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명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1년 문과에 급제하여 1587년 좌참찬을 지냈다. 1589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수습하여 평난공신이 되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도원수로 한강 방어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이후 명나라 원병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이순신의 재기용을 주장했다. 최종적으로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160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도원수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조선의 도원수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권율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 권율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1534년 출생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34년 출생 - 스즈키 마고이치
    스즈키 마고이치는 스즈키 씨 일족이 주로 계승한 사이카슈의 두령 칭호로, 여러 인물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중 이시야마 합전에서 활약한 스즈키 시게히데가 가장 유명하며, 스즈키 시게자네, 스즈키 요시카네, 스즈키 시게토모 등도 관련 인물로 여겨진다.
김명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김명원
한자 이름金命元
응순
주은
관직 정보
좌의정임기 시작: 1601년 6월 16일
임기 종료: 1603년 1월 21일
이전: 이헌국
이후: 윤승훈
우의정임기 시작: 1600년 7월 10일
임기 종료: 1601년 6월 1일
이전: 이헌국
이후: 윤승훈
개인 정보
출생1534년
사망1603년 1월 21일
국적조선

2. 생애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1년 식년문과에 급제해 1569년 종성 부사가 되고 내외직을 거쳐 1587년 좌참찬으로 의금부지사를 겸했다. 1589년 정여립모반 사건을 수습해 평난공신 3등에 책록되고 경림군에 봉해졌다. 김만균의 아들이자 이황의 문인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조선의 정예군인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이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는 바,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

불과 1천여 명으로 4만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는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진다.[5] 이때 김명원은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다. 그러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인해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어 버렸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 부장 신길, 유극량 등이 전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 이 와중에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를 받아 비변사에 의해 참형에 처해졌다가,[8] 나중에 무슨 이유에선지 복권되었다.[9]징비록》에 따르면 이때 조정에서 신각의 참수를 주도한 것은 우의정 유홍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짓된 장계를 올린 사람은 역시 김명원이었다. '한강 방어의 책임을 맡았다가 도주한 김명원 같은 자들'이라 하여 도주도망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하였고, 명나라 원병을 지휘한 조승훈, 순찰사 이원익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했다.[10] 1593년 송응창, 이여송이 지휘하는 명나라 원병이 오자 명나라 장수들의 자문에 응하고 이후 체직되어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이후 호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역임했다. 판서 재임 중이었던 음력 7월 14일, 임진왜란 초기의 패전 책임을 지고 사간원에게 탄핵을 당했는데, 이때 실록을 보면 “김명원은 사람됨이 지나치게 순후하여 원수에는 적임자가 아니었다”는 주석이 달려 있다.[12] 선조는 김명원이 공을 세우지는 못했으나 고생을 많이 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기각했다고 한다.[13]

1597년 요시라의 공작으로 파직된 이순신이 감옥에서 풀려나자 정탁, 유성룡, 심희수, 노직 등과 함께 그를 위로하였다.[14] 같은 해 칠천량 해전으로 원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이 전멸하자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이 당황하여 대답할 바를 모르는데 김명원과 이항복만이 이순신을 다시 통제사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자 왕이 이에 따랐다.[15] 이후 병조판서, 유도대장을 겸했고 좌찬성, 이조판서, 우의정을 거쳐 1601년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의정에 이르렀다가 이듬해 음력 11월 1일 죽었다. 졸기에서는 때에 따라 판단의 부침이 심하다는 비방을 받았으나 풍도가 뛰어나 재상의 그릇이라고 평가받았다.[16] 정승에 오른 뒤에도 이룬 것은 없었으나 마음이 아름다워 남을 해치려 하지 않았다 한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558년(선조 1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1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569년 종성 부사가 되고 내외직을 거쳐 1587년 좌참찬으로 의금부지사를 겸했다. 1589년 정여립모반 사건을 수습하여 평난공신 3등에 책록되고 경림군에 봉해졌다. 김만균의 아들이자 이황의 문인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은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는 바,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4]

1천여 명으로 4만 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는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진다.[5] 이때 김명원은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다. 그러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었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하고, 부장 신길, 유극량 등이 전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 이 와중에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를 받아 비변사에 의해 참형에 처해졌다가,[8] 나중에 무슨 이유에선지 복권되었다.[9]징비록》에 따르면 이때 조정에서 신각의 참수를 주도한 것은 우의정 유홍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짓된 장계를 올린 사람은 역시 김명원이었다. '한강 방어의 책임을 맡았다가 도주한 김명원 같은 자들'이라 하여 도주도망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2. 2. 기축옥사 수습 및 평난공신 책록

1589년 정여립모반 사건을 수습하여 평난공신 3등에 책록되고 경림군에 봉해졌다.[4] 임진왜란 발발 직후, 김명원은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 방어선을 구축했으나,[4] 탄금대 전투에서 신립이 이끄는 조선군이 패배한 후, 한양 방어는 사실상 시간벌기용이었다.[4]

