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의 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의 교통은 역사적으로 인력거에서 시작하여 세발 자전거 택시를 거쳐 현재의 다양한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발전해 왔다. 도로 교통은 좌측 통행이며, 싱가포르 구역허가제와 ERP 시스템을 통해 차량 운행을 관리한다. 자가용은 차량 소유 비용이 매우 높고, 택시와 개인 대여 차량이 대중적인 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대중교통은 버스, 철도, 택시 등으로 구성되며, 싱가포르 정부는 대중교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와 육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싱가포르항은 세계적인 해상 교통의 요충지이자 컨테이너 처리량, 환적 화물 처리량, 벙커링 허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은 주요 항공 허브로, 다양한 항공 노선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교통 - 싱가포르 케이블카
    싱가포르 케이블카는 1974년 개통 이후 싱가포르 본섬과 센토사 섬을 연결하며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고,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안전 강화 조치를 거쳐 현재까지 운영되며 다양한 이벤트로 관광객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한다.
싱가포르의 교통
지도
개요
교통 체계싱가포르의 교통은 고도로 발전되고 효율적인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도로 교통
차량 소유싱가포르에서 차량을 소유하는 것은 매우 비쌈.
자동차 가격미국의 평균 자동차 가격보다 5배 더 비쌈.
대중교통 이용 장려정부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함.
혼잡 통행료혼잡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운영함.
철도 교통
지하철싱가포르 지하철(MRT)은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음.
경전철싱가포르 경전철(LRT)도 운영 중임.
철도망 확장지속적으로 철도망을 확장하고 있음.
철도 금융 프레임워크새로운 철도 금융 프레임워크를 통해 철도 시스템을 관리함.
버스 교통
버스 서비스광범위한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싱가포르 전역을 연결함.
버스 계약 모델버스 서비스는 버스 계약 모델에 따라 운영됨.
택시 및 차량 호출 서비스
택시택시는 쉽게 이용 가능함.
차량 호출 서비스그랩(Grab)과 같은 차량 호출 서비스도 널리 사용됨.
해상 교통
항구싱가포르항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중 하나임.
페리주변 섬과 국가로 가는 페리 서비스가 제공됨.
항공 교통
창이 공항창이 공항은 세계적인 허브 공항임.
항공사싱가포르 항공이 주요 항공사임.
대중교통 요금
요금 구조대중교통 요금은 거리에 따라 계산됨.
요금 지불 방식이지링크(ez-link) 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요금을 지불할 수 있음.
대중교통 요금 위원회대중교통 요금 위원회에서 요금을 규제함.
효율성 및 평가
세계 최고 수준싱가포르의 대중교통 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음.
높은 효율성높은 효율성과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자랑함.

2. 역사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이후

영국인 간호사가 휴가 중에 세발 자전거 택시를 타고 있다 (1946년경)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중요한 도시 대중 교통은 인력거였다. 전후 세발 자전거 택시가 이를 대체하여 1980년까지 세발 자전거 택시가 중요한 도시 대중 교통이었다. 그 후 인력거 택시는 쇠퇴했지만 현재에도 관광객을 위해 남아 있다.

3. 도로 교통

싱가포르는 세계 최초로 싱가포르 구역허가제를 시행하여 도심 지역의 도로에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했으며, 이후 전자 요금 징수의 일종인 ERP (Electronic Road Pricing)로 대체되었다.[87][17][41] 도로망의 계획, 건설 및 유지 보수는 토지 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 LTA)에서 전적으로 수행한다.[17]

싱가포르의 도로 운행은 영연방 국가와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이다.[88][17] 좌핸들 차량의 등록 및 운행은 금지되어 있으며,[41] 일본차와 독일차의 비율이 높다.[42] 싱가포르는 관세 및 자동차 구매권으로 인해 자동차의 구매 가격이 매우 비싸다.[42] 교통 법규는 일본과 비교하여 차간 거리가 짧고,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보행자가 최우선이 아니라는 점이 다르다.[41] 대중 교통의 원활한 교통을 우선시하는 규칙도 일본보다 엄격하며, 음주 운전이나 휴대 전화 사용 등에 대한 벌칙도 강화되어 있다.[41]

2011년 기준 도로 총연장은 다음과 같다.[87][41]


  • 고속도로: 161 km
  • 주요 포장도로: 645 km
  • 집산도로: 557 km
  • 국지도로: 2048 km


2017년 기준으로 고속도로 총 연장은 164km, 주요 간선도로 총 연장은 576km, 집산도로 총 연장은 704km, 지역 접근 도로 총 연장은 2056km이다.[17]

셀레타 고속도로(Seletar Expressway)의 일부 구간


싱가포르의 모든 고속도로 및 준고속도로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에 따라 개별 도시와 지역 중심지 사이의 주요 교통 동맥을 형성하며, 위성의 도시에서 도심으로, 또는 그 반대로 차량이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17]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17]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r Rajah Expressway, AYE)
  • 부킷 티마 고속도로(Bukit Timah Expressway, BKE)
  • 중앙 고속도로(Central Expressway, CTE)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ast Coast Parkway, ECP)
  •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arina Coastal Expressway, MCE)
  •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allang–Paya Lebar Expressway, KPE)
  • 크란지 고속도로(Kranji Expressway, KJE)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an Island Expressway, PIE)
  • 셀레타 고속도로(Seletar Expressway, SLE)
  • 탐피네스 고속도로(Tampines Expressway, TPE)
  • 북-남 회랑(2027년 개통 예정)


2014년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총 자동차 등록 수는 973,004대이다.[88] 2012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69명으로, 2011년의 195명에서 감소했다.[43]

==== 고속도로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육상교통청(LTA)이 계획, 건설, 유지보수를 전담하며,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에 따라 각 지역 중심지와 마을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동맥 역할을 한다.[44] 고속도로 건설의 주된 목적은 위성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도심에 있는 직장까지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싱가포르는 독립 직후 중앙구 일대에 빈번해진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고속도로를 확대하는 교통 정책을 시행했다.[44]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 중앙 고속도로(CTE)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CE)
  •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
  • 크란지 고속도로(KJE)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 셀레타 고속도로(SLE)
  • 탐피네스 고속도로(TPE)
  • 북-남 회랑(2027년 개통 예정)


