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인은 여러 가지 정의를 가질 수 있으며, 중화민국 시민, 대만 출생자, 대만 거주자 등 다양한 범주를 포괄한다. 대만은 역사적으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7세기부터 한족, 원주민, 일본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해왔다. 대만인 정체성은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민주화 이후 대만인으로만 정체성을 밝히는 경향이 증가했다. 대만 인구는 한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호클로, 객가, 외성인, 원주민 등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된다. 해외에는 중국,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등지에 대만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사람 - 본성인
    본성인은 주로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부터 타이완으로 이주한 한족을 기원으로 하며, 일제강점기 "타이완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1945년 이전 이주 한족, 특히 호로족과 객가족을 중심으로 타이완 원주민 혈통을 포함하기도 하는 타이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집단이다.
  • 대만 사람 - 외성인
    외성인은 아버지를 통해 본향이 타이완이 아닌 타이완 거주자를 지칭하며, 주로 1945년 이후 중국 본토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문화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로, 타이완 사회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대만인
일반 정보
앙 리
앙 리
주걸륜
주걸륜
비비안 수
비비안 수
왕젠민
왕젠민
천스신
천스신
쩡야니
쩡야니
왕리훙
왕리훙
스티브 천
스티브 천
린즈링
린즈링
언어타이완어
중국어
하카어
타이완 원주민어
종교중국 민간 신앙
대승불교
유교
도교
소수 기독교
신토
기타 종교
관련 민족한족 타이완인
오스트로네시아인
타이완 원주민
타이완계 미국인
중국어간체: 台湾人
정체: 臺灣人
병음: Táiwān rén
웨이드-자일스: T'ai2-wan1 jen2
국어 로마자: Taiwân rén
통용 병음: Táiwan rén
우정식 병음: Táiwan rén
주음 부호: ㄊㄞˊ ㄨㄢ ㄖㄣˊ
예일 로마자: Tòih Wāan yàhn4
민남어백화자: Tâi-oân-lâng
대만어 로마자 병음방안: Tâi-uân lâng
객가어육현 방언: Thòi-vàn ngìn
해륙강 방언: Dài-uăng nè̤ng
인구
전체25,260,000명
타이완23,315,822명
미국926,000명
인도네시아208,000명
캐나다156,117명
태국140,000명
브라질70,000명
일본61,000명
베트남60,000명
싱가포르60,000명
말레이시아45,000명
브루나이38,000명
오스트레일리아28,000명
필리핀22,213명
대한민국20,981명
코스타리카14,000명
프랑스11,000명
아르헨티나11,000명
뉴질랜드10,000명
남아프리카 공화국10,000명
독일7,000명
영국6,000명
기타33,000명
정의
정의대만인은 대만에 사는 사람들이고 킨먼과 마쭈 열도의 사람들을 포함한다.
추가 정보
신 타이완인새로운 타이완인

2. 대만인의 정의

'대만인'이라는 용어는 여러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치적 입장(범람연합 vs 범녹연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 대만에서 태어나거나, 부모가 대만에서 태어났으나 대만 밖에서 거주하는 사람 및 그 후손 (\[\[중화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도 포함).
  • 1945년 중화민국에 편입하기 전부터 대만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 및 그 후손 (\[\[한족]] 본성인(本省人) 및 대만 원주민을 포함).
  • 대만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 (위의 정의에 외성인(外省人) 및 이민자를 포함).
  • 1949년 이후 중화민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 (\[\[중화민국 국민]]).
  • 중화민국의 모든 시민으로, 호적이 대만 (+ 간소화된 푸젠) 자유 지역에 등록된 사람. 이 정의에는 대만성 밖에 거주하는 진먼, 마쭈, 우추 (진먼) 주민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총칭하여 푸젠성 (중화민국)의 일부로 중화민국이 통제하는 다른 영토도 포함. 진먼, 마쭈, 우추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푸젠성 출신 중국인"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 정의에 반대.[9][10][11]
  • "중국인" 국적보다는 어떤 형태로든 "대만인" 국적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대만에 거주하는(또는 대만 출신) 모든 사람들. 이들은 일반적으로 범녹연합의 견해와 일치. 이 정의는 중국 통일을 지지하며 범람연합의 견해와 일치하는 사람들(진먼, 마쭈, 우추의 대부분의 거주자를 포함)을 제외.
  • 조상이 일본 식민 통치하에서 고통을 겪었던 (한족) 대만 거주민.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만 본성인"이라고 불리며, 1945년 이후 대만으로 이주한 중국 본토인과 그 후손인 "대만 외성인"과 대조. 이 정의에는 다양한 대만 원주민(오스트로네시아인)도 포함될 수 있음.
  • 역사적으로 대만에 거주했던 모든 사람들, 즉 일본인, 네덜란드인, 스페인인 후손 (또는 다양한 다른 민족적 조상)으로, 일본 제국, 네덜란드 제국, 스페인 제국에 의해 대만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통제되었을 때 대만을 식민지화하거나 대만에 정착했던 사람들.
  • 대만에서 최대 6000년 동안 살아온 대만 원주민만 해당. 이 정의는 "최근" 역사(지난 1000년)에 대만에 정착한 한족, 만주족, 일본인, 네덜란드인, 스페인인을 제외. 이 견해는 중국 본토인과 "대만 본성인"이 "침략자"가 아닌 "원주민"이므로 대만인으로 자가 식별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 범람 연합과 견해를 같이 하는 대만에 거주하는 (중화민국)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짐.

