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이탈리아 출신의 지휘자이다. 1886년 첼리스트로 데뷔한 그는 라 스칼라 극장,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뉴욕 필하모닉,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에서 지휘하며 명성을 얻었다. 정확한 템포와 강렬한 표현으로 현대적 연주 양식을 확립했으며, 파시즘에 반대하여 미국으로 망명하여 활동을 이어갔다. 베토벤, 브람스, 바그너 등 다양한 작곡가의 작품을 섭렵했으며, 특히 이탈리아 오페라 초연에 기여했다. 그는 20세기 최고의 지휘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엄격한 연주 스타일과 리허설에서의 다혈질적인 성격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클래식 첼로 연주자 - 루이지 보케리니
루이지 보케리니는 이탈리아의 첼리스트이자 작곡가로, 100곡이 넘는 현악 오중주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실내악 분야에서 첼로의 역할을 부각시킨 독자적인 스타일을 확립하여 프랑스 음악학자 이브 제라르에 의해 'G' 번호가 부여되었고, 로코코 시대의 우아함과 스페인 음악의 영향을 반영한 음악가로 평가받는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음악가 - 니노 마르티니
니노 마르티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테너 성악가이자 배우로, 유럽에서 활동하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주역과 할리우드 영화 출연 후 라디오 가수로 활동했으며 이탈리아로 돌아갔다. -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 쿠르트 마주어
쿠르트 마주어는 독일의 지휘자이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1989년 동독 반정부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로마자 표기법 | A-reu-tu-ro To-seu-ka-ni-ni |
이탈리아어 표기 | arˈtuːro toskaˈniːni |
출생일 | 1867년 3월 25일 |
출생지 | 파르마,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1957년 1월 16일 |
사망지 | 뉴욕 시, 뉴욕, 미국 |
국적 | 이탈리아 |
직업 | 지휘자, 첼리스트, 작곡가 |
활동 시기 | 1886년 - 1954년 |
자녀 | 3명; 월터 및 완다 토스카니니 포함 |
![]() | |
음악 활동 | |
장르 | 클래식 음악 |
악기 | 지휘, 첼로 |
레이블 | RCA |
학력 | |
학교 | 파르마 왕립음악원 |
가족 | |
사위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2. 생애
이탈리아 파르마에서 태어난 토스카니니는 9살 때 파르마 왕립음악원에서 첼로와 작곡을 공부하고, 1885년 순회 가극단의 첼로 연주자가 되었다. 1886년 리우데자네이루 가극장의 첼로 연주자였을 때, 《아이다》를 대신 지휘하면서 지휘자로 데뷔하였다. 이후 토리노 오페라 극장, 파르마 오페라 극장 등을 거쳐 30대의 나이로 밀라노 라 스칼라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토스카니니는 라 스칼라 극장에서 음악회의 악습과 폐단을 철폐하는 개혁을 단행하고, 공연의 질을 높이고 신인 가수들을 발굴하는 데 힘썼다. 특히 자코모 푸치니와 오랜 친구 사이로 《투란도트》를 비롯한 그의 많은 작품들을 초연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음악감독으로 있으면서 엔리코 카루소, 안토니오 스코티, 넬리 멜바 등 당대 최고의 가수들과 공연하였다. 1930년대에 들어서는 파시스트 정권이 이탈리아에 들어서며 베니토 무솔리니와 대립하게 된다. 무솔리니가 파시스트 찬가를 요청하자 그 자리에서 뛰쳐나갔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73] 파시즘에 ശക്ത하게 저항했다.
결국 파시즘의 박해를 견디지 못하고 미국으로 망명한 그는 미국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1937년 NBC는 그를 위해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일반 연주회는 물론, 라디오와 TV를 통한 폭넓은 방송 공연을 하였다. 1954년 여름 공연에서 가벼운 실신을 일으킨 후 은퇴하였고,[73] 그 해 10월에 레코딩 녹음을 끝낸 후 공식 활동을 그만두었다.
1957년 1월 16일, 만 89세로 뉴욕 자택에서 숨을 거두었다.[73] 임종 직전 의식불명 상태에서 허공에 지휘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2. 1. 유년 시절과 초기 경력 (1867-1886)
이탈리아 파르마에서 재봉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9살 때 파르마 왕립음악원에서 첼로와 작곡을 공부하고, 1885년 순회 가극단의 첼로 연주자가 되었다.[73] 음악원의 생활 여건은 혹독하고 엄격했는데, 예를 들어, 음악원의 식단은 거의 전적으로 생선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는 나중에 바다에서 온 것은 어떤 것이든 먹기를 단호히 거부했다.1886년 리우데자네이루 가극장의 첼로 연주자였을 때, 《아이다》를 대신 지휘하여 지휘자의 대타로 잠시 지휘봉을 잡았던 것이 계기가 되어 지휘자가 되었다.[73] 당시, 현지에서 고용된 지휘자 레오폴도 미게스가 6월 25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의 ''아이다'' 공연 몇 시간 전에 직책을 사임했고, 그의 대체자였던 카를로 수페르티는 대중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오케스트라의 지휘를 제대로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절망한 가수들은 전막을 암기하고 있던 조수 합창단장의 이름을 제안했고, 지휘 경험은 전혀 없었지만, 토스카니니는 결국 음악가들의 설득에 밤 9시 15분에 지휘봉을 잡고 2시간 반짜리 오페라 전막을 완전히 암기로 지휘했다.[2] 대중은 처음에는 이 무명의 지휘자의 젊음, 카리스마, 그리고 엄청난 열정에 놀랐고, 그 다음에는 그의 탄탄한 음악성에 놀랐다. 그 결과 엄청난 찬사가 쏟아졌다. 그 시즌의 남은 기간 동안 토스카니니는 18편의 오페라를 지휘했고, 각 공연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19세의 나이에 그의 지휘자로서의 경력이 시작되었다.[3]
이탈리아로 돌아온 토스카니니는 지휘를 계속했는데, 이탈리아에서의 첫 공연은 1886년 11월 4일 토리노의 카리냐노 극장[4]에서 알프레도 카탈라니의 ''에드메아'' 개정판 세계 초연이었다. 그는 또한 첼로 섹션으로 돌아가 베르디의 ''오텔로''(밀라노 라 스칼라, 1887) 세계 초연에서 작곡가의 감독하에 첼리스트로 참여했다. 늘 지휘자들이 자신의 악보를 자신이 쓴 대로 지휘하려는 데 관심이 없는 것 같다고 불평하던 베르디는 토스카니니의 악보 해석 능력에 대한 아리고 보이토의 보고에 감명을 받았다.[6][7]
다음은 그의 유년 시절과 초기 경력에 관한 연표이다.
