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산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오산향은 대만 신주현에 위치한 향으로, 원래는 '초산'으로 불렸으나, 1920년 일본 통치 시대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이 지역은 원래 타이야족의 거주지였으나, 1833년 한족의 이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바오산향은 신주 과학 단지의 일부를 포함하며, 농업과 공업이 공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포모사 고속도로와 중산 고속도로가 있으며, 바오산 댐과 바오산 제2 댐이 위치해 있다. 2023년에는 일본 기쿠요정과 우호 교류 협정을 체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오산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바오산향 |
한자 표기 | 寶山鄉 |
로마자 표기 | Bǎoshān Xiāng |
별칭 | 차오산 (草山) |
일본어 표기 | 호잔 (ほうざん), 호산 (ほうさん) |
객가어 | Pó-sân |
민난어 | Pó-san |
한국어 표기 | 보산향 |
위치 | |
국가 | 중화민국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22x20px|border |중화민국]] |
위치 | 신주현 |
면적 | 64.7871km² |
인구 정보 (2023년 3월 기준) | |
총 인구 | 14,402명 |
가구 수 | 5,195 (2016년 1월 기준)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촌, 119개 린 |
정치 및 행정 | |
행정 종류 | 향 |
수장 | 치우 쿤통 (邱坤桶)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08 |
전화 번호 | 03 |
공식 웹사이트 | 바오산향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바오산은 원래 아타얄족의 거주지였으나, 1833년 한족 개척단이 이주하면서 개발되기 시작했다.[1]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쳐 1920년에는 신주주 지쿠토 군에 속하게 되었으며, '바오산'이라는 이름으로 개칭되었다.[1]
광복 후 1946년 신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50년 행정 개혁으로 다시 분리되어 현재의 신주현 바오산 향이 되었다.[1]
2. 1. 명칭의 유래
바오산의 옛 이름은 초산(草山)이다. 이것은 잡초가 무성한 미개척 황무지였던 것에서 유래했다.[1] 원래는 아타얄족의 거주지였지만, 1833년 강수만 및 주방정이 이끄는 '금광복'이라는 광동계 개척단이 금산면, 대기, 보두, 신성, 감자기 등으로 이주하면서 한족의 개발 역사가 시작되었다.[1]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의 대만 통치가 시작되면서 1920년 대만에 주군제가 실시되었고, 초산은 신치쿠 주 지쿠토 군에 속하게 되었다.[1] 이때 '초산'이라는 명칭이 평범하다는 이유로, 민중이 지연 등에 얽매이지 않고 공동으로 개발하고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호잔(宝山)으로 개칭되었다.[1]
광복 후 신주 시에 편입되어 신주 시 바오산 구가 되었고, 바오산 촌에 구청이 설치되었다.[1] 그러나 이 구청은 교통이 불편하여 1949년 3월 솽시 촌으로 이전되었다.[1] 이후 1950년 10월 25일 지방 행정 개혁으로 신주 현 바오산 향으로 개정되었다.[1] 바오산(寶山)은 중국어(만다린)로 "보물 산"을 의미한다.[1]
2. 2. 한족 개척과 발전
바오산의 옛 이름은 초산(草山)으로, 잡초가 무성한 미개척 황무지였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원래는 아타얄족의 거주지였지만, 1833년 강수륜(姜秀巒) 및 주방정(周邦正)이 이끄는 '금광복(金廣福)'이라는 광동계 개척단이 금산면, 대기, 보두, 신성, 감자기 등으로 이주하면서 한족에 의한 개발이 시작되었다.[1]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의 대만 통치가 시작되면서, 1920년 대만에 주군제가 실시되어 초산은 신치쿠 주 지쿠토 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때 '초산'이라는 이름이 평범하다는 이유로, 민중이 지연 등에 얽매이지 않고 공동으로 개발,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바오산(宝山)으로 개칭되었다.[1]
2. 3. 일본 통치 시대
시모노세키 조약의 결과로 일본에 의한 대만 통치가 시작되자, 1920년에 대만에 주군제를 실시하면서 초산은 신주주 죽동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때 '초산'이라는 명칭이 평범하다는 이유로, 민중이 지연 등에 얽매이지 않고 공동으로 개발, 발전하기를 바라며 '바오산'으로 개칭되었다.[1]2. 4. 현대
일제강점기 1920년, 일본 제국이 대만에 주군제를 실시하면서 초산은 신주 주 지쿠토 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때 '초산'이라는 명칭이 평범하다는 이유로, 민중이 지연 등에 얽매이지 않고 공동으로 개발,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바오산(宝山)으로 개칭되었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바오산은 신주 시에 편입되어 바오산 구가 되었고, 바오산 촌에 구청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교통이 불편하여 1949년 3월에 솽시 촌으로 이전되었다. 1950년 신주 시가 현할시로 축소되면서 신주 현 바오산 향으로 개정되었다.[1][2]