3. 역사

대만은 원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원주민들이 거주하던 섬이었다.[70] 17세기부터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경험했다. 이후 명나라의 충신 정성공이 정씨왕국을 세워 대만을 지배하기도 했다. 그러나 청나라가 대만을 점령하면서 푸젠성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은 일본 제국에 할양되었고, 이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약 50년간 일본의 식민 통치를 받았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대만은 중화민국에 귀속되었다. 1947년에는 2·28 사건이 발생하여 본성인과 외성인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76] 1986년 민진당 결성을 계기로 대만 정치의 민주화가 시작되었으며,[77]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되었다. 1996년 총통 직접 선거가 실시되었고, 2000년 총통 선거에서 정권 교체가 실현되면서 대만 정체성이 강화되었다.[77]

3. 1. 일본 통치 시대

일제강점기 대만인


1894년에 일어난 청일 전쟁과 다음 해인 1895년시모노세키 조약의 결과, 일본 통치 시대가 되면서 일본인이 식민자로서 이주해 왔고, 일본인 이민자는 최종적으로 40만 명에 달했다[70]. 한족계 주민은 "본도인"이라고 불렸으며, 처음에는 일본인을 침략자로 보는 시각도 있었지만 점차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 자가 늘어갔다. "내지인"(일본인, 주로 야마토 민족)을 정점으로, 그 다음으로 "본도인", 최하층에 "번인" (원주민)이라는 계층 질서가 생겨났다[72].

일본 식민 지배 체제에 직면한 대만인들은 식민 통치국/피식민지 사이의 불평등한 이분법적 관계에 놓였다. 일본은 대만인을 "충성스러운 신민"으로서 일본 정체성에 통합하려 했지만, 식민 지배를 받는 자와 식민 지배를 하는 자의 경험 차이는 두 집단을 양극화시켰다.

일본은 "인종" 개념을 정치 정책을 확인하고 촉진하는 도구로 활용했다. 인종 개념에 기초한 호적(호적) 시스템은 피지배 집단을 분리하고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일본은 대만 원주민에 대한 청나라 시대의 분류를 유지했다.

3. 2. 중화민국 시대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하면서 대만은 중화민국에 편입되었고, 대만 주민들은 중화민국 국적을 회복했다.[74] 이후 대만 주민은 본성인외성인으로 구분되었다.[74] 본성인은 대만일치시기 때부터 대만에 거주하던 주민과 그 후손을, 외성인은 1945년 이후 중화민국 국적을 가지고 대만에 이주한 사람과 그 후손을 의미한다.[74][75]

1951년 1월 타이베이 시장 선거에서 처음으로 당선된 우산롄 (두 번째)이 압승(65.5%)을 거두자 지지자들과 함께 축하하는 모습. 타이베이는 1949년 12월부터 대만의 수도가 되었다.


