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질은 성격 심리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특성으로, 자극에 대한 빠른 각성 경향, 정서적 불안정, 자기 통제력 부족 등으로 정의된다. 신경질은 자기 보고 척도를 통해 측정되며, 다양한 성격 검사에서 수치 점수로 나타난다. 신경질이 낮은 사람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스트레스에 덜 반응하는 반면, 높은 사람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 자주 경험한다. 신경질은 불안 장애, 기분 장애, 성격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신경질은 부적응적 행동, 특히 감정 조절의 어려움과 연관되어 위험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2. 정의

신경질은 성격 심리학의 여러 모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지만, 그 정의는 다양하다. 어떤 경우에는 자극에 대한 빠른 각성과 각성으로부터의 느린 회복, 특히 부정적인 정서적 각성과 관련하여 정의된다.[8][9] 심리학자 일레인 아론은 "고도로 민감한" 사람들을 이렇게 묘사했는데, 아론은 높은 민감성이 인간 진화에 유용했던 특성으로 보았다.

다른 정의는 정서적 안정 및 긍정성과 대조적으로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성, 또는 부적응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자기 통제력 부족 및 심리적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능력 부족이라는 측면에서 정의되기도 한다.[10]

다양한 성격 검사는 수치 점수를 생성하며, 이러한 점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신경질" 개념에 매핑되는데, 특히 하위 특성 또는 "측면"과 관련하여 과학 문헌에서 약간의 혼란을 야기했다.[10]

예를 들어 성격 특성 이론의 빅 파이브에서 신경증 경향 점수가 높은 사람은 평균적인 사람보다 불쾌하고, 불안, 걱정, 공포, 분노, 좌절, 질투, 죄책감, 우울한 기분, loneliness|고독영어 등의 감정을 경험하기 쉽다고 여겨진다.[57] 이러한 사람들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처리가 서툴고, 작은 불만 등으로부터 지극히 평범한 상황을 절망적으로 어렵게 보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신경증 경향 점수가 높은 사람은 일반적인 정신 장애 (기분 장애, 불안 장애, substance use disorder|물질 의존영어이 연구되고 있다)[58][59]나, 전통적으로 "신경증"이라고 불리는 종류의 증상을 발병할 위험이 있다고 생각된다.[60]

신경증 경향은 성격 이론 내에서 많은 모델에 포함되는 특성이지만, 그 정의는 다양하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의 각성, 즉 자극을 받으면 즉시 arousal|각성영어하고, 각성으로부터의 이완이 늦어지는 경향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또한 정서적 안정성이나 적극성, 혹은 긍정적인 적응과는 대조적으로, 정서적 불안정성이나 소극성, 혹은 부적응에 초점을 맞춘 정의도 있다. 또한 자제력의 부족, psychological stress|심리적 스트레스영어 관리 능력의 부족, 불평불만의 경향이라는 관점에서도 정의된다.[61]

다양한 성격 검사에서 이 특성의 수치 점수가 나오며, 이러한 점수는 신경증 경향의 개념에 다양한 방식으로 매핑되기 때문에, 특히 하위 특성이나 패싯에 관해서 scientific literature|과학 문헌영어에서 약간의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61]

신경증 경향의 점수가 낮은 사람은 정서가 안정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경향이 나타난다. 냉정하고, 평온하며, 긴장이나 동요를 잘 느끼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은 적지만, 긍정적인 감정이 반드시 많은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감정의 점수가 높은 것은 일반적으로 외향성의 독립적인 특성의 요소이다. 예를 들어, 신경증 경향이 높고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 높은 수준에 있으며, 일종의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62][63]

신경증 경향의 패싯(facet, 작은 특성)은 다음과 같다.[64]

낮은 값인 사람의 특징높은 값인 사람의 특징
설명단어패싯단어설명
별로 화를 내지 않는다.온화함분노격정적특히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격하게 감정이 고조된다.
온화하고 자신감이 있는 경향이 있다.자신감불안걱정 많음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이것저것 걱정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에게 대체로 만족한다.만족우울비관적재미없는 것을 자주 생각한다.
욕망이 특히 강하지 않고, 욕망을 제어할 수 있다.자제심이 있음이기적임쾌락주의욕망을 강하게 느끼고 욕망에 유혹되기 쉽다.
당황하는 일은 거의 없고, 대개 자신감이 넘친다.자신감이 넘침자의식 과잉자신을 의식함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민감하다.
예상치 못한 일에도 침착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한다.압박에 강함취약함스트레스 내성 낮음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약하다.