싱가포르는 혼잡 통행료를 최초로 도입했으며, 이후 전자 요금 징수 방식인 전자 도로 가격 책정으로 대체된 싱가포르 구역 면허 제도를 시행했다. 교통은 좌측 통행을 하며, 이는 영연방 국가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2017년 기준으로 고속도로 총 연장은 164km이다.[17]

==== 자가용 ====

2018년 기준 싱가포르에는 총 957,006대의 차량이 있으며, 그 중 509,302대가 자가용 차량이었다.[9]

자가용 교통(자동차, 오토바이, 상업용 차량)은 국토 면적이 제한되어 있어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육상교통청(LTA)은 1990년부터 차량 할당량 시스템(VQS) 기반의 면허 경매를 통해 자가용 차량의 수를 제한하고 통제해 왔다.[10] 그 결과, 자가용 차량은 엄청나게 비싸며, 싱가포르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데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국가로 알려져 있다.[6][11][12][13] 자가용 차량 소유를 희망하는 사람은 경매를 통해 판매되는 할당량 증명서(COE)에 입찰해야 하며, 추가 등록세(ARF)를 차량의 공개 시장 가치(OMV)의 100~320%로 지불해야 한다.[11][15][16] 이러한 세금으로 인해 싱가포르의 차량 가격은 서방 국가의 차량 가격보다 약 5배 비싸다.[6][11][12]

==== 택시 및 개인 대여 차량(PHV) ====

택시와 개인 대여 차량(PHV)은 싱가포르에서 대중적인 교통 수단이며, 요금은 대부분의 선진국 도시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41][48] 기본 요금은 3.20 싱가포르 달러 - 3.90 싱가포르 달러이다. 2019년 3월 현재, 택시 및 개인 대여 차량 수는 83,037대로 증가했다.

싱가포르의 컴포트델그로 사 소속 현대 i40 세단 차량 택시


컴포트델그로(ComfortDelgro)에서 운행하는 토요타 프리우스 택시


컴포트 델그로 택시


싱가포르에서 택시는 중앙 비즈니스 지구(CBD) 밖의 공공 도로에서 언제든지 손을 흔들어 잡을 수 있으며, 개인 대여 차량은 차량 공유 앱을 통해서만 예약할 수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택시 운행량은 28,736대로, 6곳의 택시 회사와 178인의 개인택시 운전사가 운행을 맡고 있다.[41][48] 중앙업무지구 외곽의 어느 공공도로에서든 아무때나 택시를 멈춰세워 타고 갈 수 있어 편리하다.

모든 택시에는 요금 미터기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택시는 5인승이며, 무선이 탑재되어 있고, 디젤차이다. 법률에 의해 모든 승객은 안전벨트 착용 의무가 있다. 1일 이용자 수는 약 588,632명이다.

택시 회사는 다음과 같다.

  • 컴포트 델그로 택시 (11147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현대 쏘나타 CRDI
  • 컴포트 델그로 시티캡 (3835대)[49]
  • * 닛산 세드릭 (20대)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Presido)
  • * 메르세데스-벤츠 비토 115 CDI (MaxiCab: 7인승)
  • * 현대 쏘나타 CRDI
  • 개인 택시 옐로우탑캡 (482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토요타 라이스 에이스 (5인승 밴 개조)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Sovereign)
  • * 볼보 V70, 천연 가스
  • * 피아트 크로마 JTD
  • SMRT 택시 (3004대)[49]
  • * 닛산 세드릭 (5대)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Prestige)
  • * 쌍용 로디우스 SV270 XDI (Space: 7인승)
  • * 현대 아제라 CNG
  • * 크라이슬러 300C
  • 유니온 에너지 코퍼레이션 트랜스캡 (2139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토요타 위시 CNG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 프리미어 택시 실버캡 (1900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기아 매젠티스 CRDI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Silverstar)
  • * 스코다 슈퍼브 2.5 V6 TDI (SilverArrow)
  • * 토요타 위시
  • * 현대 i30
  • 스마트 오토모빌 (781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00 NGT, 천연 가스/휘발유 바이 퓨얼 (Supreme)
  • * 폭스바겐 투란 1.9 TDI PD (Supreme)
  • * 토요타 캠리 JDM, 천연 가스
  • 프라임 택시 (198대)[49]
  • * 토요타 액시오 CNG
  • * 토요타 필더 CNG
  • * 토요타 위시 CNG
  • * 혼다 에어웨이브 CNG
  • * 혼다 스트림 CNG


==== 트리쇼 ====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트리샤


인력거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도시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47년 인도주의적 이유로 금지되었고, 트리쇼로 대체되었다.[18] 1983년까지 트리쇼는 운송 수단으로서의 사용이 사라졌지만,[19] 이후 관광객의 명소로 시내 지역 주변을 관광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001년에 개인 트리쇼 운전 면허 발급이 중단되었으며, 2023년 5월 트리쇼 투어의 마지막 면허 운영업체인 트리쇼 삼촌이 싱가포르 관광청과의 계약을 종료하였다. 2024년 4월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상업 트리쇼 서비스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20][21]

3. 1. 도로

싱가포르는 세계 최초로 싱가포르 구역허가제를 시행하여 도심 지역의 도로에 요금을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했으며, 이후 전자 요금 징수의 일종인 ERP (Electronic Road Pricing)로 대체되었다.[87][17][41] 도로망의 계획, 건설 및 유지 보수는 토지 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 LTA)에서 전적으로 수행한다.[17]

싱가포르의 도로 운행은 영연방 국가와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이다.[88][17] 좌핸들 차량의 등록 및 운행은 금지되어 있으며,[41] 일본차와 독일차의 비율이 높다.[42] 싱가포르는 관세 및 자동차 구매권으로 인해 자동차의 구매 가격이 매우 비싸다.[42] 교통 법규는 일본과 비교하여 차간 거리가 짧고,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보행자가 최우선이 아니라는 점이 다르다.[41] 대중 교통의 원활한 교통을 우선시하는 규칙도 일본보다 엄격하며, 음주 운전이나 휴대 전화 사용 등에 대한 벌칙도 강화되어 있다.[41]

2011년 기준 도로 총연장은 다음과 같다.[87][41]

