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 재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체 재판은 897년, 교황 스테파노 6세가 전임 교황 포르모소의 시신을 재판에 회부한 사건이다. 당시 이탈리아는 정치적 혼란기에 있었고, 교황권은 로마 귀족 가문들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혼란스러웠다. 포르모소는 생전에 교황 요한 8세와 갈등을 겪었고, 정치적 이유로 파문당한 적이 있었다. 시체 재판은 포르모소에게 교회법 위반, 위증,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직 수행 등의 혐의를 적용하여 유죄를 선고하고, 시신을 훼손한 뒤 테베레 강에 던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로마 시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스테파노 6세는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이후 교황 테오도로 2세와 요한 9세는 시체 재판을 무효화하고 포르모소의 명예를 회복시켰지만, 교황 세르지오 3세에 의해 다시 포르모소의 유죄가 인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기독교 -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화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화는 8세기 말부터 12세기에 걸쳐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교회 주도로 시작되어 브레멘과 함부르크의 영향력 속에서 바이킹 시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노르드 신화에 기반한 전통 신앙과 충돌하며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 핀란드 등 각 지역별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독교가 전파되고 정착된 과정을 의미한다. - 9세기 기독교 - 모라비아의 기독교화
시체 재판 | |
---|---|
개요 | |
이름 | 시체 시노드 |
로마자 표기 | Synodus Horrenda (시노두스 호렌다) |
날짜 | 897년 1월 |
장소 | 라테라노 대성당 |
위치 | 로마, 교황령 |
종류 | 사후 교회 재판 |
원인 | 교황 포르모소의 위증 및 불법적인 교황 즉위 혐의 |
결과 | 교황 포르모소의 교황 재임 무효 선언 |
![]() |
2. 역사적 배경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시체 재판이 벌어진 시기는 이탈리아의 정치적 혼란기였다. 이 시기 교황권은 로마 귀족 가문들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특히,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교황이 빈번하게 교체되었는데, 872년부터 965년 사이에 24명의 교황이 임명되었고, 896년부터 904년 사이에는 거의 매년 새로운 교황이 즉위했다.[3] 이러한 짧은 재위 기간은 당시 로마 파벌들의 정치적 술책의 결과였으며, 관련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5][6]
== 교황 포르모소의 생애와 갈등 ==
포르모소는 864년 니콜라오 1세에 의해 포르토-산타 루피나의 주교로 임명되었다.[13] 그는 불가리아 선교에 성공하여 불가리아 통치자 보리스 1세로부터 불가리아 대주교 임명을 요청받기도 했다. 그러나 니콜라오 1세는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제15 교회법을 근거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이 교회법은 주교가 두 개 이상의 교구를 관리하는 것을 금지하여 주교들이 봉건 영주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7]
875년, 대머리 카를의 황제 대관식 직후, 포르모소는 요한 8세를 두려워하여 로마에서 도망쳤다. 876년, 요한 8세는 포르모소와 그의 동료들에게 혐의를 제기하며 파문했다. 요한 8세는 포르모소가 불가리아인들의 마음을 타락시켰고, 교황직을 찬탈하려 했으며, 포르토 교구를 떠나 "국가의 구원과 우리의 사랑하는 카를(대머리 카를)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다고 주장했다.[8][9] 878년 트루아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요한 8세는 파문을 확정했을 가능성이 있다.[10] 나폴리의 아우실리우스에 따르면, 포르모소는 이 공의회에서 용서를 구하며 평신도로 남고 다시는 로마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하지만, 다른 설명에는 포르모소의 참석에 대한 언급이 없고 요한 8세가 그의 파문을 확정했다고만 기록되어 있다.[11][12]
882년 12월 요한 8세가 사망한 후, 포르모소는 포르토 주교직을 재개했고, 891년 10월 6일 교황으로 선출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13] 그러나 요한 8세와의 이전 갈등은 시체 재판에서 제기된 비난의 근거가 되었다.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포르모소의 시신에게 "야심에 찬 정신으로 보편적인 로마 교구를 찬탈했느냐"고 물었는데, 이는 요한 8세가 살아있을 때 포르모소가 교황직을 찬탈하려 했다는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14] 또한 포르모소는 위증을 했고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직을 행사하려 했다는 혐의도 받았다.[15] 이는 포르모소가 878년 트루아 공의회 전에 맹세했다고 전해지는 서약과 관련이 있다.