국공 내전의 결과, 국민당 중앙 정부와 함께 많은 외성인들이 대만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70] 1949년 당시 대만 총인구는 약 740만 명이었다.[70]

1947년에는 2·28 사건이 발생하여 국민당 정권과 대만 주민 간의 격렬한 충돌이 있었다.[76] 이 사건으로 인해 많은 대만인들이 희생되었고, 국민당 정권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76] 1949년 이후에는 계엄령이 시행되는 등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가 이어졌고, 본성인과 외성인 간의 권력 불평등이 심화되었다.[76]

1986년 민진당의 결성을 계기로 대만 정치의 민주화가 시작되었다.[77]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되고, 1996년에는 총통 직접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2000년에는 총통 선거를 통해 국민당에서 민진당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77] 이러한 민주화 과정에서 본성인의 토착 언어와 문화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77]

리덩후이는 대만에서 태어난 중화민국의 첫 번째 총통이 되었다. 그는 1996년에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는 대만 원주민의 권리 회복 운동이 진행되었고, 객가인들도 객가어 복권 운동을 전개하는 등 각 민족 집단의 요구가 다원주의적인 문화 정책으로 점차 정착되어 가는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78]

4. 정체성

대만 민족 정체성은 중국 민족 정체성과는 별개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민주화 이후, 자신을 대만인으로만 정체화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다.[20]

국립정치대학교는 1991년부터 매년 민족 정체성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해 왔다. 2020년에는 응답자의 64.3%가 자신을 대만인으로만, 2.6%가 중국인으로만, 29.9%가 둘 다로 인식했다.[20] '대만인' 대 '중국인'의 양자택일 설문에서는 대만인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24][25] 2006년, 중앙연구원의 우나이테는 "많은 대만인들이 여전히 정체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며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26]

1996년 총통 직접 선거 도입 등 민주화를 추진하고, 1997년 대만의 역사를 배우는 『인식대만』을 도입하는 등 교육 개혁을 추진한 리덩후이는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의 논법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81]

2020년 대만에서 "나는 중국인이 아니고 대만인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급상승하였으며, 이는 홍콩에 대한 중국의 강경한 자세에 대한 반발과 코로나19 대책의 성공이 배경으로 작용했다.[84]

다음은 여러 기관에서 실시한 대만인의 민족 귀속 의식 조사 결과이다.

대만인의 민족 귀속 의식 조사 결과
기관조사 연도대만인중국인대만인이자 중국인기타
행정원 대륙위원회[85]2000년42.5%13.6%38.5%
해협교류기금회[86]2007년약 63%약 14%약 18%
[87]2020년 (20~29세)82.4%12.4%
연합보[88]2016년73%11%10%대만인은 중국인이다: 1%, 의견 없음: 6%
TVBS[89]2013년 (양자택일)78%13%
TVBS[89]2013년 (3가지 선택)55%3%38%
대만민의기금회[90]2020년83.2%5.3%6.7%무응답: 4.8%
[80]2021년67.9%1.8%27.8%
[80]2021년 (양자택일)89.9%4.6%
국립정치대학[91]1992년17.6%25.5%46.4%
국립정치대학[91]1996년24.1%17.6%49.3%
국립정치대학[91]2000년36.9%12.5%44.1%
국립정치대학[91]2008년48.4%4%43.1%
국립정치대학[91]2016년59.3%3%33.6%
국립정치대학[79]2020년67%2.4%27.5%
국립정치대학[80]2021년63.3%2.7%31.4%


4. 1. 신 대만인

"신 대만인"(新臺灣人)이라는 용어는 1995년 리덩후이 전 총통이 2·28 사건 이후 발생한 민족 분열을 해소하고, 40년간의 대만 계엄령 기간 동안 외성인본성인 사이의 냉랭한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만들었다.[17] 처음에는 중국 본토 출신 조상을 둔 대만 후손들을 지칭했지만, 리덩후이와 다른 정치·사회 지도자들은 대만을 사랑하고 대만을 고향으로 삼으려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확장했다.[17] -- 비평가들은 "신 대만인 개념"이 국민당을 외세 정권으로 간주하는 본성인으로부터 표를 얻기 위한 정치적 술책이라고 비판했지만,[17] 이 개념은 대만의 민족 정체성 간의 변증법에서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 쑹추위 (1997)와 당시 타이베이 시장 후보였던 마잉주 (1999)가 이 용어를 초기에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현대 정치 수사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5. 사회문화적 하위 집단

대만 인구의 95% 이상은 한족으로, 호클로인, 객가인, 외성인 등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 대만 원주민은 비한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계 인구로, 약 2.3%를 차지한다.