연도 | 사건 |
---|---|
1867년 | 3월 25일, 이탈리아 파르마에서 출생. 아버지 클라우디오는 재단사, 어머니 파올라는 재봉사였다. |
1871년 | 처음으로 오페라극장 (베르디의 「가면무도회」)을 감상. |
1876년 | 파르마 왕립 음악학교 입학. |
1885년 | 첼로와 작곡에서 최고의 영예를 얻어 수석으로 졸업하고, 순회 오페라단과 수석 첼리스트 겸 부합창 지휘자 계약 체결. |
1886년 | 6월 30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베르디의 「아이다」의 지휘자로 갑작스럽게 데뷔. 11월 4일, 토리노의 카리냐노 극장에서 카탈라니의 「에드메아」로 프로 지휘자로 데뷔. |
1887년 | 2월 5일, 밀라노 스칼라 극장에서 베르디의 「오텔로」 초연에서 제2 첼리스트 역할을 맡음. |
2. 2. 이탈리아에서의 활동과 명성 (1886-1908)
188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9세의 나이로 첼리스트로 첫 데뷔한 토스카니니는, 같은 해 오페라단의 리우데자네이루 공연에서 베르디의 아이다를 대타로 지휘하며 갑작스럽게 지휘자로 데뷔하였다.[2] 귀국 후 11월 4일, 토리노의 카리냐노 극장에서 카탈라니의 ''에드메아'' 개정판 세계 초연을 지휘하며 프로 지휘자로 데뷔하였다.[4]1887년 밀라노 스칼라 극장에서 베르디의 ''오텔로'' 초연에 제2 첼리스트로 참여했고,[6][7] 이후 10년간 지방 오페라 극장을 순회하며 지휘 경력을 쌓았다. 1892년 밀라노 달 베르메 극장에서 레온카발로의 ''광대''를 초연했고, 제노바의 카를로 펠리체 극장에서 프랑케티의 ''크리스토포로 콜롬보''를 지휘했다.
1895년 토리노 레지오 극장의 수석 지휘자로 취임하여 바그너의 ''신들의 황혼''을 이탈리아 초연했다. 1896년 2월 1일에는 레지오 극장에서 푸치니의 ''라 보엠''을 초연했으며, 3월 20일에는 토리노에서 자신의 첫 관현악 연주회를 개최했다.
1898년 31세의 나이로 밀라노 스칼라 극장 예술 감독으로 임명되어 12월 26일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로 시즌 첫 공연을 장식했다.[8] 1899년에는 스칼라 극장에서 바그너의 ''지크프리트''를 이탈리아 초연했다. 1900년 1월 16일, 스칼라 극장에서 차이콥스키의 ''예브게니 오네긴''을 이탈리아 초연했고, 밀라노 리리코 극장에서 레온카발로의 ''자자''를 초연했다.
1903년 4월, 관객 및 새로운 운영 위원회와의 불화로 스칼라 극장 예술 감독직을 사임했다. 1906년 스칼라 극장에 복귀하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살로메'' 이탈리아 초연을 둘러싸고 작곡가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1907년에는 토스카니니의 주장에 따라 새로운 오케스트라 피트가 완성되어 ''신들의 황혼''에서 공개되었다.
1908년 스칼라 극장에서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 전주곡'' 이탈리아 초연을 지휘했으나, 스칼라 극장과의 불화로 다시 사임하게 된다.
2. 3. 미국에서의 활동과 국제적 명성 (1908-1937)
1908년 토스카니니는 라 스칼라 극장을 떠나 줄리오 가티 카자자와 함께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로 옮겨 총감독직을 맡았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보낸 7시즌(1908~1915) 동안 그는 여러 개혁을 단행하고 오페라 제작 및 공연에 많은 표준을 설정했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0] 1915년 5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의 마지막 시즌이 끝날 무렵, 토스카니니는 침몰한 RMS ''루시타니아''호를 타고 유럽으로 돌아갈 예정이었지만, 콘서트 일정을 단축하고 이탈리아 여객선 ''두카 데글리 아브루치''호를 타고 일주일 일찍 출발했다.[10]
1920년 12월, 토스카니니는 라 스칼라 오케스트라를 미국으로 데려와 순회 공연을 했고,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를 위해 뉴저지주 캠든에서 첫 녹음을 했다.[9] 1926년부터 1936년까지 뉴욕 필하모닉을 지휘했고, 1930년에는 필하모닉과 함께 유럽 순회 공연을 했다. 모든 공연에서 그와 오케스트라는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찬사를 받았다. 토스카니니는 바이로이트(1930~1931)에 출연한 최초의 비독일 지휘자였고, 뉴욕 필하모닉은 그곳에서 연주한 최초의 비독일 오케스트라였다.[11]
1930년대에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1934~1937)에서 지휘했으며, 1936년 텔아비브에서 팔레스타인 오케스트라(후에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로 개명)의 초연 콘서트를 지휘했고, 나중에 예루살렘, 하이파, 카이로, 알렉산드리아에서도 지휘했다. 뉴욕 필하모닉과의 활동 중 그의 악장은 한스 랑에였는데, 그는 나중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이자 뉴멕시코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창립자가 되었다.[12]
오페라 지휘자로서 토스카니니는 엔리코 카루소, 표도르 샬리아핀, 에치오 핀자, 조반니 마르티넬리, 제럴딘 파라, 아우렐리아노 페르틸레와 같은 예술가들과 협력했다.