1천여 명의 병력으로 4만 명의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김명원을 비롯한 지휘관들은 흩어졌다.[5]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하려 했으나, 다른 장수들과의 연락 두절로 인해 임진강 전투에서 패배하고 북쪽으로 도망갔다.[6][7] 이 과정에서 부장 신길, 유극량 등이 전사했다.[7] 한편,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받아 처형당했다가 복권되었는데,[8][9]징비록》에는 유홍이 신각의 참수를 주도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거짓 장계를 올린 것은 김명원이었다.[9]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 명나라 원병과 함께 평양성 전투에 참여했으나 패배했다.[10] 1593년 명나라 원병이 도착하자 자문에 응하고,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호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역임하던 중, 임진왜란 초기의 패전 책임을 지고 탄핵당했으나, 선조는 김명원의 공로를 인정하여 탄핵을 기각했다.[12][13]

1597년 정유재란 발발 직후, 이순신이 파직되었다가 풀려나자 그를 위로했으며,[14] 칠천량 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전멸하자 이항복과 함께 이순신을 통제사로 복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여 관철시켰다.[15]

2. 3. 임진왜란 발발과 한강 방어 실패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조선의 정예군인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이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는 바,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

불과 1천여 명으로 4만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는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진다.[5] 이때 김명원은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다. 그러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인해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어 버렸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 이 와중에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를 받아 비변사에 의해 참형에 처해졌다가,[8] 나중에 무슨 이유에선지 복권되었다.[9]징비록》에 따르면 이때 조정에서 신각의 참수를 주도한 것은 우의정 유홍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짓된 장계를 올린 사람은 역시 김명원이었다. '한강 방어의 책임을 맡았다가 도주한 김명원 같은 자들'이라 하여 도주도망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2. 4. 임진강 전투 패배와 엇갈린 평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김명원은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조선의 정예군인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이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으므로,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

1천여 명의 군사로는 4만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졌다.[5] 이때 김명원은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다. 그러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인해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었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하여 부장 신길, 유극량 등이 전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

이 와중에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를 받아 비변사에 의해 참형에 처해졌다가,[8] 나중에 무슨 이유에선지 복권되었다.[9]징비록》에 따르면 이때 조정에서 신각의 참수를 주도한 것은 우의정 유홍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거짓된 장계를 올린 사람은 역시 김명원이었다. '한강 방어의 책임을 맡았다가 도주한 김명원 같은 자들'이라 하여 도주도망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하였고, 명나라 원병을 지휘한 조승훈, 순찰사 이원익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했다.[10] 1593년 송응창, 이여송이 지휘하는 명나라 원병이 오자 명나라 장수들의 자문에 응하고 이후 체직되어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판서 재임 중이었던 음력 7월 14일, 임진왜란 초기의 패전 책임을 지고 사간원에게 탄핵을 당했는데, 이때 실록을 보면 “김명원은 사람됨이 지나치게 순후하여 원수에는 적임자가 아니었다”는 주석이 달려 있다.[12] 선조는 김명원이 공을 세우지는 못했으나 고생을 많이 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기각했다고 한다.[13] 졸기에서는 때에 따라 판단의 부침이 심하다는 비방을 받았으나 풍도가 뛰어나 재상의 그릇이라고 평가받았다.[16] 정승에 오른 뒤에도 이룬 것은 없었으나 마음이 아름다워 남을 해치려 하지 않았다 한다.

2. 5. 평양성 전투 참여와 명나라 군사 자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은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는 바,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 1천여 명으로 4만 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는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진다.[5]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으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인해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었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7]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하였고, 명나라 원병을 지휘한 조승훈, 순찰사 이원익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했다.[10]

1593년 송응창, 이여송이 지휘하는 명나라 원병이 오자 명나라 장수들의 자문에 응하고 이후 체직되어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2. 6. 전후 관직 활동과 이순신 재등용 주장

155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1년 식년문과에 급제, 1569년 종성 부사가 된 후 여러 내외직을 거쳤다. 1587년 좌참찬으로 의금부지사를 겸했으며, 1589년 정여립모반 사건을 수습하여 평난공신 3등에 책록되고 경림군에 봉해졌다.[4]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음력 4월 29일 도원수가 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상황에서,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의 몽진 시간을 벌기 위한 것이었다.