대만 원주민 아이들


대만 원주민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며, 유전적, 언어학적으로 동남아시아 해양과 오세아니아의 민족 집단과 관련이 깊다. 이란, 화롄, 타이둥은 원주민 공동체로 유명하다. 1990년대에 서로 다른 집단으로 여겨졌던 대만 원주민들은 '原住民|원주민중국어'이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었다.

이 외에도 중화구에 주로 정착한 버마 화교들이 있으며, 이들은 "버마 외부에 있는 가장 큰 버마 화교 공동체"로 여겨진다.[42] 또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에서 온 이주민 또는 현지인과 결혼한 사람들로 구성된 '타이완 신주민'(臺灣新住民|대만 신주민중국어)이라는 집단도 있다.[43][44][45] 2018년 기준으로, 타이완에는 710,000명 이상의 외국인 노동자가 있다.[46][47]

5. 1. 호클로

타이완과 펑후 제도의 호클로인은 타이완어를 사용하며, 주로 푸젠성(특히 취안저우, 장저우, 샤먼, 진먼)에서 기원했다. 호클로인은 오늘날 전체 인구의 약 70%를 차지한다. 청나라 통치하의 타이완 동안 일부 호클로 남성은 타이완 원주민 신부를 맞이했다.[29] 일부 타이완 평원 원주민도 중국 문화를 받아들이고 중국어를 사용하여 한족과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30] 따라서 호클로인으로 분류하는 많은 사람들이 어느 정도 원주민 조상을 가지고 있다.

나이가 많은 가족 구성원은 여전히 평원 원주민으로 여기는 반면, 나머지 가족은 호클로인으로 여기는 경우를 찾을 수 있다. 호클로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는 관용구인 "중국 아버지, 중국 어머니 없음"([29][30])는 한족이 타이완 해협을 건널 때 대부분 남성이었고, 그들의 자녀는 타이완 원주민 여성과의 결혼을 통해 태어났음을 의미한다.

타이완 한족 호클로 공동체 내에서도 문화적 차이는 원주민과의 혼합 정도를 나타내며, 북부 타이완의 순수 호클로 한족은 원주민 혼혈이 거의 없지만, 남부 타이완의 호클로 한족에게는 혼혈이 제한적으로 존재한다.[31] 다양한 단계에서 호클로 한족 인구에 혼합되어 동화된 평원 원주민은 역사가 멜리사 J. 브라운에 의해 "단거리"와 "장거리"로 구분되었다.[32] 순수 호클로 타이완인 소녀가 어머니로부터 그들을 멀리하라는 경고를 받은 이후, 타이난 인근 지역에 동화된 평원 원주민의 민족적 정체성은 여전히 알려져 있었다.[33] "팬"이라는 모욕적인 이름은 타이완인에 의해 평원 원주민에게 사용되었고, 호클로 타이완어는 파제족과 같은 원주민에게 강요되었다.[34] 호클로 타이완어는 파제족을 대체하여 거의 멸종에 이르게 했다.[35] 평원 원주민은 원주민 지위를 요청했다.[36]

"중국 포르모사인"이라는 용어는 호클로 후손을 암시하는 데 사용되었지만,[37] 이 용어는 일본인 및 산악 원주민과 대조하여 타이완인(순수 또는 혼혈 여부와 관계없이)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38]

5. 2. 객가

광둥성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인 객가인은 대만 인구의 약 15%를 차지한다.[40] 이들은 객가어를 사용하며, 원래는 언덕 지역에 정착했다.[40]

대만의 객가인은 대부분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1644년경)에 광둥성 남부 및 북부에서 이주해 왔다.[40] 객가 공동체는 광둥성 동부와 푸젠성 서부의 산악 지역에서 대만으로 건너왔지만, 평지 원주민과의 통혼을 통해 혼혈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객가 가계는 남성 조상의 객가 혈통을 식별하는 반면 여성 조상의 신원에 대한 정보는 생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통혼과 동화 과정에서 많은 평지 원주민과 그 가족이 호로 및 객가 성씨를 채택했다.