3. 측정

신경증은 개별적인 상태가 아닌 연속적인 차원으로 간주되며, 그 정도는 일반적으로 자기 보고 측정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동료 보고나 제3자 관찰도 사용될 수 있다.[1] 자기 보고 측정은 어휘적이거나[1] 진술 기반[11]일 수 있다.

어휘적 척도는 불안, 시기심, 질투심, 변덕스러움과 같은 신경증적 특성을 반영하는 개별 형용사를 사용한다.[1] 루이스 골드버그는 20단어 척도를 개발했고,[12] Saucier는 더 짧은 8단어 척도를 개발했다.[13] Thompson은 국제 영어 미니 마커를 개발하여 우수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했다.[1]

진술 기반 척도는 더 많은 단어를 포함하며, "압박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거나 "잦은 기분 변화를 겪는" 정도를 묻는 방식이다.[11] 북미 인구에서는 어휘적 척도와 유사한 심리 측정적 특성을 가지지만, 다른 인구 집단에서는 부적합할 수 있다.[14]

신경증은 그레이의 생물 심리학적 성격 이론의 행동 억제 시스템 (BIS) 및 행동 활성화 시스템 (BAS) 척도로도 측정된다.[15][16] 신경증은 BIS 척도와 양의 상관 관계, BAS 척도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17][18]

핵심 자기 평가의 네 가지 차원 중 하나인 신경증은[19] 통제 소재, 자기 효능감, 자존감과 함께 직무 만족 및 직무 성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19][20][21][22][23]

신경증 설문 조사에는 선택 편향의 위험이 있으며,[10] 특권층과 교육받은 인구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증은 놀람 반사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며,[24] 혐오 자극 반응과는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 놀람 반사 측정은 신경증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25] 이는 신경증의 신경학적 기초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4. 정신 질환과의 상관관계

신경증 척도에 사용되는 질문들은 정신 질환, 특히 불안 장애(사회 불안 장애) 및 기분 장애(주요 우울 장애) 평가 도구와 중복된다.[10] 이는 신경증 점수 해석을 어렵게 하고, 신경증과 정신 질환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게 만든다.[10]

2013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높은 신경증은 불안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정신병, 정신 분열증 발병을 예측하지만, 물질 사용 및 비특이적 정신적 고통에 대해서는 예측 가능성이 낮았다.[40][26][2] 이러한 연관성은 정신 질환의 기저 증상 상승과 정신과적 병력을 조정한 후에는 더 작아진다.[2]

2007년 연구에서는 고령 남성에서 신경증의 상승 추세와 전체적인 신경증 증가는 모두 사망률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35]

4. 1. 기분 장애

신경증과 관련된 장애에는 우울증 및 조울증과 같은 기분 장애가 포함된다. 기분 장애는 다른 대부분의 장애보다 신경증과 훨씬 더 큰 연관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2][40] 다섯 가지 대규모 연구에서는 신경증이 높은 아동 및 청소년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27]

특징
불안하고, 취약하며, 긴장하고, 쉽게 겁을 먹는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무너지고, 죄책감을 느끼기 쉽다.
변덕스럽고, 좌절에 대한 인내력이 낮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불안정하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의 유병률과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반응에 관한 특성을 모두 포함한다.[27] 성인의 신경증 또한 보고된 문제의 빈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7]

이러한 연관성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담스(Adams)는 상류층 미국 십 대 소녀들 사이에서 신경증이 섭식 장애 및 자해와 관련이 있는 반면, 가나 십 대 소녀들 사이에서는 더 높은 신경증이 마법적 사고와 적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35]

4. 2. 성격 장애

성격 장애는 5요인 성격 모델에 비추어 분석되기도 하는데, 2004년의 한 메타 분석에서는 신경증적 성향의 증가는 많은 성격 장애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8] 예를 들어 성격 특성 이론의 빅 파이브에서는 신경증 경향의 점수가 높은 사람은 평균적인 사람보다 불안, 걱정, 공포, 분노, 좌절, 질투, 죄책감, 우울한 기분, 고독 등의 감정을 경험하기 쉽다고 여겨진다.[57]