== 시체 재판의 정치적 배경 ==
시체 재판은 정치적인 동기로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포르모소 교황은 892년에 스폴레토의 람베르토를 신성 로마 제국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다. 람베르토의 아버지인 스폴레토의 가이 3세는 이전에 교황 요한 8세에 의해 즉위했었다.[16] 893년, 가이의 공격성에 불안감을 느낀 포르모소 교황은 카롤링거 왕조의 카린티아의 아르눌프에게 이탈리아를 침략하여 황제 왕관을 받도록 요청했다. 아르눌프의 침략은 실패했고, 가이 3세는 곧 사망했다. 그러나 포르모소 교황은 895년에 아르눌프에게 초청을 다시 보냈고, 이듬해 초 아르눌프는 알프스를 넘어 로마로 진입하여 포르모소 교황에게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 그 후 프랑크 군대가 떠났고, 아르눌프와 포르모소 교황은 896년에 몇 달 간격으로 사망했다. 포르모소 교황의 뒤를 이어 교황 보니파시오 6세가 즉위했지만, 그는 2주 만에 사망했다. 교황 스테파노 6세가 교황이 된 시점에 람베르토와 그의 어머니인 황후 안길트루데가 로마에 입성했고, 그 직후인 897년 초에 시체 재판이 열렸다.
20세기 초까지, 포르모소 교황은 항상 친(親) 카롤링거파였고, 892년 람베르토를 즉위시킨 것은 강요에 의한 것이었으며, 아르눌프의 죽음과 로마에서 카롤링거 권위가 붕괴된 후, 람베르토는 로마에 입성하여 스테파노에게 시체 재판을 소집하도록 강요했는데, 이는 황제 왕관에 대한 그의 주장을 재확인하고, 아마도 포르모소 교황에 대한 사후 복수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17]
그러나 이 견해는 1932년 요제프 두어가 제시한 주장에 따라 현재는 구식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두어는 람베르토가 교황 요한 9세 치하에서 소집된 라벤나 공의회 898에 참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회의에서 시체 재판의 결의가 무효화되었다. 공의회의 서면 ''행전''에 따르면, 람베르토는 무효화에 적극적으로 동의했다. 두어는 "만약 람베르토와 안길트루데가 포르모소 교황의 추락을 기획했다면, 어떻게 [...] 요한 9세가 황제[즉, 람베르토]와 그의 주교들의 승인을 위해 가증스러운 시노드를 비난하는 법규를 따를 수 있었을까? 요한 9세가 죄인들의 면전에서 황제의 참여에 대한 최소한의 언급도 없이 [...] 감히 그 문제를 꺼낼 수 있었을까?"라고 질문했다.[18]
지로라모 아르날디는 포르모수 교황이 전적으로 친 카롤링거 정책을 추구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895년까지 람베르토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관계는 람베르토의 사촌인 스폴레토의 가이 4세가 베네벤토로 진군하여 그곳의 비잔틴인들을 축출했을 때만 악화되었다. 포르모수 교황은 이 공격에 당황하여 아르눌프의 도움을 구하기 위해 바이에른으로 사절을 보냈다.[19] 아르날디는 897년 1월 람베르토와 그의 어머니 안길트루데와 함께 로마에 입성한 가이 4세가 시노드를 주도했다고 주장한다.[20]
2. 1. 교황 포르모소의 생애와 갈등
포르모소는 864년 니콜라오 1세에 의해 포르토-산타 루피나의 주교로 임명되었다.[33] 그는 불가리아인에게 선교 활동을 성공적으로 펼쳐, 불가리아에서 주교직을 요청받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제15조에 따라 주교가 자신의 교구를 떠나 다른 교구를 맡는 것은 금지되었기에, 니콜라오 1세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28]875년, 카를 2세가 황제로 즉위한 직후, 포르모소는 요한 8세의 동향을 두려워하여 로마를 떠났다. 876년, 요한 8세는 포르모소와 그의 동료들이 불가리아인들을 타락시키고, 교황직을 찬탈하려 했으며, 포르토 교구를 버리고 카를 2세에 대한 구제를 방해하려 했다는 이유로 파문했다.[29] 878년 트루아에서 열린 회의에서 요한 8세는 파문을 재확인했다.[30] 나폴리의 아우크실리우스에 따르면, 포르모소는 이 회의에서 용서를 구하며 평신도로 남고 로마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하나, 다른 자료에는 이 내용이 언급되지 않고 요한 8세가 파문을 확인했다고만 기록되어 있다.[31][32]
882년 12월 요한 8세가 사망하면서 포르모소는 포르토 주교직에 복귀했고, 891년 10월 6일 교황으로 선출될 때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33] 포르모소 교황은 892년에 스폴레토의 람베르토를 신성 로마 제국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고, 람베르토의 아버지인 스폴레토의 가이 3세는 이전에 요한 8세에 의해 즉위했었다.[16] 893년 포르모소는 카롤링거 왕조의 카린티아의 아르눌프에게 이탈리아 침략을 요청했고, 아르눌프는 896년 로마에 입성하여 포르모소에 의해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 이후 프랑크 군대가 떠났고, 아르눌프와 포르모소는 몇 달 간격으로 사망했다. 포르모소 사후 교황 보니파시오 6세가 즉위했으나 2주 만에 사망했다.[17]
