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치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치쿠주는 1941년 인구 838,011명으로, 일본인, 타이완인, 한국인 및 기타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1945년에는 신치쿠 시와 8개의 군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었으며, 각 군은 읍, 장, 번지로 구성되었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신치쿠 사범학교 등이 있었으며, 교통으로는 철도, 도로, 항만이 존재했다. 신치쿠 주는 1945년 일본의 패망으로 타이완 성으로 이관되었고,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타오위안 현, 신주 현, 먀오리 현의 일부가 되었다. 신치쿠 주 출신 저명인사로는 황원웅, 쉬위안둥 등이 있으며, 1935년 신주·타이중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주시의 역사 - 신치쿠 공습
    신치쿠 공습은 1943년 11월 25일 미국 육군 항공대 제14공군이 타이완 신치쿠 공군기지를 기습한 사건으로, 일본군의 항공기 손실과 인명 피해를 유발하고 연합군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일본 대본영에 충격을 주어 방공망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먀오리현의 역사 - 주산선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여객과 화물 수송을 담당했던 주산선은 경부선 철도 부설권이 일본에 넘어가면서 건설이 시작되었고, 군사적 목적으로도 활용되다가 타이중 선 복선 전철화로 폐선되었으나 현재 일부 구간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신치쿠주
개요
관할 구역신주 시, 타오위안 시, 신주 현, 먀오리 현
존속 기간1920년 - 1945년
지리
면적4570.01 km² (1940년)
행정
중심지신주 시
하위 행정 구역1개 시, 8개 군
설치1920년
폐지1945년
인구
인구 (1940년)783,416명
인구 (1941년)838,011명
역사
이전신주 청, 타오위안 청
이후신주 현, 신주 시 (1945년-1951년)
기타
명칭신치쿠 주 (新竹州)
일본어 (가나)しんちくしゅう
로마자 표기Shinchiku-shū
정부 청사현재 신주 시 정부 건물로 사용됨 (1915년 건설)
신치쿠 주 정부 건물
신치쿠 주 정부 건물, 현재 신주 시 정부 건물

2. 인구

1941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한 신치쿠주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

1941년 (쇼와 16년) 신치쿠주 인구 조사
구분인구 수
총 인구838,011명
일본인20,693명
대만인815,274명
조선인150명
기타1,894명


3. 행정 구역

1945년(쇼와 20년) 당시를 기준으로, 신치쿠주는 1개의 시(市)와 8개의 군(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시는 현재의 신주시에 해당하는 신주 시(新竹市)였으며, 각 군 아래에는 여러 가(街), 장(庄), 번지(蕃地)가 소속되어 있었다. '번지'는 주로 대만 원주민이 거주하던 지역을 가리킨다.

1945년 이후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다.


  • 1945년: 신주시가 타이완 성으로 이관되어 신주현에서 분리되었다.
  • 1946년: 2월 신주현 정부 청사가 타오위안 진으로 이전하였다. 7월에는 타오위안 구가 폐지되고, 해당 구에 속했던 향진들은 신주현 직할로 편입되었다.
  • 1949년: 3월 죽봉구(竹峰區)가 신설되어 모든 번지(蕃地)가 이관되었다. 또한 다시 구(大溪區)가 폐지되면서 롱탄 향(龍潭鄉)은 중구로 이관되었고, 다시 진(大溪鎮)은 신주현 직할이 되었다.
  • 1950년: 신주현의 모든 구와 죽봉구가 폐지되었다. 기존의 중·타오위안·다시 구 관할 향진은 타오위안 현으로, 죽둥·신주 구 관할 향진은 신주현으로, 죽난·먀오리·다후 구 관할 향진은 먀오리 현으로 각각 통합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 체계의 기초를 이루었다.

3. 1. 시

1945년 당시 신치쿠주에는 1개의 시(市)가 있었으며, 이는 현재의 신주시에 해당하는 신주 시(新竹市)였다.

시(市)현재의 행정 구역비고
신주 시신주 시


3. 2. 군

1945년 당시 신치쿠주에는 1개의 시(市)와 8개의 군(郡)이 있었다. 각 군은 여러 개의 가(街), 장(庄), 번지(蕃地)로 구성되었다.

당시 행정 구역한자현재 행정 구역비고
타오위안군(桃園郡)타오위안가桃園街타오위안시타오위안 구
루주장蘆竹庄루주 구
다위안장大園庄다위안 구
구이산장龜山庄구이산 구
바더장八塊庄바더 구
중리군(中壢郡)중리가中壢街중리 구
양메이가楊梅街양메이 구
핑전장平鎮庄핑전 구
신우장新屋庄신우 구
꽌인장觀音庄관인 구
다시군(大溪郡)다시가大溪街다시 구
롱탄장龍潭庄룽탄 구
번지蕃地푸싱 구대만 원주민 거주 지역
신주군(新竹郡)구강장旧港庄신주현주베이 시1941년 폐지되어 주베이장(竹北庄)에 통합됨
류자장六家庄주베이 시1941년 폐지되어 주베이장(竹北庄)에 통합됨
주베이장竹北庄주베이 시
신푸가新埔街신푸진
관시가關西街관시진
홍마오장紅毛庄신펑향
후커우장湖口庄후커우향
번지蕃地관시진 일부대만 원주민 거주 지역
주둥군(竹東郡)주둥가竹東街주둥진
슝린장芎林庄슝린향
헝산장橫山庄헝산향
베이푸장北埔庄베이푸향
어메이장峨嵋庄어메이향
바오산장寶山庄바오산향
번지蕃地젠스향, 우펑향대만 원주민 거주 지역
주난군(竹南郡)주난가竹南街먀오리현주난진
터우펀가頭份街터우펀시
싼완장三灣庄싼완향
난장南庄난좡향
자오차오장造橋庄자오차오향
허우룽장後龍庄허우룽진
번지蕃地난좡향 일부대만 원주민 거주 지역
먀오리군(苗栗郡)먀오리가苗栗街먀오리시
위안리가苑裡街위안리진
터우우장頭屋庄터우우향
궁관장公館庄궁관향
퉁뤄장銅鑼庄퉁뤄향
싼이장三叉庄싼이향
퉁샤오장通霄庄퉁샤오진
시후장四湖庄시후향
다후군(大湖郡)다후장大湖庄다후향
스탄장獅潭庄스탄향
줘란장卓蘭庄줘란진
번지蕃地타이안향대만 원주민 거주 지역