5. 원인에 대한 이론

신경증 경향은 성격 이론에서 다양한 모델에 포함되는 특성이지만, 그 정의는 다양하다. 부정적인 감정의 자극을 받으면 즉시 각성하고 이완이 늦어지는 경향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정서적 안정성과는 대조적으로, 정서적 불안정성이나 부적응에 초점을 맞춘 정의도 있다. 또한 자제력 부족, 심리적 스트레스 관리 능력 부족, 불평불만의 경향으로도 정의된다[61]

여러 성격 검사에서 신경증 경향의 수치가 나오며, 이러한 점수는 신경증 경향의 개념에 다양하게 반영되기 때문에, 특히 하위 특성에 관해서 과학 문헌에서 약간의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61]

신경증 경향이 낮은 사람은 정서가 안정되어 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경향이 있다. 냉정하고 평온하며, 긴장이나 동요를 잘 느끼지 않는다. 긍정적인 감정이 반드시 많은 것은 아니며, 긍정적인 감정은 외향성의 독립적인 특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신경증 경향이 높고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 부정적 감정 모두 높아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경험한다[62][63]

5. 1. 멘탈 노이즈 가설

연구에 따르면 반응 시간의 평균은 신경증 성향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간에 차이가 없지만, 신경증 성향이 높은 개인의 경우 반응 시간 표준 편차에 반영된 수행의 시행 간 변동성이 상당히 더 크다. 즉, 일부 시행에서 신경증적인 개인은 평균보다 빠르고, 다른 시행에서는 평균보다 느리다. 이러한 변동성은 개인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잡음 또는 기본적인 인지 작용(예: 조절 과정)의 불안정성을 반영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잡음은 정신적 몰두와 반응성 과정의 두 가지 원인에서 비롯된다고 제안되었다.[29]

Flehmig et al.(2007)은 일상적인 행동 측면에서 정신적 잡음을 연구하기 위해, 주의력의 실수와 과실의 빈도를 스스로 보고하는 척도인 인지 실패 설문지를 사용했다. "실수"는 제1종 오류이고, "과실"은 제2종 오류이다. 이 척도는 신경증에 대한 두 가지 잘 알려진 척도인 BIS/BAS 척도 및 아이젠크 성격 설문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에 따르면 CFQ-UA(인지 실패 설문-의도하지 않은 활성화) 하위 척도가 신경증과 가장 강한 상관관계(r = .40)를 보였으며 전체 CFQ 점수에 비해 가장 많은 분산(16%)을 설명했으며, 이는 7%만 설명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정신적 잡음이 연상 기억에 의해 내인적으로 유발되는 주의력 실수와 가장 강력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매우 특이적"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즉, 이는 정신적 잡음이 걱정과 몰두와 같은 대부분의 과제와 관련 없는 인지일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30]

5. 2. 진화 심리학

진화 이론은 성격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31] 예를 들어, 우울증의 진화 심리학적 접근 중 하나는 신경증에 초점을 맞추고,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과도한 반응이 생존에 이점을 가졌을 수 있으며, 신경증 수준과 대학교에서의 성공 사이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단, 신경증의 부정적인 영향에 성공적으로 대처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다.[32]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과도한 반응도 생식적 이점을 가져왔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과도한 반응성을 선택했을 수 있다.[40] 네틀(Nettle)은 진화가 신경증의 부정적인 영향이 그 이점을 능가할 때까지 높은 수준의 신경증을 선택했으며, 그 결과 특정 최적 수준의 신경증을 선택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유형의 선택은 신경증의 정규 분포를 초래할 것이므로, 분포의 극단은 최적 수준보다 과도한 신경증을 가진 개인이나 신경증이 너무 낮은 개인일 것이며, 과도한 신경증을 가진 사람들은 우울증의 부정적인 영향에 더 취약할 것이므로, 네틀은 다른 사람들이 가설을 세운 것처럼 우울증 자체가 어떤 진화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세우기보다는 우울증의 존재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32]

5. 3. 공포 관리 이론

공포 관리 이론(TMT)에 따르면 신경증은 무의식적인 죽음 불안에 대한 불안 완충 장치가 불충분하여 주로 발생한다.[33] 이러한 완충 장치는 다음과 같다.

# 죽음 이후의 사회적 연속성, 미래 유산,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과 같이 삶에 지속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적 세계관.