1937년 NBC 교향악단의 지휘자가 되었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인 그는 심한 근시안임에도 불구하고 악보 전부를 정확하게 암기했다. 명쾌한 리듬과 강렬한 음량 증감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인 연주 양식을 확립했다.
1919년, 토스카니니는 밀라노의 하급 시의원 선거에서 사회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실패했다.[13] 그는 파시스트 지도자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세계 최고의 지휘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토스카니니는 1922년 10월 로마 진군 이전부터 파시즘에 환멸을 느꼈고, 여러 차례 이탈리아 독재자에게 반항했다. 그는 무솔리니의 사진을 전시하거나 라 스칼라에서 파시스트 국가 ''젊음(Giovinezza)''을 지휘하는 것을 거부했다.[14] 그는 친구에게 "내가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면 무솔리니를 죽였을 것이다"라고 격분했다.[15]
1931년 5월 14일, 볼로냐의 테아트로 코무날레에서 열린 주세페 마르투치 추모 공연에서 토스카니니는 ''젊음(Giovinezza)''을 연주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관객석에 파시스트 통신부 장관 콘스탄초 치아노가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단호히 거절했다. 그 후 그는 흑셔츠단에게 공격을 받고 부상을 입었으며, 얼굴을 여러 차례 맞았다.[16] 지휘자의 거부에 분노한 무솔리니는 그의 도청을 지시하고, 그를 끊임없이 감시했으며, 여권을 압수했다. 그의 여권은 토스카니니의 처우에 대한 세계적인 비난이 쏟아진 후에야 돌려받았다.[14]

1936년, 토스카니니는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사임하고 이탈리아로 돌아와 은퇴를 고려하고 있었다. RCA 사장인 데이비드 사르노프는 라디오 콘서트를 위한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설하고 토스카니니에게 지휘를 맡길 것을 제안했다. 토스카니니는 처음에 이 제안에 관심이 없었지만, 사르노프는 토스카니니의 친구인 새뮤얼 초치니노프를 보내 토스카니니를 설득하여 사르노프의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했다. 토스카니니는 미국으로 돌아와 1937년 12월 25일 뉴욕시 록펠러 센터의 NBC 스튜디오 8-H에서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첫 라디오 방송 콘서트를 지휘했다.[18]
1940년, 토스카니니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남미 순회 공연을 떠났으며, 5월 14일 뉴욕에서 대양 여객선을 타고 출항했다.[24] 그해 후반, 토스카니니는 NBC 경영진과 의견 충돌을 빚었다. 1941년 3월 10일, 토스카니니는 RCA 사장 데이비드 사르노프에게 사임 의사를 담은 편지를 썼다. 레오폴드 스톡호프스키는 3년 계약으로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았으며 1941년부터 1944년까지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재직했다. 토스카니니는 스톡호프스키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즌에 공동 지휘자로 돌아와 1944년에는 완전히 지휘권을 되찾았다.[25]
2. 4. 파시즘과의 투쟁과 미국 망명 (1919-1945)
1919년, 토스카니니는 밀라노의 하급 시의원 선거에 사회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실패했다.[13] 베니토 무솔리니는 토스카니니를 "세계 최고의 지휘자"라고 칭송했지만, 토스카니니는 1922년 로마 진군 이전부터 파시즘에 환멸을 느꼈고, 여러 차례 이탈리아 독재자에게 반항했다. 그는 무솔리니의 사진을 전시하거나 라 스칼라에서 파시스트 국가 ''젊음(Giovinezza)''을 지휘하는 것을 거부했으며,[14] 친구에게 "내가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면 무솔리니를 죽였을 것이다"라고 격분했다.[15]1931년 5월 14일, 볼로냐의 테아트로 코무날레(Teatro Comunale)에서 열린 주세페 마르투치 추모 공연에서, 토스카니니는 ''젊음(Giovinezza)''을 연주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파시스트 통신부 장관 콘스탄초 치아노가 객석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호히 거절했다. 그 후, 그는 흑셔츠단에게 공격받고 부상을 입었으며, 얼굴을 여러 차례 맞았다.[16] 무솔리니는 그의 도청을 지시하고 끊임없이 감시했으며, 여권을 압수했다. 그의 여권은 토스카니니의 처우에 대한 세계적인 비난이 쏟아진 후에야 돌려받았다.[14]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토스카니니는 이탈리아를 떠나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는 1946년에 전쟁 중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된 라 스칼라 극장의 재개관 공연을 지휘하기 위해 돌아왔다.[17]
2. 5.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만년 (1937-1957)
