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프랙탈의 한 종류로,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정삼각형에서 시작하여 가운데 삼각형을 제거하고, 남은 작은 삼각형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하거나, 도형을 축소 및 복제하여 만들 수 있다. 카오스 게임, 화살촉 곡선, 세포 자동자, 파스칼의 삼각형, 하노이의 탑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연결되어 나타난다.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무한한 둘레를 가지면서 넓이는 0이며,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약 1.585이다. 3차원 유사체인 시에르핀스키 사면체도 존재하며,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에 의해 1915년에 처음 기술되었다.

2. 구성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삼각형 제거: 정삼각형에서 시작하여 중앙의 작은 정삼각형을 반복적으로 제거한다.
  • 축소 및 복제: 평면 위의 임의의 도형을 축소하고 복제하여 세 개의 복사본을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 카오스 게임: 카오스 게임 알고리즘을 통해 점들을 무작위로 찍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에 근사한 도형을 만든다.
  • 화살촉 곡선: 시에르핀스키 애로우헤드 곡선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 세포 자동자: 규칙 90과 같은 세포 자동자를 이용하여 만든다.
  • 파스칼의 삼각형: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짝수는 흰색, 홀수는 검은색으로 칠해 얻는다.
  • 하노이의 탑: 하노이의 탑 퍼즐의 상태 그래프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2. 1. 삼각형 제거

1. 정삼각형으로 시작한다.

2. 이를 4개의 더 작은 합동 정삼각형으로 세분한다.

3. 남아있는 각 작은 삼각형에 대해 2단계를 무한히 반복한다.

각 제거된 삼각형(트레마)은 위상수학적으로 열린 집합이다.[1] 이 삼각형을 재귀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은 유한 분할 규칙의 한 예이다.

2. 2. 축소 및 복제

평면 위의 임의의 도형(삼각형, 사각형 등)에서 시작하여 다음 단계를 반복하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으로 수렴하는 도형을 만들 수 있다.

# 평면에서 임의의 도형으로 시작한다. 표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수평 축에 평행한 밑변을 가진 정삼각형을 사용한다.

# 도형을 높이 0.5m 및 너비 0.5m로 축소하고 세 개의 복사본을 만든 다음, 세 개의 축소된 도형이 각 도형이 모서리에서 다른 두 도형에 닿도록 배치한다. 이때, 세 개의 축소된 도형이 원래 면적의 0.75m만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중앙에 구멍이 나타난다.

# 각 작은 도형에 대해 2단계를 반복한다.

사각형에서 반복


이 과정은 무한히 반복될 수 있으며, 시작 도형이 꼭 삼각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에서 시작하는 처음 몇 단계도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인다.[2][3]

실제 프랙탈은 무한히 많은 반복 후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 공식적으로는 점의 닫힌 집합에 대한 함수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만약 '''d'''A가 점 A에 대해 0.5m의 비율로 팽창을 나타낸다면, 모서리가 A, B, C인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변환 의 고정된 집합이다.

이것은 매력적인 고정 집합이므로, 이 연산을 다른 집합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면 이미지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으로 수렴한다.

2. 3. 카오스 게임

카오스 게임을 사용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애니메이션 생성


어떤 점을 잡고 각 변환 ''d''A, ''d''B, ''d''C를 무작위로 적용하면, 결과 점들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에 조밀하게 분포하게 되므로, 다음 알고리즘은 다시 임의로 근접한 근사치를 생성할 것이다:[4]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꼭짓점을 '''p'''1, '''p'''2, '''p'''3으로 지정하고, 임의의 점 '''v'''1을 시작한다.

'''v'''''n''+1 = ('''v'''''n'' + '''p'''''rn'')/2. 여기서 ''rn''은 1, 2 또는 3 중 무작위로 선택된 숫자이다. 점 '''v'''1부터 '''v'''까지 그린다. 처음 점 '''v'''1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점이었다면, 모든 점 '''v'''''n''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위에 놓이게 된다. 삼각형의 경계 내에 있는 처음 점 '''v'''1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점이 아니라면, 점 '''v'''''n'' 중 어느 것도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위에 놓이지 않지만, 삼각형에 수렴하게 된다. 만약 '''v'''1이 삼각형 밖에 있다면, '''v'''''n''이 실제 삼각형 위에 놓이게 되는 유일한 방법은 '''v'''''n''이 삼각형이 무한히 크다면 삼각형의 일부가 될 부분 위에 있는 경우이다.
카오스 게임 방법:# 평면에서 세 점을 선택하여 삼각형을 형성한다.

#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을 선택하고 현재 위치로 간주한다.

