이 발전하면서 시박사 제도 개혁과 정비도 함께 이루어졌다. 송나라의 시박사는 설치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불렸으며, 971년 광주에 광주시박사를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지역에 시박사가 설치되었다.[1]

3. 1. 시박사의 설치 지역

설치 시기지역비고
971년광주광주시박사
999년항주, 명주 (닝보)
신종 희녕(熙寧) 연간수주 감포 (저장성 자싱 시 하이옌 현)
1087년천주, 밀주 (칭다오)
1113년수주 화정 (상하이 쑹장 구)
1145년강음항, 온주남송 시대


4. 원나라

원나라 시대에는 시박제거사(市舶提擧司)라 불렸으며, 대의 밀주를 제외한 일곱 곳의 시박사가 운영되었다. 시박사의 직무는 국내외 상인들의 출입국 심사나 보호 및 관리, 그들이 가져온 화물의 검사와 징세, 금제품 단속과 관매품(官買品) 거래, 외국 사절의 접대 등 몹시 넓은 것이었다.

5. 명나라

명나라는 광주, 천주, 닝보(명주)에 시박제거사를 두었으나, 홍무제가 시박사를 폐지하고 해금정책을 펼치면서 조공 무역만 허용했다. 이로 인해 시박사의 역할은 축소되고, 대부분의 대외 교역은 밀무역으로 이루어졌다.[1] 이후 시박사는 다시 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다 명나라 멸망 때까지 유지되었다.

5. 1. 해금 정책과 시박사의 역할 축소

1374년 홍무 7년, 명나라 태조 홍무제는 명주, 천주, 광주 세 곳의 시박사를 한꺼번에 폐지했다. 명나라는 조공이라는 형태의 공무역 하나만으로 자국의 무역 체제를 유지하고자 했고, 왜구를 막는다는 의미로 외국인과의 교역이나 바다 바깥으로부터의 선박이 오는 것을 막는 해금정책을 펼쳤다. 시박사의 역할은 축소되고, 중국의 대외 교역 대부분은 밀무역으로 행해졌다.[1]

5. 2. 시박사의 복구와 폐지

1403년(영락(永樂) 원년), 명나라는 직례(直隸) 태창(太倉) 황도(黃渡), 복건(福建) 천주, 절강(浙江) 명주, 광동(廣東) 광주, 교지(交趾) 운남(雲南) 등 연해 지역 다섯 곳에 시박사를 다시 설치하였다.[1] 명주는 일본, 천주는 류큐와의 교역을 전담하게 하였으나, 일반 백성들에게는 여전히 해금정책(海禁政策)이 시행되었다.

1523년(가정(嘉靖) 2년), 명 조정은 해금정책을 강화하면서 명주와 천주 두 곳의 시박사를 없애고 광주 시박사만 남겨두었으나, 이마저도 곧 폐지하였다. 30여 년이 지난 1560년(가정 39년)에 회양순무(淮陽巡撫) 당순지(唐順之)의 요청으로 명주, 천주, 광주의 세 시박사가 다시 설치되었다. 그러나 1565년(가정 44년) 절강순무(浙江巡撫) 유기(劉畿)의 요청으로 절강 시박사는 폐지되었다. 복건 시박사도 폐지되었으나 만력 연간에 다시 설치되었다. 이후 명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시박사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6. 청나라

청나라 초기에는 시박사를 두었다. 그러나 1685년 해관이 설치되면서 시박사의 기능은 해관에 통합되었고, 시박사는 폐지되었다.

6. 1. 해관 설치와 시박사의 폐지

1685년 청나라 강남(江南) 상해, 절강 영파, 복건 복주와 하문, 광동 광주 이 네 곳에 해관이 설치되면서 시박사의 기능은 해관에 통합되었고, 시박사는 폐지되었다. 상해 강해관(江海關), 영파 절해관(浙海關)이 설치되고, 복주와 하문 두 곳은 모두 민해관(閩海關) 한 곳에 속했으며, 광주 월해관(粵海關)의 경우 청 조정의 내무부(內務府) 산하 직속으로 관리하였다.[1]

7. 한국 역사와의 관련성

한국의 해상 무역은 삼국시대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