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부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부추는 중국, 몽골, 러시아, 한국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30~50cm로, 잎은 실처럼 가늘고, 9~10월에 홍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우상모양꽃차례로 핀다. 비늘줄기와 씨앗으로 번식하며, 전초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잎, 꽃줄기, 꽃자루의 매끄러움과 거침에 따라 두 가지 변종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 변경주의 식물상 - 두메부추
    두메부추는 산구 또는 메부추라고도 불리는 외떡잎식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는 약재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알타이 변경주의 식물상 - 솔붓꽃
    솔붓꽃은 봄에 보라색에서 푸른 라벤더색의 꽃을 피우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건조한 초원 등에서 자생하며 대한민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관상용 및 약재로도 사용된다.
  • 1852년 기재된 식물 - 미라클프루트
    미라클프루트는 서아프리카 원산의 관목으로, 열매 속 미라큘린이라는 당단백질 때문에 신맛이나 쓴맛을 단맛으로 바꾸는 특징을 지니며, 식용 외 야자술 감미료나 맥주, 칵테일 향료 등으로 쓰인다.
  • 1852년 기재된 식물 - 나비난초
    나비난초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속에서 자라며 붉은 자색 꽃을 피우고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특히 일본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품종 개량이 활발한 식물이다.
  • 카자흐스탄의 식물상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 카자흐스탄의 식물상 - 치커리
    치커리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샐러드, 뿌리는 커피 대용품, 일부 품종은 사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식용된다.
실부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실부추
실부추
학명Allium anisopodium
명명자Ledeb.
상위 분류Allium subg. Rhizirideum
이명Allium anisopodium subsp. argunense Peschkova
Allium tchefouense Debeaux
Allium tenuissimum var. anisopodium (Ledeb.) Regel
Allium tenuissimum subsp. anisopodium (Ledeb.) Printz
한국어 이름실부추

2. 생태

실부추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몽골, 러시아와 한국 등지에 분포하며, 건조한 산지의 경사면 모래땅에서 주로 서식한다.[8]

2. 1. 분포

중국, 몽골, 러시아와 한국에서는 인천 강화군, 옹진군, 경기도 시흥시, 강원도 홍천군, 화천군, 충청남도 예산군, 제주도 서귀포시 등지에 자생한다. 건조한 산지 경사면 모래땅에서 주로 서식한다.[8]

2. 2. 생김새

높이는 30~50cm이다. 잎은 3~6개이고 너비 약 1mm로 매우 가는 실 모양이며, 꽃줄기보다 약간 짧다. 꽃은 9~10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꽃줄기 끝에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 길이는 불규칙하여 1cm~3cm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비늘줄기는 좁은 원통상 원뿔 모양이고 길이는 1.9cm~2.2cm이다.[8]

3. 번식과 쓰임새

번식은 주로 비늘줄기로 하며 씨로도 할 수 있다. 전초를 식용으로 사용한다.[8]

4. 변종

일반적으로 두 가지 변종이 인정된다.[1][3]


  • ''Allium anisopodium'' var. ''anisopodium'' --- 잎, 꽃줄기 및 꽃자루는 매끄럽다.

  • ''Allium anisopodium'' var. ''zimmermannianum'' 異葶韭|이정구중국어 [6] (동의어: ''Allium zimmermannianum'' 紫瓣韭|자판구중국어[7]) --- 잎, 꽃줄기 및 꽃자루의 표면이 거칠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National Arboretum 2016-11-27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 24 p 185 http://www.efloras.o[...]
[4] 간행물 Flora Rossica 4: 183
[5] 웹사이트 line drawing of ''Allium anisopodium'' var. ''zimmermannianum'', Flora of China Illustrations vol. 24, fig. 195, 7 http://www.tropicos.[...]
[6] 간행물 Contributions from the Institute of Botany, National Academy of Peiping 2(8): 260
[7] 간행물 Botanische Jahrbücher für Systematik, Pflanzengeschichte und Pflanzengeographie 34 (1, Beibl. 75): 23
[8] 웹인용 실부추 http://www.nature.go[...] 국립수목원 201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