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감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씨감자는 감자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로, 바이러스 등 질병에 걸리지 않은 깨끗하고 순도가 높은 것이 중요하다. 씨감자는 한지나 고랭지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과거에는 정부에서 장려 품종을 보급했으나, 현재는 국립종자원에 품종 등록을 거쳐 유통된다. 씨감자는 재배 시기에 따라 1기작용과 2기작용으로 구분되며, 용도에 따라 식용, 칩 가공용, 프렌치프라이 가공용, 전분용으로 나뉜다. 주요 품종으로는 남작, 수미, 대서 등이 있다. 씨감자는 정부 보급종이나 농협, 민간 채종 회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으며, 파종 한 달 전에 구입하는 것이 좋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씨감자 | |
---|---|
기본 정보 | |
![]() | |
역사 | |
개발 | 일본 |
개발 시기 | 1980년대 |
개발 목적 | 씨감자 생산 비용 절감 및 효율 증대 |
특징 | |
정의 |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된 씨감자 젤라틴 등으로 코팅되어 씨앗 형태로 만들어짐 |
장점 | 바이러스 감염 위험 감소 보관 및 운송 용이 파종 작업 효율성 증대 |
단점 | 일반 씨감자 대비 생산 비용 높음 생육 환경에 민감 대량 생산 기술의 한계 |
활용 | |
현재 | 연구 개발 단계 상업적 생산은 제한적 |
미래 전망 | 생산 비용 절감 및 기술 발전 시 상용화 가능성 존재 유전자 변형 기술과 접목하여 고품질 씨감자 생산 기대 |
2. 종자 구분
감자는 되심어야 재배, 생산할 수 있는 영양번식작물이다. 따라서 해마다 수확량의 일정 부분을 씨감자로 저장해야 한다.[4] 씨감자는 각종 병에 걸리지 않고 순도가 높은 것이어야 하며, 주로 한지나 고랭지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과거에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품종들을 정부 장려품종으로 지정하여 보급하였지만, 2000년대에 종자산업법이 개정된 이래로는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을 하고 있다.[5]
2. 1. 씨감자
병에 걸리지 않고 순도가 높은 감자를 씨감자로 사용한다. 씨감자는 주로 한지나 고랭지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4] 감자는 벼, 보리, 콩, 옥수수와 함께 국가품종목록등재 5대 작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약 40여 품종이 등록되어 있다.[5]2. 2. 인공 씨감자
1991년, 한국 유전공학 연구소 정혁 박사팀이 조직 배양을 통하여 인공 씨감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6] 기존의 파종은 감자를 쪼개 심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씨감자 생산에서 파종까지 6~8개월이 걸렸다. 또한 질병 감염 때문에 재배가 쉽지 않고, 씨감자는 수분이 많고 무거워 운송과 물류비 부담이 크며 저장도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 씨감자가 개발되었다.[7]자연 씨감자를 대체할 인공 씨감자는 조직 배양 기술로 무균 배양 용기 내에서 대량 생산된 감자 줄기를 통해 콩알만한 크기로 생산된다. 크기는 약 0.5~1㎝, 무게는 약 0.5g 정도이며 한번만 증식해도 400g 정도의 감자를 서너 개씩 만들어 낸다. 이론적으로는 1ha에서 약 25톤 정도의 감자를 생산할 수 있어[8] 단위면적당 50% 정도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고 한다.[9]
국내외 17개국에 특허를 출원한 후 상업화를 추진하였으나, 1997년 한국이 IMF 외환 위기를 겪으며 사업이 좌절되기도 했다. 2016년에 전남 진도군이 인공 씨감자 특화 단지를 조성하며 다시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다.[10]
2. 3. 휴면성
감자는 수확 직후에 바로 심으면 싹이 나지 않는다. 이는 감자가 가진 휴면성 때문이다. 수확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싹을 틔우는 능력이 생긴다.[11] 품종과 보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0~120일 정도 지나야 싹을 틔울 수 있다. 이러한 감자의 휴면성 덕분에 감자 저장이 비교적 쉽다. 하지 감자의 경우 보통 겨울이나 봄이 되어야 싹이 돋아난다.[12] 또한 싹이 트는 데 필요한 최소 온도는 8°C 이상이다.2. 4. 재배 시기에 따른 구분
씨감자는 재배 시기에 따라 1기작용과 2기작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1기작용은 휴면 기간이 길어 1년에 한 번, 봄 재배 또는 여름 재배에 이용되는 품종이다. 2기작용은 휴면 기간이 짧아 1년에 두 번 재배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대략 50~70일 가량의 휴면 기간을 가지는 품종들이 2기작용으로 육성되고 있다.[5]
2. 5. 용도에 따른 구분
씨감자는 용도에 따라 식용, 칩 가공용, 프렌치프라이 가공용, 전분용 등으로 구분된다. 칩 가공용 품종은 덩이줄기 모양이 둥글고 속색이 흰색이며, 건물(乾物) 함량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아 감자칩으로 가공했을 때 칩의 색이 밝다. 프렌치프라이용은 건물 함량이 높아 튀겼을 때 모양이 구부러지지 않고 색이 밝은 품종을 쓴다. 또한, 모양이 길쭉한 장원형(長圓形)인 품종을 많이 이용한다. 가공용 감자 품종들은 건물 함량이 높고 맛이 좋아 식용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한국에서는 전분용 감자가 경제성이 없어 개발되지 않았다.용도 | 품종 |
---|---|
식용 | 남작, 수미, 대지, 초풍, 남서, 자심, 자서, 신남작, 조원, 추백, 추동, 추강, 추영, 하령, 서흥, 제서, 자영, 홍영, 방울 |
칩용 | 대서, 가원, 가황, 고운, 새봉, 수미 |
프렌치프라이용 | 세풍 |
2. 6. 숙기에 따른 구분
감자는 익는 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생종은 보통 생육 기간이 80~95일, 중생종은 95~110일, 만생종은 110일 이상이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 특성상 고랭지 여름 재배와 겨울 시설 재배를 제외하고는 중생종과 만생종이 적합하지 않다.[13]품종 | 주요 품종 |
