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리고 보이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고 보이토는 이탈리아의 작곡가, 시인, 문학 평론가이다. 파도바에서 태어나 밀라노 음악원에서 수학했으며, 1860년대에는 "스카필리아투라" 운동에 참여하여 예술적 혁신을 추구했다. 보이토는 오페라 《메피스토펠레》를 작곡했으나 초연에서 실패를 겪었고, 이후 바그너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시몬 보카네그라》, 《오텔로》, 《팔스타프》의 대본을 썼으며, 베르디와의 협업을 통해 이탈리아 오페라 발전에 기여했다. 보이토는 또한 《네로네》를 작곡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세페 베르디 - 데스티니 (1988년 영화)
    제2차 세계 대전 중 처남-매부 관계를 알게 된 두 남자의 깊은 우정과 갈등을 그린 1988년 멜 해리스 감독의 영화 《데스티니》는 윌리엄 허트, 티모시 허튼, 멜리사 레오 등이 출연했고, 엔니오 모리코네가 음악을 맡았다.
  • 주세페 베르디 -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
    밀라노 주세페 베르디 교향악단은 1993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오케스트라로, 해외 공연, 음반 녹음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2024년부터 에마뉘엘 체크나보리안이 음악 감독을 맡고 있다.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관련자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관련자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폴란드계 이탈리아인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폴란드계 이탈리아인 - 자스민 파올리니
    자스민 파올리니 문서를 위한 WTA 틀은 WTA 웹사이트의 선수 정보를 표시하며, 필수적으로 선수 프로필 URL의 고유 식별자인 `id`를 입력하고 선택적으로 선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아리고 보이토
기본 정보
아리고 보이토
본명아리고 보이토
출생지오스트리아 제국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파도바
사망이탈리아 왕국, 밀라노
국적이탈리아
직업시인
소설가
작곡가
대본가
음악 평론가
교육밀라노 음악원
장르클래식 음악

2. 생애

보이토는 파도바에서 미니어처 화가였던 아버지 실베스트로 보이토와 폴란드 백작 부인인 어머니 유제피나 라돌린스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 카밀로 보이토는 이탈리아의 건축가이자 엔지니어였으며, 저명한 미술 평론가, 미술사학자, 소설가이기도 했다.

보이토는 밀라노 음악원에서 음악을 공부했으며, 1866년에는 주세페 가리발디 휘하에서 7주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3] 1887년부터 1894년까지는 유명한 여배우 엘레오노라 두제와 연애했는데, 이들의 관계는 매우 은밀하게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오랜 기간에 걸친 방대한 서신은 남아있으며, 두 사람은 그가 죽을 때까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음악 경력 말년에 보이토는 파르마 음악원 원장을 역임하였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밀라노에서 사망한 후 치미테로 모누멘탈레에 안장되었다.[4] 그는 무신론자였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보이토는 1842년 2월 24일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파도바에서 이탈리아인 화가 실베스트로 보이토와 폴란드 귀족 출신 유제피나 라돌린스카 사이에서 태어났다.[3] 보이토가 태어난 직후 부모가 헤어졌기 때문에, 그는 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어릴 적부터 문학과 음악에 관심을 보였으며, 밀라노 음악원에서 알베르토 마추카토에게 음악을 배웠다. 훗날 유명한 오페라 작곡가 겸 지휘자가 되는 프랑코 파초와 함께 1861년 국비 유학생으로 파리로 유학을 떠났으며, 그곳에서 엑토르 베를리오즈, 조아키노 로시니, 주세페 베르디 등과 교류하였다.[3] 20세가 되기 전, 보이토는 베르디의 "제 국민의 찬가"의 작사를 맡을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다.

2. 2. 스카필리아투라 운동과 초기 활동

보이토는 1860년대 밀라노를 중심으로 일어난 예술 운동인 스카피리아투라(Scapigliatura)의 주요 구성원이었다.[1] 이 운동은 음악, 문학, 회화, 조각 등 여러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예술을 추구하며 기존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았다.[1] 보이토는 이 시기에 선구적인 젊은 시인, 평론가이자 바그너 오페라의 이탈리아 번역 및 소개자로 명성을 얻었다.[1]

2. 3. 베르디와의 관계와 대본 작업

보이토는 베르디의 "국가들의 찬가" 작사를 맡으며 처음 인연을 맺었다.[3] 그러나 보이토와 프랑코 파초는 베르디를 비롯한 이탈리아 작곡가들을 인습에 얽매인 무지한 자들이라고 비판하고 리하르트 바그너를 칭찬하면서 베르디와 관계가 악화되었다.

"메피스토펠레"의 대실패 이후, 보이토는 출판업자 줄리오 리코르디의 권유로 다른 오페라 작곡가를 위한 대본 집필을 시작했다. 알프레도 카탈라니의 "La Falce", 아밀카레 폰키엘리의 "라 조콘다"(토비아 고리오라는 필명 사용) 등의 대본을 썼다.[3]

1881년부터는 이전의 예술적 갈등을 극복하고 베르디와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베르디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발전을 위해 관현악법을 더욱 충실하게 한 많은 가극 작품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훌륭한 가극 작품에는 훌륭한 음악뿐만 아니라 훌륭한 대본도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당시 베르디는 대본 작가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를 잃은 후였기 때문에 새로운 대본 작가가 필요했다. 보이토는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쳤지만, 어느 분야에서도 대가로 인정받을 만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베르디를 보좌하고 조언하는 역할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 했다.