5. 3. 외성인

외성인(外省人)은 1945년에서 1950년 사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민당을 따라 중국에서 대만으로 이주한 사람들과 그 후손들을 가리킨다.[41] 이들은 주로 타이베이, 타이중, 가오슝과 같은 대도시 중심부에 정착했다.[41] 국민당을 따라 대만으로 건너와 식민 정부의 자리를 차지한 많은 정부 관리와 공무원들은 일본인들이 공무원을 위해 지은 관사와 주택으로 이주했다. 본토 출신자 공동체의 고립은 비본토 출신 집단이 상상한 분열을 악화시켰고, 주류 대만 문화로의 문화적 통합과 동화를 방해했다. 국민당이 추진한 국유화 운동은 진정한 중국 문화에 대한 국민당 정부의 선호를 반영하는 공식 "문화"를 확립했으며, 이는 중국 전역에서 온 본토 출신자들이 대만에 가져온 다양한 문화를 포함하여 많은 대만 현지 관습과 지역 문화를 배제했다. 호클로와 객가와 달리, 본토 출신자와 그 가족은 민족주의자들을 지지했고, 학교에서 "국가 문화"를 가르치면서 공식 "문화"를 자신들의 것으로 받아들였다. 본토 출신자들은 자신들을 대만의 진정한 중국인으로 정체화하기 위해 국민당 문화를 받아들였다.

한족 외에도 몽골족, 회족, 만주족 및 기타 소수 민족이 외성인 중에 소수 있었다.

5. 4. 기타 집단

중화구에 주로 정착한 버마 화교들은 타이페이현에 위치해 있다. 이곳 공장들의 취업 붐은 약 40,000명(2008년 추산)의 버마 화교 이민자들을 유치했는데, 이는 도시 인구의 10%에 해당한다. 이들은 "버마 외부에 있는 가장 큰 버마 화교 공동체로 여겨진다."[42]

타이완 신주민(臺灣新住民, 문자 그대로 "타이완의 새로운 거주민" Xīnzhùmín|신주민중국어)은 주로 다른 국가 출신으로, 타이완으로 이주했거나 현지 타이완인과 결혼한 새로운 거주민으로 구성된 집단이다. 새로운 거주민의 다수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출신이다.[43][44][45] 2018년 기준으로, 타이완에는 710,000명 이상의 외국인 노동자가 블루칼라 및 화이트칼라 산업에 고용되어 있다.[46][47]

6. 유전학적 연구

대만 한족의 유전적 기원에 대한 연구는 여러 차례 진행되었으며, 초기 연구와 후기 연구 결과가 서로 다르다.

초기 연구(2007년)에서는 林媽利중국어(Marie Lin)의 연구를 통해 대만 한족의 85%가 대만 평원 원주민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7] 그러나 이 연구는 통계 분석 오류 등의 문제로 비판받았고, 이후 대규모 유전체 연구에서는 대만 한족 대부분이 중국 본토 출신이며 원주민과의 혼혈은 제한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57]

2009년 연구에서는 18세기 이후 한족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평원 원주민의 유전적 영향이 희석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8] 또한 대만 한족 대부분이 중국 남부 이민자 후손이며, 이들은 이미 고대 오스트로네시아인(백월)과의 혼혈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강조되었다.[59][60]

2013년 연구에서는 한족 남성과 원주민 여성 간의 광범위한 통혼은 소수에 불과하며, 역사적 기록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1]

2016년 연구에서는 대만 한족이 전 세계 한족과 공통적인 유전적 배경을 공유하지만, 대만 오스트로네시아인과는 유전적 거리가 멀다는 결과가 나왔다.[62]

2021년 연구에서는 대만 한족이 상당한 비율의 오스트로네시아 관련 조상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중국 본토 및 중국계 싱가포르인에게도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 고대 오스트로네시아 관련 조상이 중국 본토에서 한족과 오스트로네시아 이전 인구(백월) 사이의 혼혈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63]

이처럼 대만 한족의 유전적 기원에 대한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결과를 보여준다. 초기 연구 결과는 대만 독립 운동 지지자들에 의해 대만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했지만,[64] 평원 원주민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원주민의 역사와 문화를 왜곡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58][1]

7. 해외 대만인

'''해외 대만인''' 또는 "대만계 사람들"은 대만 외부에 거주하지만 대만 혈통 또는 계통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한다. 해외 대만인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은 다른 지역에도 거주할 수 있으며, 반드시 대만 국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48] 중국, 일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 각지에 대만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중국 타이페이 학교