# 문화적 세계관 맥락에서 개인적 가치, 즉 자존감, 지속적인 의미.

TMT는 신경증의 뿌리가 ''호모 사피엔스'' 또는 그 조상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진화적 적응 감수성에 있다는 표준 진화 심리학적 설명에 동의하는 한편, ''호모 사피엔스''가 더 높은 수준의 자기 인식을 달성한 후 신경증이 엄청나게 증가하여 스팬드럴이 되었다고 본다. 이는 적응적인 지능의 비적응적 부산물로, 다른 적응적 기능을 훼손할 수 있는 죽음에 대한 치명적인 인식을 초래했다. 따라서 이 과도한 불안은 지능적으로 창의적이지만 대부분 허구적이고 임의적인 문화적 의미와 개인적 가치에 대한 개념을 통해 완화될 필요가 있었다. 고도로 종교적이거나 초자연적인 세계관은 "우주적" 개인적 중요성과 문자 그대로의 불멸을 제공하므로, 죽음 불안과 신경증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신석기 시대에 시작하여 산업 혁명에 절정에 이르는, 더욱 물질주의적이고 세속적인 문화로의 전환은 신경증을 증가시킨 것으로 간주된다.[33]

6.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

신경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 유전율 추정치는 대략 40%에서 60% 사이이다.[3] 발달 과정에서 정서적 방치나 성적 학대와 같은 어려움은 신경증과 관련이 있다.[3]

한스 아이젠크의 연구에 따르면, 신경증의 개인차 중 약 80%는 유전으로, 20%는 환경으로 결정된다.[34] 아동 및 청소년 심리학에서는 청소년기에 신경증적 성격으로 발달하는 기질적 부정적 정동을 언급한다.[35] 평균적인 신경증 수준은 성격 성숙, 사회적 역할,[36][37] 유전자 발현[38]에 따라 평생 동안 달라진다.

이미징 유전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서는 뇌 구조와 기능의 유전적 변이를 연구한다. 세로토닌 수송체 연결 프로모터 영역 유전자(5-HTTLPR)는 신경증과 관련하여 연구된 유전자이다.[40] 5-HTTLPR의 짧은(s) 변이체는 긴(l) 변이체보다 프로모터 활성이 낮으며, s-변이체가 있으면 편도체 활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0] 그러나 14개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유전자는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를 가지며 표현형 차이의 10%를 차지한다.

신경증의 한 측면인 불안과 부적응적 스트레스 반응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시스템의 조절 장애와 관련하여 연구되고 있다.[40]

7. 역학적 특성

대규모 표본 연구에 따르면 신경증 수준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40][95] 신경증은 나이가 들면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1][95] 이러한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 연구는 아직 수행되지 않았으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40][94] 2010년의 한 검토에서는 성별 간의 성격 차이가 "작고 중간 정도"이며, 이 중 가장 큰 것은 친화성과 신경증 특성에서 나타난다고 밝혔다.[42][96] 선진국에서 남녀 간 성격 차이가 개발도상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외향성, 신경증, 사람 대 사물 지향성 등 세 가지 특성의 차이는 경제 발달 수준과 관계없이 일관성을 보여 "생물학적 요인의 영향 가능성"과 일치한다.[42][96] 세 가지 문화 간 연구에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여성의 신경증 수준이 더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42][96]

2016년의 한 검토에서는 지리적 문제를 조사했는데, 미국에서는 신경증이 미들 애틀랜틱 주와 남부에서 가장 높고 서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반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민족적으로 다양한 미들 애틀랜틱, 뉴잉글랜드, 서부 해안, 그리고 도시 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마찬가지로, 영국에서는 신경증이 도시 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으로 지리적 연구는 낮은 신경증과 기업가 정신 및 경제적 활력 사이의 상관관계, 그리고 높은 신경증과 건강 상태 불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한다. 이 검토에서는 지역 문화 및 경제 조건과 심리적 건강 간의 인과 관계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43][97]

2013년의 한 검토에서는 젊은 성인에게 높은 수준의 신경증이 기분 장애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이라고 밝혔다. 신경증은 또한 인터넷 중독 장애를 발병시키는 가능한 위험 요인이다.[44] 이갈이와 신경증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심한 이갈이는 높은 신경증 수준과 관련이 있다.[46]

