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우카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우카리아는 높이 50~65m까지 자라는 상록 침엽수로, 노퍽섬이 원산지이다. 1774년 제임스 쿡 선장이 발견하여 돛대 재료로 사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현재는 관상용, 실내 공기 정화 식물,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활용되며, 실내에서는 습도와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아라우카리아는 독특한 외형으로 인해 조경수로도 널리 쓰이며, 왕립원예학회 가든 메리트 상을 수상했다. 원산지에서는 서식지 감소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라우카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취약종 |
상태_기준 | IUCN3.1 |
상태_출처 | Thomas, P. (2011). "Norfolk Island Pin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1: e.T30497A9548582. doi:10.2305/IUCN.UK.2011-2.RLTS.T30497A9548582.en. 202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목 | 구과목 |
과 | 아라우카리아과 |
속 | 아라우카리아속 |
절 | 에우탁타절 |
종 | 아라우카리아 |
학명 | Araucaria heterophylla |
학명_명명 | (Salisb.) Franco |
학명_이명 | Araucaria excelsa var. glauca Carrière Eutacta excelsa var. aurea-variegata Carrière Eutacta excelsa var. glauca (Carrière) Carrière Eutacta excelsa var. monstrosa Carrière Eutacta excelsa var. variegata-alba Carrière Eutassa heterophylla Salisb. |
향명_en | Nofork Island pine, star pine, Polynesian pine, triangle tree, living christmas tree |
2. 역사
(내용 없음)
2. 1. 발견과 초기 활용
노퍽섬을 처음 방문한 유럽인은 제임스 쿡 선장이었다. 그는 1774년 HMS 레절루션을 타고 남태평양을 두 번째로 항해하던 중, 키가 크고 곧게 자란 나무들이 이루는 큰 숲을 발견하고 이를 일지에 기록했다. 그는 이 나무들이 배의 돛대와 활대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1788년 영국에서 온 죄수들이 섬에 정착했을 때, 아라우카리아 나무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탄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원래의 계획은 중단되었다.[2]1950년대 후반에는 노퍽섬에서 목재 수출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 아라우카리아 목재를 시범적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의 합판 제조업체로 보냈다. 합판 회사는 목재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평가했지만, 노퍽섬 자문위원회는 수출 산업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목재를 현지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이 목재는 목공에 적합하며, 비슷한 종류인 쿡소나무와 함께 하와이의 장인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다.
3. 특징
아라우카리아는 느리게 생장하는 상록 교목으로, 곧게 뻗은 줄기와 대칭적으로 층을 이루며 자라는 가지가 특징이다. 이러한 형태 덕분에 해변의 강한 바람에도 잘 견딘다. 어린나무와 성목의 잎 모양이 눈에 띄게 다른데, 이 때문에 '다른 잎'이라는 의미의 종소명 heterophylla|헤테로필라la가 붙었다.[2] 회갈색 나무껍질은 비늘처럼 벗겨지며, 둥근 구과가 열려 익으면 먹을 수 있는 씨앗을 퍼뜨린다.[2][3]
3. 1. 형태 및 생장
아라우카리아는 느리게 생장하며 나무의 높이는 50m에서 65m에 달한다. 실내에서 키울 경우 평균 크기는 더 작다. 수간(나무줄기)은 수직으로 곧게 서 있고 나뭇가지가 대칭을 이루는데, 이는 해변의 강한 바람에도 잘 견디는 특성이다. 곧은 줄기에서 거의 수평이거나 약간 비스듬한 가지가 다섯 개씩 나와 층을 형성하며, 각 층의 평면은 완벽한 오각형 모양을 이룬다. 회갈색 나무껍질은 미세한 비늘 모양으로 벗겨진다. 작은가지는 보통 4개에서 7개가 모여서 난다.어린 나무의 잎은 부드럽고 피침형(끝이 뾰족하고 밑이 넓은 모양)으로 길이는 1cm~1.5cm, 밑부분의 두께는 약 1mm이다. 반면, 성숙한 나무의 잎은 안쪽으로 굽어 있으며 길이는 5mm~10mm, 폭은 2mm~4mm이다. 원뿔 모양의 가지 중 나무 꼭대기 부분(수관 상층)에 있는 잎이 가장 두껍고 비늘 같은 형태를 띤다.