1937년 NBC 교향악단의 지휘자가 되었다.[73] 파시즘으로부터의 박해를 견디지 못하고 미국으로 망명한 그는 미국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73] RCA 사장인 데이비드 사르노프는 라디오 콘서트를 위한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설하고 토스카니니에게 지휘를 맡길 것을 제안했다. 토스카니니는 처음에는 이 제안에 관심이 없었지만, 사르노프는 토스카니니의 친구인 새뮤얼 초치니노프를 밀라노에 보내 설득했다. 결국 토스카니니는 사르노프의 제안을 받아들여 미국으로 돌아와 1937년 12월 25일 뉴욕시 록펠러 센터의 NBC 스튜디오 8-H에서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첫 라디오 방송 콘서트를 지휘했다.[18]NBC는 1937년에 그를 위해 각 악기들의 비르투오소들만 모인 올스타 오케스트라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일반 연주회는 물론, 라디오와 TV를 통한 폭넓은 방송 공연을 하였다.[73] 특별히 제작된 라디오 스튜디오의 건조한 음향은 초기 방송과 녹음에서 오케스트라에 거칠고 평평한 음질을 부여했다. 레오폴드 스톡호프스키의 주장으로 1942년에 약간의 개조 공사가 이루어져 잔향이 추가되었다. 1950년, 8-H는 텔레비전 스튜디오로 개조되었고, NBC 심포니 방송 콘서트는 카네기 홀로 옮겨졌다.[19]
NBC 방송은 처음에는 33-1/3 rpm으로 녹음된 16인치 대형 전사 디스크에 보존되었는데, NBC가 1949년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까지 그러했다. NBC는 방송에 특수 RCA 고충실도 마이크를 사용했으며, 토스카니니와 오케스트라의 사진에서 볼 수 있다. 토스카니니의 RCA 빅터 녹음 세션 중 일부는 1930년경에 개발된 사운드 필름으로 마스터되었다.[20]
토스카니니는 미국 음악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1938년 11월 5일에는 새뮤얼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와 ''관현악을 위한 에세이''의 세계 초연을 지휘했다.[21][22] 이 공연은 비평가들로부터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21] 1945년, 토스카니니는 조지 거슈윈의 ''파리의 미국인''과 퍼디 그로페의 ''그랜드 캐니언 모음곡''을 녹음했고, 아론 코플랜드의 ''엘 살론 메히코'',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솔리스트 얼 와일드와 베니 굿맨), ''F장 조의 피아노 협주곡''(피아니스트 오스카 레반트), 존 필립 수사의 행진곡 등 여러 미국 작곡가의 음악을 방송에서 연주했다. 그는 베르디의 ''국가 찬가'' 공연에 소련의 인터내셔널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성조기''의 자신의 관현악 편곡을 작곡하기도 했다.[23]
1940년, 토스카니니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남미 순회 공연을 떠났다.[24] 그해 후반, 토스카니니는 NBC 경영진과 다른 NBC 방송에서 자신의 음악가들을 사용한 것에 대해 의견 충돌을 빚었다. 1941년 3월 10일 RCA 사장 데이비드 사르노프에게 사임 의사를 담은 편지를 썼지만, "내 마음 상태, 건강, 휴식이 충분히 개선된다면" 언젠가 돌아올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레오폴드 스톡호프스키는 3년 계약으로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았으며 1941년부터 1944년까지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으로 재직했다. 토스카니니는 스톡호프스키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시즌에 공동 지휘자로 돌아와 1944년에는 완전히 지휘권을 되찾았다.[25]
1942년 7월, 토스카니니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7번 교향곡의 미국 초연을 지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악보는 소련에서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되어 택배로 미국으로 보내졌다. 스톡호프스키는 이전에 필라델피아에서 쇼스타코비치의 1번, 3번, 6번 교향곡의 미국 초연을 지휘했으며, 1941년 12월에는 자신도 7번 교향곡의 초연을 지휘하기를 원하며 NBC에 악보를 구할 것을 촉구했다. 토스카니니는 이를 자신이 하고 싶어하여 두 지휘자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고, 결국 토스카니니가 승리했다.[26]
1950년 봄, 토스카니니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오케스트라의 유일한 대규모 미국 순회 공연을 했다. 1954년 4월 4일, 토스카니니는 카네기 홀에서 바그너 전곡 프로그램으로 마지막 방송 공연을 지휘했다. 이 마지막 콘서트에서 고령의 토스카니니는 집중력이 약간 흐트러졌는데, 이는 방송 기술자들이 과민하게 반응하여 약 1분 동안 음악 방송을 중단하고 토스카니니의 브람스 ''1번 교향곡'' 녹음을 대체하면서 ''사건''이 되었다. 토스카니니는 곧 태연함을 되찾았고 콘서트는 계속되었다.[29]

1954년 6월, 토스카니니는 마지막 RCA 빅터 세션에 참여하여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와 ''가면무도회''의 NBC 라디오 방송에서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재녹음하여 레코드로 발매했다. 토스카니니는 87세에 은퇴했다. 은퇴 후 NBC는 1954년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해체했다.[30] 오케스트라 대부분의 단원들은 심포니 오브 더 에어로 재편성되었다.[31]
토스카니니는 NBC 심포니와 정열적인 활동을 펼쳐나가던 중 1954년 여름의 공연에서 가벼운 실신을 일으키고 은퇴하였다.[73] 이후 그 해 10월에 레코딩 녹음을 끝낸 후 공식 활동을 그만두었다.
2. 6. 사후
1954년 여름 공연에서 가벼운 실신을 일으키고 은퇴한 토스카니니는 그해 10월에 레코딩 녹음을 끝낸 후 공식 활동을 그만두었다.[73] 1957년 1월 16일, 만 89세로 뉴욕의 자택에서 숨을 거두었다.[73] 임종 직전 그는 의식불명 상태에서 갑자기 허공에 지휘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그의 사후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1년간 지휘자 없이 그를 추모하는 추모음악회를 하다가 자진 해산하였다.
