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피타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피타니아는 1970년대 조제프 앙리에가 창안한 신조어로,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에 걸쳐 있는 지역을 지칭한다. 앙리에는 바스크 활동가 페데리코 크루트비히의 영향을 받아 현지 방언을 신석기 시대 언어의 후손으로 여기고, 알프스 목초지를 뜻하는 단어와 바스크어 어원을 결합하여 아르피탄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아르피타니아는 프랑스의 사보이, 도피네, 이탈리아의 발레다오스타, 스위스의 로만디 등 지역을 포함하며, 언어학적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지역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피타니아 - 발도탱 방언
    발도탱 방언은 이탈리아 발레다오스타주에서 사용되는 프랑코프로방스어 방언들을 통칭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하위 방언들이 존재하고 문화적 표현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 프랑스의 역사적 지역 - 카마르그
    카마르그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서유럽 최대의 강 삼각주 중 하나로,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카마르그 흰말과 카마르그 소의 방목으로 유명하고, 국제적인 조류 지역이자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프랑스의 역사적 지역 - 북카탈루냐
    북카탈루냐는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탈 데파르트망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카탈루냐 공국의 일부였던 지역으로, 피레네 산맥, 코르비에르 산괴, 지중해로 둘러싸인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페르피냥을 중심으로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지니며 프랑스 내에서 카탈루냐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스위스의 지리 - 스위스 알프스
    스위스 알프스는 스위스 국토의 60%를 차지하는 광대한 알프스 산맥 지역으로, 4,000m가 넘는 봉우리 48개와 넓은 빙하를 보유하고, 주요 강의 발원지이자 유럽 분수령의 일부로서 "유럽의 급수탑"으로 불리며, 다양한 산맥, 호수, 관광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 융해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 스위스의 지리 - 베른 알프스
    베른 알프스는 론 강에서 로이스 강까지 뻗은 알프스산맥의 일부로, 핀스테라어호른을 최고봉으로 하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스위스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융프라우-알레치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아르피타니아
개요
언어 및 문화
역사적 맥락
지리
기타

2. 명칭

바스크 활동가 페데리코 크루트비히의 영향을 받은 공산주의 교사 '''조제프 앙리에'''(1945년 출생)가 1970년대에 아르피탄(Arpitan)과 아르피타니아(Arpitanie)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1] 크루트비히는 저서 ''가랄데아''(1978년 출판)에서 바스크인을 수천 년 전에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신석기 시대의 인종인 "가랄디탄"이라고 칭했다.[1] 그는 "가랄디탄"의 인종적 또는 언어적 잔재를 찾기 위해 1970년 아오스타 계곡으로 이주하여 현지 지명에 대한 바스크 어원을 구성했다.[1]

크루트비히는 아오스타에서 젊은 마오주의 활동가인 조제프 앙리에와 친구가 되었다.[1] 앙리에는 크루트비히의 영향을 받아 현지 방언을 신석기 시대 "가랄디탄 언어"의 후손이라고 선언했다.[1] 그는 나중에 "가랄디탄"이라는 용어를 "아르피탄"으로 대체했는데, 이는 방언 단어인 ''arpa'' (알프스 목초지), ''arpian'' ("알프스에서 일하는 사람")과 크루트비히가 제안한 바스크 어원인 바스크어 ''harri-pe'' ("바위 아래")의 혼합어였다.[1]

1980년경, 앙리에는 바스크에서 영감을 받은 초기 ''h-''를 제거하고, 사부아와 발레 주를 통합하는 "아르피탄 연맹"(Confédération arpitane)을 제안했다(하지만 방언을 사용하는 보 주는 포함하지 않음).[1] 아르피탄 정치 운동의 실패로 그는 은퇴하여 개인적인 삶을 살았다.[1]

1990년대 이후, "아르피탄"이라는 용어는 앙리에의 활동 범위를 넘어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특히 온라인에서 사용되면서 더욱 두드러졌다.[1] 피차르(2009)는 이 용어가 새롭게 성공한 것은 ''오크어''와 운율이 잘 맞고, 대안인 "프랑코프로방스어"가 다루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라고 제안한다.[1] 대안인 "파토아"는 스위스에서는 애정을 가지고 보지만, 프랑스에서는 깔보는 듯한 또는 "굴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1] 2004년에는 ''Aliance Culturèla Arpitana''가 설립되었다.[1]

3. 지리

아르피타니아어 지역인 '''아르피타니아'''의 지도 (아르피타니아어로 표기). 작게 표시된 지도는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주 포자 현의 첼레 디 산 비토에 떨어져 있는 두 마을을 나타내는데, 여기서도 아르피타니아어가 사용된다.


아르피타니아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에 걸쳐 있는 지역이다. 마콩로안 사이 세로로 길게 뻗은 지역은 아르피타니아어, 오크어, 오일어군이 섞인 곳으로 보인다.

3. 1. 프랑스

사보이, 도피네, 이제르, 론 의 큰 지역, 프랑슈콩테 남부, 앵주의 매우 작은 지역, 몽뒤포레즈 등이 프랑스에 속한다.

3. 2.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발레다오스타주피에몬테주의 아르피타니아어권 계곡 지역, 풀리아주 포자현의 첼레디산비토 다우니아/아르피타니아어권 지역이 아르피타니아에 포함된다.

3. 3. 스위스

쥐라 칸톤의 북부, 서부 지역을 제외한 로만디가 스위스에 속한다.

4. 서적


  • 조제 하리에타(Joseph Henriet), ''아르피탄어'', 1976.
  • 미카엘 보들로르-펜레즈, «사보이와 아오스타, 아르피탄인의 심장» in ''유럽의 국가 없는 민족 지도: 인정을 추구하는 소수 민족'', Y Lolfa, 2011.
  • 폴-루이 루세, ''알프스와 지명, 6000년의 역사?: 인도유럽어 이전 기원의 명칭'', 1988.
  • 위베르 베사 및 클로데트 제르미, ''몽블랑 주변 산의 단어들'', Ed. Ellug, 론-알프 프로그램, 인문 과학 연구, 1991.

참조

[1] 간행물 'Ex(tra)territorial: Reassessing Territory in Literature, Culture and Languages / Les Territoires littéraires, culturels et linguistiques en question' https://books.google[...] 2014
[2] 뉴스 Ayas, un film sul sogno dell'Harpitanya https://archive.toda[...] La Stampa 2012-02-15
[2] 웹사이트 La nation arpitane http://arpitania.for[...]
[2] 웹사이트 Nos ancêtres les Arpitans http://blog.regionle[...] 24 Heures, Lausanne 2009-05-02
[3] 웹인용 Arpitania.eu의 "did you say arpitan?" https://web.archive.[...] 2011-02-14
[4] 뉴스 Ayas, un film sul sogno dell'Harpitanya http://edizioni.last[...] La Stampa 2012-02-15
[4] 웹사이트 La nation arpitane http://arpitania.for[...]
[5] 웹사이트 Nos ancêtres les Arpitans http://blog.regionle[...] 24 Heures, Lausanne 2009-05-02
[6] 웹사이트 Aliance Cultutèla Arpitana http://aca.arpitania[...] Fribourg (Switzerland) and Rochetaillée (France)
[7] 서적 Les Alpes et leurs noms de lieux, 6000 ans d'histoire ? : Les appellations d'origine pré-indo-européenne. 1988
[8] 서적 Les mots de la montagne autour du Mont-Blanc Ed. Ellug, Programme Rhône-Alpes, Recherches en Sciences Humaine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