  • 고속도로: 161 km
  • 주요 포장도로: 645 km
  • 집산도로: 557 km
  • 국지도로: 2048 km


2017년 기준으로 고속도로 총 연장은 164km, 주요 간선도로 총 연장은 576km, 집산도로 총 연장은 704km, 지역 접근 도로 총 연장은 2056km이다.[17]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에 따라 개별 도시와 지역 중심지 사이의 주요 교통 동맥을 형성하며, 위성의 도시에서 도심으로, 또는 그 반대로 차량이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17]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17]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r Rajah Expressway, AYE)
  • 부킷 티마 고속도로(Bukit Timah Expressway, BKE)
  • 중앙 고속도로(Central Expressway, CTE)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ast Coast Parkway, ECP)
  •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arina Coastal Expressway, MCE)
  •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allang–Paya Lebar Expressway, KPE)
  • 크란지 고속도로(Kranji Expressway, KJE)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an Island Expressway, PIE)
  • 셀레타 고속도로(Seletar Expressway, SLE)
  • 탐피네스 고속도로(Tampines Expressway, TPE)
  • 북-남 회랑(North–South Corridor) (2027년 개통 예정)


2014년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총 자동차 등록 수는 973,004대이다.[88] 2012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69명으로, 2011년의 195명에서 감소했다.[43]

3. 2. 고속도로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육상교통청(LTA)이 계획, 건설, 유지보수를 전담하며, 싱가포르의 도시 계획에 따라 각 지역 중심지와 마을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동맥 역할을 한다.[44] 고속도로 건설의 주된 목적은 위성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도심에 있는 직장까지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싱가포르는 독립 직후 중앙구 일대에 빈번해진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고속도로를 확대하는 교통 정책을 시행했다.[44]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 중앙 고속도로(CTE)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 마리나 해안 고속도로(MCE)
  • 칼랑-파야 레바 고속도로(KPE)
  • 크란지 고속도로(KJE)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 셀레타 고속도로(SLE)
  • 탐피네스 고속도로(TPE)
  • 북-남 회랑(2027년 개통 예정)


싱가포르는 혼잡 통행료를 최초로 도입했으며, 이후 전자 요금 징수 방식인 전자 도로 가격 책정으로 대체된 싱가포르 구역 면허 제도를 시행했다. 교통은 좌측 통행을 하며, 이는 영연방 국가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2017년 기준으로 고속도로 총 연장은 164km이다.[17]

3. 3. 자가용

2018년 기준 싱가포르에는 총 957,006대의 차량이 있으며, 그 중 509,302대가 자가용 차량이었다.[9]

자가용 교통(자동차, 오토바이, 상업용 차량)은 국토 면적이 제한되어 있어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육상교통청(LTA)은 1990년부터 차량 할당량 시스템(VQS) 기반의 면허 경매를 통해 자가용 차량의 수를 제한하고 통제해 왔다.[10] 그 결과, 자가용 차량은 엄청나게 비싸며, 싱가포르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데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국가로 알려져 있다.[6][11][12][13] 자가용 차량 소유를 희망하는 사람은 경매를 통해 판매되는 할당량 증명서(COE)에 입찰해야 하며, 추가 등록세(ARF)를 차량의 공개 시장 가치(OMV)의 100~320%로 지불해야 한다.[11][15][16] 이러한 세금으로 인해 싱가포르의 차량 가격은 서방 국가의 차량 가격보다 약 5배 비싸다.[6][11][12]

3. 4. 택시 및 개인 대여 차량(PHV)

택시와 개인 대여 차량(PHV)은 싱가포르에서 대중적인 교통 수단이며, 요금은 대부분의 선진국 도시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41][48] 기본 요금은 3.20 싱가포르 달러 - 3.90 싱가포르 달러이다. 2019년 3월 현재, 택시 및 개인 대여 차량 수는 83,037대로 증가했다.

싱가포르에서 택시는 중앙 비즈니스 지구(CBD) 밖의 공공 도로에서 언제든지 손을 흔들어 잡을 수 있으며, 개인 대여 차량은 차량 공유 앱을 통해서만 예약할 수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택시 운행량은 28,736대로, 6곳의 택시 회사와 178인의 개인택시 운전사가 운행을 맡고 있다.[41][48] 중앙업무지구 외곽의 어느 공공도로에서든 아무때나 택시를 멈춰세워 타고 갈 수 있어 편리하다.

모든 택시에는 요금 미터기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택시는 5인승이며, 무선이 탑재되어 있고, 디젤차이다. 법률에 의해 모든 승객은 안전벨트 착용 의무가 있다. 1일 이용자 수는 약 588,632명이다.

택시 회사는 다음과 같다.

  • 컴포트 델그로 택시 (11147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현대 쏘나타 CRDI
  • 컴포트 델그로 시티캡 (3835대)[49]
  • * 닛산 세드릭 (20대)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Presido)
  • * 메르세데스-벤츠 비토 115 CDI (MaxiCab: 7인승)
  • * 현대 쏘나타 CRDI
  • 개인 택시 옐로우탑캡 (482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토요타 라이스 에이스 (5인승 밴 개조)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Sovereign)
  • * 볼보 V70, 천연 가스
  • * 피아트 크로마 JTD
  • SMRT 택시 (3004대)[49]
  • * 닛산 세드릭 (5대)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Prestige)
  • * 쌍용 로디우스 SV270 XDI (Space: 7인승)
  • * 현대 아제라 CNG
  • * 크라이슬러 300C
  • 유니온 에너지 코퍼레이션 트랜스캡 (2139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토요타 위시 CNG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 프리미어 택시 실버캡 (1900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기아 매젠티스 CRDI
  • * 메르세데스-벤츠 E220 CDI (Silverstar)
  • * 스코다 슈퍼브 2.5 V6 TDI (SilverArrow)
  • * 토요타 위시
  • * 현대 i30
  • 스마트 오토모빌 (781대)[49]
  • * 토요타 크라운
  • * 메르세데스-벤츠 E200 NGT, 천연 가스/휘발유 바이 퓨얼 (Supreme)
  • * 폭스바겐 투란 1.9 TDI PD (Supreme)
  • * 토요타 캠리 JDM, 천연 가스
  • 프라임 택시 (198대)[49]
  • * 토요타 액시오 CNG
  • * 토요타 필더 CNG
  • * 토요타 위시 CNG
  • * 혼다 에어웨이브 CNG
  • * 혼다 스트림 CNG

3. 5. 트리쇼

인력거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도시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47년 인도주의적 이유로 금지되었고, 트리쇼로 대체되었다.[18] 1983년까지 트리쇼는 운송 수단으로서의 사용이 사라졌지만,[19] 이후 관광객의 명소로 시내 지역 주변을 관광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001년에 개인 트리쇼 운전 면허 발급이 중단되었으며, 2023년 5월 트리쇼 투어의 마지막 면허 운영업체인 트리쇼 삼촌이 싱가포르 관광청과의 계약을 종료하였다. 2024년 4월 현재, 싱가포르에서는 상업 트리쇼 서비스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20][21]

4. 대중 교통

MRT, LRT, 버스, 그리고 택시는 싱가포르의 대중교통을 담당하는 주축이다.