3. 작품
토스카니니는 《팔리아치》, 《라보엠》, 《서부의 아가씨》, 《투란도트》 등 네 작품을 포함하여 많은 오페라의 세계 초연을 지휘했으며, 이 네 작품은 표준 오페라 레퍼토리의 일부가 되었다.[40] 그는 푸치니의 《투란도트》를 완성한 알파노의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40] 또한 《지크프리트》, 《신들의 황혼》, 《살로메》, 《펠레아스와 메리장드》, 《유리안테》의 첫 이탈리아 공연과 《트리스탄과 이졸데》, 《나비부인》의 남미 초연, 《보리스 고두노프》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7번 교향곡의 북미 초연을 지휘했다. 사무엘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 세계 초연도 지휘했다.[41]
4. 연주 스타일 및 특징
188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9세 나이로 첼리스트로 데뷔하여 이탈리아 청년 고전 음악가로서의 위용을 뽐낸 그는 이후 1898년 이탈리아 밀라노 스칼라 음악극장 수석 지휘자, 190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지휘자, 1926년 뉴욕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거쳐, 1937년 NBC 교향악단의 지휘자가 되었다.[13] 그는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 중 한 명이다.
그의 연주 스타일은 악보에 충실하고 정확하며 명료한 것이 특징이다. 낭만주의적인 과장이나 감정 표현을 배제하고, 작품 본연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접근 방식은 신즉물주의 음악 운동과도 맥락을 같이 하며, 빌헬름 푸르트뱅글러로 대표되는 낭만주의적 해석과는 대조를 이룬다.
레퍼토리는 방대하여 이탈리아 오페라와 레스피기 등 이탈리아의 관현악 작품뿐만 아니라,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바그너를 지휘하고(독일계 이외의 지휘자로서는 첫 출연), 베토벤이나 브람스 같은 독일 음악과 차이콥스키 등도 능숙하게 다루었다. 대지휘자들이 잘 다루지 않는 통속적인 명곡이나 소품도 즐겨 녹음했다. 브루크너나 말러는 거의 다루지 않았지만, 당시에는 그들이 작곡가로서 중앙유럽 이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던 시대였으므로, 이탈리아 출신 지휘자가 다루지 않은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다. 『라 왈리』와 『투란도트』 등 중요한 이탈리아 오페라를 초연했다.
4. 1. 정확성과 명료성
푸르트뱅글러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지휘자로 꼽히는 그는 극히 정확한 템포와 치밀한 합주, 박력있고 신선한 연주를 선보였다.[18] 낭만주의 양식에서 벗어난 그의 연주법은 음악 연주에서의 신즉물주의로 분류되며, 푸르트뱅글러와 대조를 이룬다. 빠르고 정확한 템포, 통일된 앙상블 등은 전후 연주법의 기준이 되었다.[70] 이러한 연주 스타일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리카르도 무티, 클라우디오 아바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등 후대 지휘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18]심한 근시였던 그는 악보 전부를 정확하게 암기하는 것으로도 유명했다.[18] 악보대에 놓인 악보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본 공연뿐 아니라 리허설도 암보로 지휘하는 것이 습관이었다.[70] 명쾌한 리듬과 강렬한 음량 증감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인 연주 양식을 확립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18] 철저한 악보 우선주의자라고도 불리지만, 종종 부분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을 수정하기도 했다.[70]
하지만 1954년 4월 4일 연주회(올 바그너 프로그램 콘서트)에서 기억 장애로 인해 지휘를 잠시 멈추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70]
4. 2. 철저한 악보 연구와 암보
188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9세 나이로 첼리스트로 데뷔하여 이탈리아 청년 고전 음악가로서의 위용을 뽐낸 그는 이후 1898년 이탈리아 밀라노 스칼라 음악극장 수석 지휘자, 190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지휘자, 1926년 뉴욕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거쳐, 1937년 NBC 교향악단의 지휘자가 되었다.[13]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 중 한 명이다. 심한 근시로 인해 악보 전부를 정확하게 암기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명쾌한 리듬과 강렬한 음량 증감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인 연주 양식을 확립하였다.독일의 푸르트뱅글러와 함께 지휘자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그는 극히 정확한 템포와 치밀한 합주, 박력있고 신선한 연주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리카르도 무티, 클라우디오 아바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등 후대 지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토스카니니는 극도의 근시였기 때문에 악보를 볼 수 없어 본 공연뿐만 아니라 리허설도 암보로 지휘하는 것이 습관이었다. 그러나 1954년 4월 4일, 리하르트 바그너의 곡들로 구성된 연주회에서 기억 장애로 인해 지휘를 잠시 멈추는 일이 발생했다.[70] 이 연주회 직후 토스카니니의 은퇴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연주회 이전에 이미 계획된 것이었다.[71]
4. 3. 카리스마와 리더십
그는 극히 정확한 템포와 치밀한 합주, 박력 있고 신선한 연주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리카르도 무티, 클라우디오 아바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등 후대 지휘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73]다혈질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리허설 때 단원들의 연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지휘봉을 꺾거나 악보를 찢는 등 과격한 행동을 했다.[73] 지휘봉이 쉽게 부러지지 않으면 손수건이나 윗옷을 찢기도 했다. 틀린 음이나 어설픈 음을 발견하면 '노! 노!'라고 불같이 호령하여 그의 목소리는 늘 쉬어 있었다고 한다. 단원들은 그를 '토스카노노'라는 별명으로 불렀다.[73]
연주 중 화가 나면 시계나 집기를 던지는 일이 있었다. 토스카니니의 한 팬은 그에게 연습 때 차는 시계와 연주 때 차는 금시계를 함께 선물하면서 연습용과 연주용이라는 표시를 했다고 한다.