구과(솔방울과 비슷한 열매)는 땅딸막한 구형으로 길이는 10cm~13cm, 직경은 12cm~14cm이다. 열매가 생긴 지 약 18개월이 지나면 익어서 분해되고, 견과와 비슷한 먹을 수 있는 씨앗을 떨어뜨린다. 씨앗은 넓은 날개를 포함하여 길이가 2.5cm~3cm이고 둘레는 약 1.2cm이다. 떡잎은 총 네 장이다. 아라우카리아는 기본적으로 암수한그루(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모두 피는)이지만, 드물게 암수딴그루(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는)인 경우도 있다.
종소명 '헤테로필라'(''heterophylla'')는 '다른 잎'이라는 뜻으로, 어린나무와 성숙한 나무의 잎 모양이 크게 다른 특징에서 유래했다.
3. 2. 잎과 구과
어린 잎은 부드러운 피침형으로 길이는 1cm에서 1.5cm 정도이고, 기부의 두께는 약 1mm이다. 성숙한 나무의 경우 잎이 안쪽으로 굽어져 있으며, 길이는 5mm에서 10mm, 폭은 2mm에서 4mm이다. 원뿔 모양의 가지에 있는 가장 두껍고 비늘 같은 잎은 수관 상층에서 발견된다. 종소명 '헤테로필라'(''heterophylla'')는 '다른 잎'이라는 뜻으로, 이처럼 어린나무와 성목에서 보이는 잎 모양의 차이(이형엽성)에서 유래했다.구과는 땅딸막한 구형으로 길이는 10cm에서 13cm, 직경은 12cm에서 14cm 정도이다. 구과는 열매가 생긴 지 약 18개월이 지나면 익으며, 익으면 분해되어 견과와 같은 먹을 수 있는 씨앗을 떨어뜨린다. 씨앗은 넓은 날개를 포함하여 길이가 2.5cm에서 3cm이고, 둘레는 약 1.2cm이다. 떡잎은 총 네 장이다.
3. 3. 생태
아라우카리아는 느리게 생장하고 나무의 높이는 50m 에서 65m에 달한다. 실내에서 키울 경우의 평균 크기는 더 작다. 수간이 수직으로 곧게 서 있고 나뭇가지가 대칭상태에 놓여있는데, 대부분 다른 송백류 종들을 뒤틀어버릴 수 있는 해변의 강풍마저도 버틸 수 있다. 곧은 줄기에서 거의 수평이거나 약간 비스듬한 가지가 다섯 개씩 나와 층을 형성하며, 각 층의 평면은 완벽한 오각형을 이룬다. 회갈색 나무껍질이 미세한 비늘 모양으로 벗겨진다. 작은가지는 보통 4~7개이며 모여난다.어린 나무에서 어린 잎은 부드럽고 피침형으로 길이 1cm 에서 1.5cm, 기부 두께 약 1mm이고, 성숙한 나무의 경우 잎이 안으로 굽어져 있고 길이 5mm 에서 10mm, 폭 2mm 에서 4mm이다. 원뿔 모양의 가지에 있는 가장 두껍고 비늘 같은 잎은 수관 상층에 있다. 구과는 땅딸막한 구형으로 길이 10cm 에서 13cm, 직경 12cm 에서 14cm이며 열매가 생긴 지 18개월 뒤에 익는다. 익으면 분해되어 견과와 같은 먹을 수 있는 씨앗을 떨어뜨린다. 씨앗은 넓은 날개 포함 길이 2.5cm 에서 3cm, 둘레 약 1.2cm이다. 떡잎은 총 네 장이다. 암수한그루이나 암수딴그루인 경우도 있다.
종소명 '헤테로필라'(''heterophylla'')는 '다른 잎'이라는 의미로 아라우카리아의 어린나무와 성목에서 보이는 잎의 모양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것에서 왔다.
4. 재배
아라우카리아는 넓게 퍼진 가지와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의 독특한 외형 덕분에 실내식물, 가로수, 조경수 등으로 널리 재배되는 인기 식물이다.[3] 비교적 넓은 기후에 적응할 수 있어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해안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다.
4. 1. 재배 환경

아라우카리아는 가지가 넓게 퍼지고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을 띠는 독특한 모습 덕분에 실내식물이나 가로수, 조경수로 인기가 많다. 성목이 되면 모양이 덜 대칭적으로 변한다.
비교적 넓은 기후에 적응할 수 있어 지중해나 습한 아열대 기후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조경수로 널리 심어진다. 어릴 때 물을 충분히 공급받으면 깊은 모래에서도 잘 자란다. 또한, 염분에 강하고 바람에도 잘 견뎌 해안 환경에 적합하다.