# 세 개의 꼭짓점 중 임의로 하나를 선택한다.

# 현재 위치에서 선택된 꼭짓점까지의 거리의 절반만큼 이동한다.

# 현재 위치를 그린다.

# 3단계부터 반복한다.

이 방법은 카오스 게임이라고 불리며, 반복 함수 시스템의 한 예이다. 삼각형 외부 또는 내부의 어떤 점에서 시작하든, 결국 몇 개의 남은 점을 제외하고는 시에르핀스키 개스킷을 형성할 것이다(시작 점이 삼각형의 윤곽선 위에 있는 경우 남은 점이 없다). 연필과 종이를 사용하면 약 100개의 점을 찍은 후 간략한 윤곽이 형성되고, 수백 개의 점을 찍은 후에 세부 사항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2. 4. 화살촉 곡선 (Arrowhead construction)

시에르핀스키 개스킷의 애로우헤드 구성


시에르핀스키 개스킷(삼각형)은 코흐 곡선과 비슷하게, 더 간단한 곡선을 반복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평면상의 곡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5]

이 구성은 다음 과정을 따른다.

1. 평면에서 단일 선분으로 시작한다.

2. 곡선의 각 선분을 세 개의 더 짧은 선분으로 반복적으로 대체한다. 이때 두 개의 연속적인 선분 사이 각 접합부에서 120° 각도를 형성하며, 곡선의 첫 번째와 마지막 선분은 원래 선분과 평행하거나 60° 각도를 형성한다.

매 반복마다 이 구성은 연속적인 곡선을 제공한다. 극한에서 이들은 단일 연속적이고 방향을 가진(무한히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추적하는 곡선에 접근하며, 이를 시에르핀스키 애로우헤드라고 한다.[5] 1915년 시에르핀스키의 원래 논문은 곡선(칸토어 곡선)의 예를 보여주는 것이었다.[6][7]

2. 5. 세포 자동자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규칙 90과 같은 특정 세포 자동자에서 나타나며, 콘웨이의 생명 게임과 관련된 것도 포함된다.[8] 예를 들어, 단일 세포에 적용된 생명체와 유사한 세포 자동자 B1/S12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네 가지 근사치를 생성한다.[8] 세포 자동자에서 복제 패턴의 시간-공간 다이어그램은 종종 시에르핀스키 삼각형과 유사하다.[9]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Ulam-Warburton 자동자 및 Hex-Ulam-Warburton 자동자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10]

  • 행의 파스칼의 삼각형을 홀수는 검은색, 짝수는 흰색으로 칠하면,[25]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근사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이 도형의 의 극한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다.[26]
  • 차원의 세포 자동자 중, 규칙 90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생성한다.

2. 6. 파스칼의 삼각형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2n개의 행을 구성하고 짝수는 흰색, 홀수는 검은색으로 칠하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에 대한 근사값을 얻을 수 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패리티에 따라 색칠된 2n행 파스칼 삼각형의 극한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다.[11]

파스칼의 삼각형에서 처음 25(32) 행을 이항 계수가 짝수이면 흰색, 그렇지 않으면 검은색으로 칠하여 얻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5단계 근사

2. 7. 하노이의 탑

하노이의 탑 퍼즐은 세 개의 기둥 사이에서 크기가 다른 디스크를 옮기는 것으로, 작은 디스크 위에 더 큰 디스크가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n개의 디스크 퍼즐 상태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허용된 이동은 무향 그래프, 즉 하노이 그래프를 형성하며, 이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구성에서 n번째 단계 후에 남은 삼각형 집합의 교차 그래프로 기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n이 무한대로 갈 때 이 그래프 시퀀스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이산적인 유사체로 해석될 수 있다.[13]

3. 성질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변의 길이의 합은 무한대이다. 처음 정삼각형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할 때, 두 번째 단계에서 변의 길이는 1.5배가 된다. 이를 무한히 반복하면 길이는 \lim_{n \to \infty} \left(\frac 3 2 \right)^n = \infty (무한대)가 된다.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넓이는 0이다. 처음 정삼각형의 넓이를 S라 할 때, 두 번째 단계에서는 \frac 3 4 S가 된다. 이를 무한히 반복하면 넓이는 \lim_{n \to \infty} \left(\frac 3 4 \right)^n = 0 이 된다.[15]

  • 정수 차원 d에서 객체의 한 변을 두 배로 늘리면 2^d개의 복사본이 생성된다. 1차원 객체는 2개, 2차원 객체는 4개, 3차원 객체는 8개이다.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한 변을 두 배로 늘리면 3개의 복사본이 생성된다. 따라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하우스도르프 차원 \tfrac{\log3}{\log2}\approx 1.585를 가지며, 이는 2^d=3d에 대해 풀어서 얻을 수 있다.[14]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점들은 바리 중심 좌표에서 간단하게 특징지어진다.[16] 이진법으로 표현된 바리 중심 좌표 (0.u_1u_2u_3\dots,0.v_1v_2v_3\dots,0.w_1w_2w_3\dots)에서, 모든 i에 대해 u_i+v_i+w_i=1이면 그 점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안에 있다.