4. 신사


  • 신주 신사
  • 퉁샤오 신사
  • 타오위안 신사 (현 타오위안 현 충렬사)
  • 먀오리 신사
  • 중리 신사
  • 터우펀 신사
  • 주난 신사
  • 다후 신사
  • 주둥 신사

5. 교육

신치쿠주 내에는 고등 교육 기관과 여러 중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어 운영되었다.

5. 1. 고등 교육 기관

신치쿠 사범학교는 1943년에 타이중 사범학교로 이관되었으며, 현재는 국립 칭화 대학의 일부가 되었다.

5. 2. 중등 교육 기관


  • 신죽주립 신죽 중학교(현 국립 신죽 고급 중학교)
  • 신죽주립 신죽 고등 여학교(현 국립 신죽 여자 고급 중학교)
  • 신죽주립 신죽 공업 학교(현 국립 신죽 고급 공업 직업 학교)
  • 신죽주립 신죽 상업 학교(현 국립 신죽 고급 상업 직업 학교)
  • 신죽주립 신죽 농업 학교(현 국립 먀오리 고급 농공 직업 학교)
  • 신죽주립 도원 농업 학교(현 국립 도원 고급 농공 직업 학교)
  • 신죽주립 먀오리 실천 농업 학교(신죽주립 신죽 농업 학교와 통합)

6. 교통

신치쿠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철도, 도로, 항만이 있었다. 철도는 종관선타이중선이 주요 간선 역할을 했으며, 지선으로 주둥선(현 내만선) 등이 있었다. 도로망으로는 종관 도로를 중심으로 각 지역을 연결하는 다수의 도로가 정비되었고, 항만으로는 허우룽강이 이용되었다.

6. 1. 철도

6. 2. 도로


  • 종관 도로
  • 타오위안 주웨이다오
  • 타오위안 다위안다오
  • 주웨이 다위안다오
  • 다위안 꽌인다오
  • 중리 꽌인다오
  • 양메이 깐터우춰다오
  • 라오판뎬 산자오와이다오
  • 타오위안 젠산다오
  • 타오위안 다시다오
  • 다시 자오반산다오
  • 자오반산 이링다오
  • 카우이 란 퉁후노시로완다오
  • 룽탄 다시다오
  • 중리 룽탄다오
  • 핑전 관시도
  • 관시 스먼다오
  • 신서 관시도
  • 터우충 푸 슝린다오
  • 신주 주둥다오
  • 주둥 네이완다오
  • 주둥 베이푸다오
  • 주둥 상핑다오
  • 상핑 징샹다오
  • 신청 헝산다오
  • 베이푸 산주후다오
  • 신주 베이푸다오
  • 신주 지우강다오
  • 터우펀 난좡다오
  • 터우펀 중강다오
  • 주난 타이중다오
  • 톈랴오 허우롱다오
  • 먀오리 공쓰랴오다오
  • 먀오리 다후다오
  • 퉁뤄 통샤오다오

6. 3. 항만


  • 허우룽강

7. 광산


  • 다시 탄광
  • 주둥 탄광
  • 전미 탄광
  • 금수 탄광

8. 국립공원


  • 차이타로코 국립공원

9. 해방 이후


  • 신주시타이완성으로 이관되어 신주현에서 분리되었다.
  • 1946년 2월 신주현 정부는 타오위안 진으로 이전했다. 7월 타오위안 구가 폐지되었으며, 동 구 관할의 향진은 신주현의 직접 관할 아래로 들어갔다.
  • 1949년 3월 죽봉구(竹峰區)가 설치되어 모든 번지(蕃地)가 이곳으로 이관되었다. 또한 다시 구(大溪區)가 폐지되면서, 롱탄 향은 중리구(中區)로 편입되었고, 다시 진(大溪鎮)은 신주현의 직접 관할이 되었다.
  • 1950년 신주현의 모든 구와 죽봉구가 폐지되었다. 기존의 중리 구, 타오위안 구, 다시 구 관할 향진들은 타오위안시로 통합되었다. 죽둥 구와 신주 구 관할 향진들은 신주현으로, 죽난 구, 먀오리 구, 다후 구 관할 향진들은 먀오리현으로 각각 통합되었다.

10. 저명한 인물

일본 통치 시기 신치쿠 주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황원웅 (黃文雄): 독립운동가, 일본 사회 평론가, 정치인. 2000년대 후반 국제 앰네스티 대만 지부 회장을 역임했다. (1937년 10월 2일 출생)
  • 쉬위안둥 (許遠東): 정치인, 대만 중앙은행 제14대 총재. (1927년 5월 22일 출생 ~ 1998년 2월 16일 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로 사망)

11. 재해

1935년 4월 21일에 발생한 신주·타이중 지진[1] 및 같은 해 7월 17일에 발생한 여진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2]

참조

[1] 뉴스 新竹・台中地方に激震 東京朝日新聞 1935-04-22
[2] 뉴스 余震の死傷二百二十八人 大阪毎日新聞 1935-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