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게시폴리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게시폴리스 1세는 파우사니아스의 아들이자 클레옴브로토스 1세의 형으로, 기원전 394년 부왕의 망명으로 스파르타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미성년이었기에 아리스토데모스가 섭정을 맡았으며, 코린토스 전쟁 시기 아르고스를 침공하고 만티네이아를 정복했다. 오륜토스 전쟁 중 열병으로 사망했으며, 동생 클레옴브로토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파르타 패권 - 펠로폰네소스 동맹
펠로폰네소스 동맹은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그 외 지역의 도시 국가들이 맺은 동맹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레욱트라 전투 패배 이후 해체되었다. - 스파르타 패권 - 아게실라오스 2세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360년까지 스파르타의 왕으로,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코린트 전쟁을 이끌었으며, 테베에 대한 정책으로 스파르타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 아기아다이 왕조 - 레오니다스 1세
레오니다스 1세는 기원전 480년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병사들을 이끌고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으며, 그의 용감한 죽음은 그리스의 승리에 기여했다. - 아기아다이 왕조 - 클레옴브로토스 1세
기원전 4세기 스파르타의 왕인 클레옴브로토스 1세는 아게시폴리스 1세의 동생으로 왕위에 올라 테바이 원정을 이끌었지만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전사하며 스파르타의 그리스 패권 상실에 영향을 미쳤다.
아게시폴리스 1세 | |
---|---|
기본 정보 | |
칭호 | 스파르타의 왕 |
통치 기간 | 기원전 394년 - 기원전 380년 |
이전 통치자 | 파우사니아스 |
후임 통치자 | 클레옴브로투스 1세 |
공동 통치자 | 아게실라오스 2세 |
가문 | 아기아드 왕조 |
아버지 | 파우사니아스 |
출생 | 알 수 없음 |
사망 | 기원전 380년, 아피티스 |
로마자 표기 | Agēsipolis |
2. 즉위 배경
아게시폴리스 1세는 선대 왕 파우사니아스의 아들이자, 후대 왕이 되는 클레옴브로토스 1세의 형이다.[25][26] 기원전 394년, 아버지 파우사니아스가 테게아로 망명하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25][26] 즉위 당시 아게시폴리스와 동생 클레옴브로토스는 아직 미성년이었기 때문에, 가까운 친척인 아리스토데모스가 후견인으로서 섭정을 맡았다.[25][26]
아게시폴리스 1세가 왕위에 오를 무렵, 테바이, 아테네, 코린토스, 아르고스 등 주요 폴리스들은 스파르타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고 전쟁을 시작했다. 이를 코린토스 전쟁이라 부른다. 이 동맹 결성에는 페르시아 제국의 태수 티트라우스테스가 배후에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5][26] 전쟁이 발발하자 스파르타 정부는 소아시아에 원정 중이던 다른 왕 아게실라오스 2세를 불러들여 대응하게 했다.
아게시폴리스가 왕위를 계승할 무렵, 스파르타의 패권에 반대하는 테바이, 아테네, 코린토스, 아르고스가 동맹을 결성하여 코린토스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 반 스파르타 동맹의 결성에는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라프(태수) 티트라우스테스가 배후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등 일정 부분 역할이 있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스파르타 정부는 당시 소아시아에서 군사 활동을 벌이고 있던 다른 왕가인 에우리폰 왕조의 왕 아게실라오스 2세를 본국으로 소환했다.