8. 부적응적 (위험) 행동

신경증은 개인이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부적응적 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다.[47] 신경증 수치가 높은 사람은 불안, 과잉 사고, 과민성, 충동성을 보인다.[48] 연구에 따르면 신경증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수명이 짧고, 이혼 가능성이 높으며, 교육 수준이 낮다.[49] 이들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처하기 위해 미루기, 약물 남용 등 부적응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50] 이러한 내적 압력은 정서 조절의 어려움을 겪게 하고, 이탈(위험) 행동을 유발한다.[50]

신경증은 불안을 포함하기 때문에 불안 기반의 부적응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52] 신경증 수치가 높은 개인은 위험한 행동과 같은 단기적인 해결책을 선호하고 장기적인 비용을 무시할 수 있다.[53]

이는 충동성과 관련이 있으며, 충동성의 특징 중 하나인 긴급성은 부정적인 감정을 처리하면서 충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강한 충동을 경험하게 한다. 긴급성에는 긍정적 긴급성과 부정적 긴급성이 있는데, 긍정적 긴급성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고, 부정적 긴급성은 그 반대이다.[54][55][56] 연구에 따르면 신경증은 부적응적 행동으로 생성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참조

[1]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2008-10
[2]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https://zenodo.org/r[...] 2016-10
[3] 논문 Neuroticism and common mental disorders: meaning and utility of a complex relationship 2013-07
[4] 서적 The Psychology of Personality: Viewpoints, Research,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2-20
[5] 논문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1998-09
[6]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mind and behaviour https://books.googl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9
[7] 논문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1998-09
[8] 논문 Neuroticism is a fundamental domain of personality with enormous public health implications 2017-06
[9] 논문 Neuroticism and common mental disorders: Meaning and utility of a complex relationship 2013-07
[10] 논문 Interpreting neuroticism scores across the adult life course: immutable or experience-dependent set points of negative affect? https://research.rug[...] 2012-02
[11]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12]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13] 논문 Mini-markers: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1994-12
[14] 논문 Cross-cultural generalizability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EO PI-R for Koreans
[15] 간행물 A critique of Eysenck's theory of personality, In H.J. Eysenck (Ed.) ''A model for personality'' (pp 246–276) 1981
[16] 간행물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An enquiry into the functions of the septo-hippocampal system.' 1982
[17] 논문 Error-related ERP componen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punishment and reward sensitivity 2006-07
[18] 논문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 The BIS/BAS Scales
[19] 논문 The dispositional causes of job satisfaction: A core evaluations approach
[20] 논문 Core self-evaluations: A review of the trait and its role i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21] 논문 A state-trait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s
[22] 논문 Dispositional effects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the role of core evaluations 1998-02
[23] 논문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traits--self-esteem, generalized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2001-02
[24] 웹사이트 The role of neuroticism in startle reactions to fearful and disgusting stimuli http://www.philipcor[...]
[25] 논문 Personality and affective modulation of the startle reflex 1995-10-01
[26] 논문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2010-09
[27] 서적 Temperament and Personality, in Rutt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th ed)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Limited 2011
[28] 논문 Neurogenetic and experiential processes underlying major personality traits: implications for modelling personality disorders 2011-06
[29] 논문 Neuroticism as mental noise: a 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s 2005-07
[30] 논문 Neuroticism and the mental noise hypothesis: Relationships to lapses of attention and slips of action in everyday life http://journaldataba[...]
[31] 논문 Evolutionary personality psychology
[32] 논문 Darwinian models of depression: a review of evolutionary accounts of mood and mood disorders 2006-07
[33] 논문 Thirty years of terror management theory: From genesis to revelation. https://www.research[...] Academic Press 2015-01
[34] 논문 The inheritance of neuroticism: an experimental study 1951-07
[35] 논문 Personality development: continuity and change over the life course
[36] 논문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2006-01
[37]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across the adult life span: parallels in five cultures 1999-03
[38]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inuity in personality development: a meta-analysis 2014-09
[39] 논문 Neuroticism and the brain: a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neuroimaging studies investigating emotion processing 2013-09
[40] 논문 Th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basis of neuroticism: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2013-01
[41] 논문 Age differences in the Big Five across the life span: evidence from two national samples 2008-09
[42]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nterests: When, Where, and Why?: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nterests 2010-11
[43] 논문 Geographical psychology 2020-04
[44] 논문 Neuroticism in the digital age: A meta-analysis
[45] 웹사이트 Red Is Open-Minded, Blue Is Conscientious: Predicting User Traits From Instagram Image Data https://aclanthology[...] 2022-05-13
[46] 논문 The phenotype, psychotype and genotype of bruxism 2018-03