실내에서 키울 경우, 잘 자라려면 밝은 장소가 필요하며 습도는 최소 40%, 이상적으로는 6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뜨거운 직사광선이나 난방기구 근처의 건조한 공기는 피해야 한다. 이상적인 온도는 22°C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겨울철에는 17°C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밝은 방이 필요하다.[3]
4. 2. 이용 및 관리
아라우카리아는 가지가 넓게 퍼져 있고 대칭적인 삼각형 모양을 띠는 독특한 모습 덕분에 실내식물로 키우거나 가로수 및 조경수로 심는 인기 있는 재배식물이다. 성목이 되면 모양의 대칭성이 다소 줄어든다. 이국적인 외형과 비교적 넓은 기후 적응성 덕분에 조경수로 널리 심어져, 현재는 지중해와 습한 아열대 기후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여러 곳에서 기르고 있다.
겨울이 너무 추워서 야외 생육이 어려운 지역(예: 북미나 유럽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관엽식물로 주로 키우며, 크리스마스 트리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장기간 추운 기후에서는 생존하기 어렵다. 영국의 실리 제도에 있는 트레스코 수도정원이나 아일랜드 남서쪽 해안의 발렌티아섬에서도 소수의 개체가 자라고 있다.
관리
- 실외 재배: 나무가 어릴 때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받으면 깊은 모래에서도 잘 자란다. 염해와 바람에 강하여 해안 환경에 적합하다. 나무가 크게 자라므로(예: 플로리다 남부에서는 보통 높이 30m 이하[5],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에서는 30m 이상[6]) 야외에 심을 경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 실내 재배: 실내에서 잘 자라려면 습도가 최소 40%,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인 밝은 장소가 필요하다. 뜨거운 직사광선이나 난방기구의 건조한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상적인 온도는 22°C를 넘지 않으며, 겨울에는 17°C 정도의 밝은 곳이 적합하다.[3] 화분에 심은 어린 나무는 약해 보일 수 있는데, 여러 그루를 함께 심으면 도움이 될 수 있다. 북부 기후에서는 여름철에 실외에 두거나 인공조명 아래 두면 더욱 풍성하게 자랄 수 있다.
상업적 이용과 문제점플로리다 남부에서는 관엽식물 산업을 위해 아라우카리아가 대량 생산된다. 이 중 상당수는 11월경 식료품점, 할인 소매업체, 정원센터 등에서 판매된다. 일부 나무에는 판매 전 미관을 위해 녹색 페인트를 뿌리기도 하는데, 이는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여 나무를 약하게 만들거나 심하면 고사시킬 수 있다.[4]
아라우카리아는 영국 왕립원예학회(Royal Horticultural Society)의 우수 정원 식물상(Award of Garden Merit)을 수상했다.[7]
4. 3. 보존 및 잡초성
관엽식물로 화분에 심어 상업적으로 재배되기 때문에, 이 종의 생존 자체가 관엽식물 무역으로 인해 위협받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원산지인 노퍽섬의 자연 서식지는 본래 제한적이었고, 제임스 쿡 시대 이후 농업 활동, 부적절한 토지 관리, 침입종의 유입 등으로 인해 크게 감소하였다. 이 때문에 원래 서식하던 세 섬의 숲에 있는 나무 개체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현재 남아있는 주요 서식지는 노퍽섬국립공원 내에 포함되어 일부 보호를 받고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종을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한편, 뉴질랜드 북섬의 토착 해안 숲 지대에서는 묘목이 자라기 시작하면서 여러 야생화된 소나무 종 중 하나로 추가되었으며, 외래종으로서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5. 사진첩
참조
[1]
IUCN
Norfolk Island Pine
2021-11-21
[2]
서적
The Fatal Shore: The Epic of Australia's Founding
Vintage Books
[3]
웹인용
Norfolk Island Weather
https://www.discover[...]
2022-10-15
[4]
웹인용
3 Keys to a Healthy Norfolk Island Pine
https://www.grounded[...]
2019-11-29
[5]
웹인용
Norfolk Island Pine
https://gardeningsol[...]
2022-05-18
[6]
웹인용
Araucaria heterophylla Tree Record
http://selectree.cal[...]
Cal Poly State University, San Luis Obispo
2022-05-18
[7]
웹인용
RHS Plantfinder - ''Araucaria heterophylla''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