3. 코린토스 전쟁
기원전 389년, 성년이 된 아게시폴리스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아르고스를 침공했다. 아르고스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동족 간의 휴전 조약을 내세워 침공을 막으려 했으나, 아게시폴리스는 이를 무시하고 영토를 약탈했다.[27] 이는 과거 아르고스를 공격했던 아게실라오스 2세보다 더 깊숙이 진군하려는 경쟁심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지진이 발생하고 병사 몇몇이 벼락에 맞아 사망하는 등 자연재해가 겹치자 아게시폴리스는 결국 군대를 철수시켰다.[28][29]
기원전 385년, 스파르타는 코린토스 전쟁 기간 동안 스파르타에 적대적인 행동을 보였던 만티네이아를 공격했다. 아게시폴리스가 이끈 스파르타 군대는 수공 작전을 펼쳐 만티네이아를 함락시켰다.[30][31]
3. 1. 만티네이아 전투와 에파메이논다스
기원전 385년, 스파르타는 코린토스 전쟁 중 적대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만티네이아를 침공했다.[30][31] 원정군을 지휘한 아게시폴리스는 수공을 통해 만티네이아를 항복시키고, 주민들을 네 개의 촌락으로 분산시켜 이주시켰다.[30][31] 이 전투에는 훗날 스파르타를 타도하게 되는 테바이인 에파메이논다스와 펠로피다스도 참여하고 있었는데, 펠로피다스가 위기에 처했을 때 에파메이논다스가 몸을 던져 그를 구출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30][31]
4. 오륜토스 전쟁과 최후
기원전 382년 초, 스파르타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 아민타스 3세로부터 오륜토스를 상대로 한 전쟁에 협력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트라키아 방면으로 세력을 넓히려던 스파르타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오륜토스 전쟁에 개입했다.[21]
초반의 전투는 스파르타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기원전 381년에 벌어진 제2차 원정에서는 지휘관 텔레우티아스가 전사하고 스파르타군이 패배하자, 아게시폴리스 1세가 군대의 지휘권을 넘겨받았다.[21]
기원전 380년, 아게시폴리스 1세는 마케도니아를 거쳐 오륜토스로 진격하여 토로니를 포함한 오륜토스의 영토를 공격하고 약탈했다. 군사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그는 갑작스럽게 열병에 걸렸고, 발병한 지 7일 만에 팔레네 반도의 아피티스에서 사망했다.[22][23] 그의 유해는 부패를 막기 위해 꿀로 방부 처리된 후, 매장을 위해 스파르타로 운구되었다.[22][23] 그의 뒤를 이어 동생인 클레옴브로토스 1세가 왕위에 올랐다.
5. 정책 및 평가
아게시폴리스 1세는 동맹국들에 대해 관용적인 정책을 펼쳤다.[35][36] 이는 공동 왕이었던 아게실라오스 2세가 추진했던 적극적이고 때로는 공격적인 확장 정책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35][36] 이러한 정책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게시폴리스 1세는 아게실라오스 2세와 개인적으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연장자로서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35][36]
그의 온건한 접근은 동맹 관계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수 있지만, 당시 그리스 세계의 치열한 패권 경쟁 구도 속에서 스파르타의 영향력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는 평가가 있다. 비록 기원전 380년 올린토스 원정[32][33][34]에서 군사적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그의 전반적인 정책 기조는 스파르타의 패권 유지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6. 왕위 계승
기원전 380년, 올린토스 원정 중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아게시폴리스 1세는 열병에 걸려 7일 만에 팔레네 반도의 아피티스에서 사망했다.[33][34] 그의 시신은 보존을 위해 밀랍을 입혀 스파르타로 운송되어 매장되었다.
아게시폴리스 1세는 동맹국에 대해 관용적인 정책을 펼쳤는데, 이는 진출적이고 공격적인 정책을 선호했던 아게실라오스 2세와는 대조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게실라오스 2세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연장자로서 존중을 표했다.[35][36] 아게시폴리스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왕위는 그의 동생인 클레옴브로토스 1세가 계승했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2]
서적
Hellenica (Xenophon)
[3]
서적
Hellenica (Xenophon)
[4]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5]
서적
Hellenica (Xenophon)
[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7]
간행물
[8]
서적
Pelop.
[9]
서적
Panegyric oration
[10]
서적
Hellenica (Xenophon)
[11]
간행물
[12]
서적
History of Greece
[13]
문서
Agesilaos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크세노폰, V. 3. 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