[47] 논문 A motivational perspective on risky behavior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affect regulatory processes 2000-12
[48]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 theory and research https://www.worldcat[...] Guilford Press 1999
[49] 논문 Personality change influences mortality in older men 2007-05
[50] 논문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as antecedents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in adulthood http://journals.sage[...] 2001
[51] 서적 Handbook of personality : theory and research https://www.worldcat[...] Guilford Press 1999
[52] 논문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Health-Risk Behaviours in Adolescents 2022-01-02
[53] 논문 Mood Instability and Trait Anxiety as Distinct Components of Eysenckian Neuroticism With Differential Relations to Impulsivity and Risk Taking 2020-05-03
[54] 논문 Integration of impulsivity and positive mood to predict risky behavi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positive urgency 2007-03
[55] 논문 Emotion-based dispositions to rash action: positive and negative urgency 2008-11
[56] 논문 Mood-based rash action and its components: Positive and negative urgency 2007
[57]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English Big-Five Mini-Markers 2008-10
[58] 논문 Neuroticism's prospective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s halves after adjustment for baseline symptoms and psychiatric history, but the adjusted association hardly decays with time: a meta-analysis on 59 longitudinal/prospective studies with 443 313 participants https://zenodo.org/r[...]
[59] 논문 Neuroticism and common mental disorders: Meaning and utility of a complex relationship
[60] 서적 The Psychology of Personality: Viewpoints, Research,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2009-02-20
[61] 논문 Interpreting neuroticism scores across the adult life course: immutable or experience-dependent set points of negative affect? https://pure.rug.nl/[...] 2012-02
[62]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mind and behaviour https://books.google[...]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09
[63] 논문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64] 웹사이트 Big Five Personality Facets: Descriptions of High and Low Values https://web.archive.[...] 2019-11-25
[65] 논문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the future of public-domain personality measures https://linkinghub.e[...] 2006-02
[66] 논문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67] 논문 Mini-Markers – a brief version of Goldberg's unipolar big-five markers
[68] 논문 Cross-cultural generalizability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EO PI-R for Koreans
[69] 간행물 A critique of Eysenck's theory of personality, In H.J. Eysenck (Ed.) ''A model for personality'' (pp 246–276) 1981
[70] 간행물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An enquiry into the functions of the septo-hippocampal system. 1982
[71] 논문 Error-related ERP componen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punishment and reward sensitivity 2006-06
[72] 논문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 The BIS/BAS Scales
[73] 논문 The dispositional causes of job satisfaction: A core evaluations approach
[74] 논문 Core self-evaluations: A review of the trait and its role i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75] 논문 A state-trait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s
[76] 논문 Dispositional effects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The role of core evaluations
[77] 논문 Relationship of core self-evaluations traits—self-esteem, generalized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stability—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2001
[78] 웹사이트 The role of neuroticism in startle reactions to fearful and disgusting stimuli http://www.philipcor[...] 2022-03-08
[79] 논문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80] 서적 Temperament and Personality, in Rutt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th ed)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Limited 2011
[81] 논문 Neurogenetic and experiential processes underlying major personality traits: implications for modelling personality disorders 2011-06
[82] 논문 Neuroticism as mental noise: a 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s
[83] 논문 Neuroticism and the mental noise hypothesis: Relationships to lapses of attention and slips of action in everyday life http://journaldataba[...]
[84] 논문 Evolutionary personality psychology
[85] 논문 Darwinian models of depression: A review of evolutionary accounts of mood and mood disorders
[86] 간행물 Seven dimensions of personality pathology are under sexual selection in modern Spain. 2016
[87] 웹사이트 Thirty Years of Terror Management Theory https://www.research[...]
[88] 간행물 1951-07
[89] 논문 Personality Development: Continuity and Change Over the Life Course
[90] 논문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2006
[91] 논문 Age Differences in Personality Across the Adult Life Span: Parallels in Five Cultures
[92]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tinuity in personality development: A meta-analysis
[93] 논문 Neuroticism and the brain: a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neuroimaging studies investigating emotion processing 2013-09
[94] 논문 Th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basis of neuroticism: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2013-01
[95] 논문 Age Differences in the Big Five Across the Life Span: Evidence from Two National Samples 2008
[96]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nterests: When, Where, and Why?: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nterests 2010-11
[97] 논문 Geographical Psychology 201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