3. 지리
바오산은 신주시와 가까운 북부 지역에 도시와 교외 지역이 있는 구릉지, 반 산악 지역이다. 신주 과학 공원의 상당 부분이 바오산에 위치해 있다. 마을의 나머지는 주로 농업 지역이며, 특히 귤과 리치 열매가 풍부한 언덕 과수원이 많다. 면적은 64.84km2[1]이며, 2023년 3월 기준 인구는 14,402명이다.[2]
3. 1. 행정 구역
바오산 향은 10개의 행정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3]행정 마을 |
---|
바오산, 바오더우, 다치, 싼펑, 산후, 선징, 솽시, 솽신, 신청, 유톈 |
4. 경제
최첨단 전자 산업 연구 및 생산 기지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신주 과학 단지는 신주 시와 바오산 향에 위치하고 있다. 정부는 공업 지역에 충분한 공업용수를 확보할 목적으로 바오산 댐 건설을 1981년에 착수, 2000년부터 가동하였다.[1]
4. 1. 산업 구조 변화
종래에는 농업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져 상공업의 비율은 지극히 적었지만, 신주 과학 공업구의 완성 이후 많은 청년층이 공업에 종사하게 되어 경제 구조가 크게 변화했다.[1] 특히 WTO에 가입한 이후, 전통적인 농산품은 국제 경쟁력을 잃고, 공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가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그 가운데 바오산 향 정부는 '농촌 풍경 발전 계획'을 책정해 도시 근교의 여가 농장으로서의 농업 발전을 계획해 레저, 관광업과 복합시킨 농업의 발전도 기대되고 있다.[1]
4. 2. 농업 발전
과거에는 농업 생산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공업의 비중은 극히 적었지만, 신주 과학 공업 지구 완공 이후 많은 젊은 층이 공업에 종사하게 되면서 경제 구조가 크게 변화했다. 특히 대만이 WTO에 가입한 이후, 전통적인 농산품은 국제 경쟁력을 잃고, 공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가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바오산향 정부는 "농촌 풍경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 근교의 여가 농장으로서의 농업 발전을 계획하고 있다. 레저, 관광업과 복합된 농업의 발전도 기대되고 있다.
4. 3. 수자원
신주 과학 공업구는 신주 시와 바오산 향에 걸쳐 있으며, 정부는 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1981년 바오산 향 산후 촌에 바오산 댐 건설을 시작해 2000년에 완공했다.[1] 2006년에는 바오산 제2 댐도 완공되었다.[1] 바오산 저수지(寶山水庫|Bǎoshān Shuǐkù중국어)는 바오산 댐 I과 바오산 댐 II가 있는 곳으로, 신주 시의 식수와 과학 단지에 냉각수를 공급한다.[1]5. 교통
국도 1호선과 국도 3호선이 바오산향을 지난다. 신주JCT은 이 두 국도를 연결하는 주요 분기점이다. 대만 고속철도가 바오산향 중앙을 지나지만, 현재 역 건설 계획은 없다.
5. 1. 도로
- 국도 1호선
- 국도 3호선
신주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나들목이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국도 1호선과 3호선을 연결하는 주요 분기점이다. 대만 고속철도가 향의 중앙 부분을 지나가지만, 현재는 역 건설 계획이 없다.
종류 | 노선명 | 비고 |
---|---|---|
고속도로 | 포모사 고속도로 | 바오산IC, 신주JCT |
고속도로 | 중산 고속도로 | 신주JCT |
5. 2. 철도
대만 고속철도가 향의 중앙 부분을 지나가지만, 현재 역 건설 계획은 없다.6. 교육
바오산향에는 중학교 2개교와 초등학교 5개교가 있다.
학교 종류 | 학교명 |
---|---|
중학교 | 신주현립 바오산 국민중학교, 쥐광 분교 |
초등학교 | 신주 현립 바오산 국민소학교, 신주 현립 솽시 국민소학교, 신주 현립 신청 국민소학교, 신주 현립 싼펑 국민소학교, 산후 분교 |
6. 1. 중학교
- 신주현립 바오산 국민중학교
- 신주현립 바오산 국민중학교 쥐광 분교
6. 2. 초등학교
- 신주 현립 바오산 국민소학교
- 신주 현립 솽시 국민소학교
- 신주 현립 신청 국민소학교
- 신주 현립 싼펑 국민소학교
- 신주 현립 바오산 국민소학교 산후 분교
7. 관광
- 바오산 댐
- 바오산 제2 저수지
- 신청 신펑궁
- 신청 제당
8. 국제 교류
참조
[1]
웹사이트
About Baoshan Township Office
http://163.29.185.17[...]
2024-02-28
[2]
웹사이트
Hsinchu County population table, March 2023
http://w3.hsinchu.go[...]
Hsinchu County Gov't
2023-04-10
[3]
웹사이트
Geography & environment
http://www.hcpst.gov[...]
Baoshan Township Office
2017-01-30
[4]
웹사이트
台湾新竹県宝山郷と友好交流協定を締結しました
https://www.town.kik[...]
菊陽町役場
202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