이후 즉위한 교황 스테파노 6세는 포르모소의 시신에게 요한 8세 사망 이후 "터무니없는 야망을 품고 로마 전역의 교구를 모조리 강탈했는가"라고 추궁했고, 포르모소가 생전에 교황직을 찬탈하려 했다는 요한 8세의 주장을 반영했다.[34] 또한, 포르모소가 위증을 하고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 직무를 수행하려 했다는 혐의도 제기되었는데, 이는 878년 트루아 공의회에서 포르모소가 한 맹세를 언급한 것이었다.[35]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에 일어났으며, 잦은 교황 교체는 로마 내부 파벌 간의 정략과 음모의 결과였다.[27]
2. 2. 시체 재판의 정치적 배경
시체 재판은 일반적으로 정치적인 동기로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16] 포르모소 교황은 892년에 스폴레토의 람베르토를 신성 로마 제국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다. 람베르토의 아버지인 스폴레토의 가이 3세는 이전에 교황 요한 8세에 의해 즉위했었다.[16][36] 893년, 가이의 공격성에 불안감을 느낀 포르모소 교황은 카롤링거 왕조의 카린티아의 아르눌프에게 이탈리아를 침략하여 황제 왕관을 받도록 요청했다. 아르눌프의 침략은 실패했고, 가이 3세는 곧 사망했다. 그러나 포르모수 교황은 895년에 아르눌프에게 초청을 다시 보냈고, 이듬해 초 아르눌프는 알프스를 넘어 로마로 진입하여 포르모수 교황에게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16][36] 그 후 프랑크 군대가 떠났고, 아르눌프와 포르모수 교황은 896년에 몇 달 간격으로 사망했다. 포르모수 교황의 뒤를 이어 교황 보니파시오 6세가 즉위했지만, 그는 2주 만에 사망했다. 교황 스테파노 6세가 교황이 된 시점에 람베르토와 그의 어머니인 황후 안길트루데가 로마에 입성했고, 그 직후인 897년 초에 시체 재판이 열렸다.20세기 초까지 이 사건들에 대한 지배적인 해석은, 포르모수 교황은 항상 친 카롤링거파였고 892년 람베르토를 즉위시킨 것은 강요에 의한 것이었으며, 아르눌프의 죽음과 로마에서 카롤링거 권위가 붕괴된 후, 람베르토는 로마에 입성하여 스테파노에게 시체 재판을 소집하도록 강요했는데, 이는 황제 왕관에 대한 그의 주장을 재확인하고, 아마도 포르모수 교황에 대한 사후 복수를 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이었다.[17][37]
그러나 이 견해는 1932년 요제프 두어가 제시한 주장에 따라 현재는 구식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두어는 람베르토가 교황 요한 9세 치하에서 소집된 라벤나 공의회 898에 참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회의에서 시체 재판의 결의가 무효화되었다. 공의회의 서면 ''행전''에 따르면, 람베르토는 무효화에 적극적으로 동의했다. 두어는 "만약 람베르토와 안길트루데가 포르모수 교황의 추락을 기획했다면, 어떻게 요한 9세가 황제와 그의 주교들의 승인을 위해 가증스러운 시노드를 비난하는 법규를 따를 수 있었을까? 요한 9세가 죄인들의 면전에서 황제의 참여에 대한 최소한의 언급도 없이 감히 그 문제를 꺼낼 수 있었을까?"라고 질문했다.[18][38]
이 입장은 또 다른 학자인 지로라모 아르날디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아르날디는 포르모수 교황이 전적으로 친 카롤링거 정책을 추구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895년까지 람베르토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관계는 람베르토의 사촌인 스폴레토의 가이 4세가 베네벤토로 진군하여 그곳의 비잔틴인들을 축출했을 때만 악화되었다. 포르모수 교황은 이 공격에 당황하여 아르눌프의 도움을 구하기 위해 바이에른으로 사절을 보냈다.[19][38] 아르날디는 897년 1월 람베르토와 그의 어머니 안길트루데와 함께 로마에 입성한 가이 4세가 시노드를 주도했다고 주장한다.[20][39]
3. 시체 재판
897년 1월경, 스테파노 6세는 전임 교황 포르모소의 시신을 묘에서 꺼내 재판을 받기 위해 교황청으로 가져오도록 명령했다. 시신을 왕좌에 앉혀놓고, 한 부제가 사망한 교황을 대신해 답변하도록 임명되었다.[21][40]
포르모소는 교회법을 위반하여 교구를 옮겨다닌 혐의, 위증 혐의,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직을 수행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결국 시신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21][40]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와 다른 자료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시신에서 교황 예복을 벗긴 후, 축복에 사용했던 오른손의 세 손가락을 잘라내고, 포르모소의 모든 행위와 서품(스테파노 6세를 아냐니 주교로 서품한 것을 포함)을 공식적으로 무효화했다.[21][40] 시신은 마침내 외국인 묘지에 묻혔지만, 다시 파내어져 추에 묶인 채 테베레 강에 던져졌다.