7. 1. 중국 거주 대만인

1980년대부터 일부 대만 사업가(타이샹)들은 중국 정부가 대만인들을 위해 제정한 낮은 노동 비용과 세금 공제 정책을 활용하기 위해 공장을 열고 중국 본토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쿤산과 둥관과 같은 제조업 중심 도시에는 주로 타이샹과 그 가족을 포함하여 상당한 수의 대만인들이 모여 살게 되었다.[48] 2014년 11월, 타이페이 타임스는 중국(중화인민공화국, PRC), 즉 "중국 본토"에 거주하는 대만인이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고 보도했다.[49]

7. 2. 일본 거주 대만인

일본 통치 시대의 영향으로 일본에는 여러 세대에 걸쳐 많은 대만인들이 거주하고 있다.[50] 인스턴트 라면 발명가인 안도 모모후쿠가 대표적인 예시이다.[50]

일본 내 대만인 커뮤니티는 공식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일본 거주 중국인 커뮤니티와는 별도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으며, 현지 일본인들과 매우 가깝게 지낸다. 그러나 렌호와 같은 대만계 정치인들의 경우 복수 국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본 국적법은 일본의 정치에서 복수 국적을 허용하지 않는데, 일본이 대만의 중화민국을 합법적인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인들은 공유된 역사, 문화, 가치, 그리고 긴밀한 일본-대만 관계로 인해 대만인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는 경향이 있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 대만은 마잉주 행정부 하에 총 2.52억달러 (한화 약 3341억원)의 지원을 제공하여 가장 두드러진 인도적 지원 국가가 되었다. 이것이 일본인들이 대만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갖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이다.[52]

7. 3.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거주 대만인

미국에는 230,382명에서 919,000명에 이르는 대만계 후손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캘리포니아, 뉴욕, 텍사스에 집중되어 있다.[53][54] 2010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대만계 미국인은 중국계 미국인과 함께 분류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모든 민족 집단 중 가장 높은 교육 수준을 보인다.

캐나다에는 91,000명이 넘는 대만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로 브리티시컬럼비아주온타리오주에 거주한다.[55][56]

대만계 호주인의 전체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호주 인구 조사에서는 처음 두 세대만 외국 민족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예: 3세대 이상의 대만계 호주인 수는 알 수 없다). 하지만 1세대 또는 2세대 대만계 호주인이 약 45,000~55,000명으로, 이들이 현재 호주 내 대만계 인구의 약 90~9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 시대에 대만계 호주인은 주로 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다른 주요 호주 도시에도 상당한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8. 한국의 관점