싱가포르의 대중교통은 버스, 철도, 택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싱가포르 정부는 국토가 좁은 특성상 자가용 차량 대수를 줄이기 위해 대중교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45] 런던의 컨설팅회사인 크레도의 연구에 의하면,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가성비가 좋은 대중교통망을 구축한 지역 중 하나이다.[92] 그 결과 2008년 기준 하루 530.8만 명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다.[45]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통근하는 싱가포르인(외국인 제외)의 52.4%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으며, 41.6%는 개인 소유 차량, 6.1%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다.[46] 통학의 경우 41.5%가 대중교통, 24.9%가 개인 소유 차량, 30.1%가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46] 싱가포르 영주권자(외국인 포함)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1990년 55%에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싱가포르 정부는 이를 75%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대중교통 규제는 육상교통청(LTA)이 맡고 있으며, 요금 및 버스 서비스 등은 육상교통청에서 독립된 대중교통위원회(Public Transport Council)가 담당한다. 육상교통청의 주요 정책 목표는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여 중심 지구의 대기 오염을 줄이는 것이다.

2007년 12월에는 육상교통청, 싱가포르 정부 관광청, EZ-link가 협력하여 관광객용 싱가포르 투어리스트 패스를 출시했다.[47] 이 패스를 통해 관광객들은 8달러로 SBS 트랜짓, SMRT 버스, SMRT 트레인즈가 운행하는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야간 운행 서비스 등에는 적용되지 않음)

MRT와 LRT (경전철) 체계는 총 다섯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섬 구석구석에 버스 노선망이 구축되어 있다. 대부분의 버스는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를 감안하여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은 버스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버스와 MRT 승차에는 비접촉식 교통카드인 EZ-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4. 1. 개요

4. 2. 버스

SMRT 버스 소속 MAN A22 차량


SBS 교통 소속 Volvo B9TL Gemini Eclipse 차량


싱가포르의 새로운 대중 버스는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짙은 녹색으로 칠해져 있다.


버스 운송은 싱가포르의 대중 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2019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400만 명 이상이 이용한다.[8] SBS Transit, SMRT 버스, 타워 트랜짓 싱가포르 및 고-어헤드 싱가포르가 운영하는 365개 이상의 정규 버스 노선이 있다. 또한 약 5,800대의 버스가 있으며, 대부분은 단층 버스 및 2층 버스이며, 소수의 굴절 버스와 미니버스가 현재 여객 운송에 투입되고 있다.

2016년부터 버스 계약 모델에 따라, 육상 교통청은 대중 버스 서비스 표준을 규제하고 관련 자산을 소유하며, 버스 운영업체는 경쟁 입찰을 통해 버스 서비스를 운영한다.

싱가포르에서 영업하고 있는 주요 대중 버스 회사는 다음과 같다.

;SBS 트랜짓

  • 노선: 300개 이상 (2013년), 195개 노선(2016년)
  • 차량 대수: 3,000대 이상 (2013년, 2016년)


;SMRT 버스

  • 노선: 100개 이상 (2013년), 77개 노선(2016년)
  • 차량 대수: 900대 이상 (2013년), 1,400대 이상 (2016년)


;타워 트랜짓 싱가포르

  • 노선 개수: 26노선 (2016년)
  • 편도수: 380대 (2016년)


;고-어헤드 싱가포르

  • 노선 개수: 25노선 (2016년)
  • 편도수: 380대 (2016년)

4. 3. 철도

싱가포르 MRT R151


대중교통(MRT)은 1987년에 개통한 중전철 지하철 시스템으로, 대중 버스와 함께 싱가포르 대중 교통 시스템의 주요 골격을 이룬다.[22] 2022년 11월 기준으로 노선 길이는 229.7km이며, 166개의 역이 있다.[23] 육상 교통청은 2030년까지 철도 시스템을 총 360km로 확장할 계획이다.[24]

현재 MRT 네트워크는 6개의 주요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SMRT Trains(SMRT Corporation)가 운영하는 노스 사우스 라인, 이스트 웨스트 라인, 서클 라인, 톰슨-이스트 코스트 라인과 SBS Transit가 운영하는 노스 이스트 라인, 다운타운 라인이 있다. 주롱 지역 라인과 크로스 아일랜드 라인은 각각 2027년과 2030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될 예정이다.[25][26]

1999년에는 신도시에서 자동 열차 운전 방식의 고무 차륜 경전철 시스템이 개통되어 간선 MRT 네트워크의 지선 역할을 한다. 싱가포르의 경전철 시스템 전체 길이는 28.8km이다.[22] SMRT가 운영하는 부킷 판장 경전철 노선을 시작으로, SBS Transit가 운영하는 성캉 경전철 노선과 풍골 경전철 노선이 개통되었다.

경전철


2007년에는 히타치가 건설한 총 연장 2.1km의 센토사 익스프레스 모노레일이 싱가포르 본섬과 센토사섬을 연결한다.

2016년 기준으로 SMRT 소속 철도 노선은 노스사우스 선, 이스트웨스트 선, 서클 선, 톰슨-이스트코스트선, 푸킷 판장 선이 있으며, SBS 트랜짓 소속 노선은 노스이스트 선, 다운타운 선, 셍캉 선, 풍골 선이 있다.

앞으로 건설되거나 계획 중인 노선으로는 이스트웨스트 선 연장 (투아스 링크 역), 톰슨-이스트코스트 선, 서클 선 6단계 연장 구간, 노스사우스 선 연장 구간, 크로스아일랜드 선 (계획중), 주롱 리전 선, 다운타운 선 연장 구간, 노스이스트 선 연장 구간, 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 고속철도가 있다.