리우트프란트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당신은 포르토의 주교였을 때, 어째서 야심을 품고 보편적인 로마 교구를 찬탈했는가?"라고 말했다.[21]
3. 1. 재판 과정과 혐의
897년 1월경, 스테파노 6세는 전임 교황 포르모소의 시신을 묘에서 꺼내 재판을 받기 위해 교황청으로 가져오도록 명령했다. 시신을 왕좌에 앉혀놓고, 한 부제가 사망한 교황을 대신해 답변하도록 임명되었다.[21][40]포르모소는 교회법을 위반하여 교구를 옮겨다닌 혐의, 위증 혐의,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직을 수행한 혐의로 기소되었다.[21][40] 이는 요한 8세와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결국 시신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21][40]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와 다른 자료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시신에서 교황 예복을 벗긴 후, 축복에 사용했던 오른손의 세 손가락을 잘라내고, 포르모소의 모든 행위와 서품(스테파노 6세를 아냐니 주교로 서품한 것을 포함)을 공식적으로 무효화했다.[21][40]
리우트프란트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당신은 포르토의 주교였을 때, 어째서 야심을 품고 보편적인 로마 교구를 찬탈했는가?"라고 말했다.[21]
3. 2. 재판 결과와 처벌
897년 1월경, 스테파노 6세는 전임 교황 포르모소의 시신을 묘에서 꺼내 재판을 받기 위해 교황청으로 가져오도록 명령했다. 시신을 왕좌에 앉혀놓고, 한 부제가 사망한 교황을 대신해 답변하도록 임명되었다.[21][40] 포르모소는 교회법을 위반하여 교구를 옮겨다닌 혐의, 위증 혐의, 평신도 신분으로 주교직을 수행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결국 시신은 유죄 판결을 받았다.[21][40]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와 다른 자료에 따르면, 스테파노 6세는 시신에서 교황 예복을 벗긴 후, 축복에 사용했던 오른손의 세 손가락을 잘라내고, 포르모스의 모든 행위와 서임(스테파노 6세를 아냐니 주교로 서품한 것을 포함)을 공식적으로 무효화했다.[21][40] 시신은 마침내 외국인 묘지에 묻혔지만, 다시 파내어져 추에 묶인 채 테베레 강에 던져졌다.4. 시체 재판의 여파와 영향
끔찍한 시체 재판의 광경은 로마 시민들의 여론을 스테파노 6세에게 불리하게 만들었다. 티베르 강에 던져진 포르모수스의 시신이 강둑으로 떠밀려와 기적을 행하기 시작했다는 소문이 퍼졌다.[22] 결국, 분노한 로마 시민들은 봉기를 일으켰고, 스테파노 6세는 폐위되어 투옥되었다. 스테파노 6세는 897년 7월 또는 8월에 감옥에서 교살되었다.[23]
897년 12월, 교황 테오도로 2세는 시체 재판을 무효화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하여 포르모수스의 명예 회복을 추진했다. 그는 테베레 강에서 건져 올린 포르모수스의 시신에 교황 예복을 입혀 성 베드로 대성당에 다시 매장하도록 명령했다.[24] 898년, 교황 요한 9세 또한 시체 재판을 무효로 하는 두 번의 교회 회의를 로마와 라벤나에서 열었다. 이 회의들은 테오도로 2세의 회의 결과를 승인하고, 시체 재판 기록을 폐기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시체 재판에 관련된 7명의 추기경을 파문했으며, 앞으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것을 금지했다.[24]
그러나 시체 재판 당시 부판사를 맡았던 교황 세르지오 3세는 교황 테오도로 2세와 교황 요한 9세의 판정을 뒤엎고 포르모수스의 유죄를 다시 인정했다.[41] 세르지오 3세는 스테파누스 6세(7세)의 묘비에 그를 칭송하는 글을 새기게 했다.