5. 일화
- 베니토 무솔리니가 토스카니니에게 파시스트 찬가를 작곡해 달라고 요청하자 공연 도중 공연장 밖으로 뛰쳐나갔다는 일화가 있다.[73] 결국 무솔리니가 고집을 꺾었다고 한다.
- 1931년 5월 14일, 볼로냐에서 열린 주세페 마르투치 추모 공연에서 토스카니니는 파시스트 국가인 ''젊음(Giovinezza)'' 연주를 거부했다.[16] 이로 인해 흑셔츠단에게 공격을 받고 부상을 입었으며, 무솔리니는 그의 여권을 압수하고 도청하는 등 지속적으로 감시했다.[16][14]
- 푸치니의 유작 오페라 투란도트 초연에서 무솔리니의 참석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파시스트당 정권에 반발한 토스카니니는 당가 연주를 거부하여 무솔리니는 참석하지 않았다.
- 알파노가 보작한 투란도트의 피날레 직전에 연주를 멈추고 "거장은 여기서 붓을 꺾었습니다"라고 말하며 지휘대를 내려왔다.[34]
- 리허설에서 오케스트라를 철저히 단련시키는 독재적인 지휘자로, 오페라 가수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 약 250곡의 합주곡과 100여 곡의 오페라 악보와 가사, 그리고 많은 소품을 암기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 리허설 중에는 지휘봉을 부러뜨리거나 스코어를 찢는 등 격노하는 일이 잦았고, 콘서트 마스터의 손가락을 지휘봉으로 찔러 재판까지 간 적도 있었다.[73]
- 빈 필과의 리허설 중에는 스코어를 바닥에 내리치자, 첼로 연주자 프리드리히 부크스바움이 자신의 파트 악보를 스코어 옆에 놓았다는 일화가 있다.
-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미망인 비니프레데가 나치에 접근하자, "모든 것이 바뀌지 않는 한 나는 돌아오지 않는다!"라며 바이로이트 음악제에서 물러났다.
- 1937년 잘츠부르크에서 푸르트뱅글러와 만나 뉴욕 필 인계 문제와 나치 관련 문제로 언쟁을 벌였다.
6. 평가 및 영향
188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9세 나이로 첼리스트로 데뷔한 후, 스칼라 음악극장 수석 지휘자, 뉴욕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지휘자, 뉴욕 관현악단 상임 지휘자를 거쳐 1937년 NBC 교향악단 지휘자가 되었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로, 심한 근시에도 불구하고 악보를 모두 암기하고 명쾌한 리듬과 강렬한 음량 증감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인 연주 양식을 확립했다.
푸르트뱅글러와 함께 지휘자의 최고봉으로 꼽히며, 정확한 템포와 치밀한 합주, 박력 있고 신선한 연주로 후대 지휘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토스카니니는 평생 동안 비평가, 동료 음악가, 대중에게 숭배받으며 일관된 찬사를 받았다. 1926년, 1934년, 1948년 세 차례 타임지 표지를 장식했는데, 이는 타임지 역사상 지휘자에게 주어진 유일한 영예였다.[54][55][56] 1989년 3월 25일, 미국 우정청은 그의 업적을 기념하는 25센트 우표를 발행했다.[57]
토스카니니의 녹음 경력은 모티머 H. 프랭크의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지휘대까지: 미국의 토스카니니"와 크리스토퍼 다이먼트의 "토스카니니의 유럽 유산"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69년 클라이드 J. 키는 토스카니니의 미공개 실황 공연을 발매하기 위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협회를 설립했다. 이 협회는 1933년부터 1954년까지 방송 목록 전체를 포함해 미발매 자료 약 5,000개를 확보했으나, 저작권 문제와 토스카니니 가족과의 갈등으로 해산되었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텔레비전 방송에 자주 출연한 최초의 지휘자 중 한 명으로, 1948년부터 1952년까지 NBC에서 10회 콘서트를 방영했다.
『La Wallyit』와 『투란도트』 등 중요한 이탈리아 오페라를 초연했으며,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많은 레코딩을 남겼다. 리허설에서 엄격하기로 유명하여 '토스카노니'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극심한 근시로 악보가 보이지 않아 공연과 리허설을 암보로 지휘했으나, 1954년 4월 4일 연주회에서 기억 장애로 지휘를 잠시 멈추고 은퇴했다.
6. 1. 20세기 최고의 지휘자 중 한 명
1898년 이탈리아 밀라노 스칼라 극장 수석 지휘자, 190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가극장의 지휘자, 1926년 뉴욕 관현악단의 상임 지휘자를 거쳐, 1937년 NBC 교향악단의 지휘자가 되었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지휘자로 평가받는다. 심한 근시였던 그는 악보 전부를 정확하게 암기하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명쾌한 리듬과 강렬한 음량 증감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현대적인 연주 양식을 확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독일의 푸르트뱅글러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지휘자로 꼽히는 그는 극히 정확한 템포와 치밀한 합주, 박력있고 신선한 연주로 칸텔리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리카르도 무티, 클라우디오 아바도,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등 후대 지휘자들의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다.[13]
낭만주의 양식에서 벗어난 그의 연주법은 음악 연주에서의 신즉물주의로 분류되며, 빠르고 정확한 템포, 통일된 앙상블 등은 전후 연주법의 기준으로 평가받는다. 철저한 악보 우선주의자로 알려져 있지만, 종종 부분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을 수정하기도 했다. 악보 우선주의·즉물주의적 스타일은 카라얀을 비롯한 많은 지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6. 2. 비판
토스카니니는 파시즘에 대한 환멸과 베니토 무솔리니에 대한 강한 반감을 가졌다. 1919년 밀라노 시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실패했다.[13] 무솔리니에 의해 "세계 최고의 지휘자"로 불렸지만, 1922년 로마 진군 이전부터 파시즘에 환멸을 느꼈다. 그는 무솔리니의 사진 전시와 파시스트 국가 ''젊음(Giovinezza)'' 지휘를 거부했으며,[14] "내가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면 무솔리니를 죽였을 것이다"라고 격분했다.[15]1931년 5월 14일, 볼로냐에서 열린 주세페 마르투치 추모 공연에서 ''젊음(Giovinezza)'' 연주를 거부했다가 흑셔츠단에게 공격받아 부상을 입었다.[16] 무솔리니는 그의 도청과 감시를 지시하고 여권을 압수했으나, 세계적인 비난이 쏟아진 후에야 돌려받았다.[14]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이탈리아를 떠났다가 1946년에 돌아왔다.[17]
토스카니니는 미국 음악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1938년 11월 5일 새뮤얼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와 ''관현악을 위한 에세이''를 세계 초연하여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21][22] 1945년에는 조지 거슈윈의 ''파리의 미국인''과 퍼디 그로페의 ''그랜드 캐니언 모음곡''을 녹음했다. 아론 코플랜드의 ''엘 살론 메히코'', 거슈윈의 ''랩소디 인 블루''와 ''F장 조의 피아노 협주곡'', 존 필립 수사의 행진곡 등도 연주했다.