---|---|
조생종 | 남작, 수미, 조풍, 추백, 가원, 추동, 조원, 가황, 고운, 새봉, 방울 |
중생종 | 대서, 세풍, 남서, 자서, 신남작, 추영, 하령, 서홍, 홍영, 제서 |
만생종 | 자심, 대서, 추강, 자영 |
씨감자는 정부 보급종, 씨감자 주산지의 농협 또는 민간 채종 회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1] 씨감자는 구입한 후 싹틔우기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늦어도 파종하기 한 달 전에는 구입하는 것이 좋다.[1] 정부 보급종의 경우 봄에 심을 씨감자는 1~2월에 이장이나 동장을 통하여 신청하면 2~4월에 공급받을 수 있다.[1] 감자 주산지의 농협이나 작목반 또는 민간 채종 회사를 통해 씨감자를 구입할 수도 있는데 구입 가격은 보급종보다 다소 비싼 편이다.[1]
한국에서는 남작, 수미, 대서 등 다양한 품종의 감자가 재배되고 있으며, 각 품종은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3. 종자 구입
4. 한국의 주요 품종
4. 1. 남작 (Irish Cobbler)
1876년 미국에서 자주색 조생종인 얼리로즈(Early Rose)의 아조변이(芽條變異)에서 선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영국으로 전파되었고, 일본의 가와다(川田) 남작이 영국에서 가져왔다고 하여 '남작(男爵)'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국에는 1930년경 홋카이도(北海道)에서 도입되었다. 현재에는 점차 재배 지역이 줄어들고 있다.[3] 잎은 보통 크기이고 꽃은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감자는 편원형으로 겉껍질이 연한 노란색이고 눈이 깊게 박혀 있다. 육질이 분질성이라서 맛이 좋아 식용에 알맞다. 바이러스병과 감자역병에 약해서 미리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극조생종으로 생육 기간은 80∼90일이며, 휴면 기간은 90∼100일로 길어 가을 재배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저장력이 좋으며 겨울 동안 장기 저장할 때에는 통풍을 잘 해주어야 한다. 감자 중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래된 품종이다. 전국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14]
4. 2. 수미 (Superior)
수미는 찐득한 느낌이 드는 점질 감자로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1961년 미국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한국에는 1975년 도입되었고 1978년 장려품종으로 선정되어 전국으로 보급되었다.[15] 국내 감자 생산량의 80%를 차지한다. 식용 또는 칩 가공용으로 봄과 여름에 재배하며, 한국 전역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 감자잎말림바이러스병과 감자역병에는 약하지만 더뎅이병에는 비교적 강하고 감자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는 특히 강하다.
4. 3. 대서 (Dejima)
1971년 일본 나가사키 시험장에서 북해31호와 운젠을 교배해 육성한 품종으로, 1976년 한국에 도입되어 1978년 장려품종으로 등록되었다.[16] 뿌리가 잘 발달해서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란다. 덩이줄기는 편원형이고 겉껍질과 속살은 연한 노란색이며 눈이 얕게 박혀 있다. 식용 전용 품종으로, 덩이줄기는 바이러스병에는 강하지만 감자역병과 더뎅이병에는 약하다. 중만생종으로 생육기간은 110∼120일이며 휴면기간은 50∼60일로 짧아 봄 재배에서 얻은 씨감자를 가을 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 겨울 재배할 경우에는 고랭지 여름 재배에서 얻은 씨감자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춘·추작 이기작용으로 재배되며, 남부 지역 평야지대와 해안 지대가 재배하기에 알맞다.[16] 주로 칩 가공용으로 이용된다.
참조
[1]
네이버 지식백과
씨감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
[2]
뉴스
"[그때 그 기술 어떻게 됐나] 인공씨감자"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13-05-27
[3]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 감자의 종류 - 감자의 종류와 특성 (감자, 2004. 9. 17., 전수미)
https://terms.naver.[...]
[4]
네이버 지식백과
씨감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
[5]
간행물
감자, 농업기술길잡이 31
https://dl.nanet.go.[...]
농촌진흥청
2016-08-19
[6]
네이버 지식백과
씨감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
[7]
뉴스
"[그때 그 기술 어떻게 됐나] 인공씨감자"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13-05-27
[8]
네이버 지식백과
인공씨감자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9]
뉴스
"[충청투데이] 인공씨감자 개발사업 여기서 멈추나 2012년 12월 9일..."
https://www.cctoday.[...]
2012-12-09
[10]
뉴스
김권일 기자 [전남일보] 진도군, 인공 씨감자 특화단지 조성키로 2016. 01.19
http://www.jnilbo.co[...]
전남일보
2016-01-19
[11]
사전
휴면성 (休眠性)
네이버 국어사전
[12]
서적
텃밭백과
들녘
2013
[13]
서적
감자, 농업기술길잡이 31
농촌진흥청
2016-08-19
[14]
네이버 지식백과
남작 [Irish Cobbler, 男爵]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5]
네이버 지식백과
수미 [Superio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6]
네이버 지식백과
대지 [Dejima]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