  •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 1.584962…)이며, 1차원과 2차원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은 유한한 면적 안에 무한한 길이를 포함한다. 3차원으로 확장하면 표면적은 일정하며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2이다. 이 때 공동부에 해당하는 입체는 정삼각형 8면을 가진 정팔면체이다.[24] 이는 프랙탈 도형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인체 내 혈관 분기 구조나 장 내벽 등 자연계의 복잡한 구조 중 일부가 근사적인 프랙탈 도형을 갖는 이유로 생각된다.

4. 고차원 유사체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 재귀 (8단계)


'''시에르핀스키 사면체''' 또는 '''테트릭스'''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3차원 유사체이다. 정사면체에서 시작하여 각 모서리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정팔면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여 구성한다.[18]

초기 변의 길이가 L인 사면체로 구성된 테트릭스는 각 반복마다 총 표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변의 길이가 L인 (반복-0) 사면체의 초기 표면적은 L^2\sqrt3이다. 다음 반복은 변의 길이가 \tfrac{L}{2}인 4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되므로 총 면적은 다시 4\bigl(\tfrac{L}{2}\bigr)^2\sqrt3=L^2\sqrt3이다. 이후의 반복은 복사본 수를 다시 4배로 늘리고 변의 길이를 절반으로 줄여 전체 면적을 보존한다. 한편, 구조물의 부피는 매 단계마다 절반으로 줄어들므로 0에 접근한다.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tfrac{\log4}{\log2}=2이다. 여기서 "log"는 자연 로그를 나타내며, 분자는 이전 반복의 각 복사본에서 형성된 모양의 복사본 수의 로그이고, 분모는 이전 반복에서 이러한 복사본이 축소된 비율의 로그이다.[18]

5. 역사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는 1915년에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패턴은 이미 13세기의 코스마테스크 상감 석공예에서 일반적인 모티프로 나타난다.[19]

6. 명칭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지칭하는 '개스킷(gasket)'이라는 단어는 브누아 망델브로트가 만들었는데, 이는 프랙탈이 구멍이 뚫린 형태가 모터의 누출을 방지하는 부품과 유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3]

참조

[1] 웹사이트 Sierpinski Gasket by Trema Removal http://www.cut-the-k[...]
[2] arXiv V-variable fractals and superfractals
[3] 간행물 The Strange New Science of Chaos Public television station WGBH Boston 1989-01-31
[4] 서적 Chaos and Fractals: An Elementary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Proceedings of Graphics Interface '86 / Vision Interface '86 https://blog.itu.dk/[...]
[6] 학술지 Sur une courbe dont tout point est un point de ramification https://gallica.bnf.[...] 1915
[7] 간행물 Imperial Porphiry and Golden Leaf: Sierpinski Triangle in a Medieval Roman Cloister https://www.research[...]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07-07
[8]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El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mbrane Computing (CMC 11)
[9] 학술지 Emergent patterning phenomena in 2D cellular automata 2005-Summer
[10] 학술지 The Sierpinski Triangle and the Ulam-Warburton Automaton
[11] 서적 How to Cut a Cake: And other mathematical conundru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How to Cut a Cake Oxford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Shortest paths in the Tower of Hanoi graph and finite automata
[14] 서적 Fractal geometry: mathematical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John Wiley
[15] 서적 Getting Acquainted with Fractal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6] 웹사이트 Many ways to form the Sierpinski gasket http://www.cut-the-k[...]
[17] 학술지 Patterns in Pascal's Triangle – with a Twist https://www.maa.org/[...]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3-11
[18] 간행물 Communicating with Virtual Worlds Springer
[19] 학술지 The pavements of the Cosmati 1997-12
[20] 서적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https://archive.org/[...] W. H. Freeman
[21] 서적 The Pursuit of Perfect Packing Taylor and Francis
[22] 서적 A Tale of Two Fractals Birkhauser
[23] 서적 Integration and Modern Analysis
[24] 웹사이트 Wolfram Demonstrations Project http://demonstration[...]
[25] 문서 あるいは位数{{Math|2}}の[[有限体]] {{Math|'''F'''{{sub|2}}}} によるパスカルの三角形でもよい。
[26] 서적 How to Cut a Cake: And other mathematical conundru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