일부 현대 비평가들은 토스카니니가 "현대 레퍼토리"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비판했지만, 그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클로드 드뷔시 등 당시 급진적이고 현대적인 작곡가들의 작품을 연주했다. 졸탄 코다이의 작품을 연주했으며, 1930년 코다이는 토스카니니의 요청으로 교향곡을 작곡하기도 했다.[61]
토스카니니는 메트로놈적(리듬이 너무 엄격한) 연주와 리허설에서의 성질로도 비판받았다.
7. 명언
1926년에 베토벤의 교향곡 3번 '영웅'을 연습하면서 "어떤 사람은 이 곡이 나폴레옹을 가리킨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히틀러, 또 어떤 사람은 무솔리니를 연상한다고 하는데, 내게 있어 이 곡은 단지 '알레그로 콘브리오'일 뿐이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오로지 악보에만 충실할 뿐 그 밖의 낭만적 해석은 사양하겠다는 그의 음악 철학이 잘 드러난 말이다.[74]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정치적 입장이 논란이 되었던 독일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 대해: "작곡가로서의 슈트라우스에게는 모자를 벗지만, 인간으로서의 슈트라우스에게는 다시 모자를 씁니다."[67]
베토벤의 ''영웅 교향곡''의 1악장을 언급하며: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나폴레옹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들은 히틀러라고 하고, 어떤 사람들은 무솔리니라고 합니다. 흥! 저에게는 그저 알레그로 콘 브리오일 뿐입니다."[68]
푸치니가 미완성 오페라 ''투란도트''의 피날레 작곡을 중단한 지점에서: "여기서 죽음이 예술을 정복했습니다"(토스카니니는 오페라 지휘대를 떠났고, 조명이 켜지자 청중들은 침묵 속에 퇴장했습니다).[69]
1940년 캘리포니아에 머물던 중 토스카니니는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스튜디오의 영화 촬영장을 방문하도록 초대받았습니다. 그는 눈물을 글썽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제 삶에서 세 가지를 기억할 것입니다. 석양, 그랜드 캐니언 그리고 엘리너 파월의 춤을."[69]
8. 주요 녹음
토스카니니의 주요 녹음은 다음과 같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경우,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연주이다.
작곡가 | 작품명 및 녹음 연도 |
---|---|
베토벤 | |
베를리오즈 | |
브람스 | |
드뷔시 | |
드보르자크 |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1953년) |
멘델스존 | |
모차르트 | |
무소륵스키 (모리스 라벨 편곡) | 전람회의 그림 (1953년) |
푸치니 | 라 보엠 (1946년) |
슈베르트 | |
베르디 | |
바그너 | |
차이콥스키 | |
로시니 | |
레스피기 | |
슈만 | 만프레드 서곡 (1946년) |
쇼스타코비치 |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1942년) |
R. 슈트라우스 | |
스트라빈스키 | 페트루슈카 (1911년 판) 중 1장 사육제의 시장/4장 사육제의 시장 저녁 (1940년) |
생상스 | 죽음의 무도 (1950년) |
기타 |
1954년 4월 4일, 토스카니니의 마지막 공개 연주회에서는 바그너의 작품들이 연주되었다. (로엔그린 1막 전주곡, 지크프리트 중 '숲의 속삭임', 신들의 황혼 중 '지크프리트의 라인 강 여행', 탄호이저 서곡과 바카날,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1막 전주곡)
또한, 1954년 3월 21일에는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 서곡과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6번 "비창"(제3악장 마지막 누락)이 녹음되었다.
1951년 1월 27일에는 베르디 레퀴엠이 녹음되었는데(헬바 넬리(소프라노), 페도라 바르비에리(메조소프라노), 주세페 디 스테파노(테너), 체사레 시에피(베이스), 로버트 쇼 합창단), 이 연주는 RCA 레코드의 모노럴 음반과 동일한 연주이나, 별도의 마이크로 모노럴 녹음을 진행하여 두 종류의 음원을 합성해 스테레오 녹음으로 만들어졌다.
참조
[1]
서적
Toscanini
Da Capo Press
[2]
뉴스
Microcosmo. Theatro Imperial.
http://memoria.bn.br[...]