4. 4. 케이블카

싱가포르와 센토사 사이의 케펠 항을 가로지르는 싱가포르 케이블카


싱가포르 케이블카는 파버 산에서 싱가포르 본섬과 센토사섬 리조트를 이어주며, 관광지 갈 때 대체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30] 1974년에 개통되었으며, 세계 최초로 항만을 가로지르는 공중 로프웨이 시스템이었다.[30] 싱가포르 본섬의 마운트 페이버에서 센토사 섬을 연결하며, 싱가포르 섬과 센토사 섬 사이에는 다리가 놓여 있어 택시, 버스, 센토사 익스프레스(모노레일)로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카는 관광 명소로 주로 이용된다. 2010년 8월에 기존의 노후화된 케이블카를 개조하는 작업을 거쳤다.[30]

5. 국제 교통

싱가포르는 타국과 육상, 해상, 항공수단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육상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와 두 개의 육상 연결 지점을 가지고 있다. 1920년대에 건설되어 도로와 철도 노선을 운송하는 조호르-싱가포르 코즈웨이는 말레이시아 조호르주조호르바루와 싱가포르의 우드랜즈를 연결한다. 투아스 제2 링크는 1996년에 완공되었으며 싱가포르의 투아스와 조호르의 탄중쿠팡을 연결한다.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세컨드 링크


말레이시아 철도에서 운영하는 말레이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연장선인 국제 철도 노선은 말레이시아로 향한다. 2011년 7월 1일부터 우드랜즈 기차 검문소는 KTM 철도 네트워크의 남부 종착역 역할을 한다. 이전에는 KTM 열차가 싱가포르 중심부에 있는 탄종파가르역에서 종착했다.
해상싱가포르는 말라카 해협에 위치하여 해운에 있어서 필수적인 위치에 있으며, 19세기부터 해운의 요충지로 발전해왔다.[50] 싱가포르항은 항만 운영사인 PSA 인터내셔널(싱가포르 항만청의 일부를 민영화하여 설립된 메가 터미널 운영사)과 JTC 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주롱항이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항은 처리 화물 톤수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만 중 하나이다. 2004년에는 10억 4천만 총톤수를 처리하여 싱가포르 해운 역사상 처음으로 10억 톤을 넘어섰으며, 같은 해에 3억 93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여 로테르담항을 제치고 화물 처리량 기준으로 세계 최고의 항만이 되었다. 2019년에는 총 6억 26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했다.[31]

싱가포르는 컨테이너 처리량 기준으로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2004년에는 2130만 TEU를 기록하였고,[94] 2018년에는 3660만 TEU(20피트 컨테이너)를 처리하며 세계 2위를 기록했다.[32] 또한, 환적 화물 처리량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허브이며, 2004년 기준 2360만 톤으로 연료수송에서도 세계 1위에 올랐다.[95] 2018년에는 4980만 톤을 판매하여 세계 최대의 벙커링 허브이다.[33]

2007년 싱가포르 항은 홍콩과 상하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만으로 선정되었으며,[96][34] 싱가포르 시도 아시아 최대의 항구도시로 기록됐다.[96]

항만 및 항구 데이터
항만운영사유형선석길이
(m)
크레인면적
(m²)
용량
브라니 (B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82,32526790,000
코스코-PSA (CPT)코스코/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5720228,0005,000
주롱JTC다목적234,4861,200,028
케펠 (K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143,164271,025,000
마젠타 싱가포르 (MST)[35]ONE/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44,000
MSC-PSA 아시아 (MPAT)[35]MSC/PSA 인터내셔널714
파시르 판장 자동차 (PPT)[36]PSA 인터내셔널Ro-ro31,010250,000
파시르 판장 (PPT 1)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14519850,000
파시르 판장 (PPT 2)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92,972361,390,000
파시르 판장 (PPT 3)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82,65531940,000
파시르 판장 (PPT 4)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31,26413700,000
파시르 판장 (PPT 5)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16024830,000
파시르 판장 (PPT 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25124800,000
PIL-PSA 싱가포르 (PPST)[35]PIL/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3
셈바왕[36]PSA 인터내셔널일반4660280,000
탄종 파가 (TP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72,0970795,000



케펠 컨테이너 터미널


싱가포르 항구의 일부


싱가포르에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섬으로 보트와 페리 노선이 운항한다. 주요 페리 터미널로는 창이 페리 터미널, 창이 포인트 페리 터미널, 타나메라 페리 터미널, 싱가포르 크루즈 센터, 마리나베이 크루즈 센터 싱가포르 등이 있다.

싱가포르 크루즈 센터(SCC)는 인도네시아 바탐, 빈탄, 카리문의 리아우 제도로 페리 서비스가 연결되는 타나메라 페리 터미널과 하버프론트 페리 터미널을 운영한다.[40] 또한, 국제 여객 터미널(IPT)에서 관리하는 크루즈 터미널도 운영하며, 더 큰 크루즈 선박을 수용하기 위해 마리나 베이 크루즈 센터 싱가포르가 2012년에 완공되었다.

싱가포르강을 따라 운행하는 리버 택시도 있었지만, 이용객이 저조하여 2013년 1월에 도입된 이후 중단되었다.[37][38] 마리나 사우스 피어에서 쿠수 섬, 라자루스 섬, 세인트존스 섬 및 시스터즈 섬과 같은 남부 섬으로 매일 정기 페리 서비스가 운행된다.[39] 동부에 위치한 창이 포인트 페리 터미널에서는 풀라우 우빈과 말레이시아 조호르의 일부 목적지로 매일 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항공싱가포르는 개방된 항공 정책을 통해 아시아의 주요 항공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항공업계는 싱가포르 교통부 산하 법정위원회인 싱가포르 국가항공국의 통제를 받는다.[97] 2007년 10월에는 영국과 항공 자유화 협정을 체결하여 양국 항공기의 자유로운 운항을 허가하였다.[97][27]

싱가포르에는 싱가포르 항공, 실크에어, 스쿠트,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 발루에어, 타이거 항공 등 6개의 정기 운항 항공사가 있으며, 모두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6대륙 70개 이상의 도시에 취항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국책 항공사인 싱가포르 항공은 창이 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과 제3여객터미널을, 자회사인 실크에어스쿠트는 제2여객터미널을 허브로 사용한다.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과 발루에어는 창이 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타이거 항공은 저예산항공 터미널을 허브로 사용했으나, 2012년 저예산항공 터미널이 폐쇄되면서 타이거 항공도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은 싱가포르 본섬 최동단에 위치한 주요 허브 공항으로, 4개의 터미널을 갖추고 58개국 185개 도시를 연결한다.[98][28] 최근 네 번째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연간 7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29] 셀레타르 공항은 싱가포르 최초의 민간 공항으로, 현재는 민간 항공을 우선으로 취급하며 제한적인 상업 항공편도 운항한다. 말레이시아의 파이어플라이셀레타르 공항에서 정기 운항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항공사이다.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의 관제탑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의 싱가포르 항공 (에어버스 A380)


싱가포르 항공은 싱가포르의 국책 항공사이다.