리코르디의 주선으로 두 사람은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 보이토는 문학적 재능으로 개정판(1881년 초연) 대본을 완성하여 작품의 성공에 기여했고, 베르디의 신뢰를 얻었다. 이후 윌리엄 셰익스피어 원작을 바탕으로 "오텔로"(1887년)와 "팔스타프"(1893년)의 대본을 집필하여, 베르디의 노련한 작곡 기법과 보이토의 문학적 감성이 훌륭하게 결합된 걸작 탄생에 기여했다.[3]

2. 4. 만년과 죽음

보이토는 1889년 조반니 보테시니가 사망한 후 그의 뒤를 이어 파르마 음악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1897년까지 재직했다.[3] 189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4]

보이토는 두 번째 오페라 네로네(폭군 네로) 작곡을 시작했지만, 완전주의적 성향과 느린 작업 속도로 인해 결국 완성하지 못했다. 1915년까지 부분적으로 완성된 제1막부터 제4막에 안토니오 스마렐리아와 빈첸초 토마시니가 보작을 추가하여, 보이토 사후 1924년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지휘로 스칼라좌에서 초연되었다.

보이토는 1918년 밀라노에서 사망했으며, 치미테로 모누멘탈레에 안장되었다.[4]

3. 주요 작품

보이토는 오페라와 대본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지만, 작품 수는 매우 적다.

에로와 레안드로를 완성하고 네로네를 미완성으로 남겼으며, 괴테의 파우스트를 기반으로 한 오페라 메피스토펠레를 완성했다. A단조 교향곡도 악보로 남아있다.[5]

자신의 오페라 대본 외에도 "토비아 고리오"라는 필명으로 아밀카레 폰키엘리의 ''라 조콘다'' 대본을 쓰는 등 다른 작곡가들의 대본도 작성했다.

주세페 베르디와 ''국가의 찬가'' 작업 직후 소원해졌으나, 줄리오 리코르디의 중재로 화해 후 ''시몬 보카네그라'' 대본 수정 작업을 함께 했다. 이후 베르디를 위해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바탕으로 ''오텔로''와 ''팔스타프'' 대본을 제공했다.[7]

3. 1. 오페라

보이토는 오페라 에로와 레안드로를 완성했지만 후에 폐기했고, 1877년부터 1915년까지 간헐적으로 작업했던 또 다른 오페라 네로네를 미완성으로 남겼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와 빈첸초 토마시니가 보이토 사후 ''네로네''를 완성하여 1924년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했다.[5]

그의 유일하게 완성된 오페라 메피스토펠레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원작으로 한다. 1868년 3월 5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나, "바그너주의"라는 비판과 함께 폭동과 결투를 불러일으키며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아 공연이 중단되었다.[6] 보이토는 오페라를 대폭 수정하고 축소하여 1875년 4월 10일 볼로냐에서 두 번째 초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메피스토펠레는 오늘날까지 꾸준히 공연되고 있으며, 엔리코 카루소는 그의 첫 녹음 세션에 두 개의 테너 아리아를 포함시켰다.[6]

3. 2. 대본

보이토는 자신의 오페라뿐만 아니라 다른 작곡가들을 위한 대본도 작성했다. 특히 "토비아 고리오"(Tobbia Gorrioit)라는 필명(자신의 이름 철자를 바꾼 것)을 사용하여 아밀카레 폰키엘리의 ''라 조콘다''(1876) 대본을 썼다.[7]

주세페 베르디와는 ''국가의 찬가''(1862) 작업 직후 관계가 소원해졌으나, 음악 출판업자 줄리오 리코르디의 중재로 화해하고 협력 관계를 맺었다. 베르디는 보이토에게 1857년작 ''시몬 보카네그라''의 대본 수정을 맡겼고, 이는 1881년 성공적인 개정판 초연으로 이어졌다.[7] 이후 보이토는 베르디를 위해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바탕으로 ''오텔로''(1887)와 ''팔스타프''(1893)의 대본을 썼다.[7] 1901년 베르디가 사망했을 때 보이토는 그의 임종을 지켰다.

보이토가 대본을 쓴 오페라 목록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작곡가와 초연 연도)

제목작곡가초연 연도
햄릿프랑코 파초1865
메피스토펠레아리고 보이토1868 (개작: 1875)
황혼가에타노 코로나로1873
알프레도 카탈라니1875
라 조콘다아밀카레 폰키엘리1876
세미라L. 산 제르마노미공연
에로와 레안드로조반니 보테시니, 루이지 만치넬리1879, 1897
시몬 보카네그라주세페 베르디1881 (1857년 초연작 개정)
바시 에 보테리카르도 피크-망지아가리1927
오텔로주세페 베르디1887
팔스타프주세페 베르디1893
네로네아리고 보이토1924 (미완성,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와 빈첸초 토마시니가 완성)


참조

[1] 백과사전 Britannica
[2] 서적 Sadie
[3] 웹사이트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https://www.treccani[...] 2024-01-05
[4] 서적
[5] 웹사이트 Publication of Boito's A minor Symphony http://boccacciniesp[...] Boccaccini E Spada 2008-11-11
[6] 뉴스 The Independent Review 2003-08-04
[7] 서적
[8] 웹사이트 CLBONERO.HTM http://www.operad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