Jornal do Commercio
1886-07-05
[3]
서적
Non muore la musica – La vita e l'opera di Arturo Toscanini
SUGARco Edizioni
[4]
서적
Arturo Toscanini: The NBC Years
[5]
서적
Greene's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Composers
[6]
서적
Encounters with Verdi
Cornell University Press
[7]
서적
Encounters with Verdi
[8]
간행물
Opera
1954-06-01
[9]
뉴스
Out Today: New Victor Records for March
The New York Times
1921-03-01
[10]
잡지
8 Famous People Who Missed the Lusitania
https://web.archive.[...]
2013-05-02
[11]
뉴스
Music: Toscanini at Bayreuth
https://content.time[...]
Time
1930-08-04
[12]
뉴스
Music: Lange's own
Time
1935-11-25
[13]
서적
Toscanini: An Intimate Portrait
Alfred A. Knopf
[14]
서적
[15]
서적
Toscanini
[16]
서적
Toscanini
[17]
서적
Mussolini: a New Lif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18]
서적
The Double reed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Double Reed Society
2012-07-25
[19]
TV
Live from Studio 8H: A Tribute to Toscanini
https://www.imdb.com[...]
2023-03-17
[20]
웹사이트
The Toscanini Legacy collection of sound recordings
https://archives.nyp[...]
2023-03-17
[21]
서적
The Instrumentalist
https://books.google[...]
The Instrumentalist
2012-07-25
[22]
서적
American composers today: a biographical and critical guide
https://archive.org/[...]
H.W. Wilson Co.
2012-07-25
[23]
웹사이트
archives.nyphil.org
[24]
웹사이트
S.S. Brazil
http://moore-mccorma[...]
2013-05-21
[25]
뉴스
Stokowski out of NBC Symphony; Toscanini Bans Dual Leadership.
The New York Times
1944-06-08
[26]
웹사이트
MOG.com
https://web.archive.[...]
2012-06-07
[27]
서적
liner notes
RCA Victor
[28]
서적
The Toscanini Musicians Knew
[29]
웹사이트
Toscanini: The Last Concert
http://www.classical[...]
1995-10-09
[30]
뉴스
Survival Sought by NBC Orchestra.
The New York Times
1954-06-18
[31]
뉴스
Symphony of the Air: Former NBC Symphony Players Still Great Ensemble.
The New York Times
1954-11-14
[32]
뉴스
Arturo Toscanini, 89, dies in sleep at New York Home
https://cdnc.ucr.edu[...]
1957-01-16
[33]
웹사이트
Turismo Milano
https://web.archive.[...]
2019-11-07
[34]
학술지
Turandot and Its Posthumous Prima
[35]
잡지
The Maestro Plays Games with Sonia on the Lawn.
LIFE
1939-11-27
[36]
간행물
A Toscanini Odyssey
http://www.juilliard[...]
2002-04-00
[37]
뉴스
Conductor con brio
https://www.telegrap[...]
2002-05-12
[38]
뉴스
Letters detail Toscanini's affairs
https://www.telegrap[...]
2002-04-20
[39]
논문
Stereo Strings
https://www.jstor.or[...]
1973-00-00
[40]
기타
[41]
뉴스
Toscanini Plays Two New Works
1938-11-06
[42]
서적
Arturo Toscanini: The Complete RCA Collection
https://www.amazon.c[...]
RCA Red Seal
2023-03-17
[43]
기타
[44]
서적
Toscanini
[45]
서적
NBC Symphony Broadcasts
https://www.amazon.c[...]
Testament UK
[46]
잡지
Time
1970-03-02
[47]
서적
Toscanini
[48]
웹사이트
Penn Special Collections – Ormandy/Usher
http://www.library.u[...]
Library.upenn.edu
[49]
웹사이트
The First Televised Orchestra Concert
http://www.library.u[...]
Library.upenn.edu
[50]
웹사이트
Toscanini: Hymn of the Nations
https://time.com/arc[...]
2009-01-13
[51]
서적
Toscanini: The Maestro / Verdi - Hymn of the Nations
https://www.amazon.c[...]
2004-03-09
[52]
영화
Hymn of the Nations
[53]
뉴스
Movies: About ''Il Giovane Toscanini''
https://movies.nytim[...]
2007-00-00
[54]
웹사이트
TIME Magazine Cover: Arturo Toscanini - Apr. 26, 1948
http://www.time.com/[...]
2007-09-30
[55]
웹사이트
TIME Magazine Cover: Arturo Toscanini - Apr. 2, 1934
http://www.time.com/[...]
2008-11-29
[56]
웹사이트
TIME Magazine Cover: Arturo Toscanini - Jan. 25, 1926
http://www.time.com/[...]
2008-06-18
[57]
기타
[58]
웹사이트
Toscanini, The Recorded Legend
http://www.classical[...]
[59]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 173 Results
https://digital.libr[...]
[60]
웹사이트
Klassi.net
http://www.klassi.ne[...]
[61]
웹사이트
Kodaly's Symphony
https://www.yourclas[...]
2015-08-16
[62]
웹사이트
The Real Toscanini: Musicians Reveal the Maestro
http://www.therealto[...]
[63]
웹사이트
Toscanini in a rage - scary rehearsal
https://ghostarchive[...]
[64]
웹사이트
Toscanini DESTROYS a bass section
https://ghostarchive[...]
[65]
서적
Becoming Ella Fitzgerald: The Jazz Singer Who Transformed American Song
W. W. Norton & Company
2023-00-00
[66]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 173 Results
https://digital.libr[...]
[67]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14
[68]
서적
The Lives of the Great Composers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997-01-01
[69]
서적
Puccini
1974-00-00
[70]
서적
トスカニーニ 大指揮者の生涯とその時代
2009-00-00
[71]
서적
Toscanini
1978
[72]
서적
The Letters of Arturo Toscanini
Knopf
2002
[73]
웹인용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2009-01-19
[74]
서적
20세기 인물 100과 사전
숨비소리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