스쿠트는 싱가포르 항공의 저가 항공사 부문이다.


공항ICAOIATA용도활주로길이
(m)
비고
파야 레바 공군 기지WSAPQPG군용포장3800구 민간 공항
셀레타 공항WSSLXSP민간/군용포장1836비정기 항공편 취급
셈바왕 공군 기지WSAG군용포장914
싱가포르 창이 공항WSSSSIN민간포장4000
텡가 공군 기지WSATTGA군용포장2713


5. 1. 육상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와 두 개의 육상 연결 지점을 가지고 있다. 1920년대에 건설되어 도로와 철도 노선을 운송하는 조호르-싱가포르 코즈웨이는 말레이시아 조호르주조호르바루와 싱가포르의 우드랜즈를 연결한다. 투아스 제2 링크는 1996년에 완공되었으며 싱가포르의 투아스와 조호르의 탄중쿠팡을 연결한다.

말레이시아 철도에서 운영하는 말레이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연장선인 국제 철도 노선은 말레이시아로 향한다. 2011년 7월 1일부터 우드랜즈 기차 검문소는 KTM 철도 네트워크의 남부 종착역 역할을 한다. 이전에는 KTM 열차가 싱가포르 중심부에 있는 탄종파가르역에서 종착했다.

5. 2. 해상

싱가포르는 말라카 해협에 위치하여 해운에 있어서 필수적인 위치에 있으며, 19세기부터 해운의 요충지로 발전해왔다.[50] 싱가포르항은 항만 운영사인 PSA 인터내셔널(싱가포르 항만청의 일부를 민영화하여 설립된 메가 터미널 운영사)과 JTC 코퍼레이션의 자회사인 주롱항이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항은 처리 화물 톤수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만 중 하나이다. 2004년에는 10억 4천만 총톤수를 처리하여 싱가포르 해운 역사상 처음으로 10억 톤을 넘어섰으며, 같은 해에 3억 93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여 로테르담항을 제치고 화물 처리량 기준으로 세계 최고의 항만이 되었다. 2019년에는 총 6억 26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했다.[31]

싱가포르는 컨테이너 처리량 기준으로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2004년에는 2130만 TEU를 기록하였고,[94] 2018년에는 3660만 TEU(20피트 컨테이너)를 처리하며 세계 2위를 기록했다.[32] 또한, 환적 화물 처리량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허브이며, 2004년 기준 2360만 톤으로 연료수송에서도 세계 1위에 올랐다.[95] 2018년에는 4980만 톤을 판매하여 세계 최대의 벙커링 허브이다.[33]

2007년 싱가포르 항은 홍콩과 상하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만으로 선정되었으며,[96][34] 싱가포르 시도 아시아 최대의 항구도시로 기록됐다.[96]

항만 및 항구 데이터
항만운영사유형선석길이
(m)
크레인면적
(m²)
용량
브라니 (B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82,32526790,000
코스코-PSA (CPT)코스코/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5720228,0005,000
주롱JTC다목적234,4861,200,028
케펠 (K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143,164271,025,000
마젠타 싱가포르 (MST)[35]ONE/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44,000
MSC-PSA 아시아 (MPAT)[35]MSC/PSA 인터내셔널714
파시르 판장 자동차 (PPT)[36]PSA 인터내셔널Ro-ro31,010250,000
파시르 판장 (PPT 1)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14519850,000
파시르 판장 (PPT 2)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92,972361,390,000
파시르 판장 (PPT 3)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82,65531940,000
파시르 판장 (PPT 4)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31,26413700,000
파시르 판장 (PPT 5)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16024830,000
파시르 판장 (PPT 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62,25124800,000
PIL-PSA 싱가포르 (PPST)[35]PIL/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3
셈바왕[36]PSA 인터내셔널일반4660280,000
탄종 파가 (TPT)[36]PSA 인터내셔널컨테이너72,0970795,000



싱가포르에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섬으로 보트와 페리 노선이 운항한다. 주요 페리 터미널로는 창이 페리 터미널, 창이 포인트 페리 터미널, 타나메라 페리 터미널, 싱가포르 크루즈 센터, 마리나베이 크루즈 센터 싱가포르 등이 있다.

싱가포르 크루즈 센터(SCC)는 인도네시아 바탐, 빈탄, 카리문의 리아우 제도로 페리 서비스가 연결되는 타나메라 페리 터미널과 하버프론트 페리 터미널을 운영한다.[40] 또한, 국제 여객 터미널(IPT)에서 관리하는 크루즈 터미널도 운영하며, 더 큰 크루즈 선박을 수용하기 위해 마리나 베이 크루즈 센터 싱가포르가 2012년에 완공되었다.