한국과 대만은 일제 식민 지배와 냉전 시대 분단이라는 유사한 경험을 역사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양국은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모두 이루었으며, 문화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만의 독립 문제에 대해 한국의 중도진보 진영은 양안 관계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특히, 대만 내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신장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대만과의 경제, 문화적 교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대만을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동반자'로 인식하며, 대만과의 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대만 문제는 한반도 문제와 마찬가지로 강대국 간의 갈등과 연관되어 있어, 한국은 신중한 외교적 접근을 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owf.moi.gov.[...] 2019-01-07
[2] 뉴스 這兩大因素影響 去年赴中國工作人數創近11年新低 https://udn.com/news[...] United Daily News 2019-12-17
[3] 웹사이트 PLACE OF BIRTH FOR THE FOREIGN-BORN POPULATION, 2016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archive.toda[...] US Census 2017-10-16
[4] 웹사이트 2016僑務統計年報 http://www.ocac.gov.[...] Overseas Community Affairs Council 2017-09-01
[5] 웹사이트 Places of Birth,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3-05-08
[6] 웹사이트 2016年12月末在留外国人統計 http://www.e-stat.go[...] Ministry of Justice, Japan 2016-12-01
[7] 웹사이트 2011僑務統計年報 http://www.ocac.gov.[...] Overseas Community Affairs Council 2011-09-01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2-21
[9] 뉴스 Study explores the 'Kinmen Identity' http://www.chinapost[...] 2012-01-20
[10] 간행물 An Examination of Cultural Identity of Residents of Quemoy (Kinmen) https://web.archive.[...] 2012-01-20
[11] 뉴스 Cases of mistaken identity perplexing Lienchiang County http://www.taipeitim[...] 2009-01-14
[12] 문서
[13] 웹사이트 Starting Anew on Taiwan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14] 웹사이트 Cultural, Ethnic, And Political Nationalism In Contemporary Taiwan http://www.ios.sinic[...]
[15] 웹사이트 Searching for the Past http://taiwanreview.[...] 2021-03-07
[16] 웹사이트 Third-Wave Reform http://taiwanreview.[...]
[17] 서적 Memories of the Future: National Identity Issues and the Search for a New Taiwan M.E. Sharpe 2002
[18] 뉴스 New National Identity Emerges in Taiwan http://www.taiwandc.[...] 2004-01-02
[19] 웹사이트 Gender Imbalances and the Twisted Marriage Market in Taiwan http://www.cicred.or[...] 2009-01-12
[20] 웹사이트 Taiwanese / Chinese Identity(1992/06~2020/12) https://esc.nccu.edu[...]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2021-03-06
[21] 뉴스 Why is the number of people identifying as 'Taiwanese' declining? https://www.taiwanne[...] 2023-03-16
[22] 간행물 Why does Taiwan Identity decline? https://journals.sag[...] 2023-04-21
[23] 웹사이트 Taiwan's identity crisis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3-07
[24] 웹사이트 民意調查:兩會復談前國族認同民調 http://www.tvbs.com.[...] TVBS 2008-06-20
[25] 웹사이트 Support for Taiwanese independence, identity: think tank poll http://www.taipeitim[...] 2016-04-03
[26] 뉴스 'Taiwan identity' growing: study http://www.taipeitim[...] 2012-06-19
[27] 웹사이트 'We are Taiwan': French documentary tracks shifting Taiwan identity https://focustaiwan.[...] Focus Taiwan 2023-03-29
[28] 웹사이트 'Made in Taiwan' is the cookbook that couldn't have existed 20 years ago https://www.latimes.[...] 2023-09-19
[29] 서적 The Concise History of Taiwan Taiwan Historica
[30] 문서
[31] 웹사이트 Brown 2004 https://books.google[...] 2016-04-27
[32] 웹사이트 Brown 2004 https://books.google[...] 2016-04-30
[33] 웹사이트 Brown 2004 https://books.google[...] 2016-04-27
[34] 웹사이트 Pazeh writers get awards for preserving language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6-08-11
[35] 웹사이트 Pazeh poets honored at ceremony - Taipei Times we http://www.taipeitim[...] 2016-08-11
[36] 웹사이트 Pingpu activists demand government recognition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4-07-15
[37] 간행물 Chambers's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Pergamon Press 2011-12-20
[38] 논문 American Planning for Taiwan, 1942-1945 1968-05
[39] 서적 European perspectives on Taiwan Springer VS 2012
[40] 웹사이트 The Hakka People http://edu.ocac.gov.[...] Overseas Community Affairs Council 2015-02-01
[41] 서적 The Great Exodus from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42] 논문 Negotiating Ethnicity: Burmese Chinese Migrants in Taiwan https://www.research[...] 2008