1천여 명의 병력으로 4만 명의 일본군을 막을 수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자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흩어졌다.[5]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치려 했으나, 전쟁의 혼란 속에서 다른 지휘관들과 연락이 두절되었다.[6][7] 결국 김명원은 임진강에서 패배하고(임진강 전투) 북쪽으로 도망갔다.[7] 이 과정에서 신각은 적전도주자로 오해받아 참형당했다가 복권되었는데,[8][9]징비록》에는 우의정 유홍이 참수를 주도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거짓 장계를 올린 것은 김명원이었다.[9]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 명나라 원병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10]

1593년 송응창, 이여송이 이끄는 명나라 원병이 오자 자문에 응하고, 이후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호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역임했으며, 판서 재임 중 임진왜란 초기 패전 책임을 지고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으나, 선조는 김명원이 고생했다는 이유로 기각했다.[12][13]

1597년 요시라의 공작으로 파직된 이순신이 풀려나자 정탁, 유성룡, 심희수, 노직 등과 함께 그를 위로하였다.[14] 같은 해 칠천량 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전멸하자, 김명원은 이항복과 함께 이순신을 다시 통제사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여 왕이 이를 따랐다.[15] 이후 병조판서, 유도대장을 겸했고 좌찬성, 이조판서, 우의정을 거쳐 1601년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의정에 이르렀다가 이듬해 음력 11월 1일 죽었다. 졸기에서는 판단의 부침이 심하다는 비방을 받았으나, 풍도가 뛰어나 재상의 그릇이라고 평가받았다.[16]

2. 7. 말년 및 사망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로 임명되었고, 이어 음력 4월 29일 도원수에 임명되어 한강에 주둔하였다.[4] 그러나 탄금대 전투에서 경군 기병대가 전멸하고 도순무사 신립이 자살한 것이 이미 하루 전인 음력 4월 28일이었는 바,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 도검찰사 이양원의 한강 배치는 선조를 비롯한 조정이 한양을 포기하고 몽진할 때까지 한강 방어선에서 시간을 끌기 위함이었다.

불과 1천여 명으로 4만명의 일본군을 당해낼 수는 없었고, 방어선이 무너지는 가운데 김명원, 신각, 이양원은 모두 흩어진다.[5] 이때 김명원은 임진강까지 후퇴해 거기에 방어선을 치기로 하고 다른 지휘관들에게 음력 5월 18일까지 집결하라 명했다. 그러나 전쟁 와중의 혼란으로 인해 양주 쪽으로 후퇴했던 신각, 이양원과의 연락이 두절되어 버렸고,[6] 이일, 김억추 등의 장수들도 행방이 불명인 상태에서[7] 김명원은 혼자 임진강에서 싸우다가 음력 5월 17일 다시 패배(임진강 전투), 부장 신길, 유극량 등이 전사하고 겨우 북쪽으로 도망간다. 이후 김명원은 몽진한 조정에 합류하였고, 명나라 원병을 지휘한 조승훈, 순찰사 이원익과 함께 평양을 공격했으나 이기지 못했다.[10]

1593년 송응창, 이여송이 지휘하는 명나라 원병이 오자 명나라 장수들의 자문에 응하고 이후 체직되어 도원수직을 권율에게 넘겨주었다.[11] 이후 호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역임했다. 판서 재임 중이었던 음력 7월 14일, 임진왜란 초기의 패전 책임을 지고 사간원에게 탄핵을 당했는데, 이때 실록을 보면 “김명원은 사람됨이 지나치게 순후하여 원수에는 적임자가 아니었다”는 주석이 달려 있다.[12] 선조는 김명원이 공을 세우지는 못했으나 고생을 많이 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기각했다고 한다.[13]

1597년 요시라의 공작으로 파직된 이순신이 감옥에서 풀려나자 정탁, 유성룡, 심희수, 노직 등과 함께 그를 위로하였다.[14] 같은 해 칠천량 해전으로 원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이 전멸하자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이 당황하여 대답할 바를 모르는데 김명원과 이항복만이 이순신을 다시 통제사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자 왕이 이에 따랐다.[15] 이후 병조판서, 유도대장을 겸했고 좌찬성, 이조판서, 우의정을 거쳐 1601년 부원군에 진봉되고 좌의정에 이르렀다가 이듬해 음력 11월 1일 죽었다. 졸기에서는 때에 따라 판단의 부침이 심하다는 비방을 받았으나 풍도가 뛰어나 재상의 그릇이라고 평가받았다.[16]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3. 3. 종합적 평가

4. 관련 작품

4. 1. 드라마

5. 묘소

김명원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고양시 향토유적 제10호이다.

참조

[1] 논문 Lee et al. (1983)
[2] 논문 Lee ed. (1993)
[3] 논문 Lee et al. (1983)
[4] 간행물 선조실록 26권 1592-04-29
[5] 간행물 선조실록 26권 1592-05-03
[6] 간행물 선조실록 26권 1592-05-23
[7] 간행물 선조실록 27권 1592-06-23
[8] 간행물 선조실록 26권 1592-05-18
[9] 간행물 선조실록 58권 1594-12-21
[10] 간행물 선조수정실록 26권 1592-08-01
[11] 간행물 선조수정실록 27권 1593-06-01
[12] 간행물 선조실록 40권 1593-07-14
[13] 간행물 선조실록 40권 1593-07-15
[14] 간행물 난중일기
[15] 간행물 선조수정실록 31권 1597-07-01
[16] 간행물 선조수정실록 36권 1602-11-01
[17] 간행물 선원록
[18] 문서 정종의 6남 진남군의 5대손
[19] 문서 이명 김개(金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