싱가포르강을 따라 운행하는 리버 택시도 있었지만, 이용객이 저조하여 2013년 1월에 도입된 이후 중단되었다.[37][38] 마리나 사우스 피어에서 쿠수 섬, 라자루스 섬, 세인트존스 섬 및 시스터즈 섬과 같은 남부 섬으로 매일 정기 페리 서비스가 운행된다.[39] 동부에 위치한 창이 포인트 페리 터미널에서는 풀라우 우빈과 말레이시아 조호르의 일부 목적지로 매일 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5. 3. 항공

싱가포르는 개방된 항공 정책을 통해 아시아의 주요 항공 허브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항공업계는 싱가포르 교통부 산하 법정위원회인 싱가포르 국가항공국의 통제를 받는다.[97] 2007년 10월에는 영국과 항공 자유화 협정을 체결하여 양국 항공기의 자유로운 운항을 허가하였다.[97][27]

싱가포르에는 싱가포르 항공, 실크에어, 스쿠트,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 발루에어, 타이거 항공 등 6개의 정기 운항 항공사가 있으며, 모두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6대륙 70개 이상의 도시에 취항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국책 항공사인 싱가포르 항공은 창이 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과 제3여객터미널을, 자회사인 실크에어스쿠트는 제2여객터미널을 허브로 사용한다.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과 발루에어는 창이 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타이거 항공은 저예산항공 터미널을 허브로 사용했으나, 2012년 저예산항공 터미널이 폐쇄되면서 타이거 항공도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했다.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은 싱가포르 본섬 최동단에 위치한 주요 허브 공항으로, 4개의 터미널을 갖추고 58개국 185개 도시를 연결한다.[98][28] 최근 네 번째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연간 7천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29] 셀레타르 공항은 싱가포르 최초의 민간 공항으로, 현재는 민간 항공을 우선으로 취급하며 제한적인 상업 항공편도 운항한다. 말레이시아의 파이어플라이셀레타르 공항에서 정기 운항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항공사이다.

공항ICAOIATA용도활주로길이
(m)
비고
파야 레바 공군 기지WSAPQPG군용포장3800구 민간 공항
셀레타 공항WSSLXSP민간/군용포장1836비정기 항공편 취급
셈바왕 공군 기지WSAG군용포장914
싱가포르 창이 공항WSSSSIN민간포장4000
텡가 공군 기지WSATTGA군용포장2713