[43] 뉴스 Say hello to the new Taiwanese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7-04-23
[44] 뉴스 Foreign, mainland spouses of locals to be called 'new residents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2-05-22
[45] 뉴스 Come and work here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7-04-21
[46] 웹사이트 Foreign Workers in Productive Industries and Social Welfare by Nationality http://statdb.mol.go[...] Workforce Development Agency, Ministry of Labor Republic of China (Taiwan) 2018-09-17
[47] 웹사이트 Foreign Workers for Special Professions or Technical Assignments by Permit Authority Agency and Nationality http://statdb.mol.go[...] Workforce Development Agency, Ministry of Labor Republic of China (Taiwan) 2018-09-17
[48] 논문 Assessing political agency across the Taiwan Strait: The case of the taishang
[49] 뉴스 2014 ELECTIONS: Chinese officials aiding KMT voters: sources http://www.taipeitim[...] 2014-11-16
[50] 웹사이트 Instant Ramen Is Japan's Greatest Invention Says Japan https://www.foodandw[...] 2015-07-07
[51] 뉴스 Renho nationality accusations spur debate on dual citizenship https://www.japantim[...] 2016-09-07
[52] 뉴스 Intricate bonds behind Taiwan aid https://www.japantim[...] 2011-05-21
[53] 웹사이트 ASIA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THER RACES, AND WITH ONE OR MORE ASIAN CATEGORIES FOR SELECTED GROUPS http://factfinder.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2011-02-18
[54] 웹사이트 Numbers of Overseas Taiwanese http://www.ocac.gov.[...] Overseas Compatriot Affairs Commission 2012-09-16
[55] 웹사이트 CIC Facts and Figures 2003 http://dsp-psd.pwgsc[...]
[56] 웹사이트 CIC Facts and Figures 2009 http://www.cic.gc.ca[...] 2016-04-08
[57] 논문 Mapping Human Genetic Diversity in Asia http://ir.unimas.my/[...]
[58] 학위논문 How Han are Taiwanese Han? Genetic inference of Plains Indigenous ancestry among Taiwanese Han and its implications for Taiwan identity http://gradworks.umi[...] 2013-10-11
[59] 웹사이트 DNA Analysis Reveals Taiwanese Have Ancestors on Mainland http://en.people.cn/[...] 2017-04-10
[60] 논문 Paternal Genetic Structure of Hainan Aborigines Isolated at the Entrance to East Asia 2008-05-14
[6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sociology.nt[...] 2023-04-09
[62] 논문 Population structure of Han Chinese in the modern Taiwanese population based on 10,000 participants in the Taiwan Biobank project 2016-12-15
[63] 논문 Detecting Genetic Ancestry and Adaptation in the Taiwanese Han People https://doi.org/10.1[...] 2021-10-01
[64] 웹사이트 血統獨立 http://www.taiwannat[...] 6 2012-09-14
[65] 웹사이트 The Siraya's Fight for Recognition in Taiwan https://internationa[...] 2022-01-14
[66] 서적 2005
[67] 서적 2005
[68] 서적 若者の目に映った台湾 芦書房 2003-11-01
[69] 서적 臺灣血統 전위출판사
[70] 서적 2005
[71] 서적 台湾―人間・歴史・心性― 岩波書店 1988-10-20
[72] 서적 台湾―変容し躊躇するアイデンティティ 筑摩書房 2001-11-01
[73] 서적 台湾―変容し躊躇するアイデンティティ 筑摩書房 2001-11-01
[74] 서적 台湾―変容し躊躇するアイデンティティ 筑摩書房 2001-11-01
[75] 서적 台湾―人間・歴史・心性― 岩波書店 1988-10-20
[76] 간행물 漢字圏の近代 2005
[77] 간행물 漢字圏の近代 2005
[78] 간행물 漢字圏の近代 2005
[79] 뉴스 「運命共同体」台湾が侵攻されると日本に何が起きるのか 台湾問題を考える3つのポイント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5-07
[80] 뉴스 「私は台湾人」9割、「日本に好感」8割強―台湾世論調査 https://www.recordch[...] 2021-08-13
[81]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82]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83] 뉴스 シンポジウム「歴史和解のために」 http://www.asahi.com[...] 2008-04-19
[84] 뉴스 「私は台湾人」急増、20代は8割 薄れゆく中国人意識 https://www.asahi.co[...] 2020-08-22
[85] 뉴스 行政院大陸委員会今年4月の民族帰属意識調査 http://www.roc-taiwa[...] 外交部 (中華民国) null
[86] 뉴스 海基會公布兩岸開放交流20年全國性民意調查報告 http://www.sef.org.t[...] 海峡交流基金会 2007-11-28
[87] 뉴스 【天下雜誌調查】台灣認同有世代落差 9成「不接受一國兩制」是共識 https://www.upmedia.[...] 2019-12-30
[88] 뉴스 「自分は台湾人」20年間で最高の73%に、「中国人」は22%―台湾世論調査 http://www.recordchi[...] 2016-03-15
[89] 뉴스 TVBS民調 71%希望台灣獨立 http://www.libertyti[...] 2013-10-31
[90] 뉴스 我是台灣人!台灣認同達8成3民意 創歷史新高 https://news.ltn.com[...] 2020-02-24
[91] 뉴스 Taiwanese / Chinese Identity(1992/06~2020/06) https://esc.nccu.edu[...] 国立政治大学 2020-07-03
[92] 웹사이트 〈「親日」や「反中」の二元論では捉えられない なぜ多様性が台湾の“コアな価値観”になりつつあるのか?〉から続く https://books.bunshu[...] 文藝春秋社 2024-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