4. 1. 포르모소의 복권과 명예 회복
897년 12월 교황 테오도로 2세는 시체 재판을 무효화하고, 포르모수스를 복권시키는 시노드를 소집했다. 테오도로 2세는 테베레 강에서 수습한 포르모수스의 시신을 성 베드로 대성당에 교황 예복을 입혀 재매장하라고 명령했다.[24] 898년 교황 요한 9세 또한 시체 재판을 무효화하고, 로마와 라벤나에서 두 차례의 시노드를 소집하여 테오도로 2세의 시노드 결정을 확정했다.[24] 두 시노드는 시체 재판의 ''사료''를 파기하고, 시체 재판에 관여한 7명의 추기경을 파문했으며, 미래에 시체에 대한 재판을 금지했다.[24]그러나 시체 재판 때 주교로서 부판사를 맡았던 교황 세르지오 3세는 테오도로 2세와 요한 9세의 판정을 뒤엎고 포르모수스의 유죄를 다시 인정했다.[41] 스테파누스 6세(7세)의 묘에는 세르지오에 의한 칭찬의 묘비명이 새겨져 있다.
4. 2. 세르지오 3세의 번복
그러나 교황 세르지오 3세(904년~911년)는 교황 테오도로 2세와 교황 요한 9세의 판정을 뒤엎고 포르모수스의 유죄를 다시 인정했다.[41] 세르지오 3세는 시체 재판 당시 주교로서 부판사를 맡았으며, 이 때문에 파문당했다가 나중에 용서받았다. 그는 스테파누스 6세(7세)의 묘에 칭찬의 묘비명을 새기도록 했다.5. 시체 재판에 대한 평가와 현대적 의미
5. 1. 종교와 권력의 관계
5. 2.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5. 3. 법과 정의
5. 4. 사후 심판과 기억의 정치
참조
[1]
문서
For the date cf. Joseph Duhr, "Le concile de Ravenne in 898: la réhabilitation du pape Formose", Recherches de science religieuse 22 (1932), p. 541, note 1.
[2]
웹사이트
The Cadaver Synod: When a Pope's Corpse Was Put on Trial
http://www.atlasobsc[...]
2014-03-03
[3]
간행물
The Cadaver Synod: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digitalcommon[...]
2001-10-31
[4]
웹사이트
In 897, the corpse of a pope was exhumed—to be put on trial: Known as the 'Cadaver Synod,' the posthumous trial of Pope Formosus resulted from the chaos of the ninth century as factions battled for control of the church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9-08-20
[5]
간행물
Popes and ***ocrats: Rome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fmg.ac/phocad[...]
2003
[6]
서적
The papacy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7]
웹사이트
The Cadaver Synod: When a Pope's Corpse Was Put on Trial
https://www.atlasobs[...]
Atlas Obscura
2014-03-03
[8]
문서
John VIII, JE 3041, ed. E. L. E. Caspar, MGH Epistolae Karolini Aevi, vol. 5, p. 327.
[9]
문서
John VIII, Epistolae, ed. Caspar, p. 327.
[10]
문서
The council acta do not survive, but the proceedings are described by Hincmar,Annales, entry for 878, ed. in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Scriptores vol. I, p. 507.
[11]
문서
Auxilius, Auxilius, In defensionem sacrae ordinationis papae Formosi, I. 4, ed. Dümmler, Auxilius und Vulgarius (Leipzig, 1866), p. 64.
[12]
문서
Hubert Mordek and Gerhard Schmitz, "Papst Johannes VIII. und das Konzil von Troyes," in Geschichtsschreibung und Geistiges Leben im Mittelalter: Festschrift für Heinz Löwe zum 65. Geburtstag, ed. Karl Hauck and Hubert Mordeck (Cologne, 1978), p. 212, n 22.
[13]
문서
Dümmler, Auxilius und Vulgarius, p. 6, nn. 5 and 6.
