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 자유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교 자유령은 1687년과 1688년 제임스 2세가 발표한 종교적 관용 선언이다. 1687년 선언은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에서 발표되었으며, 국왕의 주권적 권위를 강조하며 종교적 자유를 부여했다. 1688년 선언은 성공회의 반발을 샀으며, 캔터베리 대주교와 다른 주교들이 반대 청원을 제출하기도 했다. 명예혁명으로 제임스 2세가 폐위되면서 이 선언들은 무효가 되었고, 권리 장전은 국왕의 정지권을 폐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교 자유령 | |
---|---|
선언 정보 | |
이름 | 신교 자유령 (Declaration of Indulgence) |
다른 이름 | 관용 선언 (Declaration for Liberty of Conscience) |
발표 국가 | 잉글랜드 왕국 |
발표 연도 | 1687년 |
발표 주체 | 제임스 2세 |
유형 | 왕의 선언 |
목적 | 종교적 관용 증진 |
내용 | 특정 종교 법규 면제 및 공직 취임 허용 |
역사적 배경 | |
이전 선언 | 1672년 관용 선언 (찰스 2세) |
주요 내용 | 모든 종교 박해 중단 특정 맹세 및 자격 요건 면제 공직에서 신교도 및 가톨릭교도 배제 금지 |
영향 및 결과 | |
의회 반발 | 성공회 주교들의 반대 |
정치적 결과 | 명예 혁명의 원인 중 하나 |
법적 효력 | 법적 구속력 없음 (왕의 특권에 의존) 의회의 승인 없이 시행 |
후속 조치 | 1689년 관용법 제정 (의회 승인) 신교 자유는 인정, 가톨릭교는 차별 유지 |
논란 및 비판 | |
비판 | 왕권 강화 시도라는 비판 존재 |
지지 | 종교적 소수 집단 (가톨릭, 비국교도)의 지지 |
추가 정보 | |
관련 인물 | 윌리엄 3세 메리 2세 |
관련 사건 | 명예 혁명 |
2. 1687년 관용 선언
1687년, 제임스 2세는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에서 각각 관용 선언(Declaration of Indulgence)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은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국교도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부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2. 1. 스코틀랜드의 상황
스코틀랜드의 장로교도들은 처음에는 관용 칙령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국왕은 6월 28일에 칙령을 다시 발행하여 장로교도들에게 가톨릭교도와 동일한 자유를 부여했다. 언약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장로교도들은 이를 수용했다.[5] 하지만 이 관용 칙령은 신하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부여하는 것 외에도, 국왕의 "주권적 권위, 왕실 특권 및 절대적인 권력을 재확인하며, 모든 신하들은 이를 조건 없이 따라야 한다"고 명시했다.[6] 이는 절대 왕정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7]영국에서 발표된 관용 칙령은 대부분의 비국교도들에게 환영받았지만, 스코틀랜드의 경우 장로교도들은 이를 전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더 망설였다. 관용 조치가 단지 국왕의 자의적인 의지에만 달려 있다는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8]
3. 1688년 관용 선언과 명예혁명
1688년 4월 27일, 제임스 2세는 잉글랜드 관용 선언을 다시 발표했으나, 이는 성공회 신자들의 공개적인 반발을 샀다. 교회에서 관용 선언을 읽는 성직자는 거의 없었다.[9]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샌크로프트와 다른 여섯 명의 주교가 관용 선언의 불법성을 주장하며 국왕에게 청원서를 제출하는 7명의 주교 사건이 발생했다. 제임스 2세는 이들을 반역 및 선동 혐의로 재판에 넘겼지만, 주교들은 무죄로 풀려났다.[10] 당시 많은 장로교 신자들은 국왕의 의도에 회의적이었으나, 퀘이커와 침례교를 포함한 다른 이교도들은 관용 선언에 대해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11]
결국 제임스 2세가 명예혁명으로 폐위되면서 이 관용 선언들은 무효가 되었다. 이후 제정된 권리 장전은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권한(정지권)을 폐지했다.[12]
3. 1. 7주교 사건
1688년 4월 27일, 잉글랜드의 관용 선언이 재발행되자 성공회 신자들은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교회에서 관용 선언을 낭독하는 성직자는 거의 없었다.[9]윌리엄 샌크로프트 캔터베리 대주교와 다른 6명의 주교들은 관용 선언이 불법임을 주장하는 청원서를 국왕 제임스 2세에게 제출했다. 이에 제임스 2세는 7명의 주교를 반역과 선동 혐의로 재판에 회부했지만, 주교들은 무죄로 풀려났다.[10] 이는 당시 국왕의 권위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여겨졌다.
한편, 많은 장로교 신자들은 국왕의 의도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퀘이커와 침례교를 포함한 다른 이교도들은 관용 선언에 대해 국왕에게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11]
결국 제임스 2세가 명예혁명으로 폐위되면서 이 선언들은 무효가 되었다. 이후 권리 장전은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권한(정지권)을 폐지했다.[12]
3. 2. 명예혁명과 권리 장전
제임스 2세가 1688년 4월 27일 잉글랜드 관용 선언을 다시 발표하자 성공회 신자들은 공개적으로 반발했으며, 교회에서 이 선언을 낭독하는 성직자는 거의 없었다.[9]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샌크로프트와 다른 여섯 명의 주교는 관용 선언이 불법이라는 청원서를 국왕에게 제출했다. 이에 제임스 2세는 7명의 주교를 반역과 선동 혐의로 재판에 넘겼으나, 주교들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10] 당시 많은 장로교 신자들은 국왕의 의도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지만, 퀘이커와 침례교를 포함한 다른 비국교도들은 관용 선언에 대해 국왕에게 감사를 표했다.[11]그러나 명예혁명으로 제임스 2세가 폐위되면서 그가 발표했던 관용 선언들은 모두 무효가 되었다. 이후 의회는 권리 장전을 제정하여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권한(정지권)을 폐지했다.[12] 이는 영국 역사에서 왕권을 제한하고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참조
[1]
간행물
Of Different Complexions: Religious Diversity and National Identity in James II's Toleration Campaign
https://dash.harvard[...]
2009
[2]
서적
Revolution: The Great Crisis of the British Monarch, 1685–1720
Allen Lane
2006
[3]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 From the Restoration to the Death of William III 1660–1702
1910
[4]
서적
Making Toleration: The Repealers and the Glorious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Revolution: The Great Crisis of the British Monarch, 1685–1720
Allen Lane
2006
[6]
문서
A Proclamation (James VII) Declaration of Indulgence
[7]
서적
British political thought in history, literature and theory, 1500–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Revolution: The Great Crisis of the British Monarch, 1685–1720
Allen Lane
2006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tuart England, 1603–89
Greenwood Press
1996
[10]
서적
William and Mary
Weidenfeld & Nicolson
1974
[11]
서적
Making Toleration: The Repealers and the Glorious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12]
문서
Stat. 1 W. & M. sess. 2. c 2.
[13]
서적
Revolution: The Great Crisis of the British Monarch, 1685–1720
Allen Lan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