참조

[1] 뉴스 Singapore public transport system tops global list https://www.straitst[...] 2023-10-02
[2] 뉴스 Study: Singapore's public transport system one of world's most efficient https://www.straitst[...] 2023-10-02
[3] 웹사이트 Fare Structure https://www.ptc.gov.[...] Public Transport Council 2023-02-09
[4] 웹사이트 New Rail Financing Framework https://www.lta.gov.[...] Land Transport Authority 2023-02-09
[5] 웹사이트 Bus Contracting Model https://www.lta.gov.[...] Land Transport Authority 2023-02-09
[6] 웹사이트 Cars in Singapore cost on average 5 times more than they do in the US. Here's a breakdown of what 5 popular cars would set you back in each country. https://www.business[...] 2023-02-09
[7] 간행물 Current Landscape of the Automotive Field in the ASEAN Region: Case Study of Singapore, Malaysia and Indonesia - A Brief Overview https://www.research[...] 2019-10-05
[8] 웹사이트 Bus, train ridership rises to new high https://www.straitst[...] 2020-02-13
[9] 웹사이트 Annual Vehicle Statistics 2018: MOTOR VEHICLE POPULATION BY VEHICLE TYPE https://www.lta.gov.[...] Land Transport Authority 2020-03-07
[10] 웹사이트 How the COE system went from managing rapid vehicle growth to hitting record premiums https://www.channeln[...] 2023-02-09
[11] 웹사이트 An Explanation On Why Cars In Singapore Are So Expensive https://dollarsandse[...] 2023-02-09
[12] 웹사이트 Why are cars so expensive in Singapore? https://www.budgetdi[...] 2023-02-09
[13] 뉴스 Cost of car ownership soars in Singapore https://www.bbc.com/[...] 2023-10-06
[14] 뉴스 COE prices for smaller cars dip to $92,700, premiums for bigger cars inch up to $105,689 https://www.straitst[...] 2024-05-23
[15] 웹사이트 Budget 2023: Higher additional registration fees, cap on rebates for luxury car owners https://www.channeln[...] 2023-02-15
[16] 웹사이트 'Budget 2023: Tax for higher-end cars to rise again; ARF to go up from 220% to 320% {{!}} The Straits Times' https://www.straitst[...] 2023-02-15
[17] 웹사이트 Length of Roads Maintained by LTA https://data.gov.sg/[...] 2020-03-07
[18] 웹사이트 Infopedia: Rickshaw http://eresources.nl[...] 2019-10-27
[19] 서적 A Slow Ride into the Past: The Chinese Trishaw Industry in Singapore, 1942-1983 Monash University Publishing
[20] 웹사이트 From their heyday in the 1940s to their demise: The end of trishaws in Singapore https://www.channeln[...] MediaCorp 2024-04-15
[21] 웹사이트 Loss of trishaw tours in Singapore linked to road development plans, waning demand https://www.channeln[...] 2024-05-05
[22] 웹사이트 Rail Length https://datamall.lta[...] 2024-05-30
[23] 웹사이트 Land Transport Datamall, LTA https://datamall.lta[...] 2024-05-30
[24] 웹사이트 Two New Rail Lines and Three New Extensions to Expand Rail Network by 2030 https://www.lta.gov.[...] 2019-04-08
[25] 웹사이트 Jurong Region Line to serve NTU, Tengah estate, Jurong Industrial Estate https://www.channeln[...] 2019-04-08
[26] 뉴스 First phase of Cross Island MRT line finalised; will have 12 stations https://www.straitst[...] 2019-04-08
[27] 뉴스 Singapore, UK conclude landmark Open Skies Agreement http://www.channelne[...] Channelnewsasia.com 2007-10-03
[28] 웹사이트 Air Network http://www.changiair[...] changiairport.com 2008-03-26
[29] 웹사이트 Skytrax names Singapore Changi as World's Best Airport https://www.worldair[...] Skytrax 2024-04-09
[30] 웹사이트 New cable car service to help visitors get around Sentosa https://www.straitst[...] The Straits Times 2015-07-14
[31] 웹사이트 Cargo Throughput, Monthly https://data.gov.sg/[...] 2020-03-07
[32] 웹사이트 Top 50 World Container Ports http://www.worldship[...] 2020-03-07
[33] 웹사이트 Singapore's 2018 Maritime Performance https://www.mpa.gov.[...] 2020-03-07
[34] 뉴스 Singapore remains world's busiest port http://news.xinhuane[...] Xinhuanet 2006-01-12
[35] 웹사이트 Our Business: Joint-Venture Terminals https://www.singapor[...] 2020-03-07
[36] 웹사이트 Our Business: Terminals https://www.singapor[...] 2020-03-07
[37] 뉴스 Water taxis to make a splash in Singapore https://www.telegrap[...] 2011-12-27
[38] 뉴스 Few using water taxis as regular mode of commute http://www.todayonli[...] 2013-08-02
[39] 웹사이트 Singapore Island Cruise http://www.islandcru[...] islandcruise 2014-04-06
[40] 웹사이트 wowgetaways.com https://www.wowgetaw[...] SCC 2018-03-13
[41]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www.lta.gov.s[...] 2014-07-18
[42] 웹사이트 Annual Vehicle Statistics 2011 - MOTOR VEHICLE POPULATION BY VEHICLE TYPE http://www.lta.gov.s[...] Land Transport Authority 2012-07-18
[43] 문서 外務省安全ガイド http://www.anzen.mof[...]
[44] 웹사이트 SPEECH BY MR RAYMOND LIM,MINISTER FOR TRANSPORT, AT VISIT TO KALLANG-PAYA LEBAR EXPRESSWAY, 30 JANUARY 2008, 10.15 AM https://app-pac.mica[...] Singapore Government Media Release 2008-01-30
[45]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 Ridership http://www.lta.gov.s[...] Land Transport Authority 2008-03-26
[46] 웹사이트 Singapore Census of Population 2000 http://www.singstat.[...] Statistics Singapore 2008-03-26
[47] 웹사이트 The Singapore Tourist Pass http://www.thesingap[...] 2008-03-26
[48] 웹사이트 Taxi Operators http://www.lta.gov.s[...] 2013-10-08
[49] 웹사이트 Taxi Info for LTA Website 2008 http://www.lta.gov.s[...] Land Transport Authority 2008-06-08
[50] 문서 外務省 シンガポール運輸事情 2010年1月 http://www.mlit.go.j[...]
[51] 웹사이트 Total Container Throughput (in '000 TEUs) http://www.mpa.gov.s[...] 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2008-03-26
[52] 뉴스 Singapore remains world's busiest port http://news.xinhuane[...] Xinhuanet 2006-01-12
[53] 문서 http://www.benefitso[...]
[54] 문서 ストレーツ・タイムズ 1937年6月25日 http://newspapers.nl[...]
[55] 웹사이트 Mail takes flight http://clients.thead[...] SPM Singapore 2011-09-11
[56] 웹사이트 Aviation Policy http://www.mot.gov.s[...] 2007-10-05
[57] 웹사이트 Prying open ASEAN's skies http://www.atimes.co[...] 2007-10-05
[58] 웹사이트 Single market for air transport between EU and Singapore http://europa.eu/rap[...] 2007-10-05
[59] 웹사이트 Singapore Signs Landmark Aviation Agreement with the European Union http://app.mot.gov.s[...] 2007-10-05
[60] 웹사이트 Singapore, UK conclude landmark Open Skies Agreement http://www.channelne[...] 2007-10-05
[60] 웹사이트 Singapore And UK Sign Open Skies Agreement http://www.tax-news.[...] Tax-News.com 2013-08
[61] 웹사이트 The skies open up http://www.aftaonlin[...] 2007-10-05
[62] 문서 http://app.mot.gov.s[...]
[63] 문서 http://app.mot.gov.s[...]
[64] 문서 http://app.mot.gov.s[...]
[65] 문서 http://app.mot.gov.s[...]
[66] 문서 http://www.maliat.go[...]
[67] 웹사이트 Singapore signs Open Skies Agreement with Czech Republic http://www.asiatrave[...] Asiatraveltips.com
[68] 웹사이트 S'pore & Scandinavian countries conclude Open Sky Agreements http://www.asiaone.c[...] Asiaone.com 2008-01-29
[69] 웹사이트 Unlimited "Hubbing Rights" Singapore concludes Open Skies Agreement with Iceland http://www.eturbonew[...] eTurboNews.com 2009-01-23
[70] 문서 http://app.mot.gov.s[...]
[71] 링크 http://app.mfa.gov.s[...]
[72] 링크 http://app.mot.gov.s[...]
[73] 웹사이트 AFP: Singapore and Malta sign open skies agreement http://afp.google.co[...] Afp.google.com 2008-08-08
[74] 웹사이트 Middle East Continues To Deliver Air Service Increases Oman inks Open Skies Agreement with http://www.eturbonew[...] Eturbonews.com 2009-02-11
[75] 웹사이트 Singapore signs OSA with Peru; ASAs with Colombia and Ecuador http://www.asiatrave[...] Asiatraveltips.com 2009-08-27
[76] 웹사이트 Home http://www.changiair[...] Changi Airport null
[77] URL http://www.changiair[...]
[78] 웹사이트 Home http://www.changiair[...] Changi Airport null
[79] 링크 http://app.mot.gov.s[...]
[80] 링크 http://app.mot.gov.s[...]
[81] 링크 http://app.mot.gov.s[...]
[82] 링크 http://app.mot.gov.s[...]
[83] 링크 http://app.mot.gov.s[...]
[84] 링크 http://www.state.gov[...]
[85] 웹사이트 Air Network http://www.changiair[...] changiairport.com null
[86] 뉴스 Study: Singapore's public transport system one of world's most efficient http://www.straitsti[...]
[87] 웹인용 Facts and Figures http://www.lta.gov.s[...] 2017-10-22
[88] 웹인용 Growth rate of vehicles to be halved http://www.todayonli[...] TodayOnline 2014-10-17
[89] 뉴스 Water taxis to make a splash in Singapore http://www.telegraph[...] 2011-12-27
[90] 뉴스 Few using water taxis as regular mode of commute http://www.todayonli[...] 2013-08-02
[91] 웹인용 Singapore Island Cruise http://www.islandcru[...] islandcruise
[92] 뉴스 null http://www.straitsti[...] CNN Go 2014-06-02
[93] 웹인용 Total Cargo (in '000 tons) http://www.mpa.gov.s[...] 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94] 웨이백 http://www.mpa.gov.s[...] 20081003120650
[95] 웹인용 Total Container Throughput (in '000 TEUs) http://www.mpa.gov.s[...] 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96] 뉴스 Singapore remains world's busiest port http://news.xinhuane[...] Xinhuanet 2006-01-12
[97] 뉴스 Singapore, UK conclude landmark Open Skies Agreement http://www.channelne[...] Channelnewsasia.com 2007-10-03
[98] 웹인용 Air Network http://www.changiair[...] changiairport.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