[14]
문서
Liutprand, Antapodosis, I.30, ed. in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evalis, vol 156, p. 23, lines 639-43.
[15]
문서
Council of Ravenna in 898, acta edited by J.D. Mansi,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vol. 18, col. 221.
[16]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2004
[17]
문서
Cf., for example, Duchesne, Les premiers temps de l'état pontifical (Paris, 1904), p. 301; and the detailed account in the old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org/cathen/06139b.htm Pope Formosus]
[18]
문서
Joseph Duhr, "La concile de Ravenne in 898: la réhabilitation du pape Formose", Recherches de science religieuse 22 (1932), p. 546.
[19]
문서
Girolamo Arnaldi, "Papa Formoso e gli imperatori della casa di Spoleto", Annali della facoltà di lettere e filosofia di Napoli 1 (1951), p. 85ff. Portions of this view had been argued earlier by G. Fasoli, I re d'Italia (Florence, 1949), 32ff.
[20]
문서
Arnaldi, "Papa Formoso", p. 103.
[21]
문서
"Quo constituto...formosum e sepulcro extrahere atque in sedem Romani...collocare praecepit. Cui et ait: 'Cum Portuensis esses episcopus, cur ambitionis spiritu Romanam universalem usurpasti sedem?" Liutprand, Antapodosis, I.30 (CCCM 156, p. 23, ll. 639-43). Liutprand of Cremona's is perhaps the most convenient account of synod, though many additional details are furnished by the pro-Formosan Auxilius. Cf. Dümmler's edition, Auxilius und Vulgarius (Leipzig, 1866), chs. IV (p. 63ff) and X (p. 70ff) especially.
[22]
웹사이트
The Cadaver Synod: Putting a Dead Pope on Trial: Why did Pope Stephen VI go to such great lengths to destroy an enemy who was already dead?
https://daily.jstor.[...]
JStor
2019-02-07
[23]
서적
History's Great Untold Stories: Obscure Events of Lasting Importanc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24]
잡지
The Cadaver Synod: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s://digitalcommo[...]
Pete McCommons
2001-10-31
[25]
문서
絵画が制作された時代では「7世」と呼ばれていた。
[26]
문서
For the date cf. Joseph Duhr, “Le concile de Ravenne in 898: la réhabilitation du pape Formose,” Recherches de science religieuse 22 (1932), p. 541 note 1
[27]
간행물
The Cadaver Synod: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digitalcommon[...]
2001-10-31
[28]
문서
John VIII, JE 3041, ed. E.L.E. Caspar, MGH Epistolae Karolini Aevi, vol. 5, p. 327
[29]
문서
John VIII, Epistolae, ed. Caspar, p. 327
[30]
문서
The council acta do not survive, but the proceedings are described by Hincmar,Annales, entry for 878, ed. in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Scriptores vol. I, p. 507
[31]
문서
Auxilius,Auxilius, In defensionem sacrae ordinationis papae Formosi, I.4, ed. Dümmler, Auxilius und Vulgarius (Leipzig, 1866), p. 64
[32]
문서
Hubert Mordek and Gerhard Schmitz, "Papst Johannes VIII. und das Konzil von Troyes," in Geschichtsschreibung und Geistiges Leben im Mittelalter: Festschrift für Heinz Löwe zum 65. Geburtstag, ed. Karl Hauck and Hubert Mordeck (Cologne, 1978), p. 212 n 22.
[33]
문서
Dümmler, Auxilius und Vulgarius, p. 6 nn. 5 and 6
[34]
문서
Liutprand, Antapodosis, I.30, ed. in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evalis, vol 156, p. 23, lines 639-43
[35]
문서
Council of Ravenna in 898, acta edited by J.D. Mansi,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vol. 18, col. 221
[36]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2004
[37]
웹사이트
Pope Formosus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904
[38]
간행물
La concile de Ravenne in 898: la réhabilitation du pape Formose
1932
[39]
문서
Papa Formoso
[40]
기타
Quo constituto...formosum e sepulcro extrahere atque in sedem Romani...collocare praecepit. Cui et ait: ‘Cum Portuensis esses episcopus, cur ambitionis spiritu Romanam universalem usurpasti sedem?
null
[41]
서적
2004
[42]
간행물
Le concile de Ravenne in 898: la réhabilitation du pape Formose
1932
[43]
웹인용
The Cadaver Synod: When a Pope's Corpse Was Put on Trial
http://www.atlasobsc[...]
2014-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